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795A -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 Google Patents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795A
KR20130046795A KR1020110111380A KR20110111380A KR20130046795A KR 20130046795 A KR20130046795 A KR 20130046795A KR 1020110111380 A KR1020110111380 A KR 1020110111380A KR 20110111380 A KR20110111380 A KR 20110111380A KR 20130046795 A KR20130046795 A KR 20130046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 indicator
catheter
cerebrospinal fluid
main body
ev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698B1 (ko
Inventor
배학근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4Cerebrospin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93Brain, cereb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뇌실 카테터를 용이하게 삽입하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및 그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L'자 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방향지시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및 그 실행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뇌실외뇌척수액배액(EVD) 시술시 정확하게 측뇌실의 전두부에 EVD 카테터를 위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및 그 시술 방법{EVD tool for ventricular catheter placement and surgic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EVD)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뇌실 카테터를 용이하게 삽입하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 시술 또는 뇌척수액 뇌실-복강간 단락 시술(션트 수술)용 기기 및 그 시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실외뇌척수액배액(EVD) 시술은 뇌척수액을 저류하는 뇌실(ventricle)이 급격히 커져, 이로 인해 환자의 의식이 저하되거나 혹은 뇌압을 낮추고자 할 때 시술하는 신경외과적 응급시술이다.
이러한 EVD는 뇌종양이나 뇌실질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등으로 뇌척수액 통로가 막혀 급격한 뇌압상승을 일으킬 때, 뇌실내출혈이 있어 혈종을 배액하기 위해, 또한 급작스런 수두증으로 인해 의식저하가 있을 때에, 국소마취 하에 응급으로 시술하는 매우 중요한 신경외과 수련과정의 기본 시술이며, 가장 많이 하는 중요한 수술이다. 응급 상황에서는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EVD를 시행할 때는 카테터 끝이 측뇌실(lateral ventricle)의 전두부(frontal horn)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최근에는 위치추적장치(navigation)가 있어 이러한 기계를 이용하면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에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추적장치는 기계값이 매우 비싸서, 뇌종양 수술을 많이 하는 일부 대학병원에서만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나마 응급으로 사용하기에는 시간이 걸리고 장치에 불편이 있고 또한 그 사용비가 매우 높아 주로 응급상황에서 시행하는 EVD를 위해 사용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하다.
최근 EVD시행시 카테터 끝(tip)의 위치에 대한 정확도를 조사한 논문에서 나온 결과는 의외로 약 40% 내외에서만 비교적 정확한 부위에 위치했으며, 10% 내외에서는 뇌실 밖의 뇌조직에 위치하기도 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EVD) 시술시에 정확하게 측뇌실의 전두부에 EVD 카테터 끝을 놓이게 할 수 있는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및 그 시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EVD) 시술 또는 뇌척수액 뇌실-복강간 단락 시술시 오차를 줄이고 누구나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및 그 시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는 'L'자 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방향지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기는 직사각형의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EVD 카테터 삽입시 카테터가 움직임 없이 그대로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방향지시기를 앞뒤로 움직여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모양의 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는 시술시 두개골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지지부가 본체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기의 전면과 측면에는 'ㄱ'의 형태의 스테인리스스틸로 형성된 두 개의 팔이 상기 방향지시기의 하부에 힌지 결합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방향지시기의 전면과 측면에는 각각 상기 방향지시기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두 개의 팔을 내장하는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에 있어서, 카테터의 삽입 위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두 개의 팔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방향지시기를 마련하고, 뇌실 카테터를 삽입하여 시술하는 방법은 상기 본체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방향지시기의 나사홈에 나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방향지시기의 전면과 측면에 'ㄱ'의 형태로 마련된 두 개의 팔을 펼치는 단계, 상기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두 개의 팔의 위치를 조정하여 카테터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술 방법에 있어서, 션트용 카테터 삽입시에 상기 방향지시기의 중심부의 관통구에 션트 수술용 스테인리스 관을 삽입한 후, 션트용 카테터를 삽입하여 뇌실을 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술은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술은 뇌척수액 뇌실-복강간 단락술(션트수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및 그 시술 방법에 의하면,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EVD) 시술시 정확하게 측뇌실의 전두부에 EVD 카테터를 위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및 그 시술 방법에 의하면,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EVD) 시술 또는 뇌척수액 뇌실-복강간 단락 시술시 사용자(의사)가 카테터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시술시 카테터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의 사용 상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지시기에서 팔이 접혀져 있고, 나사의 삽입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지시기에서 팔이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EVD 시행시 두개골을 뚫는 위치는 두개골 정중부(좌우 기준으로)에서 측면으로 2.5㎝~3㎝, 관상봉합선(전두골과 두정골이 접하는 봉합선) 앞 1㎝ 부위이다. 이 구멍을 통해 카테터를 뇌실로 향해 찔러 넣는다. 이때 카테터가 향하는 방향은 좌우면(coronal plane)으로는 눈의 내안각(medial canthus)을 향하며, 전후면 (sagittal plane)으로는 귀의 이주(tragus, 외이도 앞에 있는 작은 돌기)를 향한다. 대부분 뇌를 싸는 경막 레벨에서 내안각과 이주를 향해 5㎝~6㎝ 깊이까지 찌르면 해당 측뇌실의 전두부에 카테터가 위치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카테터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만약 카테터의 뇌실 삽입시 좌우면에서 너무 내측으로 향하거나 외측으로 향하면 카테터 끝이 반대편 측뇌실의 전두부에 위치하거나 측뇌실의 전두부 밖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전후면에서 카테터 끝이 귀의 이주보다 뒤를 향하거나 앞을 향하게 되면, 카테터는 측뇌실 전두부 뒤로 연이어 있는 측뇌실 몸통이나 전두부보다 앞에 즉 뇌실을 경계하는 표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EVD시행 시에는 항상 카테터가 뇌실의 원하는 부위(전두부)에 제대로 삽입되었는지가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된다.
매우 간단한 시술이지만 그 정확도가 최근 3년간 문헌에 의하면 약 40 % 내외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오차를 줄이고 누구나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EVD 기기를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원리는 방향표시기(direction indicator)에 두개골의 좌우면과 전후면을 향하는 팔(arm)이 붙어 있어 우선 방향표시기의 좌우면을 향하는 팔을 눈의 내안각에 위치시키게 한 후에 그러한 상태에서 방향지시기의 전후면을 향하는 팔을 앞뒤로 움직여 귀의 이주(tragus)를 향하게 한 후 EVD 카테터를 방향지시기에 있는 중앙 구멍를 통해 삽입하여 경막 레벨에서부터 약 5㎝~6㎝ 삽입하는 원리이다. 이러한 원리를 통해 삽입하면 억지로 카테터를 휘게 하여 삽입하지 않는 한 대부분의 카테터는 뇌실의 전두부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일 예로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체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지시기에서 팔이 접혀져 있고, 나사의 삽입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지시기에서 팔이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EVD)용 기기는 본체(10)와 방향지시기(direction indicator,20)로 구성된다.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성분으로 대략 'L'자 형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에는 방향지시기(20)를 앞뒤로 움직여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모양의 슬롯(11)이 마련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단부에는 시술시 두개골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호형(13)으로 형성된 지지부(12)가 본체(10)와 일체로 마련된다.
한편 방향지시기(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높이가 2x2x8㎝ 크기의 직사각형의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EVD 카테터 삽입시 카테터가 움직임 없이 그대로 삽입 가능하도록 직경 4㎜ 크기의 관통구(23)가 마련된다.
또 방향지시기(20)의 전면과 측면에는 스테인리스스틸로 형성된 두 개의 팔(31,32)이 방향지시기(20)의 하부에 힌지(hinge) 결합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방향지시기(20)의 전면과 측면에는 각각 상기 방향지시기(20)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두 개의 팔을 내장하는 홈(21,23)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팔(31,32)은 서로 직각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의 팔은 'ㄱ'의 형태로 마련되므로, 두 개의 팔(31,32)의 위치에 따라 두개골 구멍 위에 새워 놓은 방향지시기(20)의 방향이 조금씩 변하게 된다.
또 상기 방향지시기(20)의 일 측면에는 상기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24)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슬롯(11)을 통과하여 방향지시기(20)의 나사홈(24)에 나사(40)를 체결하고, 두개골의 형상에 따라 상기 슬롯(11)의 길이 방향을 이동하며 나사(40)를 조이는 것에 의해 카테터의 삽입 위치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션트 수술을 위해서는 EVD 카테터보다 더욱 가는 카테터 삽입이 필요한데 이러한 션트 카테터 삽입을 위해 직경 2㎜ 크기의 스테인리스스틸로 만든 관(미도시)을 마련한다. 션트 수술을 위한 션트용 카테터 삽입시에는 방향지시기(20)의 중심부의 관통구(23)에 션트 수술용 스테인리스 관을 삽입한 후, 션트용 카테터를 삽입하여 뇌실을 뚫으면 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일 예로서 사용되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의 조립 및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EVD 시술을 하기 위해 우선 환자의 우측 전두골(두개골 좌우면 중간에서 2.5㎝ 지점 관상봉합선 앞 1㎝ 지점)에 직경 7㎜~8㎜ 크기의 구멍을 낸 후, 경막을 절개 후 뇌피질 표면을 천자하기 쉽도록 절개해 둔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EVD기기의 본체(10)에 나사 (40)로 도 4에 도시된 상태의 방향지시기(20)를 반 정도 죄여 앞뒤로 적당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지시기(20)의 팔(31,32)을 펼쳐 도 2에 된 상태로 하고, 방향지시기(20)를 본체(10)와 함께 두개골 구멍에 세워둔다. 방향지시기(20)의 전면에 붙은 팔(31)을 눈의 내안각을 향하도록 한 후 손으로 고정시킨 다음, 방향지시기(20) 측면에 위치한 팔(32)을 귀의 이주를 향하도록 방향지시기(20)를 앞뒤로 움직여 팔(31,32)을 조절한다.
좌우면 전후면을 향하는 방향지시기(20)의 두 팔(31,32)이 정확한 방향을 향하게 한 다음에 방향지시기(20)를 나사(40)로 본체(10)에 완전히 고정시켜, EVD 카테터 삽입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EVD 카테터를 두개골 구멍 위에 세워 둔 방향지시기(20)의 관통구(23)에 삽입한다. 경막 부위에서 5-6㎝ 깊이까지 삽입한 후 두개골구멍에 가까운 EVD 카테터를 고정핀으로 잡아 빠지지 않게 한 다음 EVD 기기를 위로 들어올려서 통체로 빼면 된다.
본 발명자가 지난 1년간 사용 결과 90%에서 EVD 카테터 끝이 정확한 부위에 위치했으며, 10%는 측뇌실의 몸통부위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10% 정도는 초기에 귀의 이주를 향해야하는 방향지시기의 팔의 방향이 귀의 이주보다는 다소 외이도쪽으로 향했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러한 오차는 충분히 교정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40% 수준에서 비교적 정확한 부위에 카테터가 위치하여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지난 3년간 국제적인 문헌보고에서의 EVD 정확도도 40% 수준으로 기기를 사용했을 때와는 그 정확도를 비교하면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술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뇌척수액 뇌실-복강간 단락술(션트수술)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 또는 뇌척수액 뇌실-복강간 단락 시술용 기기는 신경외과적 응급시술에 적용된다.
10 : 본체
11 : 슬롯
20 : 방향지시기
23 : 관통구
31,32 : 팔
40 : 나사

Claims (9)

  1.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로서,
    'L'자 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방향지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기는 직사각형의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EVD 카테터 삽입시 카테터가 움직임 없이 그대로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방향지시기를 앞뒤로 움직여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모양의 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는 시술시 두개골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지지부가 본체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기의 전면과 측면에는 'ㄱ'의 형태의 스테인리스스틸로 형성된 두 개의 팔이 상기 방향지시기의 하부에 힌지 결합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방향지시기의 전면과 측면에는 각각 상기 방향지시기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두 개의 팔을 내장하는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삽입 위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두 개의 팔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6.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방향지시기를 마련하고, 뇌실 카테터를 삽입하여 시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방향지시기의 나사홈에 나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방향지시기의 전면과 측면에 'ㄱ'의 형태로 마련된 두 개의 팔을 펼치는 단계,
    상기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두 개의 팔의 위치를 조정하여 카테터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션트용 카테터 삽입시에 상기 방향지시기의 중심부의 관통구에 션트 수술용 스테인리스 관을 삽입한 후, 션트용 카테터를 삽입하여 뇌실을 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은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은 뇌척수액 뇌실-복강간 단락술(션트수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 방법.
KR1020110111380A 2011-10-28 2011-10-28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KR10127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80A KR101271698B1 (ko) 2011-10-28 2011-10-28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80A KR101271698B1 (ko) 2011-10-28 2011-10-28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795A true KR20130046795A (ko) 2013-05-08
KR101271698B1 KR101271698B1 (ko) 2013-06-05

Family

ID=4865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380A KR101271698B1 (ko) 2011-10-28 2011-10-28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761A (ko) * 2017-12-26 2019-07-04 (주)오피테크메드 뇌실복강단락술에 적용되는 뇌실 천자용 카테터 안내 장치
CN114042233A (zh) * 2021-12-06 2022-02-15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一种脑室转流术旁通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198Y1 (ko) 2001-12-06 2002-02-27 주식회사 경원메디칼 휴대용 뇌실체외배액기구 세트
US7588541B2 (en) * 2003-12-10 2009-09-15 Sonosite, Inc.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medical device at one or more angles relative to an imaging probe
US8827944B2 (en) 2007-09-10 2014-09-09 Lers Surgical, Llc Anti-clogging ventricular catheter for cerebrospinal fluid drainage
KR101156231B1 (ko) * 2009-09-21 2012-06-18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761A (ko) * 2017-12-26 2019-07-04 (주)오피테크메드 뇌실복강단락술에 적용되는 뇌실 천자용 카테터 안내 장치
CN114042233A (zh) * 2021-12-06 2022-02-15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一种脑室转流术旁通系统
CN114042233B (zh) * 2021-12-06 2024-05-17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一种脑室转流术旁通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698B1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03236A1 (en) Surgical guide
US6132437A (en) Method and stereotactic apparatus for locating intracranial targets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US20030040753A1 (en) Cranial guide device and methods
US20110004259A1 (en) Reference frame fixator
CN110432996B (zh) 一种颅内血肿穿刺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KR101271698B1 (ko)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뇌실외 뇌척수액 배액용 기기
US20070232918A1 (en) Doppler helmet
CN209437336U (zh) 一种脑血肿经皮微创穿刺引流导向模板
US10456061B2 (en) Holding arrangement for a surgical access system
CN109106454B (zh) Rc颅内微创治疗定位装置
CN110584755A (zh) 一种脑内病变的手术定位装置
KR101271700B1 (ko) 뇌실 카테터 삽입을 위한 기기
EP32884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 precise stereotactic implantation
CN208876780U (zh) 颅内手术定位装置
CN212369054U (zh) 一种颅内血肿定位穿刺装置
CN213552206U (zh) 颅脑穿刺定位装置
CN209253164U (zh) 一种经额穿刺简易脑立体定向仪
CN109350197B (zh) 颅内血肿微创穿刺术用精准穿刺定位支撑系统
CN210095860U (zh) 颅内血肿微创穿刺术用精准穿刺定位支撑系统
CN209044998U (zh) 一种脑室外引流穿刺针辅助模拟装置
CN108389491B (zh) 一种脑室外引流穿刺针辅助模拟装置
CN112315593A (zh) 通用式脑出血微创手术定位装置
JP3112956U (ja) 定位脳手術用フレーム装着器具
CN111329560A (zh) 一种神经外科体表定位及穿刺导向仪
CN219782684U (zh) 一种经颅脑可视下准确放置手术辅助管具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