KR20130053715A - 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 Google Patents

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715A
KR20130053715A KR1020110119305A KR20110119305A KR20130053715A KR 20130053715 A KR20130053715 A KR 20130053715A KR 1020110119305 A KR1020110119305 A KR 1020110119305A KR 20110119305 A KR20110119305 A KR 20110119305A KR 20130053715 A KR20130053715 A KR 20130053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type walking
frame
walking aid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0043B1 (en
Inventor
권대갑
임지영
도덕호
양훈민
강대원
이재학
김자경
차진영
박근창
민서정
강현재
이예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11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043B1/en
Publication of KR2013005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0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 lift type walking assistant apparatus is provided to naturally perform operation of standing up and down of user. CONSTITUTION: A lift type walking assistant apparatus comprises a support frame(10) equipped on each sides as contacted to each ends, a link frame(20) connecting in width distance to the support frame, and a lift bar(30) equipped and connected to be rotated with the slid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rom the surface. The lift bar is combined by the track roller ad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guard rail from the support frame.

Description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Lift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본 발명은 노약자들의 거동을 도와줄 수 있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립을 도울 수 있는 리프트 바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type walking aid that can help the elde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type walking aid including a lift bar that can help the user stand.

일반적으로 연로한 노인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혼자서 걷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도구나 기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elderly people 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ineligible to move are difficult to walk alone, so they often use assistive devices or devices to assist walking.

대표적으로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도구 또는 기구로써 지팡이와 보행기를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팡이는 소정 각도로 굴절된 막대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행기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며, 프레임 상부에는 보행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손잡이를 잡은 채로 프레임에 의지하면서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Representative aids or devices for walking aid include walking sticks and walkers. Typically, the cane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d refra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walker is equipped with wheels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of a certain height, and the handl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to hold the pedestrian while the pedestrian holds the handle and relies on the frame. It is configured to walk in the direction to go.

이와 같은 종래 보행기는 보행자의 보행속도 및 보행 간의 안전성 보장을 위해 별도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기계적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Such a conventional walker is provided with a separate brake system to ensure the walking speed of the pedestrian and the safety between walking, and has a problem that the mechanical device is complicated.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자세전환 즉,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을 보조하는 기술구성을 갖추고 있지 않아 중증 환자들의 경우 혼자서 스스로 이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한계를 안고 있다.Above all, the user's posture change, that is, it is not equipped with a technology configuration to assist in the movement of sitting or standing, severe patients suffer from the limita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use by themselves.

이러한 종래 보행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형태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527,870호(2005.11.03,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와 공개특허공보 제104,785호(2011.09.23, 이하 '종래기술 2'라 함)를 들 수 있다.As a form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alker,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Publication No. 527,870 (2005.11.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Patent Publication No. 104,785 (2011.09.23, hereinaft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2 ').

상기의 종래기술 1 및 2는 모두 보행이 곤란한 이용자가 보조자의 도움없이 이동은 물론, 앉거나 일어서는 등의 동작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점에서 먼저 언급한 종래 보행기의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는 면이 전혀 없지 않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1 and 2 both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alker mentioned above in that it is designed to allow a user who is difficult to walk to move, as well as sit or stand, without assistance of an assistant. Not at all.

다만, 상기의 종래기술 1 및 2는 이용자의 독립적인 거동 및 보행을 위한 기술적 장치에만 몰두한 나머지 실질적인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그에 따른 이동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1 and 2 concentrate on only technical devices for independent behavior and gait of the user, and thus have a problem in tha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or mobility thereof is impaired.

상기한 종래기술 1 및 2는 모두 복잡하고 육중한 기계장치를 도입함에 따라 연약한 힘으로 쉽게 다룰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1 and 2 both have a problem that cannot be easily handled with a weak force as a complex and heavy machinery is introduced.

종래기술 1에 비해 종래기술 2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량감이 다소 경감되는 면이 없지않으나, 고가의 기구적 장치로 인해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을 접어 두더라도 사용자가 양손으로 손잡이만을 의지한 채 일어서거나 앉을 수밖에 없는 기계적 구조로 인한 사용상의 편의성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Compared to the prior art 1, the prior art 2 is not relatively reduced in weight, but even if the problem of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expensive mechanical device,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stand or sit with both hands only on the handle It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poor usability due to the lack of mechanical structur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무엇보다도 간편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성이 도모되는 리프트 바를 통해 사용자가 혼자서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bove all, it is to provide a lift type walking aid that can naturally perform a user's sitting or standing alone through a lift bar which is simple and easy to use.

그리고, 본 발명은 전동식 구동력을 통해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type walking aid that can support the muscle strength of the user through the electric driving force, it is possible to further expand the range of the user.

나아가, 본 발명은 간소한 기구 구조로부터 제조가 간편하고, 경량화로 사용자의 취급이 훨씬 더 용이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lift type walking assistance device which is simple to manufacture from a simple mechanism structure, and which is much easier to handle by a user with light weight.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은 양끝단이 지면에 맞닿도록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 지주프레임과, 소정의 폭 간격으로 상기 지주프레임을 연결, 결속하는 링크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트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Lift type walking ai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so that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link frame connecting and binding the support frame at a predetermined width interval,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support frame It is provided in, and comprises a lift bar which is provided to be rotatable simultaneously with slidin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round.

상기 리프트 바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레일 상의 트랙 롤러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작동이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결합, 구성될 수 있다.The lift bar may be coupled and configured to allow simultaneous oper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y a track roller on a guide rail disposed inside the strut frame.

나아가, 상기 리프트 바는 전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작동력이 인계되는 전동식으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탈부착이 자유로운 충전식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ift bar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motor in which a predetermined operating force is taken over from the electric motor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t this time, the electric motor includes a battery for power supply, the battery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removable removable.

상기 전동모터는 감속을 위한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최소의 동력으로부터 최대의 출력을 도모함으로써, 상기 리프트 바의 견인력을 극대화하여 사용자의 근력 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electric motor includes a gearbox for deceleration to achieve maximum output from the minimum power, thereby maximizing the traction force of the lift bar to increase the muscle power assistance efficiency of the user.

상기 지주프레임은 끝단 부위에 휠캡을 구비하고, 상기 휠캡 내에는 휠을 포함하는 소정의 이동수단이 구성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의 휠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지주프레임에 누르는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휠캡 속으로 함입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The strut frame may have a wheel cap at an end portion thereof, and a predetermined moving means including a wheel may be configured in the wheel cap. At this time, the wheel of the moving means is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 including a spring can be implemented to be inserted into the wheel cap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holding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지주프레임의 상단 내측 지면으로부터 수직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과 회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트 바로부터 행동거지가 불편한 사용자가 혼자서 보행을 위한 이동은 물론, 앉거나 일어서는 등의 일상의 행위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lift-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ho walks alone is uncomfortable with a beggar from a lift bar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slide and rotate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n addition to moving for,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perform the daily activities such as sitting or standing.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견고하면서 중량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지주프레임 및 링크프레임 간의 결합구조를 채택, 적용함으로써, 보행시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등의 기술적 효과를 얻는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lift-type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nd apply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strut frame and the link frame that is structurally robust and weight reduction, it is easy to move during walking, The technical effect is obtained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ecuring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cost reduc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수동식을 떠나 전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한 전동식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근력까지 보조하는 등 이용자의 범위를 확대하는 기술적 효과를 발휘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lift type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n electric motor using an electric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apart from the manual type, the technical effect of extending the range of the user, such as assisting the user's muscle strength, is exhibited.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탄성지지된 이동수단 및 휠캡으로부터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를 적용하지 않고도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술구성의 단순화로 제조공정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ift-typ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ty of the use without securing a separate brake device from the elastic means of the moving means and the wheel cap while ensuring the productivi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simplify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Get the effect of impro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감속을 위한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전동모터로부터 사용자가 의자 등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 보조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의 에너지 소비효율을 높이는 등의 기술적 효과도 얻는다.According to the lift-typ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motor including a gear box for deceleration improves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of the device at the same time, while improving the stability when the user sits or stands on a chair or the like. The technical effect of this is also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의 리프트 바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의 이동 및 보행보조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의 트랙롤러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for the lift bar of the lift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during the movement and walking aid of the lift-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for the track roller of the lift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대한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lift-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의 기술구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전반을 구성하는 지주프레임(10)과 링크프레임(20) 외에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내측,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함께 회동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트 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looking 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lift-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addition to the strut frame 10 and the link frame 20 constituting the entire body, the strut It includes a lift bar 30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otate with the slidin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round inside the top of the frame 10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혼자 보행을 위한 이동은 물론, 의자나 소파 등으로부터 앉거나 일어서는 일상생활 중의 동작까지 보조함으로써, 별다른 도움없이 독립적인 활동을 보장하는 등의 기술적인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lift-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ho is inconvenient to move alone walks, as well as assists in the daily life of sitting or standing from a chair or sofa, independent without any assistance Have technical effects, such as guaranteeing activity.

상기 지주프레임(10)은 본체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양끝단이 지면과 맞닿는 형태 예를 들면, 도 1 내지 3에서처럼 일체를 "ㄷ"자형으로 절곡시킨 봉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holding frame 10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both ends in contact with the grou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s 1 to 3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 rod shape bent in a "c" shape. .

일체를 "ㄷ"자형으로 절곡시킨 형태의 상기 지주프레임(10)은 상단이 손잡이를 구성하고, 내구성 면에서 견고성을 발휘한다.The holding frame 10 of the form bent in a "c" shape of the integrally constitutes a handle at the top, and exhibits robustness in terms of durability.

상기 링크프레임(20)은 좌우 양측의 상기 지주프레임(10)을 소정의 폭 간격으로 연결,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처럼 소정 형상의 절곡 봉과 일자형 봉으로 구성된 형태나 도 2 내지 도 3에서처럼 일체를 "ㄷ"자형으로 절곡시킨 봉 형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link frame 20 is for connecting and binding the strut frame 10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t a predetermined width interval, and is formed as a bent rod and a straight ro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s shown in FIG. 1 or as shown in FIGS. 2 to 3. I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a rod-shaped bent in the "c" shape.

상기 지주프레임(10) 및 링크프레임(20) 간의 결합은 용접, 리벳,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나사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가능하다.Coupling between the support frame 10 and the link frame 20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threaded welding, rivets, bolts and nuts.

상기 지주프레임(10) 및 링크프레임(20) 양자 모두를 "ㄷ"자형 봉 구조로 적용하는 경우, 제조공정이나 조립과정상의 간소화를 통한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both the holding frame 10 and the link frame 20 are applied in a "c" shaped ro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assembly process.

이때, 상기 링크프레임(20)은 상기 지주프레임(10) 간의 상하 양단의 2단 구조를 채택하여 본체 전반의 사용수명 즉, 내구성 향상과 함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link frame 20 is to adopt a two-stag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between the holding frame 10, it is good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with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life of the whole body, that is, durability.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상생활 중 사용자가 앉거나 일어서야 하는 동작을 다른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일종의 보조장치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ift bar 30 may be referred to as a kind of auxiliary device that may help a user to perform an operation that requires the user to sit or stand up in his or her daily life without borrowing the power of another person.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1에서와 같은 수동형 또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전동형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lift bar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anual type as shown in FIG. 1 or an electric type as shown in FIGS. 2 to 3.

다만, 구동방식에 관계없이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내측에 구비될 뿐만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However, regardless of the driving method, the lift bar 30 is not only provi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trut frame 10, bu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from the ground. .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내측에 고정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레일(11) 상에서 슬라이드 및 회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결합, 구성된다.The lift bar 30 is coupled and configured to slide and rotate on a plurality of guide rails 11 fixedly arranged inside the strut frame 10.

상기 가이드레일(11)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양 지주단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으로 각각 고정, 배치된 형태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양 지주단 중 한쪽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정위치로부터 거리가 먼 쪽의 지주단 상단에 길이방향 즉,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각각 고정, 배치된다.The guide rails 11 are fixed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cross both struts of the strut frame 10, and preferably from one of the strut ends of the strut frame 10. It is fixed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on the upper end of the far end.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레일(11)의 홈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범위가 안내 또는 제한되는 트랙 롤러(11a)에 의해 복수의 두 지점이 결합, 고정된다.As shown in FIG. 6, the lift bar 30 is mounted in the groove of the guide rail 11 so that a plurality of two points are engaged and fixed by the track roller 11a in which the slide range is guided or restricted.

이때, 상기 트랙 롤러(11a)에 대응하는 상기 리프트 바(30)의 양쪽 결합부위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1)에서처럼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드 가능한 홈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리프트 바(30)의 회동 범위를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손잡이와 거의 평행한 위치에서 연직 방향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만큼 유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both engaging portions of the lift bar 30 corresponding to the track roller 11a also form grooves slidable by a predetermined length as in the guide rail 11,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lift bar 30 is increased. From the posi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op handle of the holding frame 10 can be guided as far as desired up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이드레일(11)과 트랙 롤러(11a)의 일단 부위 즉, 상기 가이드레일(11)의 홈 속에 장착되는 부위 간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가이드레일 관련 기구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LM가이드레일과 같은 형태라 할 수 있다.The coupling between the guide rail 11 and one end of the track roller 11a, that is, the part mounted in the groove of the guide rail 11,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LM guide rail widely used in the guide rail related field. It can be said.

그리고, 상기 트랙 롤러(11a)는 도 6에서처럼 상기 가이드레일(11)의 홈 속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몸체에 소정의 회동자가 결합, 구성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트 바(30)의 작동 즉, 상기 가이드레일(11) 상에서의 슬라이드와 동시에 회동을 병행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리프트 바(3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든 실시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rack roller 11a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predetermined rotor is coupled to the slide bod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guide rail 11 as shown in FIG. 6. However, this is also only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lift ba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e., the simultaneous rotation with the slide on the guide rail 11, so that the lift bar 30 Any form that allows for rotation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예를 들어, 상기 트랙 롤러(11a)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구형의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에 대응하는 홈을 상기 리프트 바(30)의 대응 위치에 마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For example, the track roller 11a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forming a spherical protrusion in the slide body and providing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lift bar 30.

상기 리프트 바(3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lift bar 3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나 소파와 같은 것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을 보조할 때, 손과 겨드랑이 부위로 체중을 견인할 수 있어 다소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case of adopting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the lift bar 30 can pull the weight to the hands and armpits when the user assists in sitting or standing on something such as a chair or a sofa as shown in FIG. 4.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omewhat stable and comfortable posture.

이때, 상기 리프트 바(30)의 소정 부위 특히, 자세전환시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안착되는 부위와 같은 곳에는 소정의 쿠션(33)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ift bar 30, in particular, such as the position where the user's armpits are seated during the change of posture may be carried out in the form with a predetermined cushion 33 is further provided.

상기 쿠션(33)은 스펀지나 적당한 탄력성을 가지는 부드러운 재질의 특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 중에 유발될 수 있는 통증까지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The cushion 33 prevents slipping by using a sponge or a special synthetic resin made of a soft material having proper elasticity, and at the same time, to relieve pain that may be caused during use.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2나 도 3에서처럼 전동모터(40)와 소정의 동력전달수단(5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 보조시 근력부담이 덜하도록 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The lift bar 3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 motor 40 and a predetermined power transmission means 50 as shown in FIG. 2 or FIG. 3 so as to reduce the burden of muscle strength when assisting the user in sitting or standing up. Do.

이때, 상기 전동모터(40) 및 동력전달수단(50)은 도 2에서처럼 상기 링크프레임(20) 상에 장착하는 형태 또는, 도 3에서처럼 상기 링크프레임(20) 상의 적당한 위치에 소정 형태의 배치판(21)을 구비하여 장착하는 형태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ic motor 40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50 is mounted on the link frame 20 as shown in Figure 2, or a placement plate of a predetermined form at a suitable position on the link frame 20 as shown in FIG. It can implement as a form provided with 21 and attaching.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상기 전동모터(40)에서 기인되는 작동력을 상기 리프트 바(30)로 인계하기 위한 것으로, 기어조합을 포함하는 복수의 샤프트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계층이 노약자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장치 전반의 중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The power transmission means 50 is to take over the operating force caused by the electric motor 40 to the lift bar 30, i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such as a plurality of shafts including a gear combination.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us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derly person, it is good practice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device.

예를 들어,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의 경우에는 소정 두께의 와이어와 같은 작동줄(51)로 실시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줄(51)은 양끝단이 상기 전동모터(40)의 권취롤(41)과 상기 리프트 바(30)를 각각 연결하는 형태로 실시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5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orking line 51, such as a wir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this time, the operation line 51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connect the take-up roll 41 and the lift bar 30 of the electric motor 4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소정 형태의 연결핀(31)을 더 구비하여 상기 작동줄(51) 끝단을 연결상태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lift bar 3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n 3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end of the operation line 51 may be reliably fixed.

상기 연결핀(31)은 상기 작동줄(51)의 고정상태를 단단히 할 뿐 아니라, 작동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와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핀(31)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으로 상기 작동줄(51)을 통과시켜 고정한 후 상기 리프트 바(31)의 일단 부위에 결합, 고정할 수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The connecting pin 31 not only firmly fixes the operation line 51 but also performs a form to prevent damage such as abrasion due to friction between operations. For example, form a through-hole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in 31, and fixed to pass through the operation line 51 through the through-hole to be coupled to, and fixed to one end of the lift bar (31) Can be mentioned.

한편, 상기 작동줄(51)은 상기 전동모터(40)의 권취롤(41)에서 소정의 작동력을 양쪽으로 분산시켜 전달하는 한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상기 작동줄(51)은 상기 전동모터(40)에서 인계되는 작동력에 따른 상기 리프트 바(3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술적 특징을 발휘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line 51 may be configured in a pair to transmit a predetermined operating force to both sides in the winding roll 41 of the electric motor 40 to transmit. The pair of operation lines 51 as described above exhibits technical features such as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lift bar 30 according to the operating force taken over from the electric motor 40.

이때, 한 쌍의 상기 작동줄(51)은 상기 권취롤(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쪽으로의 풀림과 감김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롤(41) 상에 감긴다. 예를 들면, 상기 권취롤(41)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하나의 작동줄(51)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리프트 바(30)의 양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 또는, 상기 권취롤(41)의 관통공에 매듭지어진 각각의 작동줄(51)이 상기 권취롤(41)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구성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the operation line 51 is wound on the take-up roll 41 so that the unwinding and winding to both sides can proceed simultaneously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ake-up roll 41. For example, a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take-up roll 41 so that one operation line 51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and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ift bar 30, respectively, or the take-up roll ( The operation line 51 knotted in the through-hole of the 41 is formed i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take-up roll 41 and the like.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소정의 줄안내편(52)을 더 포함하여 도 3에서처럼 상기 작동줄(51)의 배치상태를 소정 형태로 안내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50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string guide piece 52 to guide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ng string 51 in a predetermined form as shown in FIG. 3.

상기 줄안내편(52)은 회전형 롤러 등을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The string guide piece 52 can be implemented using a rotary roller or the like.

상기 전동모터(40)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42)는 충전가능한 형태를 적용하여 탈부착이 자유롭게 하는 것이 좋다.The electric motor 40 includes a battery 42 for power supply. In this case, the battery 42 may be detachable by applying a chargeable form.

이외에도 상기 전동모터(4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lectric motor 40 includes an operation switch 32 for the user to control the rotation direction as needed.

상기 작동스위치(32)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이나 상기 링크프레임(20) 또는 상기 리프트 바(30)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면, 상기 리프트 바(30)와 같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The operation switch 32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support frame 10, the link frame 20, or the lift bar 30. Preferably, it is good to install at a location such as the lift bar 30, for examp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use.

이때, 상기 작동스위치(32)는 회전방향별로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도 2나 도 3에서처럼 상기 권취롤(41)로부터 상기 작동줄(51)을 풀어주는 스위치와 감아주는 스위치를 각각 별도로 구성가능하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switch 3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ntrolled separately for each rotation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2 or FIG. 3, the switch for releasing the operating line 51 from the take-up roll 41 and the switch for winding can be separately configured.

예를 들어, 풀어주는 스위치를 앉거나 일어서는 자세 전환시 사용자의 정위치에서 가까운 상기 리프트 바(30) 상에 배치했다면, 감아주는 스위치는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리프트 바(30) 상의 위치, 그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자세 전환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리프트 바(30) 상에 팔을 걸쳐 올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leasing switch is placed on the lift bar 30 close to the user's home position when the sitting or standing position is switched, the winding switch is positioned on the lift bar 30 far from the user's position. Among them, preferably, when the user raises the arm on the lift bar 30 for changing the posture, it may be arranged in a position where the hand reaches.

이러한 상기 작동스위치(32)의 배치로부터 본 발명의 사용자는 자세 전환에 필요한 동작과 더불어 작동을 위한 스위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rom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switch 32,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convenience of use, such as the switch operation for the oper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required for changing the posture.

상기 전동모터(40)는 감속을 위한 기어박스(43)를 포함하여 상기 리프트 바(30)의 견인을 위한 기동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electric motor 40 includes a gear box 43 for decelera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aneuvering force for towing the lift bar 30.

상기 기어박스(43)는 작은 전력으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일종의 감속기어장치와 같은 형태로 실시가능하다.The gear box 43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kind of reduction gear device that can exert a large force with a small power.

한편, 상기 지주프레임(10)은 도 1이나 도 2에서처럼 끝단 부위에 소정의 패킹(12a)으로 이동시 충격을 완화하는 형태나, 도 3에서처럼 끝단 부위에 소정의 휠캡(12)을 형성하고, 상기 휠캡(12) 내에는 휠(61)을 포함하는 이동수단(60)을 더 구비하여 이동성을 높이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ding frame 10 is a form to mitigate the impact when moving to a predetermined packing (12a) at the end portion as shown in Figure 1 or 2, or as shown in Figure 3 to form a predetermined wheel cap 12 in the end portion, The wheel cap 12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means 60 including a wheel 61 to increase mobility.

이때, 상기 이동수단(60)의 휠(61)은 상황에 따라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끝단 내외로 함입 또는, 돌출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스프링(62a)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62)에 결합, 구성하여 누르는 힘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대(62)의 스프링(62a)이 압축 또는 신장하면서 이동을 위한 상기 휠(61)의 작동이 상기 휠캡(12)에 의해 저지되거나 가동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wheel 61 of the moving means 60 is configured to be recessed or protruded into and out of the end of the strut frame 10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at is, the wheel 61 for movement while being compressed or extended while the spring 62a of the elastic support 62 is coupled or configured to the elastic support 62 including the spring 62a to generate a pressing force. The operation of the wheel cap 12 is prevented by the wheel cap 12 or is installed to enable the operation such as to maintain the operating stat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수단(60)은 도 5의 우측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가 한번에 이동가능한 소정 폭의 거리만큼 본 발명에 따른 본체를 밀어 옮길 때에는 상기 휠(61)이 상기 휠캡(12)의 끝단 밖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mo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heel 61 is the end of the wheel cap 12 when the user moves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distance of a predetermined width that can be moved at once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It stays protruding out.

그 후 적정거리만큼 옮겨진 본 발명에 따른 본체를 짚고 사용자의 몸을 옮길 때에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부위 등을 누르는 힘이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므로 이로 인해 상기 탄성지지대(62)의 스프링(62a)이 압축되면서 상기 탄성지지대(62)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끝단 내부로 함입된다. 그리고, 상기 휠(61)은 상기 휠캡(12)의 끝단이 지면과 맞닿으면서 미끄러지는 작동이 방지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신체 또는 체중의 일부를 상기 지주프레임(10)에 의지한 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moving the user's body while holding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d by an appropriate distance, the force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0 is generated from the user, thereby the spring 62a of the elastic support 62 ) Is compressed and the elastic support 62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holding frame (10). In addition, the wheel 61 is prevented from sliding while the end of the wheel cap 12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maintain a stationary state so that the user stably transmits a part of the body or weight to the holding frame 10. You can move reliably.

상기 휠캡(12)은 끝단 부위의 마찰력을 높이는 소정의 패킹(12a)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12a)은 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동시에 충격완화로 상기 휠캡(12)의 끝단 형상을 보호하는 등의 기술적 효과를 병행하게 된다.The wheel cap 12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packing (12a) is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end portion. At this time, the packing (12a) i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by using a rubber or soft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and at the same time to protect the end shape of the wheel cap 12 by the impact relief.

상기 패킹(12a)은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끝단 형상이나 상기 휠캡(12)의 끝단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에 따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형태가 좋다.The packing 12a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fitted and fixed according to a shape corresponding to an end shape of the strut frame 10 or an end shape of the wheel cap 12 as shown in FIGS. 1 to 3.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또는 변형 실시가능한 정도까지 아울러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a specific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order to help an understanding of a lift-typ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is usually from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or modify.

10 : 지주프레임 11 : 가이드레일
11a: 트랙 롤러 12 : 휠캡
12a: 패킹 20 : 링크프레임
21 : 배치판 30 : 리프트 바
31 : 연결핀 32 : 작동스위치
33 : 쿠션 40 : 전동모터
41 : 권취롤 42 : 배터리
43 : 기어박스 50 : 동력전달수단
51 : 작동줄 52 : 줄안내편
60 : 이동수단 61 : 휠
62 : 탄성지지대 62a: 스프링
10: holding frame 11: guide rail
11a: track roller 12: wheel cap
12a: packing 20: link frame
21: placement plate 30: lift bar
31: connection pin 32: operation switch
33: cushion 40: electric motor
41: winding roll 42: battery
43: gearbox 50: power transmission means
51: operation line 52: line guide
60: vehicle 61: wheel
62: elastic support 62a: spring

Claims (17)

양끝단이 지면에 맞닿도록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 지주프레임(10)과;
상기 지주프레임(10)을 폭 간격으로 연결, 결속하는 링크프레임(20);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구성된 리프트 바(30)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A strut frame 10 provided on each side so that both ends abut on the ground;
Link frame 20 for connecting and holding the holding frame 10 at the width interval;
A lift type walking assistance devic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and including a lift bar 30 configured to be coupled and rotatably coupled in a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내측 각각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11) 상의 트랙 롤러(11a)에 의해 결합,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 bar (30) is a lift-type walking assistance device configured by the track roller (11a) on the guide rails (11) arrang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round inside the holding frame (10),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링크프레임(20) 상에 장착된 전동모터(40)의 작동력을 인계하는 동력전달수단(50)을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 bar 30 is a lift-type walking aid including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aking over the operat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40) mounted on the link frame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양끝단이 각각 상기 전동모터(40)의 권취롤(41)과 상기 리프트 바(30)에 연결된 작동줄(51)을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50) is a lift-type walking assistance device, each end of which includes an operation line (51) connected to the take-up roll 41 and the lift bar (30) of the electric motor (40), respectivel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작동줄(51)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핀(31)을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lift bar 30 is a lift-type walking aid including a connecting pin (31)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operating line (5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줄(51)은 상기 전동모터(40)의 권취롤(41)에서 상기 리프트 바(30)까지 한 쌍으로 연결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rating line 51 is a lift-type walking aid connected in pairs from the take-up roll 41 of the electric motor 40 to the lift bar 3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상기 작동줄(51)의 배치상태를 안내하는 줄안내편(52)을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50 is a lift-type walking aid including a line guide piece (52) for guiding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line (5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줄안내편(52)은 회전형 롤러 형태로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rope guide piece 52 is a lift type walking aid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otary roll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40)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42)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electric motor 40 is a lift-type walking aid including a battery 42 for power supp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전동모터(4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32)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lift bar 30 is a lift-type walking assistance device including an operation switch 32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4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40)는 감속을 위한 기어박스(43)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electric motor 40 is a lift-type walking aid including a gear box 43 for decel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 bar 30 is a lift type walking aid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10) 및 링크프레임(20)은 "ㄷ"자형 구조로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t frame 10 and the link frame 20 is a lift type walking aid configured in the "c" shaped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프레임(20)은 상기 지주프레임(10) 간의 상하 양단에 결속되는 2단 구조로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frame 20 is a lift type walking aid configured of a two-stage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between the holding frame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10)은 끝단 부위에 휠캡(12)을 구비하고, 상기 휠캡(12) 내에는 휠(61)을 포함하는 이동수단(60)이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strut frame 10 is provided with a wheel cap 12 at an end portion, and a lift type walking aid configured with a moving means 60 including a wheel 61 in the wheel cap 12.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60)의 휠(61)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끝단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62a)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62)에 결합,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wheel 61 of the moving means 60 is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62, configured to support the elastic support including a spring (62a) mounted inside the end of the holding frame (1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휠캡(12)의 끝단에는 마찰력을 높이는 패킹(12a)이 구비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Lifting walking aids provided with a packing (12a) at the end of the wheel cap 12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KR1020110119305A 2011-11-16 2011-11-16 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KR1013200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305A KR101320043B1 (en) 2011-11-16 2011-11-16 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305A KR101320043B1 (en) 2011-11-16 2011-11-16 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15A true KR20130053715A (en) 2013-05-24
KR101320043B1 KR101320043B1 (en) 2013-10-18

Family

ID=4866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305A KR101320043B1 (en) 2011-11-16 2011-11-16 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04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311B1 (en) * 2015-11-20 2017-04-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Waist Pulling Device
CN107997667A (en) * 2018-01-19 2018-05-08 陶金 One kind goes to the toilet stent
KR20210073159A (en) * 2019-12-10 2021-06-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iv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44B1 (en) * 2014-01-24 2015-06-05 한국과학기술원 Walking Assist Apparatus
KR102088420B1 (en) 2017-11-06 2020-04-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tanding assistanc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947A (en) * 1990-05-14 1991-01-22 Ethridge Kenneth L Patient assist device
JPH1094566A (en) * 1996-09-24 1998-04-14 Onda Kinzoku Kogyo Kk Nursing lift apparatus
JPH1147205A (en) * 1997-07-30 1999-02-23 Bariafurii Kanazawa:Kk Resting device for walking aid
JP3869446B2 (en) * 2004-12-07 2007-01-17 栄一 武田 Standing walk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311B1 (en) * 2015-11-20 2017-04-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Waist Pulling Device
CN107997667A (en) * 2018-01-19 2018-05-08 陶金 One kind goes to the toilet stent
KR20210073159A (en) * 2019-12-10 2021-06-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iv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043B1 (en) 201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043B1 (en) 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US8955871B2 (en) Transfer and locomotion apparatus
CN111166586B (en) Nursing lifting device
TWI589287B (en) Moving car
CA2881930C (en) Patient repositioning system
JP7190783B2 (en) walker
CN112936228B (en) Lower limb exoskeleton robot
JP6851732B2 (en) Walking aid
TWM509032U (en) Displace rehabilitation device
KR101299351B1 (en) Wheelchair integrated lower-limb exercise/rehabilitation device
KR101536932B1 (en)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KR102295864B1 (en) Walking assistive devices
CN211485543U (en) Stair roller device and walking auxiliary device combined with same
CN208492626U (en) A kind of standing with oxygen cylinder and walk supporting device
CN215351822U (en) Pelvis supporting mechanism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20120002374A (en) A rollator
JP2000233002A (en) Caster walker
KR20140109721A (en) Move assist system
CN214435293U (en) Supplementary running gear is used to endowment
CN214713357U (en) Walking auxiliary device that parkinson disease was used
JP6749153B2 (en) Walking aid
CN115741642A (en) Passive upper limb assisting carrying exoskeleton based on load transfer
TW201306817A (en) The rehabilitation wheelchair
TWI566767B (en) Safe walker
JP2015100644A (en) Independent-walk assist implement exclusive to dement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