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033A -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033A
KR20130053033A KR1020110118501A KR20110118501A KR20130053033A KR 20130053033 A KR20130053033 A KR 20130053033A KR 1020110118501 A KR1020110118501 A KR 1020110118501A KR 20110118501 A KR20110118501 A KR 20110118501A KR 20130053033 A KR20130053033 A KR 20130053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try
spindle
workpieces
transfer means
work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274B1 (ko
Inventor
김복인
Original Assignee
김복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인 filed Critical 김복인
Priority to KR102011011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2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23B39/18Setting work or tool carrier along a straight index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2Machine tools for performing different machining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를 중심으로 가변수단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복수의 작업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작업테이블 사이에 다수의 기둥이 배치되어 작업테이블 상에 위치토록 되는 겐트리가 연결되며, 상기 겐트리의 적어도 일면에 이송수단을 통하여 가변되는 스핀들블럭을 통하여 스핀들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자동화에 의해 대량으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A combined Processing system for product using multi-axial Machine}
본 발명은 베이스를 중심으로 이송수단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복수의 작업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작업테이블 사이에 다수의 기둥이 배치되어 기둥에서 돌출되면서 작업테이블 상측에 위치토록 되는 겐트리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측에 위치하는 겐트리의 적어도 일면에 이송수단을 통하여 가변되면서 스핀들이 일체로 설치되는 스핀들블럭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자동화에 의해 대량으로 공작물의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전자부품이나 다이캐스팅 부품 등은 다양한 후가공 작업이 병행되고, 이러한 후가공 작업으로는 드릴링, 절삭, 브러싱, 컷팅등의 작업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드릴링머신을 사용하는 경우 작업 시간이 느려질 뿐만 아니라 피가공물을 여러 번 옮겨가면서 드릴링 작업을 하여야 되기 때문에 피가공물의 고정부의 위치 변동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고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414789호에 다축 드릴링머신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작업대(3) 상에 드릴링머신(20)이 다수 개 배치되는 다축 드릴링머신(1)은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레일(2)이 설치된 작업대(3)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이동테이블(4)과, 상기 각 이동테이블의 측부에 입설되는 해드부(5)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드부에는 Z축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공드릴이 설치되고, 상기 각 이동테이블 상에는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피가공물 고정장치(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가공물 고정장치는 이동테이블 상에 Y축 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식 핸들(8)을 개재하여 상기 이동테이블에 고정된 베이스(9)와,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10a,1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크류식 핸들을 통하여 상기베이스를 이동테이블 상에서 Y축 방향으로 간격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공드릴의 높이 조정은 해드부에 설치된 실리더(1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축 드릴링머신은, 각 드릴링머신(20)이 동시에 이동되어 각각 상이한 작업의 수행이 힘들게 되고, 드릴링머신(20)의 일측에만 가공드릴이 설치되어 각 가공작업의 효율적인 수행이 힘들게 되며, 각 드릴링머신(20)의 가공작업 완료후 작업이 정지되어 연속적인 작업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에 의해 대량으로 공작물의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가공작업을 필요로 하는 공작물의 가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장비에서 하나 이상의 가공기를 구비하여 원가를 줄이면서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토록 하고, 작업을 표준화 시켜 제품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최소 인원에 의해 작업이 가능토록 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를 중심으로 가변수단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복수의 작업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작업테이블 사이에 다수의 기둥이 배치되어 작업테이블 상에 위치토록 되는 겐트리가 연결되며, 상기 겐트리의 적어도 일면에 이송수단을 통하여 가변되는 스핀들블럭을 통하여 스핀들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이 공급테이블과 배출테이블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배출테이블의 일측에는 턴테이블이 더 구비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겐트리의 일단이 절곡되어 베이스면에 이송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핀들블럭에 절단과 절삭 및 브러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가공기가 구분되어 각각 설치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화에 의해 대량으로 가공작업을 수행하고, 다양한 가공작업을 필요로 하는 부품의 가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각 장비에서 하나 이상의 가공기를 구비하여 원가를 줄이면서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작업을 표준화 시켜 제품 불량을 최소화하며, 최소 인원에 의해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다축 드릴링머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기둥 연결형 겐트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분리형 겐트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연결형 겐트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연결형 스핀들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기둥 연결형 겐트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분리형 겐트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연결형 겐트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연결형 스핀들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100)를 중심으로 이송수단(200)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복수의 작업테이블(300)이 배치되고, 상기 작업테이블(300) 사이에 다수의 기둥(400)이 배치되어 작업테이블(300) 상에 위치토록 되는 겐트리(41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겐트리(410)의 적어도 일면에 이송수단(200)을 통하여 가변되는 스핀들블럭(430)이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블럭(430)에는 스핀들(435)이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핀들블럭(430)에는 절단과 절삭 및 브러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스핀들(435) 또는 칼날(437)이 구분되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테이블(300)이 베이스를 중심으로 왕복 이동되어 1차가공을 위해 공작물을 지지하는 공급테이블(310)과 1차가공이 완료되거나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이 지지되는 배출테이블(3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테이블의 일측에는 턴테이블(35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350)은, 흡착패드(355)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착패드(355)는 이송수단을 통하여 턴테이블에서 왕복 이송되는 패드블럭(357)에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겐트리의 일단이 절곡되어 베이스(100)의 일측에 이송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둥(400)에 연결되는 겐트리(4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핀들(435)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복수의 동일한 작업 또는 서로 다른 다양한 작업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블럭(430)에는 브러쉬나 절삭기가 장착되는 스핀들(435) 또는 칼날(437)이 구분되어 각각 승,하강 하도록 설치되어 절단과 절삭 및 브러싱등의 작업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기둥(400)을 중심으로 작업테이블(300)이 이송수단(200)을 통하여 이송토록 되어 고정되는 기둥을 중심으로 공작물을 지지하는 작업테이블이 이송하면서 가공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200)은, 볼스크류, 벨트, 리니어베어링, 랙피니언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이송부와 엘엠가이드로 이루어지고, 고속이동을 위하여 랙피니언 방식이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겐트리(410) 역시 기둥과의 연결부에 이송수단(200)이 구비되어 기둥(400)을 중심으로 왕복 이송토록 된다.
이때, 상기 겐트리(410)는, 기둥의 상부에만 연결될 수도 있으나 기둥의 3면에서 이송수단을 통하여 연결하면 그 연결이 견고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겐트리(410)에 연결되는 스핀들블럭(430) 역시 이송수단을 통하여 겐트리에서 좌,우 이송토록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블럭(430)에 연결되는 스핀들(435) 역시 스핀들블럭(430)을 중심으로 승하강토록 된다.
한편, 상기 겐트리(410)는, 기둥(400)에서 일체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구성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도 있으며, 구분되어 개별 이동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겐트리(410)에 연결되는 스핀들블럭(430) 역시 겐트리(41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으로 일체로 이동하거나 구분되어 개별 이동이 가능토록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둥(400)에 연결되는 겐트리(410)를 통하여 그 양측에 스핀들블럭(430)이 위치할 경우 최소 4개의 스핀들 설치가 가능토록 되고, 각 스핀들블럭(430)에 3개의 가공기가 설치될 경우 12개의 가공기 설치가 가능토록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스핀들블럭(430)에 설치되는 다양한 가공기를 통하여 절단과 절삭 및 브러싱 작업등 선택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겐트리(410)는, 그 일단이 절곡되어 베이스(100)의 일측에 이송수단(200)을 통하여 연결되어 다수의 스핀들블럭(430)에 의한 처짐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업테이블(300)에 공작물(P)을 각각 지지한 후 겐트리(410)와 스핀들블럭(410) 및 스핀들(435)의 전,후 및 승,하강 그리고 좌,우 이동에 의해 작업테이블(300)의 임의 위치에 가공작업을 위한 스핀들(435) 또는 칼날(437)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작물(P)은 작업테이블(300)의 상측에서 공압 또는 클램핑장치에 의해 각각 고정된 후 스핀들(435)의 회전작업 또는 겐트리의 이동에 의해 각각의 공작물에 동일한 가공작업이 동시에 수행된다.
한편, 상기 작업테이블(300)이 공급테이블(310)과 배출테이블(3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테이블의 일측에는 턴테이블(350)이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공급테이블(310)에 각각의 공작물을 지지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 후 배출시키면 공작물의 배출이 완료된 배출테이블(330)에 신품의 공작물이 장착된 후 투입토록 되어 연속적인 가공작업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작업테이블(300)은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턴테이블(350)의 흡착패드(355)에 의해 부착한 후 다른 공급테이블(310)에 공급하여 연속적인 가공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100...베이스 200...이송수단
300...작업테이블 350...턴테이블
400...기둥 410...겐트리
435...스핀들

Claims (6)

  1. 베이스를 중심으로 이송수단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복수의 작업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작업테이블 사이에 다수의 기둥이 배치되어 작업테이블 상측에 위치토록 되는 겐트리가 연결되며, 상기 겐트리의 적어도 일면에 이송수단을 통하여 가변되면서 스핀들이 부착되는 스핀들블럭이 연결되는 구성이고,
    상기 작업테이블에 각각 배치되는 공작물에 대응토록 각각의 스핀들의 위치가 결정되어 복수의 테이블에서 지지되는 복수의 공작물에 가공작업이 동시에 수행토록 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겐트리가 구분 설치되고, 상기 겐트리를 중심으로 스핀들블럭이 구분설치되어 각각 이송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겐트리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겐트리를 중심으로 스핀들블럭이 일체로 연결되어 동시에 이송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겐트리는 일단이 연장되어 베이스면에 이송수단을 통하여 연결되어 처짐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블럭은, 복수의 가공기 및 칼날이 구분설치되면서 이송수단을 통하여 각각 승하강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은, 공급테이블과 배출테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테이블의 일측에는 턴테이블이 더 구비되고,
    상기 턴테이블은, 흡착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착패드는 이송수단을 통하여 턴테이블에서 왕복 이송되는 패드블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 시스템
KR1020110118501A 2011-11-14 2011-11-14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장치 KR10132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501A KR101327274B1 (ko) 2011-11-14 2011-11-14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501A KR101327274B1 (ko) 2011-11-14 2011-11-14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33A true KR20130053033A (ko) 2013-05-23
KR101327274B1 KR101327274B1 (ko) 2013-11-15

Family

ID=4866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501A KR101327274B1 (ko) 2011-11-14 2011-11-14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21A (ko) * 2017-12-07 2019-06-17 지에스테크 주식회사 다축제어 복합 cnc머신의 가공제어방법
KR20200091801A (ko) * 2019-01-23 2020-07-31 닝버 더마 인텔리전트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휠 허브를 위한 단일 빔 이중 스테이션 머시닝 센터
CN113618109A (zh) * 2021-08-11 2021-11-09 浙江长方形科技有限公司 钢板加工用多工位高精度钻孔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342B1 (ko) * 2008-10-14 2009-11-10 김복인 경사 가공이 가능한 복합 가공기
JP2011245571A (ja) 2010-05-25 2011-12-08 Disco Corp 加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21A (ko) * 2017-12-07 2019-06-17 지에스테크 주식회사 다축제어 복합 cnc머신의 가공제어방법
KR20200091801A (ko) * 2019-01-23 2020-07-31 닝버 더마 인텔리전트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휠 허브를 위한 단일 빔 이중 스테이션 머시닝 센터
CN113618109A (zh) * 2021-08-11 2021-11-09 浙江长方形科技有限公司 钢板加工用多工位高精度钻孔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274B1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373B2 (en) Honing machine with a machine frame and at least two unit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chine frame
CN105014098A (zh) 卧式数控双刀车花机
CN103506856B (zh) 卧式加工中心多工作台自动交换装置
CN105328230A (zh) 一种双镗刀头的汽缸镗床及其方法
CN107972393A (zh) 数控卧磨冷雕机
CN107020551B (zh) 一种刀片磨床
KR101327274B1 (ko)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장치
JP2008221364A (ja) 加工システム
CN210877739U (zh) 立卧复合加工中心
CN104476359A (zh) 一种钎焊件型面抛光打磨装置
CN105328500A (zh) 内置有自动上卸料机构数控机床及进行工件装卸的方法
CN205651075U (zh) 一种龙门加工中心
KR20080108928A (ko) 개별이동형 절삭기를 갖는 복합 가공기
CN205147368U (zh) 一种双镗刀头的汽缸镗床
KR100932540B1 (ko) 다면을 가공하는 복합 가공기
CN208468013U (zh) 双通道玻璃工件加工中心
CN206425597U (zh) 铣边机
CN104015103A (zh) 自动换刀的多功能数控钻床
CN110340412B (zh) 立卧复合加工中心
KR100930640B1 (ko) 다양한 작업이 동시 수행되는 멀티 가공기
CN208006563U (zh) 数控卧磨冷雕机
TW201433407A (zh) Cnc臥式雙主軸倍效率中心加工機
CN106334817A (zh) 一种双头铣床的定位机构
CN210413500U (zh) 一种双刀库复合多面加工中心
JP2009208168A (ja) 生産ラ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