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932B1 -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932B1
KR101536932B1 KR1020140047204A KR20140047204A KR101536932B1 KR 101536932 B1 KR101536932 B1 KR 101536932B1 KR 1020140047204 A KR1020140047204 A KR 1020140047204A KR 20140047204 A KR20140047204 A KR 20140047204A KR 101536932 B1 KR101536932 B1 KR 10153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racket
standing
support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석
김신기
서건아
정성윤
김덕후
조현석
강성재
문무성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14004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An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and moving is provid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unit; a pair of driving wheels mounted on the left and the right of the body unit; a foothold unit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body unit and extended to the rear, wherein both feet of the user are settled and supported; a pair of knee supporting fixtures mounted on the top of the body unit and distanced for a distance from each other to the left and the right for supporting the knees of the user; a bottom bracket placed on the top of the body unit; a first through a fourth rotating bars whose bottom ends are combined with the bottom bracket with a hinge; a sling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through the fourth rotating bars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flexible belt for being worn on the buttocks of the user; an actuat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for rotating the first through the fourth rotating bars; a top bracket placed to be distanced for a certain distance to the top side of the bottom bracket and combined with the top of the first through the fourth rotating bars with a hinge; and an upper body supporting fixture mounted on the top bracket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Description

기립형 이동기기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0001]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0002]

본 발명은 기립형 이동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 노약자 등의 거동이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기립형 이동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ing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ing mobile device for assisting movement or movement of a disabled person,

자립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이나 고령자는 침상 또는 의자에서 개호자의 도움 없이 기립이 어려우며 기립 이후에도 보행에 대한 장애로 생활공간에서의 이동이 사실상 불가하게 된다. 이러한 기립 동작이나 보행상의 장애는 장애인이나 고령자로 하여금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개호자 등의 도움을 받아 생활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It is difficult for the handicapped or elderly person who is difficult to move independently to stand up without help from a nurse or a chair, and after the standing up,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move in the living space due to obstacle to walking. Such a standing movement or a mobility disorder is a major factor for the disabled or the elderly to interfere with daily life, and therefore, in most c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live with the help of a caregiv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종류의 실내용 이동기기가 고안되고 있으나, 통상 수동식 또는 전동식 휠체어로써 좌식 상태에 의한 실내 이동만을 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부 기립형 휠체어나 이동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립형 휠체어 등은 사용자가 침상이나 의자 등에서 직접 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서, 탑승을 위해서는 개호자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various types of indoor mobil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ly indoor movement by a left-handed state is possible as a normal manual or electric wheelchair. In addition, some standing-type wheelchairs or mobile devices have appeared recently, but such standing-type wheelchairs and the like do not allow the user to stand up directly from a bed or a chair, and thus there is a limit to the assistance of a caregiver for boarding.

따라서 자립 이동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 고령자 등이 별도의 개호자의 도움없이 침상, 의자 등에서 기립하여 옮겨 탈 수 있으며, 탑승 후 기립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일상생활 등의 자립을 가능케 하는 형태의 기립형 이동기기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disabled persons and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independence movement can move up and down in bed, chair, etc. without the help of a separate caregiver, and can move to standing status after boarding, A standing type mobile device is requir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지력이 부족한 사용자로 하여금 기립 동작을 보조하고 기립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립형 이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stand-up type mobile device that assists a user with poor legibility and assists in standing up and is able to move to a standing sta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구동휠; 상기 바디부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 지지되는 발판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에 장착되며, 좌우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사용자의 각 무릎 부위를 지지하는 한 쌍의 무릎 지지구; 상기 바디부 상단에 배치되는 하부 브라켓; 각각 하단이 상기 하부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내지 4 회동바; 양 단이 상기 제 1 내지 4 회동바의 일측에 장착되며, 유연한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 부위에 착용되는 슬링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내지 4 회동바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부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4 회동바의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상부 브라켓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상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체 지지구;를 포함하는 기립형 이동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driving wheel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A footrest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body and extending rearwardly and supported by both feet of the user; A pair of knee support member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spaced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upport respective knee portions of the user; A lower bracke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each having a lower end hinged to the lower bracket; A sling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and formed in a flexible belt shape and worn on a user's buttocks portion; An actuat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turn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An upper bracke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upper side of the lower bracket an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And an upper body mounted on the upper bracket for supporting a user's upper body par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는, 회동 동작되는 제 1 내지 4 회동바와,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체 지지구, 무릎 지지구, 슬링부 등을 통해, 하지력이 부족한 사용자로 하여금 기립 동작을 위한 보조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기립 상태로 탑승된 사용자가 체중을 지탱한 상태로 이동하여 일상 생활 등을 영유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anding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to be pivoted, the upper body supporting the respective body parts of the user, the knee support, the sling, The user can stably provide the assist force for the stand-up operation, and the user, who is boarded in the stand-up state, can move to the state supporting the weight, so that the user can enjoy daily lif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내지 4 회동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기립 보조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에 사용자가 기립 상태로 탑승된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tanding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4 is a rear view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shown in Fig.
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nding assist operation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1. Fig.
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user standing on a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1.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ful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측면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tanding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4 is a rear view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도 1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바디부(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 [

바디부(10)는 섀시, 프레임 구조 등을 구비하고 기립형 이동기기(S)의 하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10)는 후술할 구동휠(20), 발판부(30) 등이 장착 지지되기 위한 기본 골격을 제공하게 된다.The body portion 10 may have a chassis, a frame structure, and the like, and may form a substructure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The body 10 provides a basic framework for mounting and supporting the driving wheel 20, the footrest 30, and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바디부(10)는 중량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바디부(10)는 내외부에 중량물을 포함하고 기립형 이동기기(S)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기립형 이동기기(S)의 무게 중심을 낮춰 이동이나 기립 보조시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바디부(10)의 내측에는 중량물인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구동휠(20)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가급적 바디부(10)의 하부측에 배치됨으로써, 기립형 이동기기(S)의 무게 중심을 낮추고 저중심 설계를 구현 가능하도록 한다.Further, the body portion 10 may be made of a heavy material. Alternatively, the body part 1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This is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so as to enable stable driving when moving or standing up. For example, a battery, which is a heavy object,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10. Such a battery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wheel 20 or the like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can be lowered and a low center of gravity design can be realized .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바디부(10)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구동휠(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air of driving wheels 20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

각 구동휠(20)은 바디부(10) 하부측의 좌우측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바닥면을 따라 구름 운동됨으로써, 기립형 이동기기(S)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휠(20)은 모터, 감속기, 제동장치 등을 일체로 포함하는 인휠 시스템(In-wheel syst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별도의 모터, 감속기, 제동장치 등이 구비되어 바디부(10) 등에 내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Each drive wheel 20 can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derside of the body part 10 and rolls along the floor surface to enable movement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 The driving wheel 20 may be an in-wheel system including a motor, a speed reducer, a braking device, and the like integrally.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separate motor, a speed reducer, a braking device,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to be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0 or the lik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 지지되는 발판부(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oot portion 30 on which both feet of the user are seated and supported.

발판부(3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며 바디부(1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판부(30)는 사용자의 기립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소정정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 또는 전방측을 향해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소정각도는 3 내지 5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발판부(30)는 사용자가 후술할 무릎 지지구(40), 상체 지지구(100) 등으로 자신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하지(下肢)에 힘이 없는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footrest 30 may be formed as a plate and extend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t this time, the footrest portion 3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a predetermined degree in order to maintain stability when the user stands up. 4, the footrest 30 may b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body 10 or the front side thereof.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3 to 5 degrees. The inclined stepping portion 30 allows the user to support his / her body weight with the knee support 40, the upper body support 100,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as to maintain standing state in the postur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발판부(30)의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휠(21)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air of auxiliary wheels 21 disposed behind the footrest 30. [

보조휠(21)은 발판부(3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대략 'T'자형의 휠지지대(21a)를 통해 장착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발판부(30)의 후방 좌우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보조휠(21)은 사용자의 기립이나 탑승시 발판부(30) 등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auxiliary wheel 21 can be installed through a substantially T-shaped wheel support 21a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ootrest 30. The auxiliary wheel 21 is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rear portions of the footrest 30, .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21 allows the footrest 30 and the like to be more stably supported when standing up or when the user is standing.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바디부(10)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양 무릎 부위를 지지하게 되는 한 쌍의 무릎 지지구(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air of knee support portions 4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o support both knees of the user .

각 무릎 지지구(40)는 대략 원호 형태로 굴곡 형성되어 이동이나 기립 보조시 사용자의 각 무릎 부위를 감싸듯이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무릎 지지구(40)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바디부(10)의 좌우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스펀지 등의 탄성부재 또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이동이나 기립 보조시 사용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화시키게 된다.Each knee support 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so that it can be supported and protected as it covers each knee part of the user during movement or standing up assistance. The pair of knee support members 4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 and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onge or a cushioning member. Thereby reducing the impact appli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한 쌍의 무릎 지지구(40)로부터 상부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체 부위를 지지하게 되는 상체 지지구(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body support 10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knee support members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upport a user's upper body part .

상체 지지구(100)는 대략 후방을 향해 개구된 'U'자형으로 굴곡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이나 기립 보조시 사용자의 상체 부위(대략, 가슴에서 복부에 이르는 부위, 도 7 및 8 참고)를 감싸듯이 지지하게 된다. 상체 지지구(100)는 후술할 상부 브라켓(90)에 장착 지지될 수 있으며, 전술한 무릎 지지구(40)와 유사하게 스펀지 등의 탄성부재 또는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이동이나 기립 보조시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upper body support 100 may be curved in a substantially U-shaped opening toward the rear and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dy portion of the user (approximately the portion from the chest to the abdomen, see Figs. 7 and 8) It is supported like a wrap. The upper body support 100 may be mounted on and supported by an upper bracket 90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body support 10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onge or a cushioning member similar to the knee support 40 described above. The impact applied to the upper body can be alleviat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바디부(10) 상단에 배치되는 하부 브라켓(50) 및, 하부 브라켓(50)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상부 브라켓(9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wer bracket 5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and an upper bracket 90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racket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 / RTI >

하부 브라켓(50)은 바디부(10)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의 하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90)은 하부 브라켓(50)에 대응되며 하부 브라켓(50)의 상부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의 상단이 힌지 결합되게 된다. 상부 브라켓(90)은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전술한 상체 지지구(100)는 이와 같은 상부 브라켓(90)에 장착 지지되게 된다.The lower bracket 5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through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described below may be hinged. The upper bracket 90 corresponds to the lower bracket 50 and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racket 50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are hinged. The upper bracket 90 can be supported by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and 64 and the upper body support 100 described above can be supported by the upper bracket 9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사용자의 기립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for assisting the user's standing motion.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는 하단이 하부 브라켓(50)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이 상부 브라켓(9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는 하부 브라켓(50) 또는 상부 브라켓(90)에 대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액츄에이터(80)에 의해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가 회동됨으로써, 사용자의 기립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ends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and 64 may be hinged to the lower bracket 50 and the upper end may be hinged to the upper bracket 90. Therefore,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can be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by a predetermined degree with respect to the lower bracket 50 or the upper bracket 90. This allows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to be rotated by the actuator 80 to assist the user in standing up.

또한,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는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회동바(61) 및 제 3 회동바(63)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회동바(62) 및 제 4 회동바(64)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회동바(61) 및 제 2 회동바(62)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제 3 회동바(63) 및 제 4 회동바(64)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바디부(10)의 좌측에서는 전후 방향 이격 배치된 제 1, 2 회동바(61, 62)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우측에서 또한 전후 방향 이격 배치된 제 3, 4 회동바(63, 64)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는 액츄에이터(80)에 의해 회동되어 사용자의 기립 동작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는 한편, 기립 상태에서의 이동시 사용자의 상체 부위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Further,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rotating bar 61 and the third rotating bar 6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ng bar 62 and the fourth rotating bar 6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first rotating bar 61 and the second rotating bar 6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third rotating bar 63 and the fourth rotating bar 64 may be dispo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bars 61 and 62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paced apart form one set, and the third and fourth rotation bars 63 , 64) constitute one set.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64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re rotated by the actuator 80 to effectively assist the user's standing up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moves in the standing state, And to support it in a stable mann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를 회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8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actuator 80 for rotating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액츄에이터(80)는 바디부(10)와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 사이에 장착되어 구동암(80a)을 통해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를 회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80)의 상단은 제 2 회동바(62)과 제 4 회동바(64) 사이에 장착된 마운팅 브라켓(8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운팅 브라켓(81)은 액츄에이터(80)의 구동력을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회동바(62)과 제 4 회동바(64)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제 2 회동바(62) 및 제 4 회동바(64)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80) 하단의 구동암(80a)은 바디부(10)의 일측에 마련된 아암 브라켓(8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암(80a)이 전후진됨에 따라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는 바디부(10)에 대해 회동 동작되게 된다 (도 6 참고).The actuator 80 is mount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and 64 and rotatably supports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64).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actuator 80 may be hinged to the mounting bracket 81 mounted between the second rotating bar 62 and the fourth rotating bar 64. At this time, the mounting bracket 81 is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80 to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and 64, and the second rotation bar 62 and the fourth rotation bar 64 And both ends thereof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turning bar 62 and the fourth turning bar 64, respectively. The driving arm 80a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80 may be hinged to the arm bracket 8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10. Accordingly, as the driving arm 80a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first through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are pivoted relative to the body 10 (see FIG. 6).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이동이나 기립 보조시 사용자의 둔부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슬링부(7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ling portion 70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portion during movement or standing up assistance.

슬링부(70)는 유연한 벨트 또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둔부 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양 단이 각각 제 2 회동바(62) 또는 제 4 회동바(64)의 일측에 장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슬링부(70)의 일단은 제 1 슬링 브라켓(71)을 통해 제 2 회동바(62)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타단은 제 2 슬링 브라켓(72)을 통해 제 4 회동바(64)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 1, 2 슬링 브라켓(71, 72)은 슬링부(70)를 제 2, 4 회동바(62, 64)에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 제 2 회동바(62) 또는 제 4 회동바(64)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링부(70)는 사용자의 둔부 부위에 착용되어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의 회동을 통해 기립시 둔부에 보조력을 가하게 되며, 이동시에도 사용자의 체중을 일부 지지하여 자력으로 기립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사용자를 보조하게 된다.The sling portion 7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belt or band so that the user can wear the sling portion 70 on the buttocks portion as needed. The sling portion 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on bar 62 or the fourth rotation bar 64 . Specifically, the one end of the sling portion 70 can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urning bar 62 through the first sling bracket 71, and the other end can be mounted on the fourth turning bar 72 through the second sling bracket 72,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sling brackets 71 and 72 are for fastening the sling portion 70 to the second and fourth turn bars 62 and 64, (Not shown). Such a sling portion 70 is worn on the buttocks of the user and applies an auxiliary force to the buttocks during the standing through the rotation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In addition, It is assisted by a part of the user who has difficulty maintaining the standing posture with a magnetic forc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상부 브라켓(9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양 손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핸들부(110)와, 핸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조정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andle 110 mounted on the upper bracket 90 and capable of holding both hands of the user, (Not shown).

핸들부(110)는 기립이나 이동시 사용자의 양 손이 파지될 수 있도록 하여 하지력이 부족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지(팔)를 통해 체중을 일부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핸들부(110)는 필요에 따라 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핸들부(110)는 하단이 상부 브라켓(90)에 힌지 결합되어 불사용시에는 상부 브라켓(90) 측을 향해 폴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기립 상태로 양 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예컨대, 가사 노동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핸들부(110)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andle portion 110 allows the user's both hands to be gripped when standing or moving, so that a user having a low leg strength can partially support his or her weight through the upper arm. Further, the handle portion 110 can be formed to be foldable as require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10 is hinged to the upper bracket 90 and can be folded toward the upper bracket 90 when not in use. This is to prevent the handle portion 110 from being disturbed when the user desires to use both hands in an upright state (for example, when he / she wants to do domestic work, etc.).

조정기(120)는 핸들부(1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조이스틱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기립형 이동기기(S)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조정기(120)는 구동휠(20)을 통한 기립형 이동기기(S)의 이동이나, 액츄에이터(80)를 통한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조정기(120)는 불사용시에는 핸들부(110)와 함께 상부 브라켓(90) 측을 향해 폴딩되어, 사용자가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adjuster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110 and may include a joystick or the like to allow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 For example, the regulator 12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via the drive wheel 20 or the rotation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through the actuator 80 . When the handle 120 is not used, the handle 120 is folded toward the upper bracket 90 together with the handle 110 so that the user can freely use both hands.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내지 4 회동바의 작동 상태도이다.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shown in Fig.

도 6을 참고하면,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는 액츄에이터(80)를 통해 회동 동작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에 배치된 무릎 지지구(4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나, 상부 브라켓(90)에 장착된 상체 지지구(100)는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의 회동 동작과 함께 이동되며, 슬링부(70) 또한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의 회동 동작과 함께 이동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슬링부(70)의 이동은 사용자가 착좌 상태에서 기립시 사용자의 둔부 부위에 보조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하지력이 약한 사용자로 하여금 기립에 필요한 보조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7 참고).Referring to FIG. 6,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may be rotated through the actuator 80.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knee support 40 disposed on the body 10 remains fixed, but the upper body support 100 mounted on the upper bracket 90 is held by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And the sling unit 70 is moved together with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In particular, the movement of the sling portion 70 allows the user to apply an auxiliary force to the buttock portion of the user when standing up from the seating state,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weak legibility with an assist force necessary for standing up 7).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의 기립 보조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nding assist operation of the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7은 휠체어, 의자 등에 착좌한 사용자가 기립형 이동기기(S)를 통해 기립하게 되는 작동을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는 착좌 상태에서 슬링부(70)를 둔부에 착용하고, 상체 지지구(100) 및 무릎 지지구(40)에 각각 상체 및 양 무릎 부위를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정기(120) 등을 통해 액츄에이터(80)를 구동시키게 되며, 액츄에이터(80)에 의해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가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가 회동됨에 따라, 사용자는 둔부 부위에 착용된 슬링부(70)를 통해 기립을 위한 보조력을 제공받게 되며, 상체 지지구(100) 및 무릎 지지구(40)에 기댄 상태로 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부(110)를 잡고 기립 상태로 전환시 체중을 일부 지탱하거나 균형을 유지할 수도 있다.7 show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who is seated in a wheelchair, a chair, etc. stands upright through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Referring to this, the user first wears the sling portion 70 on the buttocks in the seating state, The upper body and both kne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body support 100 and the knee support 40, respectively. In this state, the user drives the actuator 80 through the regulator 120 and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64 are rotated by the actuator 8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 As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and 64 are rotated, the user is supplied with an assist force for standing up through the sling portion 70 worn on the buttocks, And the knee support 40 in a standing position.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user may hold the balance or maintain a part of the weight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110 and is in the standing state.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회동 동작되는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를 통해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기립 동작을 보조할 수 있게 되며, 자력으로 기립이 불가한 사용자로 하여금 하지력을 보조하여 일부 가사 노동 등 일상 생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tably support the user's standing operation through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and 64, It is possible for the user, who can not stand up, to assist his / her legwork to enable some daily activities such as housework.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기립형 이동기기에 사용자가 기립 상태로 탑승된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user standing on a standing mobile device shown in FIG. 1. FIG.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기립된 상태에서 상체 지지구(100), 무릎 지지구(40) 및 슬링부(70)에 의해 체중이 지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지력이 부족한 사용자 또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정기(120) 등을 통해 구동휠(20)을 구동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핸들부(110)를 폴딩하고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진 발판부(30)는 이와 같은 기립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상체 지지구(100)나 무릎 지지구(40)에 각 신체 부위를 기대고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기립 자세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8, the user can be weight-sustained by the upper body support 100, the knee support 40 and the sling 70 in an upright state, and as a result, And the standing state can be maintained. In this state, the user can drive the driving wheel 20 through the regulator 120 and move to a desired position. If necessary, the user can fold the handle 110 and use both hands freely . In addition, the inclined footrest 30 allows the user to naturally support the body weight by leaning on each body part to the upper body support 100 or the knee support 40 in such a standing state, thereby maintaining a stable standing posture .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이동기기(S)는, 회동 동작되는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와,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체 지지구(100), 무릎 지지구(40), 슬링부(70) 등을 통해, 하지력이 부족한 사용자로 하여금 기립 동작을 위한 보조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기립 상태로 탑승된 사용자가 체중을 지탱한 상태로 이동하여 일상 생활 등을 영유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anding mobile devi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64 to be rotated, a body member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an assist force for a standing up operation to a user who is lacking in legibility, through the knee support unit 100, the knee support unit 40, the sling unit 70, and the like, And move to a sustained state so that they can enjoy everyday lif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 기립형 이동기기 10: 바디부
20: 구동휠 21: 보조휠
30: 발판부 40: 무릎 지지구
50: 하부 브라켓 61: 제 1 회동바
62: 제 2 회동바 63: 제 3 회동바
64: 제 4 회동바 70: 슬링부
80: 액츄에이터 90: 상부 브라켓
100: 상체 지지구 110: 핸들부
120: 조정기
S: Standing-type mobile device 10: Body part
20: driving wheel 21: auxiliary wheel
30: footstool 40: knee support
50: lower bracket 61: first rotating bar
62: second turning bar 63: third turning bar
64: fourth rotating bar 70: sling portion
80: actuator 90: upper bracket
100: upper body part 110: handle part
120: Regulator

Claims (5)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구동휠(20);
상기 바디부(10)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 지지되는 발판부(30);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측에 장착되며, 좌우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사용자의 각 무릎 부위를 지지하는 한 쌍의 무릎 지지구(40);
상기 바디부(10) 상단에 배치되는 하부 브라켓(50);
각각 하단이 상기 하부 브라켓(50)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
양 단이 상기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의 일측에 장착되며, 유연한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 부위에 착용되는 슬링부(70);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80);
상기 하부 브라켓(50)의 상부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4 회동바(61, 62, 63, 64)의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90); 및
상기 상부 브라켓(9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상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체 지지구(100);를 포함하되,
상기 무릎 지지구(40) 및 상기 상체 지지구(100)는, 사용자의 무릎 부위 또는 상체 부위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탄성 부재 또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부(30)는, 전방측을 향해 소정각도(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기립형 이동기기.
A body part (10);
A pair of driving wheels 20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
A foot part 30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0 and extending rearwardly and on which both feet of the user are seated and supported;
A pair of knee support parts 4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upport respective knee parts of the user;
A lower bracket 50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10;
First to fourth turn bars (61, 62, 63, 64) hinged to the lower bracket (50) at their lower ends;
A sling unit 70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bars 61, 62, 63, 64 at both ends thereof and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belt and worn at the buttocks of the user;
An actuator 80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to turn the first to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An upper bracket 90 spa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racket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through fourth rotation bars 61, 62, 63, 64; And
And an upper body support (100) mounted on the upper bracket (90) to support a user's upper body part,
The knee support 40 and the upper body support 100 are provided with elastic members or cushioning members to mitigate impact transmitted to the knee region or the upper body region of the user,
The footrest (30) is formed so as to incline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 Toward the front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는, 하부측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휠(20)은, 인휠 시스템(In-wheel system)으로 구성된, 기립형 이동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10 is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ower side,
The driving wheel (20) is constituted by an in-wheel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80)는, 상단이 상기 제 2 회동바(62)와 상기 제 4 회동바(64)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81)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의 구동암(80a)이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마련된 아암 브라켓(82)에 힌지 결합되는, 기립형 이동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tuator 80 is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bracket 81 formed between the second rotary bar 62 and the fourth rotary bar 6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hinged to an arm bracket (8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30)의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휠(21);
상기 상부 브라켓(9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양 손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 브라켓(90) 측을 향해 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 핸들부(110); 및
상기 핸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휠(20) 또는 상기 액츄에이터(8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정기(120);를 더 포함하는, 기립형 이동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auxiliary wheels 21 disposed behind the footrest 30;
A handle 110 mounted on the upper bracket 90 to grip both hands of the user and foldable toward the upper bracket 90; And
And an adjuster (1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110) to control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20) or the actuator (80).
KR1020140047204A 2014-04-21 2014-04-21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KR101536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204A KR101536932B1 (en) 2014-04-21 2014-04-21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204A KR101536932B1 (en) 2014-04-21 2014-04-21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932B1 true KR101536932B1 (en) 2015-07-17

Family

ID=5387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204A KR101536932B1 (en) 2014-04-21 2014-04-21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93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66B1 (en) * 2016-05-10 2016-11-0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Walking aid apparatus for Gait disturbance
KR101815989B1 (en) * 2016-06-03 2018-01-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ront wearing stand-up assistance robot
KR20180118998A (en) 2017-04-24 2018-11-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Device for supporting sit-to-stand motion
KR20210103133A (en) 2020-02-13 2021-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purpose standing support 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97A (en) * 1996-04-25 1997-11-04 Hitachi Ltd Method and device for engaging body supporter for walking supporting machine
JP2008036392A (en) * 2006-07-14 2008-02-21 Iizeru:Kk Nursing care assisting device
KR20120125940A (en) * 2011-05-09 2012-11-1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Support Machine for Conveniently and Safely Guiding in Ramp/Obstacles Section
JP2014014573A (en) * 2012-07-10 2014-01-30 Yokohama National Univ Transf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97A (en) * 1996-04-25 1997-11-04 Hitachi Ltd Method and device for engaging body supporter for walking supporting machine
JP2008036392A (en) * 2006-07-14 2008-02-21 Iizeru:Kk Nursing care assisting device
KR20120125940A (en) * 2011-05-09 2012-11-1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Support Machine for Conveniently and Safely Guiding in Ramp/Obstacles Section
JP2014014573A (en) * 2012-07-10 2014-01-30 Yokohama National Univ Transfer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66B1 (en) * 2016-05-10 2016-11-0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Walking aid apparatus for Gait disturbance
KR101815989B1 (en) * 2016-06-03 2018-01-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ront wearing stand-up assistance robot
KR20180118998A (en) 2017-04-24 2018-11-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Device for supporting sit-to-stand motion
KR20210103133A (en) 2020-02-13 2021-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purpose standing support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2907B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EP2170241B1 (en) Device for balance and body orientation support
JP5911559B2 (en) Mobile device for the handicapped
JP5563570B2 (en) Transfer / Moving device
EP2844207B1 (en) Walker device with sitting assembly
KR20140088757A (en) Standing up assistant wheelchair
TWI589287B (en) Moving car
KR101536932B1 (en) Apparatus capable of standing up and moving
JP2014079364A (en) Walking training aid
US20160158088A1 (en) Suspension-Based Walking Assistance Aide Apparatus
JP2001321404A (en) Wheelchair combined with walking frame
KR101299351B1 (en) Wheelchair integrated lower-limb exercise/rehabilitation device
KR20150024537A (en) Walking assistant robot
JP2017158955A (en) Walker
KR20170061926A (en) Electric Wheelchair equipped with Vertical motion wheels
JP2015037437A (en) Transfer/moving device
JP2016116823A (en) Three-wheeled chair
JP2002085498A (en) Wheeled walking aid
KR100796781B1 (en) Walking supporter
CZ306563B6 (en) A robotic mobile and modifiable bed with verticalization
JP2013078445A (en) Manually propelled vehicle
JP2011024689A (en) Standing-up support chair
KR20150141341A (en) Electric Wheelchair
JP2004008727A (en) Walking assisting tool with standing-up assisting function, and movement and transfer assisting tool
KR101326767B1 (en) Moving assis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