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903A -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903A
KR20130044903A KR1020110109249A KR20110109249A KR20130044903A KR 20130044903 A KR20130044903 A KR 20130044903A KR 1020110109249 A KR1020110109249 A KR 1020110109249A KR 20110109249 A KR20110109249 A KR 20110109249A KR 20130044903 A KR20130044903 A KR 20130044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content
content
augmented
broadcast
meta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053B1 (ko
Inventor
김순철
하정락
김정학
김승철
최범석
정영호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0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053B1/ko
Priority to US13/530,323 priority patent/US8893176B2/en
Publication of KR2013004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방송 콘텐츠의 등장 인물의 말 풍선 이미지를 시청자의 선택과 취향에 따라 제공하거나 배경 음악에 대한 악보 이미지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방송 콘텐츠 상에서 말 풍선 또는 악보가 표시될 특정 공간 및 시간을 지정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방송 콘텐츠를 다중화하여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다중화 방송 서버,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대사에 상응하는 상기 말 풍선 또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악에 상응하는 상기 악보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말 풍선 또는 상기 악보를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공간 및 시간에 표시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청자의 방송프로그램 참여도를 높이고 방송프로그램의 수익 모델을 확장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Description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SYSTEM OF PROVIDING SPEECH BUBBLE OR SCORE, METHOD OF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콘텐츠의 내용에 상응하는 말 풍선 또는 악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과 통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통 융합 구조가 활성화됨으로써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증강 콘텐츠(Augmented Contents)를 결합하여 증강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증강 방송 서비스는 기존 TV 시청자가 방송사가 송출하는 방송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제공받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방송 콘텐츠와 증강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융화시켜 시청자의 현실감 및 생동감을 높이고 선택적 서비스 수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이다. 즉, 기존의 디지털방송에서는 방송사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서비스를 그대로 수신하여 시청하거나 데이터 방송을 위해 제공되는 부가정보 서비스를 제한적인 선택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자막방송 서비스는 방송사가 제작하여 송출되는 문자 형태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그래픽 이미지를 사용자의 선택권이 없이 그대로 시청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자막방송은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문자 방송 서비스와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말 풍선 그래픽 서비스와 같이 오디오 정보를 시각 정보로 변환하여 방송단에서 제작되어 수신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는 시청자의 습관이나 선호도와 무관하게 일괄적으로 송출됨으로써 이와 같은 형태의 서비스를 원하지 않은 시청자들에게는 TV 시청에 방해되는 요소로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자막방송 서비스에서 한국어, 일어, 영어 등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언어로 제공되거나 시청 지역에 특화된 자막 방송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종래의 기술에서는 데이터 송출을 위한 방송 대역폭의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이처럼, 디지털방송에서 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일방적으로 방송프로그램 내 자막 서비스를 삽입하여 제공함으로써 밋밋하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방식을 탈피하고, 시청자가 자막 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 등장인물(배우나 캐릭터)의 대화 내용이나 생각, 그리고 배경음악, 노래 등과 같은 오디오 정보를 말 풍선 이미지(배우의 주고받는 대화를 풍선 모양에 삽입) 혹은 음악 악보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청자에게 시각적으로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증강 방송이란 기존 TV 시청자가 방송사가 송출하는 방송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제공받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방송 콘텐츠와 증강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융화시켜 시청자의 현실감 및 몰입감을 높이고 선택적 서비스 수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증강방송 기술을 활용하여 단방향 방송서비스에서의 자막방송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청자에게는 직관적이고 세련된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 특허 10-2009-0020786 ("캡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엘지전자 주식회사, 2009.02.27 공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콘텐츠의 등장 인물의 말 풍선 이미지를 시청자의 선택과 취향에 따라 제공하거나 배경 음악에 대한 악보 이미지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콘텐츠의 등장 인물의 말 풍선 이미지를 시청자의 선택과 취향에 따라 제공하거나 배경 음악에 대한 악보 이미지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 풍선 또는 악보 제공 시스템은 방송 콘텐츠 상에서 말 풍선 또는 악보가 표시될 특정 공간 및 시간을 지정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방송 콘텐츠를 다중화하여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다중화 방송 서버,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대사에 상응하는 상기 말 풍선 또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악에 상응하는 상기 악보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말 풍선 또는 상기 악보를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공간 및 시간에 표시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은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가 다중화된 방송 스트림을 다중화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말 풍선 또는 악보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말 풍선 또는 상기 악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콘텐츠 및 말 풍선, 또는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악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동기화된 방송 콘텐츠 및 말 풍선, 또는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악보를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증강 콘텐츠 위치정보,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 프레임 내 노출 위치, 노출 시간, 또는 증강 콘텐츠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 풍선의 모양, 색상, 애니메이션, 글자체, 또는 자막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 단계 및 상기 말 풍선 또는 상기 악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증강 콘텐츠 수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은 수신 장치로부터 말 풍선 또는 악보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해석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말 풍선 또는 악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한 말 풍선 또는 악보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구성 설정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말 풍선 또는 악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말 풍선 또는 악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말 풍선 또는 악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말 풍선 또는 악보를 수정하여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말 풍선 또는 악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말 풍선 또는 악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말 풍선 또는 악보 제공 시스템,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시청자의 선택과 취향에 따라 방송 콘텐츠의 등장 인물의 말 풍선 이미지를 제공하거나 배경 음악에 대한 악보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방송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시청자가 이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를 통해 TV 시청에 현실감 있게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방송사는 시청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보다 향상된 시청 효과를 통해 광고 수익을 높일 수 있으며, 증강 방송 자막 서비스 제공자는 차별화된 자막 서비스를 구성하여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광고, 장애인 방송을 위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될 산업 분야로는 방송사업자, 광고사업자, 콘텐츠 사업자 등 방송 콘텐츠가 적용되는 전반적인 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기존에 방송사에서 장애인을 위한 자막 서비스나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말 풍선 효과를 일방적으로 제공했던 방식을 탈피하고, 사용자가 자막 서비스를 원하는 시점과 다양한 표현 방법을 선택하여 방송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교육 목적으로 외국어를 공부하고자 하는 시청자들에게 뉴스나 드라마의 대사 내용을 영어, 일어, 중국어 등의 부가적인 언어 서비스로서 화면에 표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청자의 방송프로그램 참여도를 높이고 방송프로그램의 수익 모델을 확장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의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단말 수신 단을 중심으로 표시한 절차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방송사에서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증강 방송을 위한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 콘텐츠 내 등장 인물(배우나 객체)의 대화나 생각 등을 표현하는 시점(time)과 위치(position), 증강 콘텐츠 위치정보(URL) 등을 포함하는 증강 방송 메타데이터를 생성(S11)한다. 이후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 장치로 전송(S14)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는 다중화(multiplexing)하여 내보낼 수 있다(S13).
수신 장치는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전송된 증강 방송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시청자의 자막서비스 구성설정 정보가 존재하면 시청자로부터 증강 방송 자막 서비스 요청을 수신(S15)한다.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자막 서비스가 가능한 증강 콘텐츠 요청을 보낸다(S16).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수신(S12)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증강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에 상응하여, 수신 장치로 온라인 증강 콘텐츠를 전송(S17)한다. 상기 온라인 증강 콘텐츠는 시청자의 취향을 반영한 말 풍선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증강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방송 콘텐츠의 방송영상과 증강 콘텐츠의 말 풍선 이미지를 합성하여 동기화(S18)하고, 이를 TV 화면에 출력(S19)한다. 시청자는 더 이상 증강방송 자막서비스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중지 요청을 보내 TV 화면에 말 풍선 이미지를 제거할 수도 있다.
뉴스나 시사토론과 같은 실시간 방송 콘텐츠인 경우 시청자는 TV 시청 도중 TV화면에 증강방송 자막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 수신 요청(S15)을 보낸다. 수신 장치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자막 데이터를 증강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영상의 적정한 위치에 표시한다. 드라마나 오락과 같은 기 제작된 방송 콘텐츠인 경우, 자막서비스를 위한 증강방송 어플리케이션이 관련 증강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미리 다운로드하여 단말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이 때, 시청자는 자막서비스에 대한 구성설정(말 풍선 모양, 색상, 애니메이션, 글 폰트, 자막 언어)을 설정할 수 있다.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도 2는 상기 도 1의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 풍선 또는 악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 요소별로 명확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방송 콘텐츠 상에서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가 표시될 특정 공간 및 시간을 지정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 장치(400)로 전송하는 서버(200),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대사에 상응하는 상기 말 풍선 또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악에 상응하는 상기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수신 장치(400)로 전송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300)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를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공간 및 시간에 표시하는 수신 장치(400)를 포함한다.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기 제작된 방송 콘텐츠 중, 말 풍선 또는 악보를 제공할 방송 콘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상에서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가 표시될 특정 공간 및 시간을 지정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말 풍선으로 표시되는 대사 또는 생각의 주체와 상기 말 풍선이 연관성을 갖고, 시청자가 말 풍선의 주체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위치를 선정한다.
메타데이터가 생성되면,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300)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에 표현될 증강 콘텐츠를 미리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200)는 상기 메타데이터 및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여 수신 장치(400)로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상기 메타데이터는 다중화하여 전송될 수 있다.
수신 장치(400)는 상기 메타데이터 및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상기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증강 콘텐츠를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공간 및 시간에 표시하여, 시청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는 세련된 말 풍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은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310), 상기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330),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350),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S360) 및 상기 동기화된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단계(S37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시청자가 자막서비스에 대한 구성설정(말 풍선 모양, 색상, 애니메이션, 글 폰트, 자막 언어)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 설정 정보 생성 단계(S320) 및 구성 설정 정보를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310)는 말 풍선이 표시될 방송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 상에서 말 풍선이 표시될 영역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증강 콘텐츠 위치정보,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 프레임 내 노출 위치, 노출 시간, 또는 증강 콘텐츠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증강 콘텐츠 위치정보는 수신 장치가 증강 콘텐츠를 요청할 증강 콘텐츠 요청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의미하며 인터넷 망을 통한 경우 URL, URI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은 상기 방송 콘텐츠 상에서 상기 말 풍선이 표시될 프레임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프레임 정보는 말 풍선이 표시되기 시작되는 프레임부터 말 풍선의 표시가 종료되는 프레임까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별도의 프레임 식별 부호를 이용하지 않고 방송 콘텐츠의 시작 후 경과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프레임 내 노출 위치는 상기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이 지칭하는 프레임 상에서 화면의 어느 위치에 증강 콘텐츠가 표시되는지 여부를 특정할 수 있다. 노출 시간은 상기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에서 증강 콘텐츠의 표시가 시작되는 프레임만을 특정한 경우 그 프레임으로부터 증강 콘텐츠의 표시가 유지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증강 콘텐츠 식별값은 상기 말 풍선 또는 악보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한 값을 의미한다. 다수의 방송 콘텐츠와 다수의 증강 콘텐츠가 존재하므로 방송 콘텐츠와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적절히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증강 콘텐츠들을 상호 구별할 수 있는 식별값을 부여한다.
시청자의 취향과 요구에 맞는 말 풍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청자로 하여금 말 풍선의 특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설정 정보를 생성(S320)한다. 상기 구성 설정 정보는 말 풍선의 모양, 색상, 애니메이션, 글자체, 또는 자막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말 풍선의 모양은 구름 모양,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모양 또는 별 모양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색상 또한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말 풍선의 모양이 변화한다거나 말 풍선 내부에서 이모티콘이 움직이는 등의 애니메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말 풍선 내부에 표현되는 글씨의 글자체 또한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글자체에 대한 폰트는 수신 장치 또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거나 별도의 서버에서 추가 폰트를 다운로드하여 설정할 수 있다. 추가 폰트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폰트를 전송할 수 있다. 자막 언어는 영어, 한국어, 일어 또는 중국어 등과 같이 표시되는 언어를 시청자의 요구에 맞게 설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330) 및 상기 생성한 구성 설정 정보를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340)가 진행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S350)한다. 여기서,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 단계(S330) 및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350)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증강 콘텐츠 수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와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였으므로, 이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진행한다. 먼저, 상기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동기화(S360)한다. 이후 상기 동기화된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단계(S370)를 진행한다. 수신 장치는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직접 표시할 수 있고, 별도의 출력 장치로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의 출력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은 수신 장치로부터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410),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해석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30) 및 상기 검색한 증강 콘텐츠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말 풍선에 관한 구성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30)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 장치가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수신 장치가 수신한 방송 콘텐츠와 상응하는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S410)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는 시청자의 취향과 요구에 맞는 말 풍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청자로 하여금 말 풍선의 특징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말 풍선의 모양, 색상, 애니메이션, 글자체, 또는 자막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 설정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수신(S420)한다.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 및 구성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서 정의한 시청자의 취향과 요구에 맞는 말 풍선 또는 악보를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저장부에서 검색한다.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서버(200)에서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서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을 만족하는 증강 콘텐츠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한다. 다만, 색상이나 글자체 변경, 모양 변경 등과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미리 모든 설정에 대한 증강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음으로써, 증강 콘텐츠 제작에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저장부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증강 콘텐츠 검색 단계(S430)에서 검색한 결과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증강 콘텐츠를 수신 장치로 전송(S450)하고,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정하여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450)는 상기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성 설정 정보는 분홍색 바탕을 띄는 구름 모양의 말 풍선을 제공할 것을 지시하고 있으나, 증강 콘텐츠 검색 결과 흰색 바탕을 띄는 구름 모양의 말 풍선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흰색 바탕의 구름 모양 말풍선을 수정하여 분홍색 바탕의 구름 모양 말 풍선을 생성하고, 이를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 장치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방송망 수신부(510), 상기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망 접속부(520),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540) 및 상기 동기화된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550)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증강 콘텐츠 위치정보,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 프레임 내 노출 위치, 노출 시간, 또는 증강 콘텐츠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 풍선의 모양, 색상, 애니메이션, 글자체, 또는 자막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 설정 정보 생성부(5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망 접속부(520)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은 상기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는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620),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610),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해석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 콘텐츠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제어부(630) 및 상기 검색한 증강 콘텐츠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610)는 구성 설정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630)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 콘텐츠를 상기 저장부(620)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정하여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증강 콘텐츠 생성부(6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640)는 상기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 실시예 )
도 7은 도 1의 말 풍선 또는 악보 제공 시스템을 단말 수신 단을 중심으로 표시한 절차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단말 수신 단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술한다.
먼저, 방송사는 방송망을 통한 증강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증강방송 서버(701)와 EPG 서버(702)를 운영한다. 증강방송 서버(701)는 동영상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동영상 프로그램과 연동한 증강 콘텐츠를 기술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방송사가 송출하고 있는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EPG 서버(702)는 증강방송 프로그램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 단말에게 제공한다. 증강방송 서버에서 송출되는 동영상 프로그램과 EPG 서버에서 송출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는 함께 믹스되어 방송망을 통해 수신 단말에게 전달된다. 수신 단말은 이렇게 전달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를 A/V, EPG 정보, 증강 메타데이터로 분리한다(704). EPG 정보에 포함된 증강방송 채널 정보는 증강 콘텐츠 다운로드 관리자에 의해 참조된다(705). 이 정보를 토대로 온라인(인터넷망)에 위치한 증강방송 콘텐츠 서버(703)에 접속하여 증강 자막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707), 이를 단말의 저장소에 저장해 놓는다(708). 증강 콘텐츠 다운로드 관리자는 수신 단말에 내장된 브라우저에 의해 수행되거나, 별도의 TV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수신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시청자가 수신 단말을 통해 증강방송을 이용하게 되면, 단말은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증강 메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해석하게 된다(706). 증강 메타데이터를 통해 해석된 정보는 동영상 프로그램 내 증강 콘텐츠가 위치하게 될 정보로서, 기본적으로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 프레임 내 노출 위치, 노출 시간, 증강 콘텐츠 식별값 등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메타데이터 내 속성 정보와 증강 자막 콘텐츠를 사용하여 동영상 프로그램 내에서 동기화를 이룬다(709). 동기화된 방송프로그램은 TV 화면을 통해 출력되고, 시청자는 방송 프로그램 내 배우의 모습에 말 풍선이미지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100 :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200 : 서버
300 :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400 : 수신 장치
510 : 방송망 수신부 520 : 통신망 접속부
530 : 구성 설정 정보 생성부 540 : 동기화부
550 : 출력부
610 : 수신부 620 : 저장부
630 : 제어부 640 : 전송부
650 : 증강 콘텐츠 생성부

Claims (15)

  1.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증강 콘텐츠 위치정보,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 프레임 내 노출 위치, 노출 시간, 또는 증강 콘텐츠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 풍선의 모양, 색상, 애니메이션, 글자체, 또는 자막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 단계 및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증강 콘텐츠 수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5. 수신 장치로부터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해석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한 증강 콘텐츠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구성 설정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정하여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8.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방송망 수신부;
    상기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망 접속부;
    상기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된 방송 콘텐츠 및 증강 콘텐츠를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증강 콘텐츠 위치정보, 동영상 프레임 식별값, 프레임 내 노출 위치, 노출 시간, 또는 증강 콘텐츠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말 풍선의 모양, 색상, 애니메이션, 글자체, 또는 자막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 설정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망 접속부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접속부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증강 콘텐츠 수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2.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요청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을 해석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 콘텐츠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한 증강 콘텐츠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구성 설정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 콘텐츠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성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정하여 상기 구성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증강 콘텐츠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15. 방송 콘텐츠 상에서 말 풍선 및 악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가 표시될 특정 공간 및 시간을 지정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대사에 상응하는 상기 말 풍선 또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악에 상응하는 상기 악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증강 콘텐츠를 상기 방송 콘텐츠의 특정 공간 및 시간에 표시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말 풍선 또는 악보 제공 시스템.





KR1020110109249A 2011-10-25 2011-10-25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86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49A KR101869053B1 (ko) 2011-10-25 2011-10-25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13/530,323 US8893176B2 (en) 2011-10-25 2012-06-22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ing cont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49A KR101869053B1 (ko) 2011-10-25 2011-10-25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03A true KR20130044903A (ko) 2013-05-03
KR101869053B1 KR101869053B1 (ko) 2018-06-21

Family

ID=4813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249A KR101869053B1 (ko) 2011-10-25 2011-10-25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93176B2 (ko)
KR (1) KR101869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9178B (en) * 2012-12-24 2015-10-14 Canon Kk Method for transmitting metadata documents associated with a video
JP6373560B2 (ja) * 2013-06-12 2018-08-15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出力データ提供サーバ、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出力データ提供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950254B2 (en) * 2018-10-25 2021-03-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ducing comprehensible subtitles and captions for an effective group viewing experie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183A (ko) * 2002-09-30 2004-04-03 김문종 온라인 자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78221A1 (en) * 2003-09-26 2005-04-14 Koji Kobayashi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contents with balloon captions,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same, apparatus for playing back the same,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and data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in
KR20090020786A (ko)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90150951A1 (en) * 2007-12-06 2009-06-11 At&T Knowledge Ventures, L.P. Enhanced captioning data for use with multimedia content
KR100930305B1 (ko) * 2007-07-09 2009-12-08 손동수 쌍방향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0555B1 (en) * 1996-03-29 2001-05-2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teractive content together with continuous video programs
AU2003206009A1 (en) * 2002-03-21 2003-10-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lingual closed-captioning
US7958505B2 (en) * 2003-06-20 2011-06-07 Ericsson Tele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software for a host device in a cable system
KR100641606B1 (ko) 2004-07-01 2006-11-02 주식회사 이루온 자막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50101A1 (en) 2007-04-05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edia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KR20100119098A (ko) 2009-04-30 2010-11-09 신현덕 콘텐츠 제작 툴을 활용한 카툰의 재가공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183A (ko) * 2002-09-30 2004-04-03 김문종 온라인 자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78221A1 (en) * 2003-09-26 2005-04-14 Koji Kobayashi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contents with balloon captions,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same, apparatus for playing back the same,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and data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in
KR100930305B1 (ko) * 2007-07-09 2009-12-08 손동수 쌍방향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0786A (ko)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90150951A1 (en) * 2007-12-06 2009-06-11 At&T Knowledge Ventures, L.P. Enhanced captioning data for use with multimedia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93176B2 (en) 2014-11-18
US20130104165A1 (en) 2013-04-25
KR101869053B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270B2 (en) Content receiv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in translated and/or audio form
US9131280B2 (en) Customizing the display of information by parsing descriptive closed caption data
US20090172512A1 (en) Screen generating apparatus and screen layout sharing system
EP2974341B1 (en) Using an audio stream to identify metadata associated with a currently playing television program
KR20110062982A (ko)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요약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제공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US20020004839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browser during a transmission of a multimedia stream over an internet connection so as to create a synchronized convergence platform
KR101899588B1 (ko) 수어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방송방법
US20120084825A1 (en) Provisioning an enhanced television (etv) application
US20140208351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server
JPH11103452A (ja) インタラクティブ番組における対話及び画面制御方法
US90084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2231383A (ja) Iptvサービスを利用した情報表示制御装置、表示用情報提供サーバ、情報表示制御方法、情報配信方法、情報表示制御用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配信用プログラム
KR20130032653A (ko) 동영상 자막을 키워드로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37387A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system therefor
KR101869053B1 (ko)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8941688B2 (en)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method of registering augmented content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system for providing targeting augmented contents
US20080256169A1 (en) Graphics for limited resolution display devices
KR20180122040A (ko)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WO2009031137A2 (en) Compact graphics for limited resolution display devices
US10796089B2 (en) Enhanced timed text in video streaming
US20080172709A1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broadcast content service an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 broadcast content
KR100854716B1 (ko) 시각정보의 음성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2655A (ko) 검색을 이용한 수화 방송 장치 및 방법
EP220404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resentation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WO2015144248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automatic subtitle gener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