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101A -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101A
KR20200105101A KR1020190023785A KR20190023785A KR20200105101A KR 20200105101 A KR20200105101 A KR 20200105101A KR 1020190023785 A KR1020190023785 A KR 1020190023785A KR 20190023785 A KR20190023785 A KR 20190023785A KR 20200105101 A KR20200105101 A KR 20200105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rce data
time series
data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267B1 (ko
Inventor
김상준
Original Assignee
김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준 filed Critical 김상준
Priority to KR102019002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2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19Large Object storage;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계열 정보 및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 저장부,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3차원 구를 가정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를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3차원 좌표에 대응시키는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명령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중 상기 검색 명령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3차원 좌표의 위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3D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time series data}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 중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하면, 이를 3차원 공간상에서 직관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곳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온라인을 통해 수집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수집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하여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가시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782816호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는 대용량의 계층구조를 가지는 데이터를 3차원 공간 상에서 최대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현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데이터의 계층적인 구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데이터의 분포를 확인하는 데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의 변화를 분석하도록 하는 시계열 분석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시각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시계열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하여, 2차원 그래프를 통해 시간 정보와 수치 정보를 각각 x축과 y축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분석해야 할 데이터가 다양해질 경우, 직관적인 시각화가 어렵고, 시간 정보 및 수치정보를 제외한 다른 정보들을 표현하는 것이 어려워, 다양한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대규모의 시계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하여,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각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2816호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분포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여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간의 연결 관계가 있는 시계열 데이터의 연결 관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시계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테고리로 분류된 시계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은 시계열 정보 및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 저장부,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3차원 구를 가정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를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3차원 좌표에 대응시키는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명령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중 상기 검색 명령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3차원 좌표의 위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스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소스 데이터 저장부를 참고하여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연관되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고, 상가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 가중치 값을 구하고, 상기 가중치 값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을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이 상기 분할된 해당 카테고리의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태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전체의 카테고리별 건수를 기초로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기 수신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출력되는 화면을 회전 또는 확대/축소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열 데이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분포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열 데이터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여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간의 연결 관계가 있는 시계열 데이터의 연결 관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시계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테고리로 분류된 시계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시각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간의 연결 관계가 있는 시계열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에서 인덱스 정보를 지역 정보로 이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에서 인덱스 정보를 카테고리 정보로 이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 등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은 서버와 같이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장치에 분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201)은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 검색부(230) 및 출력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컴퓨터 시스템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일 수 있는데,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는 시계열 정보 및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소스 데이터는 다양한 수집 방법을 통해 수집된 대규모의 데이터, 즉 빅데이터일 수 있는데,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특성상 각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시계열 정보는 데이터의 생성일, 수집일 등 다양한 시간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를 수집한 시점이 시계열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간별 온도, 시간별 습도, 시간별 강수량 등 다양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서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가 논문 또는 특허 등의 데이터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논문의 발행일, 특허의 출원일 등이 시계열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논문의 연도별 발행 건수, 특허의 연도별 출원건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서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는 역사, 뉴스, 인명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내용의 속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시계열 정보를 포함하기만 한다면 어떤 형태라도 본 발명이 그 데이터의 형태 등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서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덱스 정보는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가 국가별 일자별 온도분포인 경우, 인덱스 정보는 국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별 일자별 온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소스 데이터가 연도별 산업분야별 매출현황인 경우라면, 인덱스 정보는 산업분야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산업분야별로 연도별 매출현황을 직관적으로 가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소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덱스 정보는 위의 예시와 같이 한가지 정보일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데이터 또는 그를 결합한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데이터일 수도 있고, 계층구조를 가지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가 특허 데이터인 경우, 특허의 출원인, 출원인 국적, 출원 특허청, 기술분류코드, 등록/공개 여부 등의 정보가 각각의 인덱스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인덱스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인덱스 정보를 선택하여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소스 데이터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산업분야별 매출현황인 경우, 산업분야 정보가 단순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산업의 하위 세부 산업들까지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계층화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분석자가 어느 계층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진행할지 선택할 수도 있으며, 가시화하는 과정에서 계층 정보를 그대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는 이와 같은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RDB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도 있고, 검색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인덱싱된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 저장 형태 및 저장 매체에 의해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는 복수의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정보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논문 또는 특허 데이터가 소스 데이터인 경우에는 각각의 논문 및 특허들 사이의 인용 관계가 연결 관계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소스 데이터가 SNS 상의 사용자 각각의 정보라고 한다면, 사용자들 사이의 팔로우 관계 등 인간관계 정보가 연결 관계 정보일 수 있다.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서 이와 같은 연결 관계를 저장하게 되면, 가시화하는 과정에서 개별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분석이 용이해질 수 있다.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3차원 구를 가정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를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3차원 좌표에 대응시킨다.
예를 들어,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도별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2010년을 나타내는 반지름을 1, 2011년을 나타내는 반지름을 2, 2013년을 나타내는 반지름을 3으로 하고, 2019년을 나타내는 반지름을 10으로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도별로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3차원의 구를 가상으로 가정하고, 각각의 연도별 데이터를 해당 구의 표면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다. 반지름의 단위는 연도별 데이터인 경우에는 연도 단위로, 월 단위 데이터인 경우에는 월 단위로, 시간 단위 데이터인 경우에는 시간 단위로, 초 단위 데이터인 경우에는 초 단위로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게 된다.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이와 같이 시계열 정보에 따라 복수의 3차원 구를 가정한 이후에는 3차원 구의 표면에 각각의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를 배치시키는데, 표면 중 어느 위치에 배치시킬지를 상기 인덱스 정보를 기초로 결정하게 된다.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인덱스 정보에 대응되는 구의 표면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지구 상에서 특정 지역의 위치를 표현하는 것과 같이 위도 및 경도 정보로 나타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이기 때문에, 시계열 정보에 따라 많은 수의 가상의 구가 생성되고, 이 표면에 동일한 기준으로 인덱스 정보를 활용하여 소스 데이터를 위치시켜야 하는데,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표현할 경우, 중심을 공유하는 여러 구들의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직관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가상의 구의 표면에 인덱스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매핑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인덱스 정보가 지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가정한 복수의 구들을 모두 지구 표면으로 가정하고, 인덱스 정보가 나타내는 지리 정보를 기초로 해당 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별 연도별 GDP 현황을 가시화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구의 표면을 전세계 지도로 매핑하고, 각각의 국가를 나타내는 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인덱스 정보가 가지고 있는 국가 정보에 매핑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데이터의 구 표면 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활용하는 인덱스 정보가 포함하는 지리 정보는 위 설명한 것과 같이 국가 정보일 수도 있으며, 특정 국가 내의 시/도 정보, 또는 특정 도시내의 세부 건물 주소 등의 정보일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의 구 전체를 지구 표면으로 생각하고 지리정보를 매칭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분석 대상 지역이 협소한 경우에는 해당 지역 전체를 구 표면으로 하고,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구 표면 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도 다양한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는 상기 인덱스 정보가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이 포함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카테고리별 가중치 값을 구하고, 가중치 값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을 분할하고,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이 분할된 해당 카테고리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소스 데이터의 인덱스 정보가 기술 분야에 관한 정보인 경우, 소스 데이터 중 일부는 인공지능 기술, 일부는 디스플레이 기술, 일부는 반도체 기술 등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소스 데이터의 카테고리들이 각각 구의 표면을 분할한 영역을 하나씩 가지도록 하고, 소스 데이터의 인덱스 정보가 특정 카테고리를 가리키는 경우, 그 소스 데이터를 해당 카테고리가 가지고 있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카테고리 정보는 위 예시한 것처럼, 단순 카테고리 정보일 수 있으며, 복잡한 계층구조를 가지는 카테고리 정보일 수도 있고, 하나의 소스 데이터가 복수의 카테고리에 중복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일 수도 있다.
카테고리 정보가 계층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트리맵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계층 구조를 구의 표면상에 평면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구현을 통해, 계층 구조의 시계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소스 데이터가 복수의 카테고리에 중복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카테고리 별로 가지는 영역이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영역을 배분하여, 이와 같은 중복 분류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구의 표면을 카테고리 정보 별로 분할할 때, 분할되는 영역들의 면적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포함하고 있는 소스 데이터 건수를 확인하고, 이 소스 데이터 건수를 기초로 카테고리 정보 별 가중치를 계산하여, 이 가중치가 해당 카테고리 정보가 가지는 면적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가 많은 곳은 넓은 영역을 가지고, 데이터가 적은 곳은 좁은 영역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으로써, 시계열 정보와 무관하게, 면적을 통해 각각의 소스 데이터가 어느 카테고리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 시계열적인 데이터의 흐름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면적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카테고리 정보 별로 영역을 분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상대적인 면적이 결정되어 있을 때에, 이를 효과적으로 분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시계열 정보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된 3차원 공간상의 가상 구들 사이에서, 같은 카테고리가 같은 위치에 동일한 형태와 면적을 가지고 존재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시계열 정보와 무관하게, 전체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가상의 구를 생성하여,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해당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각각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상의 구에 프로젝션(Projection)하여 매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색부(23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명령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중 상기 검색 명령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를 검색한다. 상기 사용자는 소스 데이터들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자일 수 있으며, 전체 소스 데이터 중에서 분석에 필요한 소스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검색 명령을 수신하다. 상기 검색 명령은 특정 소스 데이터에 대응되는 키워드 정보나 소스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서지정보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검색엔진에서 활용하는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여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검색부(230)에서 원활한 검색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는 미리 색인기(Indexer)를 통해 색인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데이터의 용량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RDB 등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검색 방법에 의해 권리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출력부(240)는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3차원 좌표의 위치를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각각의 소스 데이터 별 3차원 좌표 정보를 생성하였으므로, 검색된 소스 데이터 각각은 3차원 좌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부에서는 검색된 소스 데이터들을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배치시켜,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3차원 모델을 렌더링(Rendering)하여 일반적인 2차원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3D 디스플레이 또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실제 3차원 정보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부(240)에서 각각의 소스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때에는 소스 데이터를 하나의 점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특정 도형(평면 또는 입체)으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소스 데이터가 가지는 속성 정보를 기초로 표시되는 점 또는 도형의 크기,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별 연도별 GDP 정보인 경우, GDP 금액에 따라 각각의 소스 데이터에 대응되는 도형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시계열상의 흐름에 따라, 국가별 GDP가 어떻게 변해가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40)에서 소스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때에, 동일한 시계열 정보와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가지는 소스 데이터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해당하는 소스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 표시되는 점이나 도형의 크기 또는 색상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도별로 국적별 발행되는 논문 데이터를 가시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2015년의 한국국적 저자의 논문이 100건이고, 2016년 한국국적 저자의 논문이 200건인 경우, 2015년에 해당하는 가상의 구에는 한국의 위치에 100에 대응되는 크기의 도형을 배치하고, 2016년에는 그것의 2배인 200에 대응되는 크기의 도형을 배치하여, 직관적으로 시계열적인 변화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들 사이에 연결 관계 정보가 있는 경우,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가 논문 데이터인 경우, 논문 데이터들 사이의 인용 관계가 소스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논문 데이터를 나타내는 점 또는 도형을 서로 선, 화살표 등으로 연결하여 표현하여 줌으로써, 직관적으로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년도별로 어느 나라 국적의 저자가 작성한 논문이 어느 나라로 많이 인용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출력부(240)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소스 데이터 또는 소스 데이터 집단을 나타내는 도형 등을 클릭하거나 마우스를 올려 놓는 등의 조작을 할 경우, 해당 소스 데이터에 대한 상세 정보를 팝업 등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전체적인 시계열적인 동향을 확인하면서, 개별 데이터의 상세 정보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직관적이고 편리한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기초로 출력되는 화면을 회전 또는 확대/축소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되는 화면은 가상의 3차원 공간을 모델링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화면이기 때문에, 3차원 모델을 보는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3차원 모델을 조작을 통해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출력되는 정보가 국가별 정보인 경우, 지구상의 모든 국가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지구본을 회전하는 것처럼, 화면을 회전시키면서 필요한 정보들을 즉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240)는 가상의 3차원 구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 쪽에 해당하는 반구 내의 소스 데이터 정보만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반대쪽의 소스 데이터 정보에 의하여 보여지는 쪽의 소스 데이터 정보가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부(240)에서 수신하는 사용자 명령은 마우스의 클릭, 드래그 등일 수도 있으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 터치 조작을 통한 확대 축소 등을 명령으로 입력 받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조작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을 이용하면, 보여지는 구의 중심에서부터 표면 방향으로 화면에 보이지는 않지만, 시계열 정보에 따라 수 많은 가상의 구들이 존재하게 되며, 각각의 구의 표면에 소스 데이터가 점의 형태로 출력되게 되어, 해당 소스 데이터들이 동일한 지역 또는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데이터들인 것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과거 데이터, 표면에 가까울수록 현재의 데이터가 출력되게 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데이터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한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가상의 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확대/축소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찾아 쉽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 명령을 활용하면, 전체 소스 데이터 중에서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분석 과정에서 이 검색 명령을 수시로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간의 연결 관계가 있는 시계열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가 있는 경우, 소스 데이터들을 나타내는 점 또는 도형들 사이를 선, 화살표 등으로 연결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정보들의 연결 관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에 따른 소스 데이터의 변화와, 지역 또는 카테고리별 소스 데이터의 분포에다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느 지역 또는 어느 카테고리의 정보가 다른 지역 또는 다른 카테고리의 정보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심층적인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에서 인덱스 정보를 지역 정보로 이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소스 데이터가 인덱스 정보로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면에 지구 형태의 구를 출력하고, 위 도 3 및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계열적인 흐름에 따라서, 구의 중심에서부터 표면까지 존재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가상의 구들의 표면에 소스 데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지역적 데이터의 흐름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한국, 미국, 호주를 대상으로 특정 데이터의 변화를 분석한 경우인데, 직관적으로 지역별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의 소스 데이터가 속성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그 속성 값에 대응되는 크기로 소스 데이터를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의 속성은 크기뿐 아니라, 색상,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 가능한데, 이와 같은 표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에서 인덱스 정보를 카테고리 정보로 이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가 카테고리 정보를 인덱스 정보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체 소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들로 화면에 보이는 구의 표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 내에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소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기술분야별 논문 건수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것인데, 이 중 인공지능, 디스플레이, 반도체 분야를 검색하여 분석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의 영역은 시계열 정보와 무관하게 각각의 카테고리의 전체 논문 수를 기초로 면적을 산정하여 구분할 수 있고, 상대적인 면적이 정해진 구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이 분할되면, 앞서 지리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스 데이터를 시계열 정보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다수의 구의 표면에 출력함으로써,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소스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소스 데이터 정보의 크기, 색상, 모양 등을 다르게 하여 보다 다양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은 상술한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201)의 기술적인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아래 설명한 내용 이외에도 위에서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201)을 설명한 기술적인 사항을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단계 S701에서는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 시계열 정보 및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소스 데이터는 다양한 수집 방법을 통해 수집된 대규모의 데이터, 즉 빅데이터일 수 있는데,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특성상 각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시계열 정보는 데이터의 생성일, 수집일 등 다양한 시간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를 수집한 시점이 시계열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간별 온도, 시간별 습도, 시간별 강수량 등 다양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701에서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가 논문 또는 특허 등의 데이터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논문의 발행일, 특허의 출원일 등이 시계열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논문의 연도별 발행 건수, 특허의 연도별 출원건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처럼, 소스 데이터 저장부(210)에서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시계열 정보를 포함하기만 한다면 어떤 형태라도 본 발명이 그 데이터의 형태 등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단계 S701에서는 복수의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정보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논문 또는 특허 데이터가 소스 데이터인 경우에는 각각의 논문 및 특허들 사이의 인용 관계가 연결 관계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소스 데이터가 SNS 상의 사용자 각각의 정보라고 한다면, 사용자들 사이의 팔로우 관계 등 인간관계 정보가 연결 관계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702에서는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3차원 구를 가정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를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3차원 좌표에 대응시킨다.
단계 S702에서 이와 같이 시계열 정보에 따라 복수의 3차원 구를 가정한 이후에는 3차원 구의 표면에 각각의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를 배치시키는데, 표면 중 어느 위치에 배치시킬지를 상기 인덱스 정보를 기초로 결정하게 된다.
단계 S702에서 인덱스 정보에 대응되는 구의 표면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지구 상에서 특정 지역의 위치를 표현하는 것과 같이 위도 및 경도 정보로 나타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이기 때문에, 시계열 정보에 따라 많은 수의 가상의 구가 생성되고, 이 표면에 동일한 기준으로 인덱스 정보를 활용하여 소스 데이터를 위치시켜야 하는데,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표현할 경우, 중심을 공유하는 여러 구들의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직관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는 검색부(230)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명령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중 상기 검색 명령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를 검색한다. 상기 사용자는 소스 데이터들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자일 수 있으며, 전체 소스 데이터 중에서 분석에 필요한 소스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검색 명령을 수신하다. 상기 검색 명령은 특정 소스 데이터에 대응되는 키워드 정보나 소스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서지정보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검색엔진에서 활용하는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여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원활한 검색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는 미리 색인기(Indexer)를 통해 색인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데이터의 용량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RDB 등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검색 방법에 의해 권리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704에서는 출력부(240)를 통해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3차원 좌표의 위치를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220)에서 각각의 소스 데이터 별 3차원 좌표 정보를 생성하였으므로, 검색된 소스 데이터 각각은 3차원 좌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부에서는 검색된 소스 데이터들을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배치시켜,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3차원 모델을 렌더링(Rendering)하여 일반적인 2차원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3D 디스플레이 또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실제 3차원 정보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704에서 각각의 소스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때에는 소스 데이터를 하나의 점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특정 도형(평면 또는 입체)으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소스 데이터가 가지는 속성 정보를 기초로 표시되는 점 또는 도형의 크기,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별 연도별 GDP 정보인 경우, GDP 금액에 따라 각각의 소스 데이터에 대응되는 도형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시계열상의 흐름에 따라, 국가별 GDP가 어떻게 변해가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들 사이에 연결 관계 정보가 있는 경우,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가 논문 데이터인 경우, 논문 데이터들 사이의 인용 관계가 소스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논문 데이터를 나타내는 점 또는 도형을 서로 선, 화살표 등으로 연결하여 표현하여 줌으로써, 직관적으로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년도별로 어느 나라 국적의 저자가 작성한 논문이 어느 나라로 많이 인용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계 S704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기초로 출력되는 화면을 회전 또는 확대/축소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되는 화면은 가상의 3차원 공간을 모델링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화면이기 때문에, 3차원 모델을 보는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3차원 모델을 조작을 통해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201: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210: 소스 데이터 저장부
220: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
230: 검색부
240: 출력부

Claims (17)

  1. 시계열 정보 및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 저장부;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3차원 구를 가정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를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3차원 좌표에 대응시키는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명령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중 상기 검색 명령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3차원 좌표의 위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소스 데이터 저장부를 참고하여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연관되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고,
    상가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 가중치 값을 구하고,
    상기 가중치 값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을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이 상기 분할된 해당 카테고리의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태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을 분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전체의 카테고리별 건수를 기초로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 가중치를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출력되는 화면을 회전 또는 확대/축소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9. 소스 데이터 저장부에 시계열 정보 및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스 데이터 저장 단계;
    3차원 좌표 정보 생성부에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정보에 대응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3차원 구를 가정하고, 상기 인덱스 정보를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3차원 좌표에 대응시키는 3차원 좌표 정보 생성 단계;
    검색부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명령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중 상기 검색 명령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출력부에서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3차원 좌표의 위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 저장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소스 데이터 저장부를 참고하여 상기 검색된 소스 데이터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에 연관되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고,
    상가 3차원 좌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 가중치 값을 구하고,
    상기 가중치 값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을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각각이 상기 분할된 해당 카테고리의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의 특정 위치를 나태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 단계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로 상기 가정한 3차원 구의 표면을 분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좌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스 데이터 전체의 카테고리별 건수를 기초로 상기 카테고리 정보 별 가중치를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출력되는 화면을 회전 또는 확대/축소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23785A 2019-02-28 2019-02-28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20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785A KR102205267B1 (ko) 2019-02-28 2019-02-28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785A KR102205267B1 (ko) 2019-02-28 2019-02-28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01A true KR20200105101A (ko) 2020-09-07
KR102205267B1 KR102205267B1 (ko) 2021-01-20

Family

ID=7247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785A KR102205267B1 (ko) 2019-02-28 2019-02-28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027A (ko) * 2021-02-18 2022-08-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파편적 데이터 통합 장치 및 방법
KR20220118026A (ko) * 2021-02-18 2022-08-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파편적 데이터 검색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6099A1 (en) * 2012-10-22 2014-05-01 Symbol Technologies, Inc. Ultrasonic locationing system using only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asurements
KR101782816B1 (ko) 2015-05-12 2017-09-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6099A1 (en) * 2012-10-22 2014-05-01 Symbol Technologies, Inc. Ultrasonic locationing system using only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asurements
KR101782816B1 (ko) 2015-05-12 2017-09-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트리맵 시각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027A (ko) * 2021-02-18 2022-08-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파편적 데이터 통합 장치 및 방법
KR20220118026A (ko) * 2021-02-18 2022-08-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파편적 데이터 검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267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ber et al. Gospermap: Using a gosper curve for laying out hierarchical data
Von Landesberger et al. Visual analysis of large graphs: state‐of‐the‐art and future research challenges
Griethe et al. Visualizing uncertainty for improved decision making
von Landesberger et al. Visual analysis of large graphs.
Liao et al. Cluster-based visual abstraction for multivariate scatterplots
Shao et al. Guiding the exploration of scatter plot data using motif-based interest measures
KR102205267B1 (ko) 3차원 시계열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Reckziegel et al. Predominance tag maps
Huang et al. A novel virtual node approach for interactive visual analytics of big datasets in parallel coordinates
Cunningham et al. Towards embodied interaction for geospatial energy sector analytics in immersive environments
Borgo et al. A survey of graph-based representations and techniques for scientific visualization
Atzberger et al. Visualization of source code similarity using 2.5 D semantic software maps
Gonçalves et al. St–trajvis: Interacting with trajectory data
Sibolla et al. Towards the development of a taxonomy for visualisation of streamed geospatial data
Ekawati et al. Analysis of S2 (Spherical) Geometry Library Algorithm for GIS Geocoding Engineering
Sevilla et al. SILKNOWViz: Spatio-temporal data ontology viewer
Popov et al. Visual Analytics of Multidimensional Dynamic Data with a Financial Case Study
Anastopoulou et al. Cartographic perspectives on spatial and thematic levels of detail in augmented reality: a review of existing approaches
Gong et al. A generic method to organize boundaries of complex polygons for embedded devices
Aigner et al. Visualization aspects
US20230229722A1 (en) Attribute-based positioning of bookmarks in a 3d virtual space
Song et al. Part detection for 3d shapes via multi-view rendering
El Meseery et al. Geo-Coordinated Parallel Coordinates (GCPC): A case study of environmental data analysis
Zhao et al. Analysis of the present application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e-commerce websites
Unmüßig et al. An Interactive Drawing Plane for 3-Dimensional Annotation of Geographic Data in Virtual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