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015A -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 - Google Patents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015A
KR20130044015A KR1020110108252A KR20110108252A KR20130044015A KR 20130044015 A KR20130044015 A KR 20130044015A KR 1020110108252 A KR1020110108252 A KR 1020110108252A KR 20110108252 A KR20110108252 A KR 20110108252A KR 20130044015 A KR20130044015 A KR 20130044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ement
pusher rod
holder
ho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진
Original Assignee
박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진 filed Critical 박명진
Priority to KR102011010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015A/ko
Publication of KR2013004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troducing bone substitute, for implanting bone graft implants or for compacting them in the bone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추체 성형술에 따른 시술시 골시멘트가 혈관이나 척추강으로 유출될 위험성이 적은 골 시멘트 주입 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추체성형술에 따른 골시멘트의 주입량이 소량일 때는 골시멘트홀더(100C) 도구와; 푸셔로드(100D) 도구만을 이용하여 손과 팔의 힘만으로 푸셔로드를 진행시켜 시술을 진행하거나, 골시멘트의 점성이 증가하는 시술후반기에는 골시멘트주입건(gun;200) 도구를 이용하도록 하는 추체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시멘트홀더(100C)의 홀더고정돌부(102)와 홀더헤드(103)를 U홈부(10)와 홀더헤드요홈(11)에 안착시킨후, 로드(104)를 푸셔로드잠금판(17)와 잠금판설치돌부(15) 하방과 푸셔로드이송판(22) 및 스프링홀더(12)에 각각 마련된 푸셔로드구멍(10d); 푸셔로드구멍(10e); 푸셔로드구멍(10c); 푸셔로드구멍(10b)에 순서대로 진입하는 골시멘트주입건을 준비 손잡이(201)을 움켜쥐고 레버(202)를 당기고 놓는 동작을 반복해 로드(104)가 골시멘트 도관내 골시멘트를 밀어내 시술부위에 힘들이지 않고 골시멘트를 주입하도록 하는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the bone cement injection kit system for a vertebro plasty}
본 발명은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박골절의 치료를 위해 시행하는 추체성형술에서 골시멘트가 혈관으로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골시멘트가 반고체상태까지 굳도록 기다린 후에 척추체 내부에 주입할 수 있게 한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다공증성 압박골절의 치료의 목적으로 추체성형술이 매우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이 수술법은 골절된 척추체 내부에 수술용 골 시멘트를 삽입하여, 골절로 인해 감소된 체중 지지력을 회복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최근까지 추체성형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용하는 골시멘트 삽입 키트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1번 기구는 척추의 후면을 뚫어 척추체 중앙부위까지 삽입하는 종전의 중공 트로카(trocar)기구이며, 2번 기구는 1번 기구의 중공부에 삽입하여 척추체 중앙 부위까지 천공하기 위해 끝이 날카로운 팁이 형성된 종전의 스타일렛(stylet)이며, 3번 기구는 나사식 인젝터(injector)로 골시멘트가 단단하게 굳어 손으로 삽입하기 힘들 때 이용하는 나사식 골시멘트 주입기이며, 4번 기구는 골시멘트를 주입하는 주사기이다.
사용은 1번 기구의 중공내에 2번 기구인 스타일렛을 끼워 척추체 중앙부위까지 천공시킨후, 2번 기구를 빼낸후, 골시멘트가 주입된 4번 기구인 골시멘트 주입 주사기를 1번 기구인 척추체 천공트로카에 조립시킨 상태로, 3번 기구인 인젝터의 나사식 핸들을 돌려 단단하게 굳어가는 골시멘트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골시멘트 주입주사기로 골시멘트를 삽입할 때는, 주사기의 좁은 입구를 골시멘트가 통과하여야 하므로 액체 상태로 삽입해야 한다. 조금만 단단해져도 시멘트가 입구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엄지손가락 힘으로는 골시멘트 주입이 불가능해진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3번 도구인 인젝터이다. 3번 도구는 주사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나사형태의 장치로 피스톤을 압박하여 골시멘트를 주입하는 것인데, 골시멘트가 조금이라도 더 단단해지면, 이마저도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집도의는 가능한 한 묽은 상태의 골시멘트를 주입하려고 한다. 그러나 액체 상태의 골 시멘트를 삽입하면 혈관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단단하게 굳을 때까지 기다려서 주입해야한다. 이 두 가지 상반되는 상황 때문에 추체성형술은 척추 수술 중 가장 간단한 수술이지만, 가장 까다로운 수술이기도 하다.
추체성형술 도중 가장 중요한 것은, 골시멘트가 혈관으로 유입되는지 여부와 신경관 내로 유출되는 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혈관으로 유입될 경우 골시멘트가 심장으로 이동하여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폐혈관을 막을 경우 폐색전증 같은 매우 위험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추체 성형술을 시행하는 의사에게는 매우 두려운 합병증이 아닐 수 없다.
특허출원 10-2008-0089358은 경피적 척추 후굴 풍선복원술에 사용하는 기구를 명시하였다. 경피적 척추 후굴 풍선복원술이란 척추체의 압박골절의 압박정도가 심하여 척추체의 높이가 심하게 낮아진 경우에, 쪼그라든 척추체를 펴서 높이를 복원시킨 후 골시멘트를 주입하는 수술법이다. 특허출원 10-2008-0089358의 도 13에 도시된 기구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직경 2㎜의 니들(100)로 뼈를 뚫은 후 망치로 두들겨서 척추의 중심부까지 진행시키는 시술1과; 이 니들은 직경이 작아서 직경이 약 3.5㎜인 풍선카테타를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풍선 카테타보다 직경이 넓은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가이드(200)를 넣고 니들(100)은 뺀 후 4㎜직경의 캐뉼러(300)를 가이드(200)에 끼운 후 망치로 두들겨 가이드를 따라서 척추체 중앙부위까지 밀어 넣는 시술 2와; 이때 캐뉼러는 니들보다 2㎜가 두꺼워 그만큼의 척추뼈를 깨뜨리면서 전진한다. 그 다음 풍선이 들어갈 공간을 만들기 위해 스페이서(500)를 삽입하여 척추체 내부를 정리하는 시술 3과; 그런 다음 케뉼러를 통해 풍선카테터를 집어넣고 척추체 내부에서 풍선을 부풀려서 압박된 척추체를 복원시키는 시술 4와; 풍선을 제거하고 그곳에 필러(600)와 푸셔(700)를 이용하여 골시멘트를 삽입하는 시술 5로 이루어진다. 환자는 시술 1에서는 경미한 통증을 느낀다. 그러나 케뉼러를 삽입하는 시술3 단계는 척추를 골절시켜서 확장시키는 것이므로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일부 의사들은 추체성형술을 시행할때, 필러와 푸셔를 사용하면 시술이 매우 안전하고 효과가 있음을 알고 있어, 경피적 척추 후굴 풍선복원술 키트에서 풍선확장기를 뺀 나머지 니들,가이드, 캐뉼러,스페이서,필러,푸셔와 같은 기구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상기 선행 기술 특허 1에서 사용하는 필러(600)과 푸셔(70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술1, 시술2, 시술3의 수술과정을 거쳐야 한다. 시술 2, 3은 풍선카테타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경피적 척추후굴 풍선복원술에만 필요한 과정이다. 압박상태가 경미한 압박골절에서 시행하는 추체 성형술에서는 압박상태를 복원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풍선 카테타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시멘트를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상기 필러와 푸셔를 사용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시술 1부터 5를 반복하고 있으며, 환자는 시술2, 시술3 때의 고통을 감수해야하는 실정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개시된 선행기술문헌 들의 각 구성수단에 대한 부호는 해당 선행기술문헌에서 인용된 부호를 인용하였다.
기존의 추체 성형술 키트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골시멘트를 삽입해야 하므로 골시멘트가 액체상태일 때 주입해야 한다. 그로 인해 골시멘트가 혈관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척추강 내로 유출되어 신경을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유출이 되더라도 골시멘트의 점도가 낮아 유출되는 속도가 매우 빨라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골시멘트가 혈관이나 척추강 내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수술자가 척추강내 유출이나 혈관내 유입을 방사선 장치상에서 눈으로 확인될 때는 이미 상당량의 골시멘트가 유출 혹은 유입된 상태가 되어,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액체상태가 아닌, 매우 끈적한 반고체 상태의 골시멘트를 척추체 내부에 투입시켜, 혈관내 유입이나 척추강내 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유출 혹은 유입되더라도 점도가 높아 그 속도가 매우 느리도록 하여 유출량, 유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추체성형술 경과시간에 따라 골 시멘트 자체저항력이 계속 높아져 손과 팔의 힘만으로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골시멘트 주입건을 제공하여 안전하고 힘들지 않게 추체성형술을 진행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추체성형술에서 골시멘트가 혈관내로 유입되거나 척추강 내로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점도가 매우 높아 유동성이 거의 없는 시멘트를 삽입하면 쉽게 예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주사기를 이용하는 기존의 추체성형술 키트에서는 불가능하다. 5㎖ 주사기의 사출구는 직경 2㎜ 원형이고, 시멘트를 밀어내는 피스톤은 직경 12㎜의 원형이다.
골시멘트를 주사기에 담아 투입할 경우 표 1의 모식도'a'와 같이 사출구를 통과해 나오는 골시멘트의 양은, 주사기 사출부위에 부딪히는 양의 1/36에 불과하고, 나머지 35/36은 사출부위의 벽과 병목부에 부딪히게 된다. 유동성이 높은 액체는 쉽게 통과할 수 있으나, 반고체 상태의 시멘트는 피스톤에 강력한 저항력을 발휘하므로, 피스톤이 전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기존 골시멘트 주입기 모식도a 개선에 따른 골시멘트 주입기 모식도b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표 1의 모식도 'a'와 같은 병목부를 제거해 골시멘트가 부딪히는 부분이 없게 하여 점도가 높은 골시멘트를 용이하게 주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 1의 모식도 'b'와 같이 골시멘트 주입기를 사출구의 넓이와 피스톤의 넓이가 같게 하여 골 시멘트가 저항 없이 쉽게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 직경 2mm의 천공기구와 직경 3.5mm인 확장용 트로카 대신 내경이 3mm인 중공 트로카(100A)와, 상기 중공 트로카(100A)의 내부에 삽입해 사용하는 외경 2.5mm의 스타일렛(100B), 스타일렛(100B)를 제거후, 외경 2.5mm인 중공 골시멘트홀더(100C)와, 골시멘트홀더(100C)의 중공 내부에 주입된 골시멘트를 밀어내는 외경 2mm의 푸셔로드(100D)와, 추체성형술 경과시간에 따라 골 시멘트 자체저항력이 계속 높아져 악력의 힘만으로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때 사용하는 골시멘트주입건(200)을 별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장치는 종전 용매를 섞은 후 5분 47초경부터 8분 30초까지 겨우 2분 43초 정도의 시술시간을 추체 성형술을 시행할 경우 골시멘트 주입가능한 시간으로부터 골시멘트홀더(100C)와; 푸셔로드(100D) 도구만으로 시술을 진행 경우에 용매를 섞은 후 5분 47초경부터 11분 30초까지 투입이 가능하므로, 투입가능 시간이 5분 43초로 매우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시술자는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므로 방사선 장치로 골시멘트가 유출되는지를 보다 세심하고 정확한 판단시간을 확보하게 되어 수술을 보다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끝낼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술의 종반에 이르러 골시멘트의 액상점도가 증가됨을 감안하여 골시멘트주입건(gun;200)에 골시멘트 홀더(100C)를 장착하여 레버조작만으로 힘들이지 않고 골시멘트 홀더(100C) 도관내부로 푸셔로드(100D)를 진입시켜 경화 직전까지의 골시멘트도 시술부위에 주입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도록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압박 골절되어 높이가 감소한 척추체의 높이를 일부 교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 주사기를 이용한 추체성형술에서는 척추체의 높이를 교정할 수 없다.
표 2는 본 발명 기구를 이용하여, 발명자가 직접 수술한 김○○ 환자와 박○○환자의 수술 전 사진과 수술 후 사진이다. 김○○환자의 수술전 골절된 척추체의 높이는 17.30㎜이었으나(A), 수술 후 척추체의 높이는 21.91㎜로(A’) 26.6%가 증가하였다. 박○○환자의 수술전 골절된 척추체의 높이는 13.31㎜이었으나(B) 수술 후에는 17.47㎜로 31.3% 증가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주사기를 이용한 추체성형술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결과이다. 그것은 본 발명을 이용한 추체 성형술에서는 시멘트가 저항을 받지 않으며, 손가락의 힘이 아닌 상지의 골시멘트주입건(200)을 이용하여 푸셔를 빠른 속도로 밀어낼 수 있으므로, 골시멘트가 척추내로 유입될 때의 압력이 매우 높아 쪼그라든 척추체가 팽창하게 된다. 기존 추체성형술에서 골시멘트가 주사기 사출구에 저항을 받으며, 엄지손가락의 힘만을 이용하므로 주입 압력이 낮아서 척추체가 팽창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3
도 1은 기존의 주사기를 이용한 추체성형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시멘트 주입 키트의 도면 대용사진.
도 2는 골시멘트가루와 용매를 1:1로 혼합후 추체성형술 골시멘트 주입 가능시점의 타임챠트에 대한 도면 대용 참고사진.
도 3은 기존 주사기를 이용한 골시멘트주입방법에 의한 골시멘트 최대사출가능시점의 타임챠트에 대한 도면 대용 참고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골시멘트주입장치에 의한 골시멘트 최대사출가능 시점의 타임챠트에 대한 도면 대용 참고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주입 키트장치 조립사시도로 ⅰ)은 골시멘트주입건에 골시멘트홀더를 장착하고 푸셔로드를 세팅한 조립상태도, 도ⅱ)는 척추강천공기구인 스타일렛이 결합된 중공 트로카의 조립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주입 키트장치의 분리 사시도로 ⅰ)은 골시멘트주입건과 골시멘트홀더,푸셔로드가 분리된 참고사시도, ⅱ)는 스타일렛이 분리된 중공 트로카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주입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주입건의 단면도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에 도면을 참조해 살펴본 추체성형술에 이용되는 본 발명 키트 장치는, 내경이 3mm인 중공 트로카(100A)와, 상기 중공 트로카(100A)의 내부에 결합 사용하는 단부에 천공팁이 형성된 외경 2.5mm의 스타일렛(100B)과; 10mm 두께로 측면이 철(凸) 형상인 철부 중앙에 푸셔로드구멍(10a)이 형성된 홀더헤드(103) 및 상기 푸셔로드구멍(10a) 대향편에 외경 2.5mm 내경 2.1mm인 도관(101)이 홀더헤드와 일체인 홀더고정돌부(102)에 삽입된 골시멘트홀더(100C)와; 상기 푸셔로드구멍(10a)과 도관(101) 내부에 수용되는 외경 2mm의 로드(104) 일단이 푸셔로드헤드(105)에 일체로 삽입 형성된 푸셔로드(100D)와; 상기 중공트로카(100A)의 홀더고정돌부(102)를 수용하는 U홈부(10) 및 홀더헤드(103)를 수용하는 홀더헤드요홈(11)이 형성되며, 홀더헤드요홈의 철부(凸部)쪽에 인접된 이송판설치요홈부(14)에 돌출된 스프링홀더(12)에 푸셔로드구멍(10b)이 개설되고 스프링홀더 외경부에 스프링(13)이 끼워지고, 이송판설치요홈부 길이방향 내측 상단에는 안내레일(20)이 일정두께로 돌출되며, 상기 스프링홀더의 푸셔로드구멍(10b)과 일직선상의 대향편에는 또 다른 푸셔로드구멍(10e)이 개설되고, 푸셔로드구멍(10e)이 형성된 이송판설치요홈부 내상측 코너부에는 안내레일(20)보다 하방 돌출 단(段)이 마련된 로드이송판지지부(21)가 형성되며, 상기 푸셔로드구멍(10e) 외측 상단부에 돌출된 잠금판설치돌부(15)하단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슬롯(19)에 중간에 푸셔로드구멍(10d)가 뚫린 푸셔로드잠금판(17)을 끼워 잠금판설치돌부 측 상단을 관통해 고정볼트(18)로 조립하며, 잠금판설치돌부 하방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손잡이(201)가 마련되며, 손잡이 전편의 이송판설치요홈부(14) 하방으로는 핀공(204)이 뚫린 레버설치부(203)가 형성되며, 일정두께와 폭의 금속판재 상단에 가이드홈(24)이 마련되며, 가이드홈 아래 금속판재 중간에 푸셔로드구멍(10c)이 천공되며, 금속판재 하단 일측테에 장공(23)이 형성된 힌지부(22a)를 포함하는 푸셔로드이송판(22)은 상기 안내레일(20)에 가이드홈(24)이 도입되게 장공(22a) 좌우로는 레버(202) 상편에 형성된 로드이송판지지핀공(202d)을 통해 로드이송판지지핀(202b)을 설치하고, 레버 하편에 형성된 레버힌지핀공(202c)사이에는 상기 핀공(204)을 통해 레버힌지핀(202a)으로 조립되는 골시멘트주입건(gun;200) 도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키트 장치는 골시멘트홀더(100C) 도구와 푸셔로드(100D) 도구만으로 추체성형술을 진행하다가, 추체성형술 경과시간에 따라 골 시멘트 자체저항력이 계속 높아져 악력의 힘만으로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때는, 주사기를 이용해 골시멘트를 골시멘트홀더(100C)의 도관(101)내에 주입후 골시멘트주입건(200)에 장착조립후, 레버(202)를 조작하여 골시멘트홀더(100C) 도관 내부로 끼운 푸셔로드(100D)를 전진시켜 빠르고, 힘들이지 않고 골시멘트홀더(100C)내의 골시멘트를 밀어내 추세성형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이를 통해 추체성형술의 시술을 간소화시키고, 기존처럼 주사기를 사용하여 추체 성형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골시멘트 주입 가능시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음을 다음과 실험결과와 같이 확인하였다.
[실험예] 골시멘트 액상 경화실험
추체성형술(vertebroplasty)에 사용되는 골시멘트 가루와 용매를 1:1로 섞었을 경우 점도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골 시멘트가루를 용매와 섞은 초기 액상상태에서 1㎖ 주사기에 담아서, 시간경과에 따른 골시멘트 액상경화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2는 골시멘트가루와 용매를 1:1로 혼합후 추체성형술 골시멘트 주입 가능시점의 타임챠트에 대한 도면 대용 참고사진이다.
실험에 따르면 액상상태의 골시멘트를 1㎖ 주사기에 넣어 손으로 주사기의 피스톤을 사출해보아 중력에 의해 골시멘트용액이 저절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경화된 점도로 추체성형술에 따른 시술을 시작한 실험결과 골시멘트가루와 용매를 섞은 후 5분 47초로 파악되였다.
도 3은 기존 주사기를 이용한 골시멘트주입방법에 의한 골시멘트 최대사출가능시점의 타임챠트에 대한 도면 대용 참고사진으로 1㎖ 주사기에 담은 골시멘트는 섞은 후 8분 30초까지 투입이 가능 함을 실험되었다.
이 실험결과가 갖는 중요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골시멘트가 혈관내로 들어가더라도 척추 주위에만 있으면 별다른 문제는 없으나, 떨어져 혈류를 타고 흘러가 심장이나 폐로 이동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의 경우 혈관으로 유입될 경우를 대비하여, 골시멘트가 혈류속도에 의해 조절로 분리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점도가 증가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투입해야하는데, 이 적당한 시점은 종전 주사기를 사용하여 추체 성형술을 시행할 경우 골시멘트 주입이 가능한 시간은, 용매를 섞은 후 5분 47초경부터 8분 30초까지이므로, 겨우 2분 43초 정도이다.
이 짧은 시간 동안 시술자는 방사선 장치로 골시멘트가 유출되는지를 확인해야하는데, C-arm형 영상증폭장치로 전후면, 좌우측면을 확인하려면 최소 20~30초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골시멘트 투입할 때는 1~2회 정도 밖에 확인할 시간이 없다. 유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arm형 영상증폭장치의 검사시간이 조금만 지체되어도 골시멘트가 굳어서 주입할 수 없게 되므로 골시멘트의 충분한 양이 투입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을 끝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골시멘트주입 키트장치로 골시멘트 최대사출가능 시점의 타임챠트에 대한 도면 대용 참고사진으로 1㎖ 주사기에 담긴 골시멘트용액을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홀더(100C)에 넣고 푸셔로드(100D)로 사출이 가능한 시점은 11분30초까지 실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구를 이용할 경우 용매를 섞은 후 5분 47초경부터 11분 30초까지 투입이 가능하므로, 투입가능 시간이 5분 43초로 매우 증가하게 된다. 골시멘트 투입에 필요한 시간 2분을 제외하더라도 약 3분 43초의 여유가 있으므로, 골시멘트 유출 여부를 최소 10번 정도 더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술 합병증을 예방하기가 매우 용이 해진다.
그러나, 시술 가능시간인 11분 30 초에 이를수록 골시멘트의 액상점도가 증가되어 시멘트홀더(100C) 도관(101)에 담긴 골시멘트를 손과 팔의 힘만으로 푸셔로드(100D)를 밀어내는데 많은 힘이 필요로 한다. 시술자가 근력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시술가능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것은 골시멘트주입건(gun;200) 도구를 이용함으로써 쉽게 해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 추체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의 보다 상세한 작용원리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주입 키트 장치 조립사시도로 ⅰ)은 골시멘트주입건에 골시멘트홀더를 장착하고 푸셔로드를 세팅한 조립상태도, 도ⅱ)는 척추강 천공기구인 스타일렛이 결합된 중공 트로카의 조립상태도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주입장치의 분리 사시도로 ⅰ)은 골시멘트주입건과 골시멘트홀더,푸셔로드가 분리된 참고사시도, ⅱ)는 스타일렛이 분리된 중공 트로카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주입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시멘트주입건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시술부위를 국부마취 후 C-arm형 영상증폭장치를 보면서, 단부에 천공팁이 형성된 외경 2.5mm의 스타일렛(100B)이 결합된 직경 3mm인 중공 트로카(100A)를 시술할 척추체 후면의 중앙부위까지 망치로 두들겨서 시술자리를 확보하고 중공트로카(100A)로 부터 스타일렛(100B)를 제거하는 시술 1단계와;
상기 1단계의 시술 종료시점 이전에 골시멘트가루와 용매를 혼합 교반직후 액상상태 골시멘트를 외경 2.5mm 내경 2.1mm인 도관(101)이 홀더헤드와 일체인 홀더고정돌부(102)에 삽입된 도관(101)에 주입한 수개의 골시멘트홀더(100C)를 준비후 적정 점도상태인 5분 47초를 대기하는 시술 2단계와;
1단계에서 스타일렛(100B)를 제거한 중공트로카(100A) 중공내부에 2단계에서 준비된 골시멘트홀더(100C)의 도관을 시술부위까지 진행시키는 시술 3단계와;
푸셔로드(100D)를 3단계의 골시멘트홀더(100C)의 도관에 끼워 손과 팔의 힘으로 푸셔로드를 밀어 골시멘트를 주입후, C-arm형 영상증폭장치로 시술부위의 전후면, 좌우측면에 골시멘트가 유출되였는지 확인하는 4단계와;
시술부위에 골시멘트가 주위 혈관으로 유출되지 않고 충분히 충진되였다면 최종 시술을 종료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체성형술 키트 중 중공트로카(100A)와 스타일렛(100B), 골시멘트홀더(100C)와 푸셔로드(100D)를 이용할 경우 용매를 섞은 후 5분 47초경부터 11분 30초까지 5분 43초 동안에는 손과 팔의 힘만으로도 시술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전 골시멘트와 용매를 혼합 후 5분 47초경부터 8분 30초까지 2분 43초 이내 시술을 진행하는 종전 시술에 비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C-arm형 영상증폭장치로 시술부위의 전후면, 좌우측면에 골시멘트가 유출되는지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제공한다.
따라서, 골시멘트가 충분히 주입되지 않은 상태로 시술을 종료해야 하는 폐단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용매를 섞은 후 5분 47초경부터 11분 30초까지 5분 43초 동안에는 손과 팔의 힘만으로 중공트로카(100A) 와 스타일렛(100B), 골시멘트홀더(100C)와 푸셔로드(100D)를 이용한 시술이 가능하지만, 시술자가 근력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인 경우에 보다 편리하고 힘들이지 않는 골시멘트주입건(gun;200) 키트에 의한 추체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 1의 시술 1단계와 제2 단계를 실시 후, 1단계에서 시술된 스타일렛(100B)를 제거하고, 2단계에서 준비된 골시멘트홀더(100C)의 홀더고정돌부(102)와 홀더헤드(103)를 골시멘트주입건(200)의 U홈부(10)와 홀더헤드요홈(11)에 안착시킨후, 푸셔로드(100D)의 로드(201)를 푸셔로드잠금판(17)과 잠금판설치돌부(15) 하방, 푸셔로드이송판(22) 및 스프링홀더(12)에 각각 마련된 푸셔로드구멍(10d); 푸셔로드구멍(10e); 푸셔로드구멍(10c); 푸셔로드구멍(10b)에 순서대로 진입하는 골시멘트주입건을 준비하는 시술 제3단계와;
상기 3단계에서 준비된 골시멘트주입건(200)에 안착된 골시멘트홀더(100 C)의 도관(101)을 시술부위까지 준비된 진행시키는 시술 4단계와;
준비된 골시멘트주입건의 손잡이(201)을 움켜쥐고 레버(202)를 당기고 놓는 동작을 반복해 푸셔로드(100D)의 로드(104)가 골시멘트홀더(100C) 도관내 골시멘트를 밀어내 시술부위에 골시멘트를 주입후 C-arm형 영상증폭장치로 시술부위의 전후면, 좌우측면에 골시멘트가 유출되는지를 확인하는 시술 5단계와;
시술부위에 골시멘트가 주위 혈관으로 유출되지 않고 충분히 충진되였다면 최종시술을 종료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골시멘트주입건(200)에 설치된 중공 트로카(100) 도관(101)내에 점도가 높은 골시멘트를 레버의 조작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레버조작시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고도 푸셔로드(100D)를 진행시켜 여유있게 추체성형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레버(202)를 조작하는 동작으로는 다음과 같다.
레버힌지핀공(202c)의 레버힌지핀(202a)을 기준점으로 로드이송판지지핀(202b)이 전방으로 스윙되면서 스프링(13)에 의해 상단이 탄력을 받는 푸셔로드이송판(22)이 후방으로 치우치면서 푸셔로드구멍(10c)내에서 로드(104)가 잠긴 상태로 골시멘트홀더(100C)내 도관으로 푸셔로드(100D)가 진행하면서 골시멘트를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레버를 놓으면 스프링(13)에 의해 레버가 복원되면서 푸셔로드이송판(22)의 푸셔로드구멍(10c)내에서 잠김 상태로 있던 로드(104)를 푸셔로드이송판(22)이 원상복구되는 동안 마찰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푸셔로드잠금판(17)의 푸셔로드구멍(10d)에 의해 로드(104)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레버 작동 종국에는 푸셔로드헤드(105)는 푸셔로드잠금판(17)에 부딪히는 시점이 로드(104)가 골시멘트홀더(100C) 도관내에서 최대진입하는 로드의 단부가 도관 끝단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레버작동을 멈추도록 한다.
푸셔로드(100D)를 골시멘트홀더(100C)의 도관(101)으로부터 인출할 때는 푸셔로드잠금판(17)을 전방으로 민체 푸셔로드헤드(105)를 잡아 인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푸셔로드이송판(22)의 장공(23)을 통해 로드이송판지지핀(202b)이 조립되며, 푸셔로드이송판(22)의 가이드홈(24)이 안내레일(20)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푸셔로드(100D)를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도 푸셔로드이송판(22)은 레버(202)에 조립되어 있어 다음 사용을 준비하는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푸셔로드이송판(22)의 장공(23)은 로드이송핀지지핀공(202d)의 로드이송판지지핀(202b)을 기점으로 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른 로드이송판지지핀(202b)의 상하 위치변위를 수용하도록 장공을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골시멘트주입건(200)의 푸셔로드잠금판(17)도 푸셔로드(100D)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호 이탈되지 않고 다음 사용을 준비하도록 하는 것으로 복원탄력을 유지되는 스프링판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100A:중공 트로카(trocar) 100B:스타일렛(stylet)
100C:골시멘트 홀더 100D:푸셔로드(pusher rod)
101:도관 102:홀더고정돌부
103:홀더헤드 104:로드(rod)
105:푸셔로드 헤드
200:골시멘트주입건(gun) 201:손잡이
202:레버 202a:레버힌지핀
202b:로드이송판지지핀 202c:레버힌지핀공
202d:로드이송핀 지지핀공
203:레버설치부 204:핀공
1:종전 중공 트로카 2:종전 스타일렛(stylet)
3:나사식 인젝터(injector) 4:골시멘트 주입 주사기
10a;10b;10c;10d;10e:푸셔로드구멍
11:홀더헤드요홈 12:스프링 홀더
13:스프링 14:이송판설치요홈부
15:잠금판설치돌부 16:고정볼트홈
17:푸셔로드잠금판 18:고정볼트
19:슬롯(slot) 20:안내레일
21:로드이송판지지부 22:푸셔로드이송판
22a:힌지부 23:장공(長空)
24:가이드홈

Claims (1)

  1. 내경이 3mm인 중공 트로카(100A)와, 상기 중공 트로카(100A)의 중공에 결합 사용하는 단부에 천공팁이 형성된 외경 2.5mm의 스타일렛(100B)과; 10mm 두께로 측면이 철(凸) 형상인 철부 중앙에 푸셔로드구멍(10a)이 형성된 홀더헤드(103) 및 상기 푸셔로드구멍(10a) 대향편에 외경 2.5mm 내경 2.1mm인 도관(101)이 홀더헤드와 일체인 홀더고정돌부(102)에 삽입된 골시멘트홀더(100C)와; 상기 푸셔로드구멍(10a)과 도관(101) 내부에 수용되는 외경 2mm의 로드(201) 일단이 푸셔로드헤드(105)에 일체로 삽입 형성된 푸셔로드(100D)와; 상기 중공트로카(100A)의 홀더고정돌부(102)를 수용하는 U홈부(10) 및 홀더헤드(103)를 수용하는 홀더헤드요홈(11)이 형성되며, 홀더헤드요홈의 철부(凸部)쪽에 인접된 이송판설치요홈부(14)에 돌출된 스프링홀더(12)에 푸셔로드구멍(10b)이 개설되고 스프링홀더 외경부에 스프링(13)이 끼워지고, 이송판설치요홈부 길이방향 내측 상단에는 안내레일(20)이 일정두께로 돌출되며, 상기 스프링홀더의 푸셔로드구멍(10b)과 일직선상의 대향편에는 또 다른 푸셔로드구멍(10e)이 개설되고, 푸셔로드구멍(10e)이 형성된 이송판설치요홈부 내상측 코너부에는 안내레일(20)보다 하방 돌출 단(段)이 마련된 로드이송판지지부(21)가 형성되며, 상기 푸셔로드구멍(10e) 외측 상단부에 돌출된 잠금판설치돌부(15)하단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슬롯(19)에 중간에 푸셔로드구멍(10d)가 뚫린 푸셔로드잠금판(17)을 끼워 잠금판설치돌부 측 상단을 관통해 고정볼트(18)로 조립하며, 잠금판설치돌부 하방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손잡이(201)가 마련되며, 손잡이 전편의 이송판설치요홈부(14) 하방으로는 핀공(204)이 뚫린 레버설치부(203)가 형성되며, 일정두께와 폭의 금속판재 상단에 가이드홈(24)이 마련되며, 가이드홈 아래 금속판재 중간에 푸셔로드구멍(10c)이 천공되며, 금속판재 하단 일측테에 장공(23)이 형성된 힌지부(22a)를 포함하는 푸셔로드이송판(22)은 상기 안내레일(20)에 가이드홈(24)이 도입되게 장공(22a) 좌우로는 레버(202) 상편에 형성된 로드이송판지지핀공(202d)을 통해 로드이송판지지핀(202b)을 설치하고, 레버 하편에 형성된 레버힌지핀공(202c) 사이에는 상기 핀공(204)을 통해 레버힌지핀(202a)으로 조립되는 골시멘트주입건(gun;200) 도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장치.
KR1020110108252A 2011-10-21 2011-10-21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 KR20130044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52A KR20130044015A (ko) 2011-10-21 2011-10-21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52A KR20130044015A (ko) 2011-10-21 2011-10-21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15A true KR20130044015A (ko) 2013-05-02

Family

ID=4865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252A KR20130044015A (ko) 2011-10-21 2011-10-21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0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422B1 (ko) 2016-12-16 2018-06-26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본시멘트의 점도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본시멘트 주입장치
CN111012469A (zh) * 2020-01-07 2020-04-17 常州百隆微创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医用大型骨水泥填充器
CN111134826A (zh) * 2020-01-07 2020-05-12 常州百隆微创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医用小型骨水泥填充器
CN111870347A (zh) * 2020-09-04 2020-11-03 北京铸正机器人有限公司 一种c型臂下手术路径导向装置
KR20210079263A (ko) * 2019-01-11 2021-06-29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임플란트용 골시멘트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시멘트 토출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422B1 (ko) 2016-12-16 2018-06-26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본시멘트의 점도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본시멘트 주입장치
KR20210079263A (ko) * 2019-01-11 2021-06-29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임플란트용 골시멘트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시멘트 토출건
CN111012469A (zh) * 2020-01-07 2020-04-17 常州百隆微创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医用大型骨水泥填充器
CN111134826A (zh) * 2020-01-07 2020-05-12 常州百隆微创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医用小型骨水泥填充器
CN111870347A (zh) * 2020-09-04 2020-11-03 北京铸正机器人有限公司 一种c型臂下手术路径导向装置
CN111870347B (zh) * 2020-09-04 2023-03-14 北京铸正机器人有限公司 一种c型臂下手术路径导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1069B2 (en) Delivery of apparatus and methods for vertebrostening
US6375659B1 (en) Method for delivery of biocompatible material
US6348055B1 (en) Non-compliant system for delivery of implant material
EP1903961B1 (en) Device for delivery of bone void filling materials
US10058369B2 (en) Devices for delivering bone filler material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US20050113843A1 (en) Remotely actuated system for bone cement delivery
EP2892458B1 (en) Instruments for controlled delivery of injectable materials into bone
KR20140063794A (ko) 시멘트 주입기와 시멘트 주입기 커넥터, 및 뼈 시멘트 주입기 조립체
JP2003530151A (ja) 骨折した骨および/または病変した骨を処置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1234748B2 (en) Reduced extravasation of bone cement
KR20130044015A (ko) 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 키트 장치
WO1999049819A1 (en) Pressure applicator for hard tissue implant placement
KR20030029621A (ko) 척추체의 치료 시스템 및 방법
JP2013510647A (ja) 硬化可能材料送達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50989B1 (ko) 뼈 충진 물질의 경피전달용 장치
US9545281B2 (en) Minimally invasive cement delivery system retainer
KR102108620B1 (ko) 척추성형술용 니들 세트
KR200361374Y1 (ko) 나선형 척추뼈 질환용 성형기구
KR100465197B1 (ko) 골다공성 골내의 보강물질 주입 장치 및 그 주입방법
KR200317729Y1 (ko) 골다공성 골내의 보강물질 주입 장치
EP1367950A1 (en) Biocompatible material
AU2002236973A1 (en) Delivery of Biocompatible Material
KR20040071048A (ko) 골다공성 골의 치료용 골 시멘트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