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901A -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 Google Patents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901A
KR20130048901A KR1020110113809A KR20110113809A KR20130048901A KR 20130048901 A KR20130048901 A KR 20130048901A KR 1020110113809 A KR1020110113809 A KR 1020110113809A KR 20110113809 A KR20110113809 A KR 20110113809A KR 20130048901 A KR20130048901 A KR 2013004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cam
absorbing
tilt lever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11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8901A/ko
Publication of KR2013004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Mechanical transmissions for actuators
    • B60Y2400/414Ramp or cam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조향컬럼에 장착된 틸트레버가 운전자와 부딪치면, 멈춤돌기의 충격흡수부가 파괴됨과 동시에 틸트레버가 잠금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트레버와 운전자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 상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등 운전자의 무릎이 심하게 부상당하는 폐단을 예방함으로 차량 전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Tilting Locking Apparatus for Absorbing Knee Shock and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조향컬럼에 장착된 틸트레버가 운전자와 부딪치면, 멈춤돌기의 충격흡수부가 파괴됨과 동시에 틸트레버가 잠금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트레버와 운전자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 상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등 운전자의 무릎이 심하게 부상당하는 폐단을 예방함으로 차량 전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기구를 이용한 틸트레버의 작동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튜브(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틸팅브라켓(10)과 조절볼트(25), 틸트레버(35), 캠(3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칼럼튜브에는 디스탠스부재(15)가 용접되어 고정되고, 차체(미도시)에 고정되는 틸팅브라켓(10)에는 한 쌍의 지지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부(20) 사이에 디스탠스부재(15)가 끼워지고 틸팅브라켓(10)의 양쪽 지지부(20)에는 가이드홀(22)이 형성되어 그 안으로 조절볼트(25)가 끼워진다.
조절볼트(25)는 디스탠스부재(15)에 형성된 관통공과 지지부(20)에 형성된 가이드홀(22)을 관통하여 소정길이 연장되고, 연장된 조절볼트(25)의 단부에는 지지부(20)와 디스탠스부재(15) 사이를 가압하여 그 조임력을 증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틸트레버(35)와 경사부(32)를 갖는 캠(30)이 설치된다.
틸트레버(35)와 캠(30)은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틸트레버(35)를 작동시키면 틸트레버(35)가 회전되면서 캠(30)의 경사부(32)를 따라 축방향으로 밀어 틸팅브라켓(10)을 구속하거나, 틸트레버(35)를 반대로 회전시켜 틸팅브라켓(10)의 구속을 해제하여 틸팅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33은 전술한 캠(30)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부(32)가 체결되는 홀을 가리키며, 40은 틸트레버(35)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45는 틸트레버(35)의 고정을 위한 고정너트를 각각 가리킨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틸트레버의 경우, 자동차의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일정속도로 진행하던 자동차의 충돌저항에 의하여 정지하거나 주행속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며, 실내의 운전자나 승객은 주행방향으로 그 속력을 유지하려는 관성력이 발생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신체가 쏠려 충격을 받거나 큰 상해를 입게 되는데, 특히, 자동차의 앞좌석의 경우에는 안전벨트 착용으로 운전자의 가슴부위가 조향핸들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운전자의 무릎이 깊숙히 침투하여 조향컬럼에 장착된 틸트레버에 운전자의 무릎이 부딪쳐 큰 상해를 입게 되는 등 운전자 무릎부상에 대한 아무런 안전조치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조향컬럼에 장착된 틸트레버가 운전자와 부딪치면, 멈춤돌기의 충격흡수부가 파괴됨과 동시에 틸트레버가 잠금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트레버와 운전자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 상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등 운전자의 무릎이 심하게 부상당하는 폐단을 예방함으로 차량 전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사면이 하나 이상 형성된 캠과, 상기 캠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캠부를 구비하는 틸트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캠과 상기 캠부 중 어느 한쪽에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가이드편에 맞닿아 상기 틸트레버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멈춤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멈춤돌기의 상기 가이드편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충격시 상기 틸트레버가 더 회전가능 하도록 하는 충격흡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와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가 양쪽 지지부의 틸트슬롯에 삽입되는 틸팅브라켓과 상기 틸팅브라켓의 지지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의 틸트레버를 잠금방향 또는 잠금 해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틸팅브라켓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칼럼튜브를 포함하는 조향컬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조향컬럼에 장착된 틸트레버가 운전자와 부딪치면, 멈춤돌기의 충격흡수부가 파괴됨과 동시에 틸트레버가 잠금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트레버와 운전자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 상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등 운전자의 무릎이 심하게 부상당하는 폐단을 예방함으로 차량 전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조향컬럼의 틸트레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캠과 틸트레버의 캠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틸트레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캠과 틸트레버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캠과 틸트레버의 캠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향컬럼의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200)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칼럼튜브(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틸팅브라켓(100)을 관통하는 조절볼트(260)와 캠(210), 틸트레버(24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체에 고정되는 틸팅브라켓(100)의 지지부(252) 사이에 칼럼튜브가 끼워지고, 틸팅브라켓(100)의 양쪽 지지부(252)에는 틸트슬롯(250)이 형성되어 조절볼트(260)가 끼워진다.
조절볼트(260)는 지지부(252)에 형성된 틸트슬롯(250)을 관통하여 소정길이 연장되고, 연장된 조절볼트(260)의 단부에는 지지부(252)와 칼럼튜브 사이를 가압하여 그 조임력을 증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캠(210)과 틸트레버(240)가 설치된다.
캠(210)은 디스크 형상의 부재로서, 일측면에는 틸트슬롯(25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경사면(216)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면(2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경사면(216)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캠(210)에는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200)가 잠금 상태일 때 후술하는 멈춤돌기(222)가 맞닿아 틸트레버(24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외주면에 가이드편(212)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말해, 캠(210)의 일측면에는 틸트슬롯(25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211)가 틸트슬롯(250)에 삽입되어 틸트 작동시 틸트슬롯(250)을 따라 안내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중심에 관통공(254)이 형성되어 조절볼트(260)가 관통공(254)에 끼워지며, 타측면에는 경사면(216)이 형성되되, 이 경사면(216)은 캠(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4개 형성되고, 캠(210)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가이드편(2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캠(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편(212)은 틸트레버(24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틸트레버(240)는 일측면에 경사면(226)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캠부(220)가 캠(210)에 대응되도록 조립되며, 캠부(220)에 손잡이부(230)가 연결되어 손잡이부(2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조절볼트(26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조향컬럼을 잠금 또는 잠금 해지한다.
즉, 도 3과 같이 캠부(220)에는 캠(210)에 대응하는 경사면(2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210)과 마찬가지로 4개의 경사면(226)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완만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캠(210)에 형성된 경사면(216)과 캠부(220)에 형성된 경사면(226)의 간격 및 수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캠(210)의 경사면(216)과 캠부(220)의 경사면(226)이 면접촉이 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캠부(220)에는 잠금 상태일 때 가이드편(212)에 맞닿아 틸트레버(24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멈춤돌기(222)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충격을 받으면 멈춤돌기(222)의 일부가 파괴되어 틸트레버(240)가 더 회전가능 하도록 멈춤돌기(222)의 가이드편(212)과 마주하는 일부분이 충격흡수부(290)로 형성되되, 충격흡수부(290)는 가이드편(212)의 재질보다 강도가 낮게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편(212)과 멈춤돌기(222)는 틸트레버(240)가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캠부(220)에는 가이드편(212)이 형성되고, 캠(210)에는 멈춤돌기(222)가 형성되어 멈춤돌기(222)의 일부가 파괴되어 틸트레버(240)가 더 회전가능 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290)는 가이드편(212)의 재질보다 강도가 낮게 열처리할 수도 있고, 가이드편(212)을 충격흡수부(290)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게 열처리할 수도 있으며, 충격흡수부(290)가 플라스틱으로 몰딩 형성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틸트레버(240)의 타측에는 틸트레버(240)가 회전하여 캠(210)과의 사이가 벌어질 때 지지부(252) 측으로만 이동하여 지지부(252) 사이에 조임력을 증대시키거나 해제시키도록 고정너트(280)가 체결되는데, 틸트레버(240)와 고정너트(280) 사이에는 틸트레버(240)가 회전될 때 원활한 작동이 될 수 있도록 베어링(27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조향컬럼의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200)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조향핸들을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틸팅시키기 위해 틸트레버(240)를 회전시키면, 틸트레버(240)의 경사면(226)이 캠(210)의 경사면(216)을 타고 내려와 칼럼튜브를 가압하고 있는 지지부(252)의 가압력이 소실되어 조향컬럼을 틸팅시킬 수 있게 되는데, 캠(210)과 틸트레버(240)에 의해 틸팅브라켓(10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틸팅브라켓(100)의 지지부(252)와 칼럼튜브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므로, 칼럼튜브가 틸팅브라켓(100)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캠(210)의 경사면(216)과 캠부(220)의 경사면(226)이 면접촉이 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결합되되 잠금 해지 상태에서는 캠부(220) 중 높은면(224)이 캠(210)의 낮은면(218)에 위치되게 된다.
여기서, 틸트레버(240)를 반대 방향로 돌리면 캠부(220)가 회전하게 되고, 잠금 위치에 도달하면 그 캠부(220)에 형성된 멈춤돌기(222)가 캠(210)에 형성된 가이드편(212)에 맞닿아 틸트레버(240)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 같이 멈춤돌기(222)가 가이드편(212)에 맞닿아 잠금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며, 이때, 가이드편(212)에 멈춤돌기(222)가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향핸들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200)가 틸팅브라켓(100)의 틸트슬롯(2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향핸들의 위치를 적절히 선정한 다음 틸트레버(24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캠부(220)가 함께 회전하면서 캠부(220) 중 높은면(224)이 캠(210)의 높은면(214)에 위치되게 되어 틸팅브라켓(100)을 가압함으로써 조향핸들을 최적의 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200)가 잠긴 상태로 운행중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조향컬럼에 장착된 틸트레버(240)가 운전자와 부딪치면, 멈춤돌기(222)의 충격흡수부(290)가 파괴됨과 동시에 틸트레버(240)가 잠금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트레버(240)와 운전자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 상해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캠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틸트레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컬럼의 캠과 틸트레버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10)의 조절볼트(26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높은면(214)과 경사면(216), 낮은면(218)이 원주방향으로 4번 반복 형성되되 높은면(214)과 낮은면(218)의 경계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높은면(214)의 범위가 a1°만큼 형성되고, 높은면(214)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경사면(216)의 범위가 b1°만큼 형성되며,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낮은면(218)의 범위가 c1°만큼 형성된다.
그리고 캠부(220) 또한 캠(210)에 대응되도록 조절볼트(26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높은면(224)과 경사면(226), 낮은면(228)이 원주방향으로 4번 반복 형성되되 높은면(224)과 낮은면(228)의 경계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높은면(224)의 범위가 c2°만큼 형성되고, 높은면(224)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경사면(226)의 범위가 b2°만큼 형성되며,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낮은면(228)의 범위가 a2°만큼 형성된다.
또한, 캠(21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멈춤돌기(222)의 일부인 충격흡수부(290)를 c2°에서 a1°를 뺀 범위보다 적도록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틸트레버(240)가 운전자와 부딪쳐 충격흡수부(290)가 파괴되어 캠(210)의 높은면(214) 범위의 a1°에서 d°만큼 더 회전하여도 a1°와 d°를 더한 범위가 c2°보다 작으므로 캠부(220)의 높은면(224)이 캠(210)의 높은면(214)에 위치하게 되어 틸팅브라켓(100)을 가압함으로써 잠금 상태가 유지되므로 조향핸들이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에 (a)는 틸트레버(240)가 회전하여 틸트레버(240)의 멈출돌기(222)와 가이드편(212)이 맞닿아 잠금된 상태로 틸트레버(240)의 높은면(224)과 캠(210)의 높은면(214)이 마주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b)는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조향컬럼에 장착된 틸트레버(240)에 운전자가 부딪쳐 틸트레버(240)가 더 회전하여 멈출돌기(222)의 충격흡수부(290)가 파괴되어 틸트레버(240)의 높은면(224)과 캠(210)의 높은면(214)이 마주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도 잠금 상태가 유지되므로 조향핸들이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틸트레버(240)가 d°만큼 더 회전하여 운전자와 멀어짐으로 틸트레버(240)와 운전자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 상해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는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가 양쪽 지지부의 틸트슬롯에 삽입되는 틸팅브라켓 및 상기 틸팅브라켓의 지지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의 틸트레버를 잠금방향 또는 잠금 해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틸팅브라켓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칼럼튜브를 포함하는 조향컬럼을 구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조향컬럼에 장착된 틸트레버가 운전자와 부딪치면, 멈춤돌기의 충격흡수부가 파괴됨과 동시에 틸트레버가 잠금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트레버와 운전자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 상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등 운전자의 무릎이 심하게 부상당하는 폐단을 예방함으로 차량 전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210 : 캠
211 : 가이드 돌기 212 : 가이드편
214, 224 : 높은면 216, 226 : 경사면
218, 228, 낮은면 220 : 캠부
222 : 멈춤돌기 230 : 손잡이부
240 : 틸트레버 250 : 틸트슬롯
260 : 조절볼트 270 : 베어링
280 : 고정너트 290 : 충격흡수부

Claims (5)

  1. 경사면이 하나 이상 형성된 캠과, 상기 캠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캠부를 구비하는 틸트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캠과 상기 캠부 중 어느 한쪽에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가이드편에 맞닿아 상기 틸트레버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멈춤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멈춤돌기의 상기 가이드편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충격시 상기 틸트레버가 더 회전가능 하도록 하는 충격흡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가이드편의 재질보다 강도가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플라스틱으로 몰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가 파괴되어 상기 틸트레버가 더 회전될 때 상기 캠의 높은면과 상기 캠부의 높은면이 맞닿아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가 양쪽 지지부의 틸트슬롯에 삽입되는 틸팅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의 지지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의 틸트레버를 잠금방향 또는 잠금 해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틸팅브라켓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칼럼튜브;
    를 포함하는 조향컬럼.
KR1020110113809A 2011-11-03 2011-11-03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30048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809A KR20130048901A (ko) 2011-11-03 2011-11-03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809A KR20130048901A (ko) 2011-11-03 2011-11-03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901A true KR20130048901A (ko) 2013-05-13

Family

ID=4865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809A KR20130048901A (ko) 2011-11-03 2011-11-03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89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1788A (zh) * 2017-09-04 2019-03-05 博世汽车转向系统管理(上海)有限公司 转向管柱总成和汽车
KR20190025202A (ko) * 2017-08-31 2019-03-11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 조향 컬럼의 잠금장치
CN113247080A (zh) * 2020-02-07 2021-08-13 操纵技术Ip控股公司 注射成型的倾斜杆组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202A (ko) * 2017-08-31 2019-03-11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 조향 컬럼의 잠금장치
CN109421788A (zh) * 2017-09-04 2019-03-05 博世汽车转向系统管理(上海)有限公司 转向管柱总成和汽车
CN109421788B (zh) * 2017-09-04 2021-07-02 罗伯特·博世汽车转向系统有限责任公司 转向管柱总成和汽车
CN113247080A (zh) * 2020-02-07 2021-08-13 操纵技术Ip控股公司 注射成型的倾斜杆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219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9242667B2 (en) Steering device
US9381934B2 (en) Steering system
US9162701B2 (en)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rake lock
KR10160218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US20190210499A1 (en) Armres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seat
JP642907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80022289A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CN109923023B (zh) 转向柱组件
US11104368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US9623896B2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absorbing impact energy
KR20130048901A (ko)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90048532A (ko)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JP4639892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2600055B1 (ko) 니 볼스터
US20060169089A1 (en) Rake and telescope mechanism
KR101190734B1 (ko) 자동차용 틸트 및 텔레스코픽 혼합식 스티어링 컬럼
KR102161282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28268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트장치
KR20160074070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983676B1 (ko)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CN112278064B (zh) 转向柱装置
US20070272049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Comprising A Steering Column The Tilt And Length Of Which Can Be Modified
JP4574303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247041B1 (ko) 스토퍼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