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060A -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 Google Patents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060A
KR20130049060A KR1020110114096A KR20110114096A KR20130049060A KR 20130049060 A KR20130049060 A KR 20130049060A KR 1020110114096 A KR1020110114096 A KR 1020110114096A KR 20110114096 A KR20110114096 A KR 20110114096A KR 20130049060 A KR20130049060 A KR 2013004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module
corner key
bending
module
ke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철
송석현
신성용
배기만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060A/ko
Publication of KR2013004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태양전지모듈의 이동기술에 관한 것으로, 태양전지모듈을 위한 이동 패키지 모듈은 가장자리에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에 중심공간을 형성하는 목재 파렛트 및 상기 가장자리 상에 일정 수만큼 적층되고 각 태양전지셀은 상기 중심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모듈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 패키지 모듈은 하단의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이크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CORNER KEY STRUCTURE FOR SOLAR MODULE}
본 출원은 태양전지모듈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모듈 적재시의 틀어짐과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라운드 형상의 꺽임 구조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종래의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는 태양광모듈 적재시의 틀어짐과 스크래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거의 직각 꺽임 구조로 안정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출원은 상단의 꺽임돌기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적재시의 틀어짐과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상단의 꺽임돌기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적재시에 간지를 생략할 수 있고, 태양광모듈들 간의 공간으로 인해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라운드 형상의 꺽임 구조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는 복수의 요철들을 형성하고 태양광모듈 프레임들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solar module support units) 및 라운드 형태 또는 테이퍼 형태의 꺽임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을 수직으로 결합하며, 상부에 꺽임돌기부, 하부에 꺽임홈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의 연장선 상의 상부와 상기 꺽임 돌출부의 하부 사이에 태양광모듈 꺽임삽입부를 포함하는 코너키부(corner key unit)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꺽임돌기부와 상기 꺽임홈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의 연장선 상의 관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어서, 상기 꺽임돌기부와 상기 꺽임홈부의 높이는 4.0 mm 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꺽임돌기부를 제외한 상기 태양광모듈용 코너키의 높이는 35 mm 에 상응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상단의 꺽임돌기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적재시의 틀어짐과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상단의 꺽임돌기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적지시에 간지를 생략할 수 있고, 태양광모듈들 간의 공간으로 인해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라운드 형상의 꺽임 구조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코너키를 사용한 태양광모듈의 적층구조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2의 코너키를 사용한 태양광모듈의 적층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200)의 안쪽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200)의 안쪽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c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200)의 바깥쪽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d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200)의 바깥쪽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e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200)와 태양광모듈 프레임들(240) 과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200)는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solar module support units)(210, 220) 및 코너키부(corner key unit)(230)를 포함한다. 코너키부(230)는 꺽임돌기부(232), 꺽임홈부(234), 태양광모듈 꺽임삽입부(236) 및 태양광모듈 프레임 삽입부(238)를 포함한다.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200)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스틸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210, 220)은 복수의 요철들을 형성하고 태양광모듈 프레임들(240)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철들은 태양광모듈 프레임들을 끼우기 쉬운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코너키부(230)는 라운드 형태 또는 테이퍼 형태의 꺽임 구조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210, 220)을 수직으로 결합한다. 라운드 형태 또는 테이퍼 형태의 꺽임 구조는 안전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꺽임돌기부(232)는 상부에 돌출되어 태양광모듈 적층시에 위에 있는 태양광모듈의 꺽임홈부와 결합되고, 라운드 형태 또는 테이퍼 형태의 꺽임 구조를 형성한다. 꺽임홈부(234)는 하부에 함몰되어 태양광모듈 적층시에 아래에 있는 태양광모듈의 꺽임돌출부와 결합되며, 라운드 형태 또는 테이퍼 형태의 꺽임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들은 태양광모듈 적재시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꺽임돌기부(232)와 꺽임홈부(234) 각각은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210, 220)의 연장선 상의 관점에서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210, 2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꺽임돌기부(232)의 높이는 4.0 mm 에 상응할 수 있으나, 태양광모듈 적층시의 틀어짐 방지와 안정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가능할 수 있다. 태양광모듈 꺽임삽입부(236)는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210, 220)의 연장선 상의 상부와 꺽임돌기부(232)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고, 태양광모듈의 코너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을 수용한다. 태양광모듈 프레임 삽입부(238)는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210, 220)의 연장선 상의 공간에 형성되어 태양광모듈 프레임(240)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꺽임돌기부(232)를 제외한 태양광모듈용 코너키(220)의 높이는 35 mm 에 상응할 수 있고, 이는 태양광모듈과 태양광모듈 프레임(240)을 함께 고려한 높이로서 태양광모듈의 제조비용을 고려한 것이나 조절가능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코너키를 사용한 태양광모듈의 적층구조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2의 코너키를 사용한 태양광모듈의 적층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a의 경우, 이웃하는 태양광모듈과 태양광모듈 프레임 간의 간격이 극히 짧아서 마찰로 인한 스크래치와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나, 도 3b의 경우, 이웃하는 태양광모듈(310)과 태양광모듈 프레임(320) 간의 간격이 충분하여 이러한 단점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b의 경우, 태양광모듈 코너키 구조는 꺽임돌기부(232)와 꺽임홈부(234)를 통해 태양광모듈들 간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210, 220: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
230: 코너키부
232: 꺽임돌기부
234: 꺽임홈부
236: 태양광모듈 꺽임삽입부
238: 태양광모듈 프레임 삽입부

Claims (4)

  1. 복수의 요철들을 형성하고 태양광모듈 프레임들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solar module support units); 및
    라운드 형태 또는 테이퍼(taper) 형태의 꺽임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을 수직으로 결합하며, 상부에 꺽임돌기부, 하부에 꺽임홈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의 연장선 상의 상부와 상기 꺽임 돌출부의 하부 사이에 태양광모듈 꺽임삽입부를 포함하는 코너키부(corner key unit)를 포함하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돌기부와 상기 꺽임홈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의 연장선 상의 관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 지지부들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돌기부와 상기 꺽임홈부의 높이는 4.0 mm 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돌기부를 제외한 상기 태양광모듈용 코너키의 높이는 35 mm 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KR1020110114096A 2011-11-03 2011-11-03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KR20130049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096A KR20130049060A (ko) 2011-11-03 2011-11-03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096A KR20130049060A (ko) 2011-11-03 2011-11-03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60A true KR20130049060A (ko) 2013-05-13

Family

ID=4865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096A KR20130049060A (ko) 2011-11-03 2011-11-03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0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4897A (zh) * 2018-06-29 2018-12-14 韩华新能源(启东)有限公司 光伏组件连接角码及光伏组件
CN110562597A (zh) * 2019-08-29 2019-12-13 浙江宝利特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用的角码件
WO2024032127A1 (zh) * 2023-02-24 2024-02-15 江苏沃莱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光伏复合材料边框连接结构及边框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4897A (zh) * 2018-06-29 2018-12-14 韩华新能源(启东)有限公司 光伏组件连接角码及光伏组件
CN110562597A (zh) * 2019-08-29 2019-12-13 浙江宝利特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用的角码件
CN110562597B (zh) * 2019-08-29 2024-04-19 浙江宝利特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用的角码件
WO2024032127A1 (zh) * 2023-02-24 2024-02-15 江苏沃莱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光伏复合材料边框连接结构及边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3236B (zh) 一种组合式栈板
CN103213768B (zh) 液晶面板搬送治具
KR20130049060A (ko) 태양광모듈용 코너키 구조
CN102340967A (zh) 机柜框架立柱
CN100387496C (zh) 包装缓冲结构
CN210459866U (zh) 一种地板拼接结构
CN203742052U (zh) 天花板与龙骨装配结构
KR102203574B1 (ko) 태양 전지 모듈 적재용 지지부재
CN207106142U (zh) 箱体
CN103064479A (zh) 风扇固定座
CN104380596A (zh) 保持框架和太阳能电池模块
CN106488158A (zh) 一种电视型材面框及液晶电视机
KR200493491Y1 (ko) 다단 트레이 어셈블리
CN201737309U (zh) 双轨电动玻璃升降器的内包装装置
KR200472243Y1 (ko) 액자용 포장 박스
US20070051282A1 (en) Apparatus for framing a glass panel of a table
CN109878901B (zh) 一种笔记本电脑缓冲衬垫
KR100830412B1 (ko) 유리 기판의 포장용 완충재
CN102820354A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护角结构
CN203967014U (zh) 带有二次锁的发动机舱保险盒
CN203497409U (zh) 缓冲包装件
CN213521732U (zh) 一种光伏支架总成及光伏系统
CN107719933B (zh) 一种天窗总成的包装泡沫及天窗总成的包装结构
CN210556740U (zh) 笔记本电脑缓冲包装及套件
CN104103467B (zh) 带有二次锁的发动机舱保险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