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067A -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067A
KR20130044067A KR1020110108329A KR20110108329A KR20130044067A KR 20130044067 A KR20130044067 A KR 20130044067A KR 1020110108329 A KR1020110108329 A KR 1020110108329A KR 20110108329 A KR20110108329 A KR 20110108329A KR 20130044067 A KR20130044067 A KR 20130044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rn
volume
signal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1010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067A/ko
Publication of KR2013004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경우 음향기기(500)의 음량을 낮추고,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사실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차량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소개된다. 이러한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 좌우 양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감지부(100)와, 차량의 실내에서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 음량 감지부(200)와, 상기 경적 감지부(100)와 실내 음량 감지부(2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된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험 표시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The driver assistance device for indicating the hazardous horn from other vehicles and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하게 되는 경우 다른 차량의 경적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 중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인접 차선을 주행중인 차량이 사이드 미러의 사각지대에 존재하여 인접 차량이 근접하여 주행하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한 채 차선 변경을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인접 차선을 주행 중인 차량은 경적을 울려 차선 변경을 시도하려는 차량에게 위험을 경고하게 되고, 경적을 들은 운전자는 차선 이동을 멈추고 다시금 원래의 차선을 따라 주행하여 위험을 모면하게 된다.
그런데, 차선을 변경하려고 하는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크거나 차량의 실내가 소란한 경우 또는 운전자가 청각 장애인이거나 청력이 좋지 못한 경우 운전자는 위와 같은 위험 상황에서 인접 차선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하고 그대로 차선을 변경하다가 대형 사고를 일으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들려오는 다른 차량의 경적과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경우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고,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사실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차량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 좌우 양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감지부와, 차량의 실내에서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 음량 감지부와, 상기 경적 감지부와 실내 음량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 및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일정 기준 음량을 넘고,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감지된 다른 차량의 경적의 음량 평균이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보다 작은 경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적 감지부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혼재된 외부 소음을 필터링한 후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감지부와, 차량의 실내에서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 음량 감지부와, 상기 경적 감지부와 실내 음량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고,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장애인 보조 모드 또는 일반인 보조 모드로 전환되며, 장애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일반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와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상황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위험 경고 표시 신호와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일정 기준 음량을 넘고,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감지된 다른 차량의 경적의 음량 평균이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보다 작은 경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적 감지부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혼재된 외부 소음을 필터링한 후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방법은 차량의 외부 좌우 양측에서 감지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와, 차량의 실내에서 감지되는 음향기기의 음량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와,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통해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음량 다운 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이에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장애인 보조 모드 또는 일반인 보조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장애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일반인 보조 모드에서는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와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되고,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와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일정 기준 음량을 넘고,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감지된 다른 차량의 경적의 음량 평균이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보다 작은 경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들려오는 다른 차량의 경적과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높은 경우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고,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사실이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차량 충돌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경적 감지부(100)와, 실내 음량 감지부(200)와, 제어부(300)와, 위험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경적 감지부(100)는 차량의 외부 좌우 양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경적 감지부(100)로는 마이크로 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의 좌측 사이드 미러와 우측 사이드 미러에 마이크로 폰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외부 좌측과 우측에서 울리는 다른 차량의 경적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적 감지부(100)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혼재된 외부 소음을 필터링할 수 있는 대역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역폭 통과 필터는 대부분의 차량의 경적 주파수에 해당하는 110~500Hz의 주파수만을 통과시켜 다른 차량의 경적과 혼재된 외부 소음을 필터링 한다.
상기 실내 음량 감지부(200)는 차량의 실내에서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실내 음량 감지부(200)로는 마이크로 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의 실내 룸미러에 마이크로 폰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경적 감지부(100)와 실내 음량 감지부(2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경적 감지부(10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로부터 다른 차량의 경적이 차량의 우측과 좌측 중 어느 쪽에서 울린 것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할 때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 대한 위험 여부를 구분하여 출력한다.
상기 위험 표시부(40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된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측 위험 경고등과 우측 위험 경고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차량의 좌측에 대한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좌측 위험 경고등을 점등하고,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차량의 우측에 대한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우측 위험 경고등을 점등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 및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일정 기준 음량을 넘고,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감지된 다른 차량의 경적의 음량 평균[(차량의 좌측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으로 감지된 경적 음량 + 차량의 우측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으로 감지된 경적 음량)/2]이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보다 작은 경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일정 기준 음량은 실내 소음 유입 방지 정도에 차이가 있는 각각의 차량마다 달리 적용되어야 하는 값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상기 일정 기준 음량을 최적으로 산출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운전자가 청각 장애인인 경우와 일반인인 경우를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장애인 보조 모드와 일반인 보조 모드 중 어느 한 가지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장애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일반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와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상황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위험 경고 표시 신호와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의 엔진 제어 유닛(ECU)의 일 구성이거나 그 자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되, 앞서 설명한 도 1을 더불어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되, 도 1을 부분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 방법은 차량의 외부 좌우 양측에서 감지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S100)와, 차량의 실내에서 감지되는 음향기기의 음량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S200)와,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통해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300)와,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0)와, 상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외부 좌우 양측에서 감지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S100)는 경적 감지부(100)로부터 제어부(200)로의 신호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의 실내에서 감지되는 음향기기(500)의 음량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S200)는 실내 음량 감지부(200)로부터 제어부(200)로의 신호 전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통해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300)는 제어부(300)에서의 신호 해석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경적 감지부(100)로부터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0)는 제어부(300)로부터 위험 표시부(400)로의 신호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경적 감지부(10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로부터 다른 차량의 경적이 차량의 우측과 좌측 중 어느 쪽에서 울린 것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할 때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 대한 위험 여부를 구분하여 출력한다.
상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0)를 통해 위험 표시부(400)로 위험 경고 표시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위험 표시부(400)는 상기 위험 경고 표시 신호의 속성에 따라 좌측 위험 경고등 또는 우측 경고등을 점등하는 방식으로 상기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500)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이후에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S320)와,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30)와, 음량 다운 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S320)는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일정 기준 음량을 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310)과,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감지된 다른 차량의 경적의 음량 평균[(차량의 좌측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으로 감지된 경적 음량 + 차량의 우측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으로 감지된 경적 음량)/2]이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32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일정 기준 음량은 실내 소음 유입 방지 정도에 차이가 있는 각각의 차량마다 달리 적용되어야 하는 값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상기 일정 기준 음량을 최적으로 산출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30)는 제어부(300)로부터 음향기기(500)로의 신호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30)를 통해 차량의 음향기기(500)로 음량 다운 신호가 인가되면 차량의 음향기기(500)는 음량을 낮추는 단계(S340)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와 상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 사이에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장애인 보조 모드 또는 일반인 보조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S311)를 더 포함하고, 장애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일반인 보조 모드에서는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와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되고,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와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차량에 적용할 경우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들려오는 다른 차량의 경적과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높은 경우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고,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사실이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차량 충돌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경적 감지부 200 : 실내 음량 감지부
300 : 제어부 400 : 위험 표시부
500 : 음향기기

Claims (11)

  1. 차량의 외부 좌우 양측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감지부(100);
    차량의 실내에서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 음량 감지부(200);
    상기 경적 감지부(100)와 실내 음량 감지부(2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된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험 표시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 및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일정 기준 음량을 넘고,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감지된 다른 차량의 경적의 음량 평균이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보다 작은 경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경적 감지부(100)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혼재된 외부 소음을 필터링한 후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5. 차량의 외부에서 다른 차량의 경적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감지부(100);
    차량의 실내에서 음향기기의 음량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 음량 감지부(200);
    상기 경적 감지부와 실내 음량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고,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장애인 보조 모드 또는 일반인 보조 모드로 전환되며, 장애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일반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와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상황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위험 경고 표시 신호와 차량의 음향기기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된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험 표시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일정 기준 음량을 넘고,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감지된 다른 차량의 경적의 음량 평균이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보다 작은 경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적 감지부(100)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혼재된 외부 소음을 필터링한 후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8. 차량의 외부 좌우 양측에서 감지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S100);
    차량의 실내에서 감지되는 음향기기(500)의 음량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S200);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에 대한 신호를 통해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인가받아 위험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이후에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와,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을 낮추도록 하는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10)와, 음량 다운 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을 낮추는 단계(S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와 상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 사이에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장애인 보조 모드 또는 일반인 보조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S311)를 더 포함하고, 장애인 보조 모드에서는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일반인 보조 모드에서는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와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되고, 다른 차량의 경적이 울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경고 표시 신호와 음량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에서는, 상기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일정 기준 음량을 넘고,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감지된 다른 차량의 경적의 음량 평균이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보다 작은 경우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경적을 듣지 못할 정도로 차량의 음향기기(500)의 음량이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10108329A 2011-10-21 2011-10-21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44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329A KR20130044067A (ko) 2011-10-21 2011-10-21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329A KR20130044067A (ko) 2011-10-21 2011-10-21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67A true KR20130044067A (ko) 2013-05-02

Family

ID=4865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329A KR20130044067A (ko) 2011-10-21 2011-10-21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0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38B1 (ko) * 2013-10-29 2015-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6114363A (zh) * 2015-12-22 2016-11-16 西华大学 汽车鸣笛车内响应指示系统
US9615186B2 (en) 2014-10-15 2017-04-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horn using sound signal process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38B1 (ko) * 2013-10-29 2015-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9615186B2 (en) 2014-10-15 2017-04-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horn using sound signal processor
CN106114363A (zh) * 2015-12-22 2016-11-16 西华大学 汽车鸣笛车内响应指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92B1 (ko) 차량 외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7079017B2 (en) Warning device in motor vehicles
CN104859541B (zh) 指示车门的间隙的系统和方法
US20030108212A1 (en) Safety device for vehicles using multi-channel audio system
JP2006092482A (ja) 音声認識通報装置
JP2007203924A (ja) 車両用警報装置及びホーン補助装置
JP2008149917A (ja) 車両用周囲音報知装置
JP2006098359A (ja) 障害物検知装置
KR101719976B1 (ko) 주변 상황 적응형 고속도로 경보 시스템
KR20130044067A (ko)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7097B1 (ko) 차량의 주행안정성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57636A (ja) 運転支援装置
US9139132B2 (en) Vehicle approach information device with indicator to the driver
KR20190133358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2215A (ko) 운전자를 위한 차량의 후측방 경보장치
KR20160027844A (ko)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GB2514267A (en) Smart Honking
JP2763685B2 (ja) 緊急車両位置表示装置
WO2020039678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14484B1 (ko) 타 차량의 경적 알림 장치 및 방법
CN207106342U (zh) 一种语音辅助泊车系统
JP2006209478A (ja) 車両用人物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人物検出方法
CN109278638A (zh) 一种语音辅助泊车系统及泊车方法
KR20170054714A (ko) 자동차 외부의 소음을 감지한 경고음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045285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