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008A -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 Google Patents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008A
KR20130045008A KR1020110109419A KR20110109419A KR20130045008A KR 20130045008 A KR20130045008 A KR 20130045008A KR 1020110109419 A KR1020110109419 A KR 1020110109419A KR 20110109419 A KR20110109419 A KR 20110109419A KR 20130045008 A KR20130045008 A KR 2013004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point
coupled
frame radia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993B1 (ko
Inventor
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10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993B1/ko
Priority to CN2012103908936A priority patent/CN103078175A/zh
Priority to US13/659,599 priority patent/US20130099984A1/en
Publication of KR2013004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단말기 하우징의 측벽에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 일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제1 포인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제2 포인트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와의 결합을 통해 루프를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에 급전 신호가 제공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신체가 단말기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실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Antenna Combined with Terminal Hous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내장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것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제공하는 기능 역시 점차 고도화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근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소형의 컴퓨터로서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구조 역시 점차 슬림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기능화 및 슬림화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실장 공간의 최소화 역시 요구되고 있으나, 광대역화 및 다중 대역화가 요구되는 특성상 안테나의 사이즈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안테나는 캐리어에 부착되어 단말기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안테나 실장 공간의 최소화를 위해 단말기 하우징 내벽에 결합되는 안테나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하우징 결합형 안테나는 안테나의 실장 공간은 기존의 안테나에 비해 줄일 수 있으나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어 사람의 손이나 머리가 하우징에 접촉할 때 안테나의 특성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신체가 단말기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실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하우징의 측벽에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 일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제1 포인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제2 포인트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와의 결합을 통해 루프를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에 급전 신호가 제공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는 'ㄷ'자 형태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상의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상의 제2 포인트에 결합된다.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 지점을 제외한 영역에서 'ㄷ'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제3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제4 포인트에 타단이 결합되는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제3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접지에 결합되는 제1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제4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접지에 결합되는 제2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 하우징의 측벽에 결합되며 'ㄷ'자 형태를 가지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에 결합되어 전기적 루프를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에 급전 신호가 제공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상의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상의 제2 포인트에 결합된다.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 지점을 제외한 영역에서 'ㄷ'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제3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제4 포인트에 타단이 결합되는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제3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접지에 결합되는 제1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제4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접지에 결합되는 제2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가 단말기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실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내부 프레임 방사체 및 외부 프레임 방사체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급전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내부 프레임 방사체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프레임 안테나에서 핸드 이펙트가 주어지는 경우와 주어지지 않는 경우(자유 공간)의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프레임 방사체가 구비된 안테나에서 핸드 이펙트가 주어지는 경우와 주어지지 않는 경우(자유공간)의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 및 급전점(104)을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는 단말기의 하우징에 결합되며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일례로,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얇은 도선 형태를 가진다.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는 단말기 하우징의 내벽에 결합된다. 단말기 하우징은 사각형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는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형태는 단말기 하우징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단말기 하우징이 사각 형태가 아닐 경우에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 역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ㄷ'자 형상을 가지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는 대항하는 두 개의 수평 프레임(100a, 100b) 및 하나의 수직 프레임(100c)으로 구분된다.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제1 포인트(A) 및 제2 포인트(B)에 결합된다.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 역시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며, 일례로 구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는 제1 포인트(A) 및 제2 포인트(B)를 연결하며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와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가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된 후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의 외부 프레임(100) 방사체와는 달리 하우징의 측벽에 결합되지는 않는다.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는 하우징의 상부 벽 또는 하부 벽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 벽에 결합되지 않고 내부의 빈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포인트(A)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 중 제1 수평 프레임(100a)상의 한 점으로 설정되고, 제2 포인트(B)는 제2 수평 프레임(100b)상의 한 점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는 결합 지점을 제외한 지점에서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와 일정 거리를 유지한다.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 역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 및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는 루프(L)를 형성한다.
급전은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에 대해 수행되며,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는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동축 케이블 급전, 스트립 라인 급전, CPW 급전, 커플링 급전 등 다양한 급전 방식이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와 같이 하우징의 측벽에 결합되는 안테나는 일반적인 내장형 안테나에 비해 손으로 단말기를 잡을 때 특성이 변하는 핸드 이펙트(Hand Effect)에 취약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는 핸드 이펙트로 인한 특성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내부 프레임 방사체 및 외부 프레임 방사체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들은 주로 단말기의 하부를 잡고 통화를 하게 되며, 도 2에는 핸드 이펙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분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종래의 하우징 결합형 안테나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만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단말기를 손으로 잡을 때 핸드 이펙트의 영향을 크게 받아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핸드 이펙트로 인한 특성 변화를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가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에 결합되는 안테나는 도 2의 루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는 적은 양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실선으로 표시된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체에는 급전이 직접 이루어지므로 외부 방사체 프레임(100)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비해 많은 비교적 많은 전류가 흐른다.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에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은 급전점이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 및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로 이루어지는 루프(L)에서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에는 상대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고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류가 흐르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단말기를 잡았을 때 발생하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의 접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핸드 이펙트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게 되는 것이며,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만으로 방사체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안테나의 특성 변화가 작아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 급전점(104) 및 임피던스 매칭 부재(10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안테나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에 비해 임피던스 매칭 부재(106)를 추가적로 포함하며 다른 구성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와 동일하고 그 기능 역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매칭 부재(106)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에서 제1 수평 프레임(100a)의 제3 포인트(C)와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스평 프레임(100b)의 제4 포인트(D)와 타단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3 포인트(C) 및 제4 포인트(D)는 제1 포인트(A) 및 제2 포인트(B)에 비해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의 수직 프레임(100c)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임피던스 매칭 부재(106)는 단말기 하우징의 상부벽 또는 하부벽에 결합되거나 하우징에 결합되지 않고 단말기 하우징 내부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임피던스 매칭 부재의 위치 및 길이는 임피던스 매칭이 요구되는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 급전점(104) 및 임피던스 매칭 부재(120, 13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안테나는 임피던스 매칭 부재(120, 130)의 형태가 도 3에 도시된 안테나와 상이하다. 도 4에 도시된 안테나는 두 개의 임피던스 매칭 부재(120, 130)를 포함하며, 제1 매칭 부재(120)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의 제1 수평 프레임(100a)의 제3 포인트(C)와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접지와 결합된다. 여기서 접지는 단말기에 PCB에 형성된 접지일 수 있다.
제2 매칭 부재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제2 수평 프레임(100b)의 제4 포인트(D)와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접지와 결합된다.
제3 실시예와에서와 같이 제3 포인트(C) 및 제4 포인트(D)는 제1 포인트(A) 및 제2 포인트(B)에 비해 외부 프레임 방사체(100)의 수직 프레임(100c)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도 4에는 두 개의 임피던스 매칭 부재(120, 1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외부 프레임 방사체 및 접지와 결합되는 임피던스 매칭 부재(120, 130)의 수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급전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에 급전을 제공하는 급전부는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는 소정 거리 이격되며, 제1 도전 부재(500)에 급전 전력이 제공되고 제1 도전 부재(500)로부터 제2 도전 부재(510)로의 커플링 급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도전 부재(510)는 내부 프레임 방사체(102)와 결합되어 급전 신호를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 사이로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로부터 다수의 돌출부(530, 5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커플링 급전 구조는 분산 매칭을 위한 급전 구조로서,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의 길이가 충분하여 진행파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하는 급전 구조이다.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530, 540)들은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의 전기적 길이를 실질적으로 증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로부터 주기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30, 540)들은 일종의 지연파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10) 전기적 길이를 증가시켜주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방사체 프레임(102)에는 다양한 급전 방식에 의해 급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급전 구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 6은 내부 프레임 방사체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프레임 안테나에서 핸드 이펙트가 주어지는 경우와 주어지지 않는 경우(자유 공간)의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프레임 방사체가 구비된 안테나에서 핸드 이펙트가 주어지는 경우와 주어지지 않는 경우(자유공간)의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부 프레임 방사체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핸드 이펙트가 주어지는 경우 로우 밴드와 하이 밴드에서 특성 변화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하이 밴드의 특성은 상당히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을 참조하면, 내부 프레임 방사체가 구비될 경우 효율 자체는 줄어드나 특성 변화는 도 6에 비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단말기 하우징의 측벽에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
    일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제1 포인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의 제2 포인트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와의 결합을 통해 루프를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에 급전 신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는 'ㄷ'자 형태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상의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상의 제2 포인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 지점을 제외한 영역에서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제3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제4 포인트에 타단이 결합되는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제3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접지에 결합되는 제1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제4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접지에 결합되는 제2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8. 단말기 하우징의 측벽에 결합되며 'ㄷ'자 형태를 가지는 외부 프레임 방사체;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에 결합되어 전기적 루프를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에 급전 신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상의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상의 제2 포인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 방사체는 상기 외부 프레임 방사체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 지점을 제외한 영역에서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제3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제4 포인트에 타단이 결합되는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제3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접지에 결합되는 제1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제4 포인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접지에 결합되는 제2 임피던스 매칭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KR1020110109419A 2011-10-25 2011-10-25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KR101347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19A KR101347993B1 (ko) 2011-10-25 2011-10-25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CN2012103908936A CN103078175A (zh) 2011-10-25 2012-10-15 连接于终端壳体的天线
US13/659,599 US20130099984A1 (en) 2011-10-25 2012-10-24 Antenna combined with terminal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19A KR101347993B1 (ko) 2011-10-25 2011-10-25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08A true KR20130045008A (ko) 2013-05-03
KR101347993B1 KR101347993B1 (ko) 2014-01-08

Family

ID=4813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19A KR101347993B1 (ko) 2011-10-25 2011-10-25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99984A1 (ko)
KR (1) KR101347993B1 (ko)
CN (1) CN1030781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6392B (zh) * 2013-09-18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天线装置、电子设备和用于设置天线装置的方法
CN104752819B (zh) * 2013-12-31 2019-11-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CN104733831A (zh) * 2015-04-14 2015-06-24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wlan天线及其制造方法
CN110034402B (zh) * 2018-01-11 2021-11-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CN109659672B (zh) * 2018-12-12 2020-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CN111509374A (zh) * 2019-01-31 2020-08-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467B2 (ja) * 1996-06-17 1999-03-1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ループアンテナ
JP4510244B2 (ja) * 2000-07-19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3791923B2 (ja) * 2004-01-13 2006-06-2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端末
US7728785B2 (en) * 2006-02-07 2010-06-01 Nokia Corporation Loop antenna with a parasitic radiator
KR20080112502A (ko) * 2007-06-21 2008-12-2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다중대역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980218B1 (ko) * 2008-03-31 2010-09-0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다중 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을 지원하는 내장형 안테나
CN101557031B (zh) * 2008-04-10 2013-06-12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超宽频天线
JP5061031B2 (ja) * 2008-05-27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負荷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99984A1 (en) 2013-04-25
CN103078175A (zh) 2013-05-01
KR101347993B1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6752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0511081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JP6118889B2 (ja) 移動端末装置
KR101347993B1 (ko)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안테나
US10256525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0347969B2 (en) Mobile terminal with an antenna having multiple radiators
US10126780B2 (en) Slot antenna for a wearable device
CN109216874B (zh) 具有天线结构的可穿戴设备
US10389026B2 (en) Metal body antenna having loop type radiation elements
US10389025B2 (en) Metal body antenna having loop type radiation elements
US9786982B2 (en) Electronic device
US7656354B2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10116043B2 (en) Antenna module and wearable device using same
US11289797B2 (en) Electronic device
US20170034321A1 (en) Mobile Terminal
JP2017034652A (ja) 移動端末
US20160329627A1 (en) Embedded antenna
US2014037819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WI630755B (zh) 無線通訊裝置
US10431876B2 (en) Broadband antenna module for LTE
US1134919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tenna apparatus thereof
US9142890B2 (en) Antenna assembly
KR101156486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275770A (zh) 一种双频wifi环形天线及移动终端
CN108023183B (zh) 移动终端的天线结构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