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879A -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879A
KR20130047879A KR1020110112682A KR20110112682A KR20130047879A KR 20130047879 A KR20130047879 A KR 20130047879A KR 1020110112682 A KR1020110112682 A KR 1020110112682A KR 20110112682 A KR20110112682 A KR 20110112682A KR 20130047879 A KR20130047879 A KR 2013004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o
mwnt
electrode
vapor deposition
chemical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엽
김성진
정준기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879A/ko
Publication of KR2013004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01B1/18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iO2(티타늄이산화물)의 나노입자에 Fe(철)와 Ni(니켈) 금속 촉매를 코팅한 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TiO2의 나노입자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킨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TiO2(티타늄이산화물) 나노입자에 Fe(철)과 Ni(니켈) 금속 촉매를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촉매가 코팅된 TiO2 나노입자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성장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조된 TiO2/MWNT(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전도성 ITO(산화인듐주석) 유리 위에 코팅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전극을 제조할 수 있고, 화학침전법의 인자조절에 의해 TiO2/MWNT 나노복합체에 포함되는 MWNT 함량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은 이의 전기화학적인 특성평가에서 전류, 전압의 관계가 커패시터의 거동과 매우 유사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비축전용량, 에너지밀도, 출력밀도를 보이므로 고효율의 비축전용량을 유지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제조로서 유용성이 기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on of Charge Storage in Multi-Walled Carbon Nanotube-TiO2 Nano Composites}
본 발명은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제조된 TiO2/MWNT(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iO2(티타늄이산화물)의 나노입자에 Fe(철)와 Ni(니켈) 금속 촉매를 코팅한 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TiO2의 나노입자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킨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는 일반적인 콘덴서와 비교하여 볼 때 매우 많은 양의 에너지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는 전기화학적 콘덴서이다. 이러한 콘덴서들은 복합형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를 위한 에너지 저장의 응용에 많은 응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중층 메커니즘을 기초로 하는 첫 번째 슈퍼커패시터는 다공성 카본 전극을 사용한 제너럴일렉트로닉스(General Electronics)에 의해 1957년에 개발되었으며, 그 시점에 메커니즘이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에너지가 탄소의 기공에 저장되고 예외적으로 매우 높은 전기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전기화학적 콘덴서의 강력한 출력과 밀도는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 안에 배터리와 동력전지의 탄소 기공 안에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생성된다. 배터리 또는 동력 전지와 함께 연결된 콘덴서 화합물은 브레이크가 걸리거나 재충전하는 동안 업힐(Up-Hill) 또는 가속하여 운전하는 것에 필요한 출력밀도를 공급한다. 현재의 에너지 저장 기술 중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가장 높은 에너지 밀도(150~200Whkg-1)를 제공하지만 제한된 수명을 가지고 있다. 반면 슈퍼커패시터는 매우 우수한 출력능력과 긴 수명 적당한 에너지 밀도 값을 가지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리튬이온전지들과 슈퍼커패시터들의 이점을 결합하기 위하여 새로운 복합형의 커패시터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개발 제안들은 높은 에너지 밀도, 빠른 출력 능력과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 기술로의 연구개발을 지향하고 있다. 원료관점에서 볼 때, 상기 특징들을 가지는 복합형의 슈퍼커패시터의 개발에 성공할 수 있도록 최적의 전극재료들을 찾는데 많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할 것이다. 다행히도 에너지 저장기술의 발전은 일반적인 전극기술로부터 나노구조물을 가지는 전극기술로 이동하는 것에서 더 많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슈퍼커패시터 개발을 위한 최근 연구는 에어로겔, 나노튜브 그리고 나노탬플릿과 같은 나노구조를 가지는 카본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 중에 카본나노튜브는 화학적 안정성, 훌륭한 기공 구조, 낮은 전기저항성 등의 이점으로 인해 이상적인 재료로 간주되어 지고 있다. 반면에 리튬 이온전지에 대한 최근의 연구 추세는 무기물 나노재료를 이용한 연구가 수행되어 지고 있다. TiO2 분말이나 TiO2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티타늄 산화물은 리튬이온의 수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TiO2의 나노입자에 Fe와 Ni 금속 촉매를 코팅한 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TiO2의 나노입자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켜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TiO2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존재하므로 전기전도도, 전력밀도, 사이클 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에너지 저장장치 사용화에 적용 가능한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TiO2의 나노입자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에너지 저장장치용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은, (a) TiO2(티타늄이산화물) 나노입자에 Fe(철)과 Ni(니켈) 금속 촉매를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촉매가 코팅된 TiO2 나노입자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성장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조된 TiO2/MWNT(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전도성 ITO(산화인듐주석) 유리 위에 코팅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촉매를 니켈수산화물(Ni(NO3)2ㆍ6H2O) 수용액와 철수산화물(Fe(NO3)3ㆍ9H2O)을 이용하여 화학기상증착법으로 MWNT(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TiO2에 촉매를 코팅한 후 450℃ 질소분위기에서 환원 열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MWNT는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직경이 20~100n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조된 TiO2/MWNT 전극의 TiO2는 입자사이즈가 25n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전극을 제조할 수 있고, 화학침전법의 인자조절에 의해 TiO2/MWNT 나노복합체에 포함되는 MWNT 함량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은 이의 전기화학적인 특성평가에서 전류, 전압의 관계가 커패시터의 거동과 매우 유사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비축전용량, 에너지밀도, 출력밀도를 보이므로 고효율의 비축전용량을 유지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로서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의 미세구조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의 촉매(Fe)에 따른 순환전압전류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의 촉매(Ni)에 따른 순환전압전류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의 촉매(Fe)에 따른 에너지 밀도와 파워밀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의 촉매(Ni)에 따른 에너지 밀도와 파워밀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의 촉매(Fe)에 따른 전기화학적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의 촉매(Ni)에 따른 전기화학적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TiO2 나노입자에 Fe와 Ni 금속 촉매를 코팅한다(S1). 본 발명에서는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하기 위하여, 니켈수산화물(Ni(NO3)2ㆍ6H2O)과 철수산화물(Fe(NO3)3ㆍ9H2O) 수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0.1M의 니켈수산화물(Ni(NO3)2ㆍ6H2O) 수용액은 전이금속염(Transition Metal Salt)을 증류수(Deionized Water) 에 용해시켜 제조한다. 이때, 교반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혼합시켜야 한다. 또한, 상기 니켈수산화물(Ni(NO3)2ㆍ6H2O) 수용액의 온도를 10 ~ 20℃ 사이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제조된 금속 산화물이 용해된 수용액에 나노 TiO2 분말을 첨가한다. TiO2가 첨가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초음파 분산기를 통해 분산시킨 후에 교반기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시킨 후에 건조한다. 건조된 분말은 200℃에서 열처리한 후에 450℃ 질소분위기에서 환원 열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 촉매가 코팅된 TiO2 나노입자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성장시킨다(S2). 즉 상기 건조된 TiO2/촉매 분말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를 전도성 ITO(산화인듐주석) 유리 위에 올려 전극을 제조한다(S3). 전기화학적 특성평가를 위한 전극 제조를 위하여 TiO2/MWNT 활물질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에탄올과 함께 혼합한 후 슬러리를 제조한다. 제조된 슬러리는 ITO 전도성 유리에 코팅하여, 2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전극을 제조한다.
이후,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의 미세구조를 전계방사형 주사 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S-4700, HITACHI, Japan)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평가는 3전극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상대전극으로는 백금(Pt, 20mmㅧ20mm)을 사용하였으며, 기준전극으로는 1M Ag/AgCl 전극을 사용하였다. 전해질은 0.1M의 TBAPF6(n-Tetrabutylammonium Hexafluorophosphate)을 사용하였고, 평가전위구간은 0 ~ 0.7V 구간이며, 순환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 임피던스(Impedance)를 IM6(IM6ex, ZHANER, Germany) 전기화학 특성평가 장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TiO2 나노입자는 AEROXIDE P25(독일)를 이용하여 입자 표면에 Fe와 Ni 금속을 촉매제 코팅하여 MWNTs를 800℃에서 화학기상증착법(CVD)을 이용하여 성장시킨 나노 TiO2/MWNT-coated(Fe)와 나노 TiO2/MWNT-coated(Ni) 복합체의 미세구조 이미지이다. 미세구조 이미지 결과는 양쪽 모두 나노 TiO2 입자 위에 MWNT가 성공적으로 성장된 것을 관찰할 수가 있다.
각각 다른 Fe와 Ni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의 순환전압전류법(CV) 특성을 도 3과 도 4에서 각각 나타내었다. 모든 전극체 샘플에서 500mV/s 스캔 속도까지 사각형의 형태를 관찰할 수가 있다. 특히 0.1M의 TBAPF6 전해질에서 MWNT/TiO2 (Ni) 전극체는 전극체 표면에서의 이온 분리가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나노 TiO2/MWNT-coated된 전극체의 전기용량 값은 낮은 스캔 속도인 10mV/sec 에서 약 6F/g에서 26 F/g로 다양한 값을 나타냈지만, 0.1M의 TBAPF6 전해질에서 측정한 MWNT/TiO2 (Ni)의 경우에는 176F/g의 아주 높은 비축전용량 값을 나타내었다(도 4 참조). 비축전용량은 0.1M의 TBAPF6 전해질에서 높은 스캔속도에서 매우 안정적인 것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도 5와 도 6은 10mV/s 스캔속도로 0.1M의 TBAPF6 전해질에서 측정한 MWNT/TiO2 (Ni) 전극체의 에너지밀도(Energy Density, ED)와 파워밀도(Power Density, PD) 값이 각각 23Kh/Kg와 10KW/Kg임을 보여준다. 에너지밀도(ED)는 파워밀도(PD)가 증가하는 동안 증가된 스캔 속도와 함께 유사한 커패시터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MWNT/TiO2 (Fe)와 MWNT/TiO2 (Ni)의 에너지밀도(ED)와 파워밀도(PD)는 각기 다른 스캔속도로 부터 얻은 순환전압전류법(CV) 데이터로부터 계산하였다.
도 7과 도 8은 전기화학적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화학적 사이클링에 대한 안정성 실험은 스캔속도 100mV/s에서 0.1M의 TBAPF6 전해질의 조건에서 300회 반복 사이클링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전해질 조건에서 나노 TiO2/MWNT 복합전극체가 산화ㆍ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사이클링 특성이 매우 안정적임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전극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화학침전법의 인자조절에 의해 TiO2/MWNT 나노복합체에 올라가는 MWNT 함량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조된 TiO2/MWNT 나노복합체 전극은 이의 전기화학적인 특성평가에서 전류, 전압의 관계가 커패시터의 거동과 매우 유사한 전기이중층커패시터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비축전용량, 에너지밀도, 출력밀도를 보이므로 고효율의 비축전용량을 유지하는 에너지저장장치로서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5)

  1. (a) TiO2(티타늄이산화물) 나노입자에 Fe(철)과 Ni(니켈) 금속 촉매를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촉매가 코팅된 TiO2 나노입자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성장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조된 TiO2/MWNT(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전도성 ITO(산화인듐주석) 유리 위에 코팅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를 니켈수산화물(Ni(NO3)2ㆍ6H2O) 수용액와 철수산화물(Fe(NO3)3ㆍ9H2O)을 이용하여 화학기상증착법으로 MWNT(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제조하는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에 촉매를 코팅한 후 450℃ 질소분위기에서 환원 열처리하는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WNT는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직경이 20~100nm인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TiO2/MWNT 전극의 TiO2는 입자사이즈가 25nm인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KR1020110112682A 2011-11-01 2011-11-01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KR20130047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82A KR20130047879A (ko) 2011-11-01 2011-11-01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82A KR20130047879A (ko) 2011-11-01 2011-11-01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79A true KR20130047879A (ko) 2013-05-09

Family

ID=4865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682A KR20130047879A (ko) 2011-11-01 2011-11-01 티타늄이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78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5109A (zh) * 2013-09-16 2014-01-15 哈尔滨工程大学 碳包覆二氧化钛负载镍和氧化镍复合材料的超级电容器电极材料的制备方法
KR101629783B1 (ko) 2015-01-14 2016-06-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퍼캐퍼시터 전극용으로 표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67102A (zh) * 2016-10-09 2017-04-19 华东理工大学 一种TiO2/碳纳米管/Ni光电活性复合电极的制备方法
KR20190080006A (ko) 2017-12-28 2019-07-08 한국세라믹기술원 복합 TiO2 나노튜브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5109A (zh) * 2013-09-16 2014-01-15 哈尔滨工程大学 碳包覆二氧化钛负载镍和氧化镍复合材料的超级电容器电极材料的制备方法
CN103515109B (zh) * 2013-09-16 2016-07-06 哈尔滨工程大学 碳包覆二氧化钛负载镍和氧化镍复合材料的超级电容器电极材料的制备方法
KR101629783B1 (ko) 2015-01-14 2016-06-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퍼캐퍼시터 전극용으로 표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67102A (zh) * 2016-10-09 2017-04-19 华东理工大学 一种TiO2/碳纳米管/Ni光电活性复合电极的制备方法
KR20190080006A (ko) 2017-12-28 2019-07-08 한국세라믹기술원 복합 TiO2 나노튜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Ultrathin metal–organic framework nanosheet-derived ultrathin Co3O4 nanomeshes with robust oxygen-evolving performance and asymmetric supercapacitors
Shao et al. Designing MOFs-derived FeS2@ carbon composites for high-rate sodium ion storage with capacitive contributions
He et al. MOF-derived hierarchical MnO-doped Fe3O4@ C composite nanospheres with enhanced lithium storage
Mustaqeem et al. Rational design of metal oxide based electrode material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A review
Patil et al. Fern-like rGO/BiVO4 hybrid nanostructures for high-energy symmetric supercapacitor
Kathalingam et al. Nanosheet-like ZnCo2O4@ nitrogen doped graphene oxide/polyaniline composite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 effect of polyaniline incorporation
Xu et al. High capacity MoO2/graphite oxide composite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He et al. Carbon-encapsulated Fe3O4 nanoparticles as a high-rate lithium ion battery anode material
Chen et al. Hydrazine hydrate induced two-dimensional porous Co3+ enriched Co3O4 nanosheets for enhanced water oxidation catalysis
Wang et al. Uniform carbon layer coated Mn3O4 nanorod anodes with improved reversible capacity and cyclic stability for lithium ion batteries
Zhang et al. Supercapacitors based on reduced graphene oxide nanofibers supported Ni (OH) 2 nanoplates with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Sun et al. Nanoconfined construction of MoS2@ C/MoS2 core–sheath nanowires for superior rate and durable Li-ion energy storage
Nithya et al. Effect of pH on the sonochemical synthesis of BiPO4 nanostructures and its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pseudocapacitors
Hu et al. Green and rational design of 3D layer-by-layer MnO x hierarchically mesoporous microcuboids from MOF templates for high-rate and long-life Li-ion batteries
Murugan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lectrochemical behavior of NiMoO4 nanoflower and NiMoO4/rGO nanocomposite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s
Wang et al. Graphene decorated by indium sulfide nanoparticles as high-performance anode for sodium-ion batteries
Chen et al. Hierarchical ternary carbide nanoparticle/carbon nanotube-inserted N-doped carbon concave-polyhedrons for efficient lithium and sodium storage
Tang et al. Highly oxidized graphene anchored Ni (OH) 2 nanoflakes as pseudocapacitor materials for ultrahigh loading electrode with high areal specific capacitance
Lamiel et al. Synthesis of mesoporous RGO@(Co, Mn) 3O4 nanocomposite by microwave-assisted method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
Sun et al. Low-crystalline FeOOH nanoflower assembled mesoporous film anchored on MWCNTs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 electrodes
KR101888743B1 (ko) 다공성 그래핀 및 탄소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Lewis et al. Correlating titania nanostructured morphologies with performance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Wang et al. Efficient lithium-ion storage by hierarchical core–shell TiO2 nanowires decorated with MoO2 quantum dots encapsulated in carbon nanosheets
Yang et al. Three-dimensional hierarchical urchin-like Nb2O5 microspheres wrapped with N-doped carbon: An advanced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Silambarasan et al. A Facile Preparation of Zinc Cobaltite (ZnCo 2 O 4) Nanostructures for Promising Supercapacitor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