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327A -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327A
KR20130047327A KR1020110112277A KR20110112277A KR20130047327A KR 20130047327 A KR20130047327 A KR 20130047327A KR 1020110112277 A KR1020110112277 A KR 1020110112277A KR 20110112277 A KR20110112277 A KR 20110112277A KR 20130047327 A KR20130047327 A KR 20130047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ssembly groove
reef
scour preven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규
양근혁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327A/ko
Publication of KR2013004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영역에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제1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조립홈 하부영역에 두께 방향으로 제1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형 제1블록; 상부영역에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조립홈에 대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조립홈 하부영역에 두께 방향으로 제2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형 제2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대량 운반이 용이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가지면서, 생태환경 보존력이 우수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세굴방지 및 어초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친해양환경 조성이 가능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Plantable revetment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하고 어류의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은 제조공장에서 프리캐스트 건식공법 또는 습식공법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평면형 블록으로 제조된다.
평면형의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은 건식공법으로 공장에서 제조되며 자중이 무겁기 때문에, 운반비가 증가하고, 평면형상에 의해서 하천에서의 식생환경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서 생태환경 보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입체형의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은 건식공법보다는 습식공법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습식공법의 제조방법은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양생을 위한 공간 및 시간이 불필요하게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체형이기 때문에, 현장까지의 운송도 소량으로 밖에 할 수 없어 운송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 운반이 용이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가지면서, 생태환경 보존력이 우수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굴방지 및 어초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친해양환경 조성이 가능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영역에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제1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조립홈 하부영역에 두께 방향으로 제1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형 제1블록; 상부영역에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조립홈에 대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조립홈 하부영역에 두께 방향으로 제2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형 제2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하부영역 폭 방향 양측에는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는 상기 양 다리부 사이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는, 상기 제1블록의 하부영역 폭 방향 양측에는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양 다리부 사이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블록의 제2관통부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은 평면에서 볼 때, 하부영역에서 상부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상부영역에는 인양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을 프리케스트 건식공법으로 제조하되; 콘크리트의 시멘트 양 대비 1 내지 10%의 유효미생물을 포함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 운반이 용이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가지면서, 생태환경 보존력이 우수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세굴방지 및 어초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친해양환경 조성이 가능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사시도,
도 5은 도 4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다른 형태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은 상부 영역이 상호 조립되는 제1블록(10)과 제2블록(20)으로 구성된다.
제1블록(10)은 평면에서 볼 때 하부영역에서 상부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A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제1블록(10)의 상부영역에는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의 제1조립홈(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조립홈(11)은 후술할 제2블록(20)의 제2조립홈(21)과 상호 끼워 맞춤되는 것으로서, 제1조립홈(11)의 깊이는 해당 영역의 폭에 1/2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블록(10)의 하부영역 폭 방향 양측에는 상호 이격된 다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양 다리부(13) 사이의 이격 간격은 제1관통부(15)로 형성된다. 여기서, 다리부(13)는 제1블록(10)이 하천 등의 수중 저부면에 견고하게 지탱되는 구조로서 세굴현상에 대항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관통부(15)는 어류 등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생태환경 보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블록(10)의 상부 영역에는 블록 운반이나 하천 등에 설치하기 위한 인양 작업시 인양로프 등을 결속할 수 있는 인양홀(17)이 형성되어 있다.
제2블록(20)은 평면에서 볼 때 하부영역에서 상부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삼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제2블록(20)의 상부영역에도 역시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의 제2조립홈(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2조립홈(21)은 전술한 제1블록(10)의 제1조립홈(11)과 상호 끼워 맞춤되는 것으로서, 제2조립홈(21)의 깊이는 제1조립홈(11)과 마찬가지로 해당 영역의 폭에 1/2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블록(20)의 하부영역에는 복수의 관통공에 의해 제2관통부(23)가로 형성되어 있다. 제2관통부(23)를 형성하는 복수의 관통공은 어류 등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생태환경 보존 역할을 한다.
또한, 제2블록(20)의 상부 영역에도 역시, 블록 운반이나 하천 등에 설치하기 위한 인양 작업시 인양로프 등을 결속할 수 있는 인양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은 도 1과 같이, 제1블록(10)과 제2블록(20)을 이들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1조립홈(11)과 제2조립홈(21)을 상호 끼워 맞춰 조립한 형태로 도 3과 같이, 하천 바닥에 다수를 안정적으로 설치 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식에 취약한 조립 철물부속품 등을 이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간편하게 조립 및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은 도 3과 같이, 일렬로 설치 시공될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일렬로 설치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들 상부에 각 블록들이 상하방향에서 끼워져 상호 지지되도록 다시 일렬로 겹쳐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들을 설치시공 할 수 있다.
이렇게 시공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들은 유속저감을 유도하여 세굴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관통부(15)와 제2관통부(23) 및 제1블록(10)과 제2블록(20)의 사이 간격을 통해 어류 등의 이동 경로 및 식생물 성장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생태환경 보존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제1블록(10)과 제2블록(20)이 평면형으로 제조되고 상호 분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 운반이 용이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 역시, 상부 영역이 상호 조립되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0')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그 형상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1블록(10)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하부영역에서 상부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A자 형상일 수 있다.
이들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0') 역시, 각각의 상부영역에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의 제1조립홈(111)과 제2조립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0')의 하부영역 폭 방향 양측에는 상호 이격된 다리부(113,1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블록(110)의 양 다리부(113,113') 사이 간격과 제2블록(110')의 양 다리부(113,113') 사이 간격은 각각 제1관통부(115)와 제2관통부(115')를 형성된다.
또한,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0')의 상부 영역에는 블록 운반이나 하천 등에 설치하기 위한 인양 작업시 인양로프 등을 결속할 수 있는 인양홀(117,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은 도 4와 같이,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0')을 이들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1조립홈(111)과 제2조립홈(111')을 상호 끼워 맞춰 조립한 형태로 도 6과 같이, 하천 바닥에 다수를 안정적으로 설치 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식에 취약한 조립 철물부속품 등을 이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간편하게 조립 및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은 도 6과 같이, 일렬로 설치 시공될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일렬로 설치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들 상부에 각 블록들이 상하방향에서 끼워져 상호 지지되도록 다시 일렬로 겹쳐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들을 설치시공 할 수 있다.
이렇게 시공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들은 유속저감을 유도하여 세굴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관통부(115)와 제2관통부(115') 및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0')의 사이 간격을 통해 어류 등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생태환경 보존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0')이 평면형으로 제조되고 상호 분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 운반이 용이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 역시, 상부 영역이 상호 조립되는 제1블록(220)과 제2블록(2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블록(220)과 제2블록(22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그 형상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2블록(220')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하부영역에서 상부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삼각 형상일 수 있다.
이들 제1블록(220)과 제2블록(220') 역시, 각각의 상부영역에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의 제1조립홈(221)과 제2조립홈(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블록(220)과 제2블록(220')의 하부영역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블록(220)의 관통공들과 제2블록(220')의 관통공들은 각각 제1관통부(223)와 제2관통부(223')를 형성한다.
또한, 제1블록(220)과 제2블록(220')의 상부 영역에는 블록 운반이나 하천 등에 설치하기 위한 인양 작업시 인양로프 등을 결속할 수 있는 인양홀(225,2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은 도 7과 같이, 제1블록(220)과 제2블록(220')을 이들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제1조립홈(221)과 제2조립홈(221')을 상호 끼워 맞춰 조립한 형태로 도 9와 같이, 하천 바닥에 다수를 안정적으로 설치 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식에 취약한 조립 철물부속품 등을 이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간편하게 조립 및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은 도 9와 같이, 일렬로 설치 시공될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일렬로 설치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들 상부에 각 블록들이 상하방향에서 끼워져 상호 지지되도록 다시 일렬로 겹쳐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들을 설치시공 할 수 있다.
이렇게 시공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1")들은 유속저감을 유도하여 세굴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관통부(223)와 제2관통부(223') 및 제1블록(220)과 제2블록(220')의 사이 간격을 통해 어류 등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생태환경 보존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제1블록(220)과 제2블록(220')이 평면형으로 제조되고 상호 분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 운반이 용이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의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프리케스트 건식공법을 이용하여 소정 두께의 평면형 제1블록과 제2블록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콘크리트의 시멘트 양 대비 1 내지 10%의 유효미생물(EM:Effective Micro-organism)을 포함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을 제조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키고 수질정화 및 적조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친해양환경 조성이 가능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 운반이 용이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가지면서, 생태환경 보존력이 우수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세굴방지 및 어초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친해양환경 조성이 가능한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이 제공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제1블록과 제2블록의 평면 형상을 A형상과 삼각형상을 예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블록과 제2블록의 평면 형상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제1블록 11 : 제1조립홈
13 : 다리부 20 : 제2블록

Claims (7)

  1. 상부영역에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제1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조립홈 하부영역에 두께 방향으로 제1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형 제1블록;
    상부영역에 폭 방향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조립홈에 대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조립홈 하부영역에 두께 방향으로 제2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형 제2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하부영역 폭 방향 양측에는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는 상기 양 다리부 사이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하부영역 폭 방향 양측에는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양 다리부 사이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블록의 제2관통부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은 평면에서 볼 때, 하부영역에서 상부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상부영역에는 인양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7.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1블록과 제2블록을 프리케스트 건식공법으로 제조하되;
    콘크리트의 시멘트 양 대비 1 내지 10%의 유효미생물을 포함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10112277A 2011-10-31 2011-10-31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7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277A KR20130047327A (ko) 2011-10-31 2011-10-31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277A KR20130047327A (ko) 2011-10-31 2011-10-31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915A Division KR101418476B1 (ko) 2013-09-25 2013-09-25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복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27A true KR20130047327A (ko) 2013-05-08

Family

ID=4865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277A KR20130047327A (ko) 2011-10-31 2011-10-31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73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KR101418476B1 (ko)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복합체
JP4787868B2 (ja) テラス構造付き護岸構造体
KR101103328B1 (ko) 거북형 인공어초
KR101379040B1 (ko) 방파제 구조물
JP2017176017A (ja) 稚ナマコの中間育成施設及び放流方法
KR101166491B1 (ko) 생태블록옹벽
KR20130047327A (ko)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KR100701217B1 (ko) 친환경 어소 블럭
KR100838714B1 (ko) 강재골조 구조의 인공어초
KR100979420B1 (ko) 터널식 인공어초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KR200390359Y1 (ko) 친환경 어소 블럭
KR101239378B1 (ko)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KR20100007305A (ko)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KR101543012B1 (ko) 수산 생산용 월류형 소파구조물
KR100867204B1 (ko) 에이치빔을 이용한 해중림초
KR200417728Y1 (ko) 다용도 복합어초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101284049B1 (ko) 계단식 인공어초
KR101479101B1 (ko) 인공어초
KR101106065B1 (ko) 환경친화형 어도블록 겸 어소블록
KR101173653B1 (ko) 조립식 인공어초
KR100770238B1 (ko) 방파제 구축용 단위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