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087A -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 Google Patents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087A
KR20130047087A KR1020110111889A KR20110111889A KR20130047087A KR 20130047087 A KR20130047087 A KR 20130047087A KR 1020110111889 A KR1020110111889 A KR 1020110111889A KR 20110111889 A KR20110111889 A KR 20110111889A KR 20130047087 A KR20130047087 A KR 2013004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blade
cover
flying
prote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호
Original Assignee
유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호 filed Critical 유병호
Priority to KR102011011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087A/ko
Publication of KR2013004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0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 A01D75/206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for mowers carried by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측면을 따라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예초기의 회전하는 커터날을 상·하로 감싸 커터날을 보호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면상태가 고르지 않아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예초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300)가 결합된 기어박스(310)의 회전축(320)에 커터날(330)이 장착되는 예초기에서 상기 커터날(330)을 보호하는 덮개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330) 하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외측을 향해 다수의 돌출부(2)가 형성된 바닥부(1)와, 상기 커터날(330)을 상측으로 덮어 감싸는 형상을 갖되 외측 끝 부분이 상기 돌출부(2)의 외측 끝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대(4)가 형성된 상측연결부(3)와, 상기 상측연결부(3) 전면으로 돌출되어 커터날(330)에 의한 비산물이 전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전면보호부(5)와, 상기 상측연결부(3) 양 측면을 돌출되어 커터날(330)에 의한 비산물이 측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측면보호부(6)와, 상기 상측연결부(3) 후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부(1)와 연결되어 커터날(330)에 의한 비산물이 후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후면보호부(7)와, 상기 바닥부(1)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며 상기 바닥부(1)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키는 반구형의 하측보강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PROTECTIVE COVER FOR WEEDER}
본 발명은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측면을 따라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예초기의 회전하는 커터날을 상·하로 감싸 커터날을 보호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면상태가 고르지 않아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예초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잡초 및 잔디 등을 베어내기 위해서 낫과 같은 도구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동력에 의해 커터날을 회전시킴으로 빠르고 편하게 잡초나 잔디를 베어낼 수 있는 예초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예초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어깨에 멜 수 있도록 멜빵이 부착되어 있는 동력원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원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기어박스는 커터날과 연결된다. 즉, 작업자는 예초기의 손잡이를 잡고 커터날을 작업 지면 가까이 위치하도록 하여 제초작업을 한다. 상술한 구성의 예초기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잡초나 잔디를 베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제초작업 시 지면이 고르지 않거나 지면에 깔려 있는 돌 또는 지면에 고속회전 중인 커터날이 부딪치면 커터날이 파손되면서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으며, 커터날에 부딪힌 돌이 부딪쳐 튀어 작업자뿐만 아니라 주위 다른 사람도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에 보호판을 부착하여 작업자를 보호하는 제품이 출시되었으나, 손잡이에 부착되는 보호판은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보호범위가 제한적이다. 즉, 보호판의 크기가 크면 작업자가 작업면을 확인하기 어렵고, 호보판의 크기가 작으면 작업자의 보호범위가 좁아진다.
또한, 커터날을 덮을 수 있는 보호덮개가 최근 출시되었으나 커터날의 상측 또는 하측 일면에만 보호커버가 형성되어 커터날 보호 효과가 반감되고, 돌조각이 보호커버와 커터날 사이에 끼어들어 커터날 및 보호커버를 파손시키고, 회전하는 커터날에 튕겨 날아갈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초기의 커터날과 돌이나 구조물 등과의 접촉을 차단하여 커터날의 파손을 방지하고 커터날에 의한 비산물을 효과적으로 막아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는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터날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리되는 구조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탈부착함으로 유지·보수 및 예초기의 운반성을 향상시키는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가 결합된 기어박스의 회전축에 커터날이 장착되는 예초기에서 상기 커터날을 보호하는 덮개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 하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외측을 향해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커터날을 상측으로 덮어 감싸는 형상을 갖되 외측 끝 부분이 상기 돌출부의 외측 끝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대가 형성된 상측연결부와, 상기 상측연결부 전면으로 돌출되어 커터날에 의한 비산물이 전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전면보호부와, 상기 상측연결부 양 측면을 돌출되어 커터날에 의한 비산물이 측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측면보호부와, 상기 상측연결부 후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어 커터날에 의한 비산물이 후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후면보호부와,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며 상기 바닥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키는 반구형의 하측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날 보호덮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전면부 측으로 분리되는 전면케이스와, 후면부 측으로 분리되는 후면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을 상측으로 덮는 상측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을 하측으로 덮되 상기 상측체결부와 결합되는 하측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의 후면측 테두리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의 전면측 테두리에는 상기 요철부에 결합되는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는 상기 요철부와 요홈부가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제초작업 시 고속회전하는 커터날이 바닥의 돌이나 비석, 계단 등의 구조물과의 접촉이 차단되므로 작업자의 상해 및 커터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 후, 좌, 우측으로 보호판이 설치되어 커터날로 인한 비산물을 막아 주변의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리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커터날의 유지·보수 및 예초기의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예초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의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의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의 전후로 분리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되는 구조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면의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되는 구조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면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예초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의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의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는 일반적인 예초기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날을 보호하고 커터날로 인해 튕겨나오는 작은 돌이나 나무 조각 등과 같은 비산물이 주변작업자를 향해 튀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인 예초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00)의 일측에 하측으로 회전축(320)이 돌출하도록 구성된 기어박스(31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20)에 커터날(330)이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어박스(310)를 구동시키는 동력수단의 형식과 설치위치는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소형 예초기의 경우 기어박스에 인접하게 위치하거나, 중·대형 예초기의 경우 작업자가 어깨에 멜 수 있는 형식이 있으며, 동력수단의 형태 및 위치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은 다음과 같다.
회전하는 커터날(330) 하측으로 커터날(330) 및 회전축(32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바닥부(1)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는 상기 커터날(33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외측을 향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돌출부(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의 끝 부분은 상기 커터날의 회전반경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며, 각각의 돌출부(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들어오는 풀, 잡초, 잔디 등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날(330)에 의해 절삭된다.
상기 돌출부(2)의 개수가 많고 바닥부(1)의 면적이 넓을수록 커터날(330)이 노출범위가 좁아지므로 커터날(330)을 보호하는 효과가 높아지나 상대적으로 절삭되는 면적이 좁아지므로 제초작업 효율은 낮아진다. 반대로 상기 돌출부(2)의 개수가 적고 바닥부(1)의 면적이 좁을수록 절삭면적이 넓어져 제초작업 효율이 높아지나 커터날의 보호효과는 낮아지므로 적절한 개수의 돌출부(2)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2)의 모양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10개의 돌출부(2)가 형성된 바닥부(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커터날(330)의 상측으로는 커터날(330)을 둥글게 덮어 감싸는 상측연결부(3)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연결부(3)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끝 부분이 외측 끝 부분이 상기 돌출부의 외측 끝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대(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대(4)는 바닥부(1)의 돌출부(2)와 동일한 개수 이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연결대(4)는 커터날(330)의 측면 노출면적과 관련이 있으므로 상측연결부(3)와 바닥부(1)를 고정·결합할 수 있는 적절한 개수로 선택되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X'자 형식으로 4개의 연결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작업자가 커터날을 전, 좌, 우 방향으로 움직이며 제초작업을 하는 것을 고려하여 회전하는 커터날(330)의 전면측, 좌측, 우측 방향이 개방되도록 함으로 커터날(330)의 노출면적을 늘려 제초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측연결부(3) 전면으로는 커터날의 회전에 의한 비산물이 전면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면보호부(5)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전면보호부(5)는 제초작업시 주변, 특히 전면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커터날(330)에 의해 튕겨지는 돌조각이나 나뭇조각 등의 비산물에 맞아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제초작업에 방해되는 비산물의 날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측연결부(3) 양 측면으로는 커터날(330)의 회전에 의한 비산물이 양 측면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보호부(6)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보호부(6)는 제초작업시 주변, 특히 양 측면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커터날(330)에 의해 튕겨지는 돌조각이나 나뭇조각 등의 비산물에 맞아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제초작업에 방해되는 비산물의 날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측연결부(3) 후면으로는 커터날(330)의 회전에 의한 비산물이 후면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면보호부(7)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보호부(7)는 제초작업시 후면, 특히 예초기를 잡고 있는 작업자가 커터날(330)에 의해 튕기는 돌조각이나 나뭇조각 등의 비산물에 맞아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제초작업에 방해되는 비산물의 날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면보호부(5) 및 측면보호부(6)가 단순히 돌출형성되는 것과 달리, 상기 후면보호부(7)는 상기 상측연결부(3)와 상기 바닥부(1)를 연결함으로 후면측을 상하로도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후면으로 예초기를 잡고 있는 작업자가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게 되므로 비산물이 상측뿐만 아니라 하측으로 튀는 것을 모두 막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통상적으로 예초기를 사용한 제초작업 시 주변의 작업자는 예초기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므로 전면보호부(5) 및 측면보호부(6)를 통해 비산물이 멀리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나, 예초기를 잡고 있는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예초기에 가까이 위치하여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비산물을 완전히 막아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상기 바닥부(1)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의 하측보강부(8)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보강부(8)는 지면과 접촉하며 상기 바닥부(1)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초작업 시 지면의 상태가 고르지 않을 경우 지면의 돌이나 나무뿌리 등의 장애물에 바닥부(1) 및 돌출부(2)가 직접 접촉되어 손상이 발생하거나 장애물에 걸리적거림으로 작업 능률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측보강부(8)를 통해 본 발명의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가 지면과 점 접촉을 하면서 바닥부(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장애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측보강부(8)는 지면과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마모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며, 바닥부(1)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측보강부(8)의 마모 또는 손상시 바닥부(1)로부터 하측보강부(8)를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의 전후로 분리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되는 구조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면의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되는 구조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면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는 보수를 용이하도록 하고, 예초기의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예초기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는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면부 측으로 분리되는 전면케이스(10)와, 후면부 측으로 분리되는 후면케이스(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바닥부 및 상측연결부는 회전축(320)을 기준으로 전, 후로 분리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측면보호부도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후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가 결합된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체형의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와 동일하며, 도 4에서와 같이 전면케이스(10) 상에는 돌출부(12)가 형성된 전면 반쪽의 바닥부(11), 연결대(14)가 형성된 상측연결부(13), 전면보호부(15), 양 측면으로 전면 반쪽의 측면보호부(16)가 형성된다. 또한, 후면케이스(20) 상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된 후면 반쪽의 바닥부(21), 연결대(24)가 형성된 상측연결부(23), 후면보호부(27), 양 측면으로 후면 반쪽의 측면보호부(26)가 형성된다.
이때, 전면케이스(10)의 바닥부(11)와 후면케이스(20)의 바닥부(21), 전면케이스(10)의 상측연결부(13)와 후면케이스(20)의 상측연결부(23), 전면케이스(10)의 측면보호부(16)와 후면케이스(20)의 측면보호부(26)가 각각 접하면서 결합된다.
상기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를 서로 접하도록 하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가 손잡이(300)를 감싸며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상부에 상기 손잡이(300)의 일측을 상측으로 덮도록 상측체결부(19)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300)의 일측을 하측으로 덮되 상기 상측체결부(19)와 결합되는 하측체결부(29)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체결부(19)와 하측체결부(29)는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의 결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면케이스(10)의 후면측 테두리에는 요철부(101)를 형성시키고,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전면측 테두리에는 상기 요철부(101)에 결합되는 형상의 요홈부(201)를 형성시켜, 상기 요철부(101)와 요홈부(201)가 맞물려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를 결합할 수 있다.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로 분리되는 구조에서 하측보강부(8)는 전면케이스(10) 또는 후면케이스(20) 중 하나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 모두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하측보강부(8)를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에 각각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를 하측에서 상호 결합·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11, 21: 바닥부 2, 12, 22: 돌출부
3, 13, 23: 상측연결부 4, 14, 24: 연결대
5, 15: 전면보호부 6, 16, 26: 측면보호부
7, 27: 후면보호부 8: 하측보강부
10: 전면케이스 19: 상측체결부
101: 요철부 20: 후면케이스
29: 하측체결부 201: 요홈부
300: 손잡이 310: 기어박스
320: 회전축 330: 커터날

Claims (4)

  1. 손잡이(300)가 결합된 기어박스(310)의 회전축(320)에 커터날(330)이 장착되는 예초기에서 상기 커터날(330)을 보호하는 덮개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330) 하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외측을 향해 다수의 돌출부(2)가 형성된 바닥부(1)와,
    상기 커터날(330)을 상측으로 덮어 감싸는 형상을 갖되 외측 끝 부분이 상기 돌출부(2)의 외측 끝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대(4)가 형성된 상측연결부(3)와,
    상기 상측연결부(3) 전면으로 돌출되어 커터날(330)에 의한 비산물이 전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전면보호부(5)와,
    상기 상측연결부(3) 양 측면을 돌출되어 커터날(330)에 의한 비산물이 측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측면보호부(6)와,
    상기 상측연결부(3) 후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부(1)와 연결되어 커터날(330)에 의한 비산물이 후면으로 날리는 것을 막는 후면보호부(7)와,
    상기 바닥부(1)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며 상기 바닥부(1)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키는 반구형의 하측보강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 보호덮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면부 측으로 분리되는 전면케이스(10)와, 후면부 측으로 분리되는 후면케이스(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을 상측으로 덮는 상측체결부(19)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을 하측으로 덮되 상기 상측체결부(19)와 결합되는 하측체결부(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후면측 테두리에는 요철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전면측 테두리에는 상기 요철부(101)에 결합되는 형상의 요홈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는 상기 요철부(101)와 요홈부(201)가 맞닿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KR1020110111889A 2011-10-31 2011-10-31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KR20130047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889A KR20130047087A (ko) 2011-10-31 2011-10-31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889A KR20130047087A (ko) 2011-10-31 2011-10-31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87A true KR20130047087A (ko) 2013-05-08

Family

ID=4865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889A KR20130047087A (ko) 2011-10-31 2011-10-31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70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7750A (zh) * 2021-09-17 2021-12-10 南京苏美达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割草机器人
SE2250582A1 (en) * 2022-05-16 2023-11-17 Husqvarna Ab Edge Trimming Tool Assembly and Power To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7750A (zh) * 2021-09-17 2021-12-10 南京苏美达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割草机器人
SE2250582A1 (en) * 2022-05-16 2023-11-17 Husqvarna Ab Edge Trimming Tool Assembly and Power Tool
WO2023224524A1 (en) * 2022-05-16 2023-11-23 Husqvarna Ab Edge trimming tool assembly and power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832B1 (ko) 예초기 칼날
PL174576B1 (pl) Kosiarka do trawy
KR101618734B1 (ko) 안전커버를 일체로 구성한 예초기용 칼날세트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CN104067768A (zh) 割草机防护装置及割草机
KR101689855B1 (ko) 다목적 제초장치
KR102094312B1 (ko) 초목 절단 파쇄 성능이 향상된 트랙터용 제초기 및 그 제초기를 이용한 초목 절단 파쇄방법
KR101745179B1 (ko) 굴삭기용 초목 제거장치
KR20130047087A (ko) 예초기 커터날 보호덮개
KR102093109B1 (ko)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제초기
KR101374398B1 (ko) 예초기용 커터
US20080209881A1 (en) Bauer blade
KR101864945B1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JP3793178B2 (ja) 草刈機用保護カバーと草刈機
KR20130040443A (ko) 예초기용 안전기구
KR200335439Y1 (ko) 예초기용 보호 캡 및 예초기용 보호 캡을 장착한 예초기
KR101100239B1 (ko) 예초정리용 상부커버
KR10106385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예초기용 칼날덮개
JP7352938B2 (ja) 草刈機用カバー
KR200471933Y1 (ko)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CN106852225A (zh) 智能割草机
KR200256445Y1 (ko) 예취기
KR101486306B1 (ko) 제초 성능이 향상된 제초기
JP3194098U (ja) 携帯草刈機の刈刃用保護部材
KR200273043Y1 (ko) 예취기의 안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