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584A - 조립식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584A
KR20130044584A KR1020110108719A KR20110108719A KR20130044584A KR 20130044584 A KR20130044584 A KR 20130044584A KR 1020110108719 A KR1020110108719 A KR 1020110108719A KR 20110108719 A KR20110108719 A KR 20110108719A KR 20130044584 A KR20130044584 A KR 20130044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pin
seating groov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989B1 (ko
Inventor
최길용
Original Assignee
최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용 filed Critical 최길용
Priority to KR102011010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9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 완구는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판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홈과, 관통홀의 타측면에서 핀홈의 측부에 인접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판면에 배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축과, 상기 핀홈을 통해 관통홀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블록과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의 삽입축이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와 단위블록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고정핀이 안착홈에 안착되어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 완구{Assembling block toy}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럭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럭을 조립하여 임의의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조립식 블럭완구 세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블럭 완구 세트는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고, 조립한 조형물을 다시 분해한 뒤 다른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등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어린이의 창작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두뇌활동과 지능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자의 설계능력과 상상력에 따라 얼마든지 난이도가 높은 조형물의 제작이 가능하여 유아기와 미취학 아동뿐만 아니라 초등학생 및 중학생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결부재를 통해 블록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조립식 블록 완구가 미국 특허 제5,645,464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조립식 블록 완구는 중공형이고, 원형 개구가 있는 벽과, 상기 개구에 리세스되어 있는 플랜지와, 중앙 구멍 및 상기 구멍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멍과 협동하는 두 개 이상의 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두 개 이상의 홀 각각은, 2개의 완구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반원형 노브를 지지하는, 반원통형 탄성 서포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5,645,464호는 상기 유지 노브 수단을 사용하여 완구 블록들을 체결하여 서로 연결하는 스위치 록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록은 강직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대향측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샤프트를 포함한다. 각 샤프트는 상기 구멍과, 상기 노브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완구 블록벽 내의 상기 개구의 상기 홀에 조립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 유지 수단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록의 헤드부는 연결된 블록들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블록 완구는 블록간의 연결상태가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므로 길이가 긴 형상의 구조물을 조립하는 경우, 자체 하중에 의해 블록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5,645,464호 (1997.06.0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럭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걸림턱이 홈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결합위치가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딸깍거리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딸깍거리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가 결합완료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합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핀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걸림턱과 고정핀 사이에 체결부가 탄력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고정상태에서 연결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체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안착홈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삽입축이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판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홈과, 관통홀의 타측면에서 핀홈의 측부에 인접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판면에 배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축과, 상기 핀홈을 통해 관통홀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블록과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의 삽입축이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와 단위블록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고정핀이 안착홈에 안착되어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여기서,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는 핀홈을 관통한 고정핀이 안착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의 타측에는 안착홈에 안착된 고정핀이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핀홈과 안착홈의 사이각은 45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삽입축의 후단부에 관통홀의 일측면 주변에 접촉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걸림턱과 고정핀의 사이거리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과 안착홈의 저부의 사이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관통홀의 일측면 전방에 상기 걸림턱이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럭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또한, 걸림턱이 홈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결합위치가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딸깍거리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딸깍거리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가 결합완료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합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또한, 핀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걸림턱과 고정핀 사이에 체결부가 탄력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고정상태에서 연결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체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또한, 안착홈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삽입축이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결합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1단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1단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2단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2단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 완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의 배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는 단위블록(110)과, 단위블록(110)의 판면에 형성되는 체결부(120)와, 상기 체결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위블록(11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판면의 대략 중앙에 체결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0)는 단위블록(110)의 판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21)과, 관통홀(121)의 내주면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핀홈(122)과, 관통홀(121)의 타측면에서 핀홈(122)의 측부에 인접 배치되는 안착홈(123)과, 상기 안착홈(123)의 일측에서 안착홈(123)과 핀홈(122)을 연결하는 경사면(124)과, 상기 안착홈(123)의 타측에서 안착홈(123)에 안착된 고정핀(132)이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퍼(125)와, 관통홀(121)의 일측면 전방에 관통홀(121)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홈부(126)를 포함하며, 상기 핀홈(122)과 안착홈(123)의 사이각은 45도로 설정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체결부(120)의 관통홀(121)에 삽입되는 삽입축(131)과, 상기 체결부(120)의 핀홈(122)으로 삽입되도록 삽입축(131)의 선단부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고정핀(132)과, 상기 양단의 삽입축(131)의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121)의 일측면 주변에 접촉하는 걸림턱(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걸림턱(133)의 두께는 체결부(120)의 홈부(126)의 깊이의 2배 정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133)과 고정핀(132)의 사이거리는 관통홀(121)의 일측면과 안착홈(123)의 사이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단위블럭들이 연결부재(130)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30)가 한 쌍의 단위블럭을 밀착상태로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연결부재(13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단위블록(110)들을 관통한 상태에서 말단부가 단위블록(110)의 체결부(1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조립식 블록 완구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1단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1단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2단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B'선 확대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단위블록(110)과 연결부재(130)의 체결을 위해, 단위블록(110)의 양면 중 홈부(126)가 형성된 측에서 관통홀(121)과 연결부재(130)를 나란하게 배치한 다음,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체결부(120)의 핀홈(122)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도록 삽입위치를 조절한다.
이어서, 도 6와 같이 연결부재(130)의 삽입축(131)이 단위블록(110)의 체결부(120)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21)에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밀어넣으면 1단계 결합상태가 되며, 삽입축(131)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33)이 체결부(120)의 홈부(126)에 안착되면서 삽입축(131)의 삽입위치가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120)재의 관통홀(121)에 연결부재(130)의 삽입축(131)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관통홀(121)의 내주면에 형성된 핀홈(122)을 관통하여 관통홀(121)의 타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체결부(120)의 관통홀(121)에 형성된 핀홈(122)을 관통한 상태에서는, 핀홈(122)의 일측에 경사면(124)과 안착홈(123)과 스토퍼(125)가 순서대로 형성되고, 핀홈(122)의 타측에는 인접 핀홈(122)의 스토퍼(125)가 배치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연결부재(130)와 단위블록(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핀홈(122)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24)을 경유하여 안착홈(123)에 안착되면서 단위부재와 연결부재(130)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때, 걸림턱(133)이 홈부(126)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핀(132)이 핀홈(122)을 관통한 상태(a)에서, 연결부재(130)를 고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핀(132)이 경사면(124)을 따라 상승(b)하였다가 안착홈(123)으로 안착(c)되면서(도 10참조) 결합위치가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딸깍거리는 소리가 발생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딸깍거리는 소리를 통해 결합완료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합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핀홀(122)을 관통한 고정핀(132)이 경사면(124)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123)으로 안착되면서 걸림턱(133)과 고정핀(132) 사이에 체결부(120)가 끼어 결합상태가 유지되므로 고정상태에서 연결부재(1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며, 체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안착홈(123)의 경사면(124)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스토퍼(125)가 돌출 형성되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25)는 인접 핀홈(122)과 안착홈(123)의 사이영역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단위블록(110)의 관통홀(121)에 연결부재(130)의 삽입축(131)이 삽입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핀(132)이 스토퍼(125)에 접촉하게 되면서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핀홈(122)과 안착홈(123)은 사이각이 45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재(130)를 45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핀홈(122)을 관통한 고정핀(132)이 안착홈(123)으로 안착되면서 단위블록(110)과 연결부재(13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단위블록(110)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양측에 배치된 단위블록(110)의 체결홈으로 연결부재(130)의 삽입축(131)을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한 쌍의 단위블록(110)을 잡고 결합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단위블록(110)이 연결부재(130)에 의해 연결된다.
아울러,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해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안착홈(123)으로부터 벗어나 경사면(124)을 경유하여 핀홈(122)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한 쌍의 단위블록(110)을 이격시키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핀홈(122)을 통해 체결부(120)로부터 빠져나가면서 분리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단위블록, 120:체결부, 121:관통홀, 122:핀홈, 123:안착홈,
124:경사면, 125:스토퍼, 126:홈부, 130:연결부재, 131:삽입축,
132:고정핀, 133:걸림턱

Claims (7)

  1. 단위블록;
    단위블록의 판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홈과, 관통홀의 타측면에서 핀홈의 측부에 인접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판면에 배치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축과, 상기 핀홈을 통해 관통홀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블록과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의 삽입축이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와 단위블록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고정핀이 안착홈에 안착되어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는 핀홈을 관통한 고정핀이 안착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타측에는 안착홈에 안착된 고정핀이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핀홈과 안착홈의 사이각은 45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삽입축의 후단부에 관통홀의 일측면 주변에 접촉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걸림턱과 고정핀의 사이거리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과 안착홈의 저부의 사이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관통홀의 일측면 전방에 상기 걸림턱이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KR1020110108719A 2011-10-24 2011-10-24 조립식 블록 완구 KR101385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19A KR101385989B1 (ko) 2011-10-24 2011-10-24 조립식 블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19A KR101385989B1 (ko) 2011-10-24 2011-10-24 조립식 블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84A true KR20130044584A (ko) 2013-05-03
KR101385989B1 KR101385989B1 (ko) 2014-04-16

Family

ID=4865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719A KR101385989B1 (ko) 2011-10-24 2011-10-24 조립식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9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8110A1 (en) * 2015-07-10 2017-01-19 Ningsi You Toy construction set
WO2017209344A1 (ko) * 2016-06-03 2017-12-07 최소영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906933B1 (ko) * 2017-05-17 2018-10-18 (주)로보와이즈 탄성을 이용한 블럭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464A (en) * 1996-03-22 1997-07-08 Chen; Yen-Shing Sustainable assembly blocks
US6966813B2 (en) * 2003-05-14 2005-11-22 Joseph Donahue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oy structures
KR101129446B1 (ko) * 2009-12-15 2012-03-26 천선우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KR101009585B1 (ko) 2010-02-25 2011-01-20 임성희 블록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8110A1 (en) * 2015-07-10 2017-01-19 Ningsi You Toy construction set
CN107921324A (zh) * 2015-07-10 2018-04-17 游凝思 玩具构造组件
CN107921324B (zh) * 2015-07-10 2020-12-15 游凝思 玩具构造组件
WO2017209344A1 (ko) * 2016-06-03 2017-12-07 최소영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906933B1 (ko) * 2017-05-17 2018-10-18 (주)로보와이즈 탄성을 이용한 블럭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989B1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67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US20030224690A1 (en) Construction toy set having low insertion force connecting bodies
JP2010234050A (ja) 玩具組立用ブロック
US110206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magnetic building tiles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WO2015167650A1 (en) Toy construction set
JP2012228504A (ja) 乳児用のブロック玩具
JP2016527070A (ja) 可変形状ヨーヨー
KR20130034897A (ko) 자석을 이용한 조립식 블럭 완구
US20170151506A1 (en) Large assembly block for toys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1324698B1 (ko) 레고블록들간의 결합 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레고블록용 연결장치, 및 이를 채용한 레고블록과 레고블록 세트
KR200263127Y1 (ko) 자석을 이용한 완구조립용 구성부재
KR101598508B1 (ko)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완구
KR20060071839A (ko) 조립 완구용 블록,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블록 완구
JP4644585B2 (ja) 分解組み立て式人形玩具
KR200483536Y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완구의 면 블록
US4295291A (en) Toy figure having repositionable head and limbs
JP2016539774A (ja) 鎖および空間構造を作成するための接続可能部品
KR100638180B1 (ko) 저삽입력 연결체를 갖는 조립 완구 세트
KR20170028770A (ko) 탄성체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갖는 조립식 블록
CN213466744U (zh) 一种组装玩具以及玩具套装
KR102542709B1 (ko) 무대장치 완구세트용 지지유닛
KR101389927B1 (ko)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블록 커넥터
KR20170070697A (ko) 공간을 이용한 교육 및 놀이용 골드버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