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816B1 -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2816B1 KR101782816B1 KR1020150065873A KR20150065873A KR101782816B1 KR 101782816 B1 KR101782816 B1 KR 101782816B1 KR 1020150065873 A KR1020150065873 A KR 1020150065873A KR 20150065873 A KR20150065873 A KR 20150065873A KR 101782816 B1 KR101782816 B1 KR 101782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child nodes
- tree map
- nodes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7794 visualization techniqu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485 Platanus occident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8528 Platanus occid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70 cognitive problem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06F17/3096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 G06F17/227—
-
- G06F17/30327—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드 면적의 왜곡 없이, 노드 속성에 비례하고, 부모 노드의 면적은 자식 노드들의 면적의 합에 대응함으로써, 계층 구조를 강조하여 시각화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트리 구조로서, 최상위 노드(A)를 강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최상위 노드(A)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트리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트리 구조로서, 최상위 노드(A)와 그 자식 노드(B, C, D)를 강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최상위 노드(A)와 그 자식 노드(B, C, D)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트리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최상위 노드(A)와 그 자식 노드(B, C, D)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트리 구조로서, 최상위 노드(A), 중간 노드(B, C, D) 및 하위 노드(E, F, G, H, I)를 강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최상위 노드(A), 중간 노드(B, C, D) 및 하위 노드(E, F, G, H, I)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트리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최상위 노드(A), 중간 노드(B, C, D) 및 하위 노드(E, F, G, H, I)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트리 구조로서, 모든 노드의 계층 정보를 강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트리 구조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트리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트리 구조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시각화 방법으로서, 2차원 원시 트리맵과 3차원 기준 모델을 이용한 2단계 투영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트리맵에 대응하는 3차원 기준 모델의 평면도(Top View)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트리맵에 대응하는 3차원 기준 모델의 Oblique view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3차원 기준 모델의 측면도(Side View)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 영역이 설정된 트리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트리맵에 대응하는 3차원 기준 모델의 정면도(Front View) 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투영면과 3D 기준 모델을 결합한 2.5D 트리맵 시각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기준 모델을 형성하는 단계(S192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이 설정된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 노드의 위치를 자식 노드의 위치에 기반하여 재설정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로서, 도 13의 원시 트리맵과 트리맵 간의 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시각화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디바이스에서 프로세서를 상세하게 도시한 일 예이다.
도 26은 도 24의 디바이스에서 프로세서를 상세하게 도시한 다른 일 예이다.
도 27은 도 22의 트리맵 시각화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트리맵의 Top View의 일 실시예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른 관심 영역이 설정된 트리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트리맵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41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2420: 프로세서
2430: 통신 모듈
2440: UI 컨트롤러
Claims (19)
-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에 있어서,
투영면 상의 원시 트리맵을 입체의 표면으로 투영하여 상기 입체의 표면 상에 상기 원시 트리맵의 각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준 모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모델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노드 영역을 돌출시켜 기준 모델을 변형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기준 모델을 상기 투영면에 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된 기준 모델이 상기 투영면에 투영된 영상을 트리맵으로서 시각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모델에서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노드 영역 각각의 위치 또는 상태의 변화가 상기 투영면 상의 상기 트리맵에 반영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면에 투영된 영상을 트리맵으로서 시각화하는 단계는
상기 각 노드의 속성이 반영된 기하학적 형상을 상기 각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영역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모델을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각 노드 중 부모 노드보다 복수의 자식 노드들이 더 돌출되어 상기 부모 노드와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사이에 제1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투영면에 투영된 영상을 트리맵으로서 시각화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사이의 제2 간격을 통하여 상기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모델을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부모 노드와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의 계층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간격에 따라 상기 부모 노드로부터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을 돌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에 있어서,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위에 복수의 자식 노드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간의 간격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고,
각각의 노드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식 노드들 각각의 노드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 노드의 노드 영역의 일부는 상기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부모 노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맵 내의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관심 영역 내의 자식 노드들 간의 제1 간격은, 상기 관심 영역 외의 자식 노드들 간의 제2 간격보다 크도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에 있어서,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위에 복수의 자식 노드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을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일부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이 상기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위에 생성되었을 때의 제1 위치가 상기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의 기준 위치에서 멀수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을 상기 제1 위치에서 멀리 이동시키며,
각각의 노드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맵의 시각화 방법.
- 삭제
-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및
원시 트리맵의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위에서 생성된 자식 노드들 각각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상기 자식 노드들 각각이 배치된 영상을 트리맵으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달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자식 노드들 간의 간격을 통하여 노출되고, 각각의 노드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상기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식 노드들 각각의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 노드의 노드 영역의 일부는 상기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부모 노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트리맵 내의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선택된 관심 영역 내의 자식 노드들 간의 제1 간격은, 상기 관심 영역 외의 자식 노드들 간의 제2 간격보다 크도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식 노드들이 생성되었을 때의 제1 위치로부터 이동시켜 상기 자식 노드들 각각이 배치될 제2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자식 노드들 각각 중 적어도 일부 노드는 다른 일부 노드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위치가 상기 부모 노드의 노드 영역의 중심에서 멀수록 상기 복수의 자식 노드들 각각을 상기 제1 위치에서 멀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5873A KR101782816B1 (ko) | 2015-05-12 | 2015-05-12 |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PCT/KR2016/004978 WO2016182357A1 (ko) | 2015-05-12 | 2016-05-12 |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5873A KR101782816B1 (ko) | 2015-05-12 | 2015-05-12 |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173A KR20160133173A (ko) | 2016-11-22 |
KR101782816B1 true KR101782816B1 (ko) | 2017-09-28 |
Family
ID=5724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5873A KR101782816B1 (ko) | 2015-05-12 | 2015-05-12 |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2816B1 (ko) |
WO (1) | WO201618235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5101A (ko) | 2019-02-28 | 2020-09-07 | 김상준 |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57696B (zh) * | 2019-04-30 | 2022-04-15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视觉稿的结构调整方法、装置、设备和介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97508A (ja) * | 2011-10-31 | 2013-05-20 | Toshiba Corp | ツリー表示調整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401662T2 (de) * | 1993-07-07 | 1997-08-21 | Europ Computer Ind Res | Datenbankstrukturen |
CN101063972B (zh) | 2006-04-28 | 2010-05-12 | 国际商业机器公司 | 用于增强映像树的可视性的方法和装置 |
KR101623502B1 (ko) * | 2009-11-06 | 2016-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계층적 공간 분할 구조의 부분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
WO2013058608A2 (ko) * | 2011-10-20 | 2013-04-25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트리맵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
-
2015
- 2015-05-12 KR KR1020150065873A patent/KR1017828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5-12 WO PCT/KR2016/004978 patent/WO201618235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97508A (ja) * | 2011-10-31 | 2013-05-20 | Toshiba Corp | ツリー表示調整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5101A (ko) | 2019-02-28 | 2020-09-07 | 김상준 |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173A (ko) | 2016-11-22 |
WO2016182357A1 (ko) | 2016-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chulz et al. | The design space of implicit hierarchy visualization: A survey | |
KR101277487B1 (ko) | 트리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CN102779358B (zh) | 用于设计几何三维建模对象的方法及设备 | |
Tominski et al. | Fisheye tree views and lenses for graph visualization | |
JP3747404B2 (ja) | グラフィックス・イメージ作成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US915306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ketching and imaging | |
Auber et al. | Gospermap: Using a gosper curve for laying out hierarchical data | |
CN105761303A (zh) | 在3d建模组件上创建包围盒 | |
CN105339931A (zh) | 用于处理数据容器的方法和设备 | |
JPH09190541A (ja) | 画像マップデータ構造対話方法 | |
Burch et al. | Vizwick: a multiperspective view of hierarchical data | |
CN103914865A (zh) | 形成几何图案的面的组 | |
Liao et al. | Cluster-based visual abstraction for multivariate scatterplots | |
CN101989178A (zh) | 多叉树数据结构的立体环状可视化方法 | |
Limberger et al. | Advanced visual metaphors and techniques for software maps | |
JP6863675B2 (ja) | 画像分割 | |
CN101866379A (zh) | 用于可视化计算机屏幕上显示的对象的方法、程序和产品编辑系统 | |
KR101782816B1 (ko) |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
Burch et al. | Challenges and perspectives of interacting with hierarchy visualizations on large-scale displays | |
Limberger et al. | Mixed-projection treemaps: A novel approach mixing 2d and 2.5 d treemaps | |
WO2001037072A1 (en) | Data visualization | |
US20160232692A1 (en) | Displaying multivariate data in multiple dimensions | |
Limberger et al. | Interactive, height-based filtering in 2.5 D treemaps | |
US10453242B2 (en) | Visualization including multidimensional graphlets | |
US20230297734A1 (en) | Voxel-based approach for design mod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18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8030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