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592A -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592A
KR20130043592A KR1020120116622A KR20120116622A KR20130043592A KR 20130043592 A KR20130043592 A KR 20130043592A KR 1020120116622 A KR1020120116622 A KR 1020120116622A KR 20120116622 A KR20120116622 A KR 20120116622A KR 20130043592 A KR20130043592 A KR 2013004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gion
function
treemap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487B1 (ko
Inventor
이경원
권오현
최정홍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04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06F16/2246Trees, e.g. B+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드 크기의 왜곡 없이, 계층 구조를 강조하여 시각화한 3차원 트리맵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트리맵 제어 시스템은 3차원 트리맵 출력부, 데이터베이스, 인터렉션 신호 입력부,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 트리맵 변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3차원 트리맵 출력부는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돌출시킨 3차원 트리맵을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원천데이터에 포함된 노드들의 속성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인터렉션 신호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는 인터렉션 신호 입력 시 상기 저장된 속성정보 및 상기 인터렉션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판단한다. 상기 트리맵 변형부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출력된 3차원 트리맵을 변형시킨다.

Description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CONTROLLING TREEMA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드 크기의 왜곡 없이, 계층 구조를 강조하여 시각화한 3차원 트리맵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의 발달과 함께, 포럼(forum), 메일링 리스트, 사업 조직 차트, 컨텐츠 관리 카테고리, 및 제품 카테고리를 포함한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가지 계층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트리 구조라고도 하는 계층 구조는 다수의 데이터 노드의 집합체로서, 최상단의 루트 노드를 제외한 각각의 노드는 단일의 부모 및 0개 이상의 자식을 갖는다. 계층적 데이터는 2가지 종류의 정보, 즉 계층적 구조에 관한 구조 정보 및 모든 노드에 관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계층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중에는 트리맵이 있다. 트리맵은 기존의 계층 구조를 표현하는 그래프(node-link diagram)가 대부분의 공간을 빈 공간으로 두는 것과 달리, 도 1의 (a)와 같이 사각형을 계층 구조와 같게 재귀적으로 나눠 주어진 디스플레이 공간을 빈 틈 없이 채우는(space filling) 방식을 통해 대량의 계층적 데이터를 효율적인 공간 사용을 통해 시각화한다. 각각의 사각형의 넓이는 노드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컴퓨터 하드디스크 내의 파일들을 트리맵을 이용하여 시각화하면, 폴더의 계층 구조는 재귀적으로 배치된 사각형들의 구조와 같고, 각각의 파일 크기는 각 사각형의 넓이로 표현된다. 폴더의 크기는 내부 파일들을 표현하는 사각형들의 합으로 표현된다.
트리맵의 자세한 개념은 Brian Johnson 및 Ben Shneiderman의 논문 "Tree-maps: A Space-Filling Approach to the Visualization of Hierarchical Information Structures"(Proc. IEEE Visualization '91, IEEE,Piscataway, NJ(1991), 284-291)에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트리맵은 외부 노드만을 사각형으로 표현하고, 내부 노드는 외부 노드를 표현하는 사각형들의 합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트리맵은 내부 노드를 따로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계층 구조를 식별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노드가 많고 계층 구조가 균형 잡힌 경우에는 이와 같은 한계점이 더욱더 명백히 나타난다는 Van Wijk와 Van de Wetering의 연구결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트리맵은 다른 위치에 있는 노드들의 상대적인 크기 비교, 즉 가중치를 비교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정보의 계층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노드들의 상위 계층을 추적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연구에서는 계층 구조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를 하였으며, 그 중에 노드 간에 여백을 주어 계층 구조를 강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주어진 모든 면적이 외부 노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계층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공간이 소비되어 노드의 면적을 왜곡하여 표현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노드의 크기가 실제 가중치와 다르게 표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의 (b)와 같이 노드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공간이 소비되어 노드 면적을 더욱 왜곡시킨다.
트리맵의 또 다른 한계점은 계층 구조를 가진 정보를 '포함관계'라는 메타포로만 해석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계층 구조를 부모 노드가 자식 노드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인지한다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사용자가 계층 구조를 상위 노드, 하위 노드와 같이 레벨로 인지하고 있다면, 트리맵의 형태는 이해하기 어렵다. 즉, 인지 시 계층 구조와 트리맵의 매칭이 잘 안되므로, 트리맵의 계층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구현된 트래맵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제어할 수 있는데 한계가 있다.
Brian Johnson 및 Ben Shneiderman의 논문 "Tree-maps: A Space-Filling Approach to the Visualization of Hierarchical Information Structures"(Proc. IEEE Visualization '91, IEEE,Piscataway, NJ(1991), 284-291)
본 발명은 노드 크기의 왜곡 없이, 계층 구조를 강조하여 시각화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식 노드가 많거나 차수가 높은 복잡한 계층 구조의 정보도 왜곡 없이 표현하고, 계층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노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기존의 2차원 트리맵이 가지는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여 계층 구조를 포함관계와 상하 레벨관계, 두 가지 모두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구현된 트래맵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리맵 제어 시스템은 3차원 트리맵 출력부, 데이터베이스, 인터렉션 신호 입력부,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 트리맵 변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3차원 트리맵 출력부는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돌출시킨 3차원 트리맵을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원천데이터에 포함된 노드들의 속성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인터렉션 신호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는 인터렉션 신호 입력 시 상기 저장된 속성정보 및 상기 인터렉션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판단한다. 상기 트리맵 변형부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출력된 3차원 트리맵을 변형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노드의 면적을 왜곡 없이 실제 가중치 값과 같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식 노드가 많거나 차수가 높은 복잡한 계층 구조의 정보도 왜곡 없이 얼마든지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노드와 노드 사이에 자연스럽게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계층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각 노드의 측면에 각 노드 영역에 대응되는 노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노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계층적 구조의 가시성은 더욱 명료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노드가 부모 노드에 쌓아 올려지는 형태를 통해 기존의 2차원 트리맵이 가지는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여 계층 구조를 포함관계와 상하 레벨관계, 두 가지 모두로 해석할 수 있다.
또, 3차원 트리맵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거나, 노드의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노드의 돌출/함몰, 동일 레벨/동일 속성의 노드 하이라이팅, 노드 위치 이동/높이 조절과 같이 노드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손쉬운 제어 UI를 제공하기 때문에 트리맵의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계층 구조의 노드를 트리맵으로 시각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간단한 계층 구조의 각 노드에 대응하여, 곡면의 표면 상에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형성된 노드 영역을 기초로 각 노드를 돌출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결과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가시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간단한 계층 구조의 각 노드에 대응하여, 곡면의 표면 상에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3차원 트리맵에서 노드의 관심 영역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3차원 트리맵에서 노드의 돌출/함몰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2는 3차원 트리맵에서 동일 레벨/동일 속성의 노드 하이라이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3은 3차원 트리맵에서 노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4는 3차원 트리맵에서 노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위하여 실제와는 달리 과장된 수치가 제시되었을 수 있다.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에 대한 설명>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100)은 원천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 저장부(120), 노드 영역 형성부(130), 노드 영역 돌출부(140) 및 라벨링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원천데이터 수신부(110)는 가중치 값을 가지는 계층화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원천데이터(raw data)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 원천데이터는 루트(root)라고 불리는 트리의 노드 중 하나인 가장 상위 레벨의 노드(부모 노드가 없는 노드)로부터 노드들이 계층(트리) 구조를 가지고 연결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각 노드는 자신의 부모 노드(임의 노드가 연결된 레벨이 높은 노드로, 자신을 파생시킨 노드), 자식 노드(현재 위치한 한 노드 아래에 종속되어 위치하는 노드), 형제 노드(동일한 부모 노드를 갖는 노드)에 대한 정보 및 가중치 값을 가지고 있으며, 계층 구조에서 실제로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 도 3의 (a)와 같은 간단한 계층 구조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의 (a)에서 루트는 노드 A이고, 노드 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부모 노드는 노드 A, 자식 노드는 노드, E, F, G, 형제 노드는 노드 C, D, 노드 B의 가중치 값은 50이다.
데이터 저장부(120)는 상기와 같은 원천데이터를 저장한다.
노드 영역 형성부(130)는 각 노드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구 또는 반구 등과 같은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위치하는 노드 영역을 형성한다. 즉, 노드 영역 형성부(130)는 도 3의 (a)와 같은 계층 구조의 노드들을 곡면의 표면에 대응시켜 도 3의 (c)와 같은 노드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로, 구와 같은 3차원 곡면에 트리맵을 형성하고 그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도 3의 (c)와 같은 노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곡면의 전체를 최상위 노드인 루트 노드(root node)의 영역이라 두고, 곡면 위의 영역을 루트 노드의 자식 노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들로 분할함으로써, 각각의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형성한다. 이 때, 각 노드에 부여된 가중치를 중심으로, 각 노드 영역의 넓이가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현을 통해, 시각적으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예로, 곡면의 위에 루트 노드의 자식 노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을 형성하고, 각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역을 배정하여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기준점에 대하여 가중치를 두어, 가중치가 크면 넓은 영역을 할당받게 하고, 가중치가 작으면 좁은 영역을 할당받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준점에 대해 영역을 할당한 후에 기준점을 할당된 노드 영역의 무게중심으로 옮긴 후 다시 영역을 할당하는 과정을 통하여, 노드의 영역이 정다각형에 가깝도록 하고, 가중치 값에 대응되는 면적의 영역을 할당받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시각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노드 영역 형성부(130)는 이와 같이 루트 노드의 자식 노드들에 대하여 노드 영역을 할당한 후에, 노드 영역이 형성된 각 노드들의 자식 노드들에 대하여 각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이 그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내에 형성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최하위 노드인 리프 노드(leaf node)까지 모든 노드의 노드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부모 영역의 내부에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 또한 상술한 루트 노드의 자식 노드의 노드 영역 설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내에 자식 노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을 설정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역을 배치하여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내부에 자식 노드의 노드 영역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점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가중치 값에 대응되는 넓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준점을 무게중심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통해 정확한 넓이 표현과 시각화 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노드 영역은 실제 시스템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는데, 많은 수의 평면(폴리곤)을 이용하여 곡면과 근사한 형태로 노드 영역을 모델링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곡면을 표현할 수 있는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노드 영역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곡면 표면에 위치하는 노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떤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리프 노드는 일반적으로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개수(차수)가 0인 노드 또는 하부에 가지가 없는 노드를 말하는 것으로, 도 3의 (a)에서 리프 노드는 Q, R, K, F, L, M, C, S, T, U, O, P, I이다. 따라서 기준점들은 상기 리프 노드들에 대응되어 13개가 생성되고, 이 13개의 기준점을 기초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인 12, 8, 10, 10, 5, 5, 10, 3, 8, 4, 5, 5, 15에 대응되도록 면적의 영역을 조절하면서 노드 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각 노드는 가중치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각 노드가 곡면의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면적을 가지도록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중치 값이 클수록 차지하는 노드 영역도 크다.
또,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은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을 쪼개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을 합치게 되면,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과 동일하므로,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이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해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노드 Q, R의 부모 노드인 노드 J는 노드 Q, R의 가중치 값의 합인 20을 가중치 값으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드 영역 형성 시, 노드 J의 노드 영역은 노드 Q, R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이와 마찬가지로 다른 부모 노드들도 자신의 자식 노드들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노드 영역 돌출부(140)는 각 노드 영역에 대하여, 인접한 노드 영역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각 노드 영역의 돌출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돌출 방향으로 각 노드 영역을 정해진 길이만큼 평행이동 시켜 상기 노드 영역을 돌출시킨다. 이 때, 곡면의 표면상에는 리프 노드(leaf node)들이 보여지지만, 그 부모 노드들을 포함하는 모든 노드의 노드 영역을 각각 돌출시킴으로써, 3차원상에서 트리맵을 시각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자식 노드는 상기 곡면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자신의 부모 노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돌출시켜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노드 영역 돌출부(140)에서 각각의 노드 영역을 돌출시키는 방향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구할 수 있는데, 각 노드 영역이 복수의 작은 평면(폴리곤; polygon)을 통해 모델링된 경우라면, 각각의 작은 평면의 법선 벡터(surface normal)들의 평균을 구하여, 평균 법선 벡터의 방향을 돌출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각각의 작은 평면들의 넓이가 상이한 경우, 그 넓이를 가중치로 하는 가중평균벡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 등의 방법으로 구현된 경우, 각 노드 영역의 무게중심점 등의 기준점에서 곡면에 접하는 평면의 법선벡터의 방향을 돌출 방향으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점을 각 노드영역의 무게중심 점으로 이동시키면서 노드 영역을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라면, 각 노드 영역의 기준점이 노드 영역의 무게중심에 해당하게 되어 별도의 추가 연산 없이 돌출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돌출된 노드 영역들이 서로 겹쳐지거나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돌출 방향이 형성되기만 한다면, 돌출로 인해 노드 영역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노드간의 계층 구조를 시각화 할 수 있게 되고, 돌출로 인해 형성된 측면에 정보를 표기할 수 있게 되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노드 영역을 돌출시키는 과정에서 노드 영역끼리 서로 겹치지 않는 돌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기 때문에, 트리의 차수가 높아질수록 노드 영역이 커지지 않고, 각 노드 사이에 빈 공간이 생성된다(도 4의 (c) 참조).
도 3에서 노드 B의 노드 영역은 노드 E, F, G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므로, 노드 B의 영역을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부모 노드인 노드 B의 돌출 방향을 결정하고, 노드 B의 노드 영역을 나타내는 곡면을 돌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켜 노드 B의 노드 영역을 돌출시킨다. 그리고, 노드 B의 노드 영역을 기준으로 자식 노드인 노드 E, F, G의 노드 영역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돌출시키며, 이를 모든 노드들에 적용하여 3차원 트리맵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의 표면에 3차원의 트리맵을 구현하기 위해서 라벨링 처리부(150)는 평행이동된 노드 영역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에 각 노드 영역에 대응되는 노드 정보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임의 노드에 대응되는 임의 노드 영역의 대표 법선 벡터가 구해지면 노드 영역 돌출부(140)는 도 4와 같이 각 노드 영역의 돌출 방향으로 상기 임의 노드 영역을 평행이동 시키고(a), 라벨링 처리부(150)는 평행이동된 상기 임의 노드 영역의 측면을 형성한다(b). 이러한 방식으로 노드 영역 돌출부(140)와 라벨링 처리부(150)는 곡면의 표면에 상기 임의 노드와 동일한 레벨의 노드 영역을 모두 형성한다(c). 이러한 방식으로 부모 노드 영역 위에 자식 노드 영역들을 돌출시키면(d), 도 5의 (a)와 같이 트리맵이 3차원으로 가시화될 뿐만 아니라 각 노드 사이에 빈 공간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도 5의 (b)와 같이 각 노드 사이의 측면에 노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의 트리맵은 각 노드 별로 결정된 돌출 방향으로 각 노드 영역을 밀어낸 뒤 부모 노드 위에 쌓아 올린 구조를 갖게 된다. 즉, 3차원 블록 형태의 입체도형이 구 표면 위에 쌓아 올려진 형태로 구성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노드의 면적을 왜곡 없이 실제 가중치 값과 같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식 노드가 많거나 차수가 높은 복잡한 계층 구조의 정보도 왜곡 없이 얼마든지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노드와 노드 사이에 자연스럽게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계층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각 노드의 측면에 각 노드 영역에 대응되는 노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노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계층적 구조의 가시성은 더욱 명료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노드가 부모 노드에 쌓아 올려지는 형태를 통해 기존의 2차원 트리맵이 가지는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여 계층 구조를 포함관계와 상하 레벨관계, 두 가지 모두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원천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도 3의 (c)에서 배치된 노드 영역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변경된 원천데이터에 따라 곡면의 표면에 리프 노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들을 다시 생성하고, 다시 생성된 각 기준점을 기초로 변경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대응되는 면적의 영역이 형성되도록 노드 영역을 재구성한다. 이와 같이, 원천데이터의 변경된 정보를 3차원 트리맵에 신속히 반영하여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100)은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
<트리맵 제어 시스템에 대한 설명>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리맵 제어 시스템(200)은 트리맵 출력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인터렉션 신호 입력부(230),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240), 트리맵 변형부(250)를 포함한다.
트리맵 출력부(210)는 가중치 값을 가지는 계층화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원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돌출시킨 3차원 트리맵을 출력한다. 3차원 트리맵의 구현방식 및 형태에 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원천데이터에 포함된 노드들의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속성정보는 노드의 레벨, 가중치 값, 위치정보, 높이정보, 노드에 관한 정보가 수정된 시간 등 3차원 곡면에 노드 영역을 형성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인터렉션 신호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서 인터렉션 신호는 사용자가 3차원 트리맵이 출력되는 일반 PC나 휴대폰,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마우스 휠이나 마우스 드래그 등의 방식으로 줌인/줌아웃(Zoom-In/Zoom-Out) 할 수 있는 신호, 또는 사용자가 3차원 트리맵의 노드를 마우스 클릭이나 터치 등의 방식으로 선택/위치 이동/높이 조절하여 3차원 트리맵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신호를 의미한다.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240)는 인터렉션 신호 입력 시 상기 저장된 속성정보 및 상기 인터렉션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인터렉션 기능은 앞서 설명한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3차원 트리맵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줌인/줌아웃 하는 기능, 또는 3차원 트리맵의 노드를 선택/위치 이동/높이 조절하여 3차원 트리맵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터렉션 기능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인터렉션 기능은 3차원 트리맵의 디스플레이화면제어기능, 관심영역이동기능(Rotating/Panning), 노드제어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다. 노드제어기능의 경우에는 노드 돌출/함몰(Peeling-off/Stacking-up), 동일 레벨의 노드 하이라이팅/동일 속성의 노드 하이라이팅(Structure-based Highlighting/Attribute-based Highlighting), 노드 위치 이동/높이 조절(Node Position/Node Height)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화면제어기능은 마우스 훨 또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채 마우스 드래깅하는 UI를 통해 3차원 트리맵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줌인/줌아웃 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줌값(zoom amount)에 따라 각 노드 사이의 측면에 라벨링된 노드 정보의 크기도 변한다.
다음, 관심영역이동기능은 3차원 트리맵에서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의 일예로, 사용자가 3차원 트리맵의 관심 있는 영역을 보기 위하여 마우스 클릭이나 터치 등의 수단으로 3차원 트리맵을 회전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다른 일예로, 3차원 트리맵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고정시키고 대신 배경 화면이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패닝(panning)의 기능이 있다.
일반적으로 패닝은 움직이는 피사체와 고정된 배경 화면의 움직임 관계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는 화면에 고정시키고 대신 배경 화면이 이동하는 것처럼 촬영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패닝은 주로 카메라를 저속 촬영으로 설정한 후 달리는 자동차나 뛰는 운동선수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며 촬영하는 기법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고정되고, 뒤의 배경은 변화되는 촬영 기법으로 인하여 속도감 있는 영상을 얻는데 많이 사용된다.
단, 이러한 패닝 기법을 이용하는데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지점이나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빈 화면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패닝 기능은 사용자가 노드들을 선택한 후 이를 기준으로 관심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노드제어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를 제어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노드를 선택하여 돌출/함몰, 하이라이팅, 위치 이동, 높이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전술한 기능들은 사용의 편의상 사용자가 기능에 맞는 옵션을 선택한 후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240)는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을 기초로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 및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노드의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한다.
트리맵 변형부(250)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트리맵 출력부(210)에 출력된 3차원 트리맵을 변형시킨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인터렉션 기능들과 관련하여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240) 및 트리맵 변형부(25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관심영역이동기능의 패닝과 관련하여,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240)는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을 기초로 복수개의 노드 선택 후 상기 선택된 노드를 기준으로 상기 3차원 트리맵의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트리맵 변형부(250)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도 10과 같이 상기 선택된 관심 영역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노드제어기능의 노드 돌출/함몰과 관련하여,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240)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 영역의 돌출 및 함몰여부를 결정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트리맵 변형부(250)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도 11과 같이 상기 선택된 노드 영역을 돌출 및 함몰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노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노드, 또는 동일한 레벨을 가진 노드들을 돌출/함몰 시킬 수 있다.
동일 레벨의 노드 하이라이팅/동일 속성의 노드 하이라이팅과 관련하여,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240)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 및 상기 노드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와 동일한 레벨의 노드 또는 동일한 속성정보를 가진 노드를 하이라이트 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트리맵 변형부(250)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동일한 레벨의 노드 또는 동일한 속성정보(예를 들면, 가중치 값, 노드가 수정된 시간)를 가진 노드를 하이라이트한다. 이러한 하이라이트 기능의 목적은 계층적인 노드들의 집합을 표현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노드 상에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면 노드가 하이트라이트 되도록 구현하고 있다. 이때, 도 12와 같이 하이라이트된 노드의 색조와 채도는 그대로 유지된 채 밝기만 증가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노드제어기능의 노드 위치 이동/높이 조절과 관련하여,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240)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 및 상기 노드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의 위치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트리맵 변형부(250)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도 13과 같이 상기 선택된 노드의 위치 또는 높이를 변형시킨다. 노드 위치 이동은 사용자가 특정 노드를 이와 멀리 떨어진 다른 노드와 비교하는 등 두 노드 간의 가중치 값이나 레벨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때 유용하며, 간단히 두 노드 중 하나의 노드를 마우스 클릭&드래깅하여 두 노드가 인접되도록 이동시키면 된다. 이러한 노드 위치 이동에 따른 노드 정보의 업데이트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노드 높이 조절의 목적은 하이라이트 또는 선택된 노드를 강조하기 위함으로, 이 경우 상기 노드들을 선택해서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다른 노드들을 선택해서 높이를 감소시키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차원 트리맵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거나, 노드의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노드의 돌출/함몰, 동일 레벨/동일 속성의 노드 하이라이팅, 노드 위치 이동/높이 조절과 같이 노드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손쉬운 제어 UI를 제공하기 때문에 트리맵의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트리맵 가시화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가시화 방법에 대해서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원천데이터 수신 및 저장단계<S610>
가중치 값을 가지는 계층화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원천데이터(raw data)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본 발명에서의 원천데이터는 앞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노드 영역 형성단계<S620>
각 노드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구 또는 반구 등과 같은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위치하는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각 노드가 곡면의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면적을 가지도록 노드 영역을 형성한다. 영역 형성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실시예가 적용이 가능하다.
2-1. 기준점 생성단계<S621>
곡면의 표면에 노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들을 생성한다.
2-2. 노드 영역 배치단계<S622>
각 기준점을 기초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대응되는 면적의 영역이 동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단계 S621에서 곡면의 표면에 기준점들이 주어지고, 주어진 곡면을 기준점들에 맞게 나눠 해당하는 노드 영역을 구한다. 구해진 노드 영역의 면적이 가중치 값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에 가중치를 두어 가중치가 크면 넓은 영역을 할당받게 하고, 가중치가 작으면 좁은 영역을 할당받도록 한다. 또한 구해진 영역의 무게중심으로 기준점을 옮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노드의 영역이 정다각형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하고 가중치 값에 알맞은 면적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은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을 쪼개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을 합치게 되면,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과 동일하므로,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이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도 8의 (a)와 같은 계층 구조에서의 리프 노드들 각각에 해당하는 노드 영역들은 (b)와 같은 곡면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3. 돌출 방향 결정단계<S630>
각 노드 영역이 인접한 노드 영역들과 서로 겹치거나 접하지 않고 돌출될 수 있는 방향을 각 노드 영역의 돌출 방향으로 결정하는데,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노드 영역이 복수의 작은 평면(폴리곤)으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폴리곤의 법선벡터(surface normal)들의 평균을 구하여, 평균 법선 벡터의 방향을 돌출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각각의 작은 평면들의 넓이가 상이한 경우, 그 넓이를 가중치로 하는 가중평균벡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 등의 방법으로 노드 영역의 곡면이 구현된 경우, 각 노드 영역의 무게중심점 등의 기준점에서 곡면에 접하는 평면의 법선벡터의 방향을 돌출 방향으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점을 각 노드영역의 무게중심 점으로 이동시키면서 노드 영역을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라면, 각 노드 영역의 기준점이 노드 영역의 무게중심에 해당하게 되어 별도의 추가 연산 없이 돌출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노드 영역 돌출단계<S640>
대표 법선 벡터 방향으로 노드 영역을 평행이동 시켜 상기 노드 영역을 돌출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전위순회 방식으로, 먼저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을 돌출시킨 뒤, 상기 부모 노드의 자식에 해당하는 노드 영역을 돌출시킨다(도 4 참조).
5. 라벨링 처리단계<S650>
상기 단계 S640에서 평행이동된 노드 영역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에 각 노드 영역에 대응되는 노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모 노드 영역 위에 자식 노드 영역들을 돌출시키면, 도 5의 (a)와 같이 트리맵이 3차원으로 가시화될 뿐만 아니라 각 노드 사이에 빈 공간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도 5의 (b)와 같이 각 노드 사이의 측면에 노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의 트리맵은 각 노드마다 각각의 돌출 방향으로 밀어낸 뒤 부모 노드 위에 쌓아 올린 구조를 갖게 되어, 3차원 블록 형태의 입체도형이 구 표면 위에 쌓아 올려진 형태로 구성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노드의 면적을 왜곡 없이 실제 가중치 값과 같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식 노드가 많거나 차수가 높은 복잡한 계층 구조의 정보도 왜곡 없이 얼마든지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노드와 노드 사이에 자연스럽게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계층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각 노드의 측면에 각 노드 영역에 대응되는 노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노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계층적 구조의 가시성은 더욱 명료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노드가 부모 노드에 쌓아 올려지는 형태를 통해 기존의 2차원 트리맵이 가지는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여 계층 구조를 포함관계와 상하 레벨관계, 두 가지 모두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단계들이 진행되는 중 원천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도 8의 (b)에서 배치된 노드 영역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변경된 원천데이터에 따라 곡면의 표면에 노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들을 다시 생성하고, 다시 생성된 각 기준점을 기초로 변경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대응되는 면적의 영역이 형성되도록 노드 영역을 재구성한다. 이와 같이, 원천데이터의 변경된 정보를 3차원 트리맵에 신속히 반영하여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트리맵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9에 도시된 흐름도 흐름도와 더불어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3차원 트리맵 출력<S910>
가중치 값을 가지는 계층화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원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돌출시킨 3차원 트리맵을 출력한다. 3차원 트리맵의 구현방식 및 형태에 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노드들의 속성정보 저장<S920>
상기 단계 S910에서의 원천데이터에 포함된 노드들의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 상기 속성정보는 노드의 레벨, 가중치 값, 위치정보, 높이정보, 노드에 관한 정보가 수정된 시간 등 3차원 곡면에 노드 영역을 형성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3.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렉션 신호 수신<S930>
사용자로부터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서 인터렉션 신호는 사용자가 3차원 트리맵이 출력되는 일반 PC나 휴대폰,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마우스 휠이나 마우스 드래그 등의 방식으로 줌인/줌아웃(Zoom-In/Zoom-Out) 할 수 있는 신호, 또는 사용자가 3차원 트리맵의 노드를 마우스 클릭이나 터치 등의 방식으로 선택/위치 이동/높이 조절하여 3차원 트리맵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신호를 의미한다.
4. 인터렉션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렉션 기능 판단<S940>
인터렉션 신호 입력 시 상기 저장된 속성정보 및 상기 인터렉션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의 인터렉션 기능은 3차원 트리맵의 디스플레이화면제어기능, 관심영역이동기능, 노드제어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다. 노드제어기능의 경우에는 노드 돌출/함몰(Peeling-off/Stacking-up), 동일 레벨의 노드 하이라이팅/동일 속성의 노드 하이라이팅(Structure-based Highlighting/Attribute-based Highlighting), 노드 위치 이동/높이 조절(Node Position/Node Height)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화면제어기능은 마우스 훨 또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채 마우스 드래깅하는 UI를 통해 3차원 트리맵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줌인/줌아웃 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줌값(zoom amount)에 따라 각 노드 사이의 측면에 라벨링된 노드 정보의 크기도 변한다.
다음, 관심영역이동기능은 3차원 트리맵에서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의 일예로, 사용자가 3차원 트리맵의 관심 있는 영역을 보기 위하여 마우스 클릭이나 터치 등의 수단으로 3차원 트리맵을 회전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다른 일예로, 3차원 트리맵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고정시키고 대신 배경 화면이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패닝(panning)의 기능이 있다.
일반적으로 패닝은 움직이는 피사체와 고정된 배경 화면의 움직임 관계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는 화면에 고정시키고 대신 배경 화면이 이동하는 것처럼 촬영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패닝은 주로 카메라를 저속 촬영으로 설정한 후 달리는 자동차나 뛰는 운동선수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며 촬영하는 기법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고정되고, 뒤의 배경은 변화되는 촬영 기법으로 인하여 속도감 있는 영상을 얻는데 많이 사용된다.
단, 이러한 패닝 기법을 이용하는데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지점이나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빈 화면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패닝 기능은 사용자가 노드들을 선택한 후 이를 기준으로 관심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노드제어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를 제어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노드를 선택하여 돌출/함몰, 하이라이팅, 위치 이동, 높이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전술한 기능들은 사용의 편의상 사용자가 기능에 맞는 옵션을 선택한 후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을 기초로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 및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노드의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한다
5. 판단된 기능에 따라 3차원 트리맵 변형<S950>
상기 단계 S940에서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단계 S910에서 출력된 3차원 트리맵을 변형시킨다.
이하에서는 인터렉션 신호에 따른 상기 단계 S940 및 상기 단계 S95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관심영역이동기능의 패닝과 관련하여, 상기 단계 S940에서는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을 기초로 복수개의 노드 선택 후 상기 선택된 노드를 기준으로 상기 3차원 트리맵의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단계 S950에서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도 10과 같이 상기 선택된 관심 영역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노드제어기능의 노드 돌출/함몰과 관련하여, 상기 단계 S940에서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 영역의 돌출 및 함몰여부를 결정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단계 S950에서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도 11과 같이 상기 선택된 노드 영역을 돌출 및 함몰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노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노드, 또는 동일한 레벨을 가진 노드들을 돌출/함몰 시킬 수 있다.
동일 레벨의 노드 하이라이팅/동일 속성의 노드 하이라이팅과 관련하여, 상기 단계 S940에서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 및 상기 노드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와 동일한 레벨의 노드 또는 동일한 속성정보를 가진 노드를 하이라이트 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단계 S950에서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동일한 레벨의 노드 또는 동일한 속성정보(예를 들면, 가중치 값, 노드가 수정된 시간)를 가진 노드를 하이라이트한다. 이러한 하이라이트 기능의 목적은 계층적인 노드들의 집합을 표현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노드 상에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면 노드가 하이트라이트 되도록 구현하고 있다. 이때, 도 12와 같이 하이라이트된 노드의 색조와 채도는 그대로 유지된 채 밝기만 증가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노드제어기능의 노드 위치 이동/높이 조절과 관련하여, 상기 단계 S940에서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 및 상기 노드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의 위치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단계 S950에서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도 13과 같이 상기 선택된 노드의 위치 또는 높이를 변형시킨다. 노드 위치 이동은 사용자가 특정 노드를 이와 멀리 떨어진 다른 노드와 비교하는 등 두 노드 간의 가중치 값이나 레벨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때 유용하며, 간단히 두 노드 중 하나의 노드를 마우스 클릭&드래깅하여 두 노드가 인접되도록 이동시키면 된다. 이러한 노드 위치 이동에 따른 노드 정보의 업데이트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노드 높이 조절의 목적은 하이라이트 또는 선택된 노드를 강조하기 위함으로, 이 경우 상기 노드들을 선택해서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다른 노드들을 선택해서 높이를 감소시키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차원 트리맵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거나, 노드의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노드의 돌출/함몰, 동일 레벨/동일 속성의 노드 하이라이팅, 노드 위치 이동/높이 조절과 같이 노드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손쉬운 제어 UI를 제공하기 때문에 트리맵의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
200: 트리맵 제어 시스템

Claims (25)

  1. 가중치 값을 가지는 계층화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원천데이터(raw data)를 수신하는 원천데이터 수신부;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노드 영역 형성부; 및
    상기 각 노드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각 노드 영역의 돌출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돌출 방향으로 상기 노드 영역을 평행이동 시켜 상기 노드 영역을 돌출시키는 노드 영역 돌출부
    를 포함하는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영역 형성부는,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이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노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노드 영역 돌출부는,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및 상기 부모 노드의 자식 노드의 노드 영역을 각각 돌출시키는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영역 형성부는,
    상기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각 노드의 노드 영역이 상기 곡면의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면적을 가지도록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영역 형성부는,
    상기 곡면의 표면에 루트 노드(root node)의 자식 노드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들을 형성하고, 각 기준점을 기초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따라 대응되는 면적의 영역이 동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노드 영역을 배치하는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영역 형성부는,
    곡면의 표면에 노드 영역이 형성된 각 노드의 자식 노드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을 그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내에 형성하고, 각 기준점을 기초로 각 자식 노드의 가중치 값에 따라 대응되는 면적의 영역이 동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노드 영역을 배치하는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이동된 노드 영역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에 각 노드 영역에 대응되는 노드 정보를 표기하는 라벨링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
  7. 가중치 값을 가지는 계층화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원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돌출시킨 3차원 트리맵을 출력하는 3차원 트리맵 출력부;
    상기 원천데이터에 포함된 노드들의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렉션 신호 입력부;
    인터렉션 신호 입력 시 상기 저장된 속성정보 및 상기 인터렉션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판단하는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출력된 3차원 트리맵을 변형시키는 트리맵 변형부
    를 포함하는 트리맵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기능은,
    상기 3차원 트리맵에서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를 제어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는,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을 기초로 상기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 및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노드의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는 트리맵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는,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을 기초로 복수개의 노드 선택 후 상기 선택된 노드를 기준으로 상기 3차원 트리맵의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트리맵 변형부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선택된 관심 영역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트리맵 제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 영역의 돌출 및 함몰여부를 결정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트리맵 변형부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선택된 노드 영역을 돌출 및 함몰시키는 트리맵 제어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 및 상기 노드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와 동일한 레벨의 노드 또는 동일한 속성정보를 가진 노드를 하이라이트 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트리맵 변형부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동일한 레벨의 노드 또는 동일한 속성정보를 가진 노드를 하이라이트 하는 트리맵 제어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기능 판단부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 및 상기 노드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의 위치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트리맵 변형부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선택된 노드의 위치 또는 높이를 변형시키는 트리맵 제어 시스템.
  13. (a) 가중치 값을 가지는 계층화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원천데이터(raw data)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각 노드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각 노드 영역의 돌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결정된 돌출 방향으로 상기 노드 영역을 평행이동 시켜 상기 노드 영역을 돌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리맵 가시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이 자식 노드들의 노드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노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및 상기 부모 노드의 자식 노드의 노드 영역을 각각 돌출시키는 트리맵 가시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각 노드의 노드 영역이 상기 곡면의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면적을 가지도록 노드 영역을 형성하는 트리맵 가시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곡면의 표면에 루트 노드(root node)의 자식 노드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각 기준점을 기초로 각 노드의 가중치 값에 따라 대응되는 면적의 영역이 동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노드 영역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리맵 가시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곡면의 표면에 노드 영역이 형성된 각 노드의 자식 노드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점을 그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내에 형성하는 단계; 및
    각 기준점을 기초로 각 자식 노드의 가중치 값에 따라 대응되는 면적의 영역이 동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노드 영역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리맵 가시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이동된 노드 영역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에 각 노드 영역에 대응되는 노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트리맵 가시화 방법.
  19. (a) 가중치 값을 가지는 계층화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원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볼록한 곡면의 표면에 돌출시킨 3차원 트리맵을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원천데이터에 포함된 노드들의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d) 인터렉션 신호 입력 시 상기 저장된 속성정보 및 상기 인터렉션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출력된 3차원 트리맵을 변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리맵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기능은,
    상기 3차원 트리맵에서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를 제어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을 기초로 상기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 및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노드의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이동기능을 기초로 복수개의 노드 선택 후 상기 선택된 노드를 기준으로 상기 3차원 트리맵의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선택된 관심 영역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 영역의 돌출 및 함몰여부를 결정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선택된 노드 영역을 돌출 및 함몰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 및 상기 노드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와 동일한 레벨의 노드 또는 동일한 속성정보를 가진 노드를 하이라이트 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동일한 레벨의 노드 또는 동일한 속성정보를 가진 노드를 하이라이트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 제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설정된 노드제어기능 및 상기 노드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의 위치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인터렉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판단된 기능에 따라 상기 선택된 노드의 위치 또는 높이를 변형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 제어 방법.
  25.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16622A 2011-10-20 2012-10-19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77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52 2011-10-20
KR20110107452 2011-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592A true KR20130043592A (ko) 2013-04-30
KR101277487B1 KR101277487B1 (ko) 2013-06-21

Family

ID=4814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622A KR101277487B1 (ko) 2011-10-20 2012-10-19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29879A1 (ko)
KR (1) KR101277487B1 (ko)
WO (1) WO201305860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944A (ko) * 2014-07-30 2016-02-12 문상훈 3차원 마인드맵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82357A1 (ko) * 2015-05-12 2016-11-17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WO2020045804A1 (ko) * 2018-08-27 2020-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포그래픽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1587S1 (en) * 2013-04-30 2016-03-1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39991B2 (en) * 2014-06-25 2018-04-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ile visualizations for navigating hierarchical data on mobile devices
KR101620319B1 (ko) * 2015-03-02 2016-05-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시스템
US10168884B2 (en) * 2015-11-10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user interface configuration pages to configure a computing resource comprised of component computing resources
US9740368B1 (en) * 2016-08-10 2017-08-22 Quid, Inc. Positioning labels on graphical visualizations of graphs
US11188258B2 (en) * 2017-06-19 2021-11-30 Hitachi, Ltd. Distributed storage system
US10936803B2 (en) 2018-04-02 2021-03-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gregation and processing of hierarchical data for display of interactive user interface chart elements
US20210270806A1 (en) * 2020-02-28 2021-09-02 10X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daptive immune cell clonotyping data
US20220083208A1 (en) * 2020-09-14 2022-03-17 Linecept, Inc. Non-proportionally transforming and interacting with objects in a zoomable user interface
US11222453B1 (en) * 2020-12-11 2022-01-11 Qatar Foundation For Education, Science And Community Development Interactive visual data categoriza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614A (en) * 1987-06-02 1990-04-17 Lsi Logic Corporation Hierarchical floorplanner
AU679553B2 (en) * 1993-07-07 1997-07-03 European Computer-Industry Research Centre Gmbh Database structures
US5596703A (en) * 1993-10-22 1997-01-21 Lucent Technologies Inc. Graphical display of relationships
US7921068B2 (en) * 1998-05-01 2011-04-05 Health Discovery Corporation Data mining platform for knowledge discovery from heterogeneous data types and/or heterogeneous data sources
US6408300B1 (en) * 1999-07-23 2002-06-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indexing structure for use with linear optimization queries
US6580425B1 (en) * 2000-02-28 2003-06-1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Hierarchical data structures for surface elements
US7213023B2 (en) * 2000-10-16 2007-05-0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Incremental clustering classifier and predictor
US6988104B2 (en) * 2001-04-02 2006-01-17 I2 Technologies U.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data in a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data
US6990638B2 (en) * 2001-04-19 2006-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hading layers and highlighting to navigate a tree view display
JP4121125B2 (ja) * 2003-09-10 2008-07-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フィックス・イメージ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データ解析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287234B2 (en) * 2003-09-19 2007-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se of color saturation to highlight items in a tree map visualization
US7340678B2 (en) * 2004-02-12 2008-03-04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interactive 3D visualization of indexed media
AU2004240229B2 (en) * 2004-12-20 2011-04-07 Canon Kabushiki Kaisha A radial, three-dimensional, hierarchical file system view
US20070028189A1 (en) * 2005-07-27 2007-02-01 Microsoft Corporation Hierarchy highlighting
US9557887B2 (en) * 2005-12-27 2017-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multidimensional view of hierarchical objects
CN101063972B (zh) * 2006-04-28 2010-05-12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增强映像树的可视性的方法和装置
CN101136106B (zh) * 2006-08-30 2010-07-07 国际商业机器公司 基于双曲几何显示加权树的方法和计算机系统
KR101047592B1 (ko) * 2008-06-16 2011-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차원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분석 방법과 다차원 데이터처리 장치
US8773992B2 (en) * 2010-10-11 2014-07-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rout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KR101192314B1 (ko) * 2010-11-05 2012-10-17 전자부품연구원 실감형 3차원 게임 시스템
US20120120086A1 (en) * 2010-11-16 2012-05-17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and Scalable Treemap as a Visualization Service
WO2012176317A1 (ja) * 2011-06-23 2012-12-27 サイバーアイ・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画像認識システムを組込んだ関連性検索によるインタレスト・グラフ収集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944A (ko) * 2014-07-30 2016-02-12 문상훈 3차원 마인드맵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82357A1 (ko) * 2015-05-12 2016-11-17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WO2020045804A1 (ko) * 2018-08-27 2020-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포그래픽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023750A (ko) * 2018-08-27 2020-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포그래픽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8608A3 (ko) 2013-07-11
US20140229879A1 (en) 2014-08-14
WO2013058608A2 (ko) 2013-04-25
KR101277487B1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487B1 (ko)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8650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3D modeling using skipping heuristics and fusing
US20210349615A1 (en) Resiz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Von Landesberger et al. Visual analysis of large graphs: state‐of‐the‐art and future research challenges
US8437559B2 (en) Computer-implemented visualization method
US20170090460A1 (en) 3D Model Generation From Map Data
US201302223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ketching And Imaging
Richter et al. Out-of-core visualization of classified 3d point clouds
US20120120086A1 (en) Interactive and Scalable Treemap as a Visualization Service
Rufiange et al. Treematrix: A hybrid visualization of compound graphs
US2011000707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W201513609A (zh) 網路可視化系統及方法
CN105447098B (zh) 一种信息查询方法及装置
Brath et al. Sphere-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Challenges and benefits
Shan et al. Interactive visual exploration of halos in large-scale cosmology simulation
KR101338243B1 (ko) 웹기반 가상공간을 활용한 군사정보 시각화 시스템
Limberger et al. Mixed-projection treemaps: A novel approach mixing 2d and 2.5 d treemaps
KR101782816B1 (ko)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US10824405B2 (en) Layer-based conversion with functionality retention
Chhetri et al. A mobile interface for navigating hierarchical information space
WO2014014928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sketching and imaging
Limberger et al. Interactive, height-based filtering in 2.5 D treemaps
Auber et al. Geographical treemaps
Limberger et al. Procedural texture patterns for encoding changes in color in 2.5 D treemap visualizations
Chhetri et al. Erelt: A faster alternative to the list-based interfaces for tree exploration and searching in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