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912A -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912A
KR20130044912A KR20110109262A KR20110109262A KR20130044912A KR 20130044912 A KR20130044912 A KR 20130044912A KR 20110109262 A KR20110109262 A KR 20110109262A KR 20110109262 A KR20110109262 A KR 20110109262A KR 20130044912 A KR20130044912 A KR 20130044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lture
culture apparatus
pass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0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109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912A/ko
Priority to US13/364,792 priority patent/US9163206B2/en
Publication of KR2013004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4Flat or tray type, dra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2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means provid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containing, or adapted to contain, solid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0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injection or suction, e.g. using pipettes, syringes, nee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양 장치는 일단에 토출 유로가 형성되는 제1배관; 일단에 흡입 유로가 형성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1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Petri apparatus and replacement method of culture medium}
본 발명은 배양 장치 및 이를 배양액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 또는 생체물질을 연속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의 각종 질병을 빠르게 진단하기 위한 바이오 의료장치 및 바이오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병원이나 연구소에서 장기간에 걸쳐 특정 질병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던 것을 단시간에 검사 결과를 보여 줄 수 있는 실험장치 및 기구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신약개발 및 신약에 대한 안정성 실험을 위해서는 세포의 배양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세포 배양은 일정한 체적을 갖는 배양기 또는 배양 접시에 세포와 세포 배양액을 주입하고 일정시간 동안 증식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여기서, 원활한 세포 배양을 위해서는 배양액을 일정주기로 교체해야 한다. 종래에는 실험자가 펌프를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을 자동으로 교체하고 있으나, 펌프 및 펌프 제어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으므로 여러 건의 배양 교체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펌프를 이용한 배양액 교체는 고가의 펌프와 제어기를 필요로 하므로, 규모가 작은 연구실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정량의 배양액을 교체할 수 있는 실험장치 또는 실험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배양액을 효과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배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양 장치를 이용하여 배양액을 효과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배양액 교체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는 일단에 토출 유로가 형성되는 제1배관; 일단에 흡입 유로가 형성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1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제1배관은 상기 제2배관보다 중력방향으로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에서 상기 제1배관의 수두(水頭)는 상기 제2배관의 수두(水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토출 유로는 상기 제1배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흡입 유로는 상기 제1배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제1배관의 타단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에서 상기 제1배관의 타단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타단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토출 유로와 상기 흡입 유로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토출 유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 유로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제1배관은 상기 제1배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제1배관은 복수의 토출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제2배관은 복수의 흡입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은 병렬 배치된 복수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액 교체 방법은 일단에 토출 유로가 형성되는 제1배관, 일단에 흡입 유로가 형성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1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포함하는 배양 장치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배관에 배양액을 주입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폐쇄하는 제3단계; 상기 배양 장치를 배양 접시에 배치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개방하는 제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양액 교체 방법은 다량의 배양액을 일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양 장치를 병렬로 배치하여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배양액의 교체작업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가의 정량 펌프와 제어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소형 연구실이나 대학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수의 배양 장치를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건의 배양액 교체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양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양 장치의 A- A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포 또는 신약이 첨가된 세포를 배양시키기 위해서는 배양액을 교체해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배양액은 실험자가 수작업으로 교체하거나 모터 및 제어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전자는 실험자가 수작업으로 배양액을 교체하므로, 정량의 배양액을 교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후자는 정량의 배양액을 교체할 수 있으나, 모터 및 제어장치의 설치를 위한 장소를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를 구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량의 배양액을 고가의 모터 및 제어장치 없이 교체할 수 있는 배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양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양 장치의 A- A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100)는 제1배관(10), 제2배관(20), 연결 유로(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관(10)은 대체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배관(10)은 지름이 D1이고 길이가 L1인 원통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배관(10)은 1회 투입할 배양액을 저장할 수 있는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배관(10)은 일단(12) 또는 타단(14)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첨부된 명세서에서는 제1배관(10)의 타단(14)이 개방된 형태이나, 필요에 따라 제1배관(10)의 일단(12)이 개방되고 타단(14)이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같은 형상의 제1배관(10)은 배양액 또는 배양 접시(200, 도 2 참조)에 주입할 제2유체(310; 예를 들어 신약 또는 새 배양액, 도 2 참조)를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제1배관(10)에 제2유체(310)가 주입되면,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은 실험자의 손가락 또는 기타 밀폐 부재에 의해 함께 폐쇄될 수 있다.
제1배관(10)은 토출 유로(16)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로(16)는 제1배관(10)의 일단(1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배관(10)의 일단(12)이 개방되고 타단(14)이 폐쇄된 형상일 경우에는, 제1배관(10)의 타단(14)에 토출 유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유로(16)는 제1배관(10)에서 하방(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토출 유로(16)는 제1배관(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토출 유로(16)의 끝은 제2배관(20)보다 아래쪽(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토출 유로(16)는 지름이 d1인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토출 유로(16)의 지름 d1은 제1배관(10)의 지름 D1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같은 형상의 토출 유로(16)는 제1배관(10)에 저장된 제2유체(310)를 배양 접시(200)로 배출하는 통로로써 이용될 수 있다.
제2배관(20)은 대체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배관(20)은 지름이 D2이고 길이가 L2인 원통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배관(20)은 1회 수거할 배양액을 저장할 수 있는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배관(20)의 지름 D2는 제1배관(10)의 지름 D1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2배관(20)의 길이 L2는 제1배관(10)의 길이 L1과 같거나 또는 길이 L1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배관(20)은 일단(22) 또는 타단(24)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첨부된 명세서에서는 제2배관(20)의 타단(24)이 개방된 형태이나, 필요에 따라 제2배관(20)의 일단(22)이 개방되고 타단(24)이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같은 형상의 제2배관(20)은 배양 접시(200)에 수용된 제1유체(300, 예를 들어 오래된 배양액)를 저장할 수 있다.
제2배관(20)은 흡입 유로(26)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유로(26)는 제2배관(20)의 일단(2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배관(20)의 일단(22)이 개방되고 타단(24)이 폐쇄된 형상일 경우에는, 제2배관(20)의 타단(24)에 흡입 유로(26)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유로(26)는 제2배관(20)에서 하방(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입 유로(26)는 제2배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흡입 유로(26)는 지름이 d2인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흡입 유로(26)의 지름 d2은 제2배관(20)의 지름 D2보다 작을 수 있고, 토출 유로(16)의 지름 d1과 같을 수 있다. 아울러, 흡입 유로(26)는 토출 유로(16)와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같은 형상의 흡입 유로(26)는 배양 접시(200)에 수용된 제1유체(300)를 제2배관(20)으로 흡입하는 통로로써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2배관(20)은 제1배관(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부연하면, 제2배관(20)은 토출 유로(16)와 흡입 유로(26)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제1배관(10)보다 아래쪽(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제2배관(20)은 제1배관(1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Z축 방향이 중력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제2배관(20)에 저장된 유체는 제1배관(10)에 저장된 유체보다 작은 수두(水頭)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배관(10)에 저장된 유체는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h1의 수두를 가질 수 있으며, 제2배관(20)에 저장되는 유체는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h2의 수도를 가질 수 있다.
연결 유로(30)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소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 유로(30)는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을 소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배관(10)의 내부에 저장된 기체 또는 유체는 연결 유로(30)를 통해 제2배관(2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배양 장치(100)를 이용한 배양액 교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배양액 교체 방법은 배양액 주입 단계, 배관(10, 20)의 폐쇄 단계, 배양 장치(100)의 배치 단계, 및 배관(10, 20)의 개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양액 주입 단계)
본 단계는 제1배관(10)에 제2유체(310)를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제2유체(310)는 제1배관(10)에 교체할 배양액 또는 배양 접시(200)에 투여할 신약 또는 기타 약물일 수 있다.
본 단계는 제1배관(10)에 주입되는 제2유체(310)가 토출 유로(16)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토출 유로(16)를 막은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는 제2유체(310)가 제1배관(10)의 타단(14)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제1배관(10)을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세운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배관의 폐쇄 단계)
본 단계는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을 폐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는, 본 단계는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연결 유로(30)를 폐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는, 본 단계는 제1배관(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기압상태가 되도록 조치하는 모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마개(4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개(40)는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에 끼워질 수 있다.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을 소통시키는 연결 유로(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을 폐쇄하면, 제1배관(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기압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토출 유로(16)를 개방하더라도, 제1배관(10)에 주입된 제2유체(310)가 토출 유로(16)를 통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단계를 수행하면, 제1배관(10)에 제2유체(310)가 채워진 상태에서도, 배양 장치(100)를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배치할 수 있다.
(배양 장치의 배치 단계)
본 단계는 배양 장치(100)를 배양 접시(200)에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배양 장치(100)는 토출 유로(16)와 흡입 유로(26)가 배양 접시(200)의 제1유체(300)에 모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유로(16)와 흡입 유로(26)는 모두 개방된 상태이므로, 제1유체(300) 또는 제2유체(310)가 이들 유로(16, 26)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배관의 개방 단계)
본 단계는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을 개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본 단계는 마개(40)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마개(40)를 제거하면,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에서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해질 수 있다. 그러면 제1배관(10)에 저장된 제2유체(310)에 대기압이 가해지므로, 제1배관(10)의 제2유체(310)는 토출 유로(16)를 통해 배양 접시(200)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배관(20)에 저장된 유체(즉, 기체)는 제1배관(10)의 내부공간을 채우기 위해 연결 유로(30)를 통해 제1배관(10)으로 이동되므로, 제2배관(20)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아질 수 있다. 그러면 배양 접시(200)의 제1유체(300)가 제2배관(20)의 압력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흡입 유로(26)를 통해 제2배관(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배관(10)의 제2유체(310)가 배양 접시(200)로 유입과 배양 접시(200)의 제2유체(300)가 제2배관(20)으로 유입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는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정량의 유체(즉, 배양액)가 교체될 수 있으므로, 소규모의 실험실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단계 중에서 배관의 폐쇄 및 개방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즉, 배양액 주입 단계 후 소량의 배양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배양 장치의 배치 단계를 수행하여 곧바로 배양액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를 설명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100)는 토출 유로(16)의 끝과 흡입 유로(26)의 끝이 거리(L3)를 두고 배치된 점에서 제1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토출 유로(16)를 통해 배출되는 제2유체(310)가 흡입 유로(26)를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토출 유로(16)와 흡입 유로(26)를 이격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토출 유로(16)와 흡입 유로(26)의 이격 거리 L3는 제1배관(10)에 저장되는 제2유체(310)의 유량 또는 배양 접시(2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를 설명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100)는 토출 유로(16)의 끝과 흡입 유로(26)의 끝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토출 유로(16)의 끝과 흡입 유로(26)의 끝을 소정의 높이 차이(h3)로 배치하여, 토출 유로(16)를 통해 공급되는 제2유체(310)가 흡입 유로(26)를 통해 흡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토출 유로(16)의 끝이 흡입 유로(26)의 끝보다 높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교체 또는 주입되는 제2유체(310)의 물리적 특성(비중, 점도 등)에 따라 토출 유로(16)의 끝이 흡입 유로(26)의 끝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를 설명한다.
제4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100)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이 일체로 형성된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즉, 제4실시 예의 배양 장치(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원통형 부재(102)에 칸막이(104)를 형성하여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칸막이(104)는 제1배관(10)의 타단(14)과 제2배관(20)의 타단(24)이 소통할 수 있도록 배관(10, 2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출 유로(16)와 흡입 유로(26)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실시 예의 토출 유로(16)와 흡입 유로(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일단에 결합하는 보조 마개(42)에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 예는 배관(10, 20)과 유로(16, 26)를 개별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배양 장치(100)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를 설명한다.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100)는 제1배관(10)이 제2배관(2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서 제1배관(10)을 관통하는 제1축(C1)과 제2배관(20)을 관통하는 제2축(C2)은 소정의 각(θ)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배관(10)의 유체가 토출 유로(16)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관(10)의 타단(14)은 제1배관(10)의 일단(1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배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연결 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를 설명한다.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양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배관(10)과 다수의 제2배관(20)이 병렬로 배치된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배관(10)과 각각 제2배관(20)은 제2연결 부재(52)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는 다량의 배양액을 교체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배양 접시(200)의 배양액을 동시에 일괄적으로 교체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양 장치
10 제1배관 12 (제1배관의) 일단
14 (제1배관의) 타단 16 토출 유로
20 제2배관 22 (제2배관의) 일단
24 (제2배관의) 타단 26 흡입 유로
30 연결 유로 40 마개

Claims (17)

  1. 일단에 토출 유로가 형성되는 제1배관;
    일단에 흡입 유로가 형성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1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
    를 포함하는 배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은 상기 제2배관보다 중력방향으로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배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의 수두(水頭)는 상기 제2배관의 수두(水頭)보다 큰 배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로는 상기 제1배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는 상기 제1배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제1배관의 타단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연결하는 배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의 타단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배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의 타단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배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로와 상기 흡입 유로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배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 유로보다 높게 위치되는 배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은 일체로 형성되는 배양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은 상기 제1배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양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은 복수의 토출 유로를 구비하는 배양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관은 복수의 흡입 유로를 구비하는 배양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은 병렬 배치된 복수의 배관을 포함하는 배양 장치.
  16. 일단에 토출 유로가 형성되는 제1배관, 일단에 흡입 유로가 형성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1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포함하는 배양 장치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배관에 배양액을 주입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폐쇄하는 제3단계;
    상기 배양 장치를 배양 접시에 배치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개방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배양액의 교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다량의 배양액을 일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양 장치를 병렬로 배치하여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하는 배양액의 교체 방법.
KR20110109262A 2011-10-25 2011-10-25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 KR20130044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9262A KR20130044912A (ko) 2011-10-25 2011-10-25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
US13/364,792 US9163206B2 (en) 2011-10-25 2012-02-02 Culture apparatus and method of replacing cultur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9262A KR20130044912A (ko) 2011-10-25 2011-10-25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12A true KR20130044912A (ko) 2013-05-03

Family

ID=4813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09262A KR20130044912A (ko) 2011-10-25 2011-10-25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63206B2 (ko)
KR (1) KR201300449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2090B (zh) * 2020-12-04 2021-07-02 潘国红 一种用于生物培养皿的培养液自动注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354B2 (ja) * 2000-03-02 2007-01-10 高木産業株式会社 細胞又は組織の培養方法
US6906164B2 (en) * 2000-12-07 2005-06-14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rocess using a pipe reactor
JP2006174828A (ja) * 2004-11-29 2006-07-06 Olympus Corp 生体試料培養観察システム、インキュベータボックス、供給手段、および培養容器
AT506826B1 (de) * 2008-05-23 2010-03-15 Greiner Bio One Gmbh Bioreaktor und verfahren zum kultivieren von zellen und gewe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02068A1 (en) 2013-04-25
US9163206B2 (en)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9112B2 (en) Multi-reactor unit for dynamic cell culture
JP7003086B2 (ja) 細胞培養装置相互接続および流体装置相互接続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293900B2 (ja) 培養装置、これを用いた培養方法及び細胞凝集塊の選別方法
CN102512723B (zh) 自排气防气泡输液器
EP26235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replacement of culture medium and performing toxicity assays on live cells
JP5283708B2 (ja) 細胞培養フラスコ及びこれを備えた細胞培養装置
WO2016064757A1 (en) Modular microfluidic system for perfused cell culture
CN110372761B (zh) 一种无气味扩散且结构紧凑的dna合成仪
EP2975110A1 (en) Cell culture device
CN202994647U (zh) 一种显微镜用多通道流动样品池
KR20130044912A (ko) 배양 장치 및 배양액 교체 방법
JP5849470B2 (ja) 培地供給装置、顕微鏡システム
CN107158464A (zh) 一种自动补液式脱细胞系统
CN207391419U (zh) 细胞培养液用无菌取样装置
WO2016174724A1 (ja) 流路ユニット及び培養装置
US20180252208A1 (en) 3d cell washer
US20190224666A1 (en) Dispensing Cylinder, and Dispensing Device and Dispensing Treatment Method Using Same
CN107586717B (zh) 一种细胞培养袋与培养液瓶的连接装置
CN203598812U (zh) 全自动多通道开放灌流系统
CN205133577U (zh) 一种仿血管流动腔
CN105343960A (zh) 一种全自动输液装置
JP6551504B2 (ja) 培地供給装置
CN205133578U (zh) 一种独立腔室的血管流体平台
JP2020512844A (ja) 液状試料の処理方法
CN104353512B (zh) 一种全包围式水浴循环恒温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