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518A -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 Google Patents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518A
KR20130043518A KR1020110107724A KR20110107724A KR20130043518A KR 20130043518 A KR20130043518 A KR 20130043518A KR 1020110107724 A KR1020110107724 A KR 1020110107724A KR 20110107724 A KR20110107724 A KR 20110107724A KR 20130043518 A KR20130043518 A KR 20130043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gas
monthly
daily
emissions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수
이주봉
박현신
김태은
Original Assignee
(주)에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아이 filed Critical (주)에코아이
Priority to KR102011010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3518A/ko
Publication of KR2013004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어느 특정지역에 대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 및 대기오염 측정자료를 기반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및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상관관계를 통해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함으로써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예측이 가능하여 일별 데이터와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METHOD FOR CALCULATING EMISSION OF GREENHOUSE GAS PER DAY}
본 발명은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느 특정지역에 대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 및 일별 대기오염 측정자료를 기반으로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가 더 이상 진전되는 것을 막기 위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2005년 2월 16일 교토 의정서의 발효에 따라 이제 우리나라도 에너지를 절약하여 온실가스를 줄여야 하는 의무를 지게 되었다.
특히, 교토의정서는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세계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하면서도 이를 중심으로 한 경제적인 편익성을 추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교토의정서는 제1차 의무이행기간인 2008-2012년에는 각 참여 대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2%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 채택 당시 개도국으로 분류되어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면제받아 왔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OECD의 회원국이면서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9위, 단위 GDP당 배출량은 세계 2위로 보고되면서, 이제 제2차 의무이행기간인 2013-2017년에는 온실가스 감축의무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되어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상기 의무를 부담할 예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 0696163호(2007.03.20.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계산은 간단한 문제가 아닐뿐더러 그 절차와 방법이 복잡하고,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감축을 달성한다 하더라도 그 검증, 즉 데이터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 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을 배출권 거래로 연결하기란 쉽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어느 특정지역에 대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 및 일별 대기오염 측정자료를 기반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및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상관관계를 통해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은 제어부가 설정된 지역에서 사용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을 에너지 사용량 DB로부터 읽어오는 단계; 월별 에너지 사용량을 바탕으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 대기오염자료 DB로부터 읽어온 월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간의 상관도를 추출하는 단계; 월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일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기여도를 기반으로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기반으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으로부터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월별 에너지 사용량은 설정지역에서 사용되는 석유류, LNG 및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대기오염물질은 일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석유류와 LNG의 사용량에 따른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한 후 온실가스 배출량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느 특정지역에 대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 및 대기오염 측정자료를 기반으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월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상관관계를 통해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함으로써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예측이 가능하여 일별 데이터와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에 의해 산출된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에 의해 산출된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 시스템은 입력부(10), 제어부(20), 출력부(60), 에너지 사용량 DB(30), 대기오염자료 DB(40) 및 온실가스 배출량 DB(50)를 포함한다.
에너지 사용량 DB(30)는 설정지역에 대한 년도별 월별 산업별 석유류, LNG 및 전력 사용량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장한다.
석유류는 휘발유, 등유, 경유, B-A, B-B, B-C, 나프타, 용제, 항공유, LPG, 아스팔트, 윤활유, 부생연료유, 기타를 포함한다.
또한, 산업별은 농림수산업, 광업, 식품·담배업, 섬유제품업, 목재업, 제지·인쇄업, 화학제품업, 요업, 철강, 비철금속업, 기계조립업, 수송장비업, 기타제조 및 건설을 포함하는 산업과, 기타에너지, 발전, 석유정제, 가스제조를 포함하는 에너지산업, 철도, 도로, 해운, 항공을 포함하는 수송, 가정, 상업, 공공 및 기타로 구분한다.
대기오염자료 DB(40)는 설정지역에 대한 년도별 월별 일별 CO, SO2, NO2, O3, PM10 에 대해 측정한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저장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DB(50)를 월별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산출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장한다.
입력부(10)는 설정지역에 대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 및 대기오염자료를 입력한다.
제어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설정지역에 대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 및 대기오렴 자료를 에너지 사용량 DB(30) 및 대기오염자료 DB(40)에 각각 저장하고 월별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며 월별 대기오염물질과의 상관도에 따라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산출하여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DB(50)에 저장한다.
출력부(60)는 제어부(20)에서 산출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에 의해 산출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에 의해 산출된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은 제어부(20)가 설정지역에서 사용한 석유류, LNG 및 전력 사용량에 대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을 에너지 사용량 DB(30)로부터 읽어온다(S10).
이때 석유류는 휘발유, 등유, 경유, B-A, B-B, B-C, 나프타, 용제, 항공유, LPG, 아스팔트, 윤활유, 부생연료유, 기타를 포함한다.
이렇게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설정지역의 산업별, 연도별, 월별 에너지 사용량을 바탕으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한다(S20).
이때 산업별은 농림수산업, 광업, 식품·담배업, 섬유제품업, 목재업, 제지·인쇄업, 화학제품업, 요업, 철강, 비철금속업, 기계조립업, 수송장비업, 기타제조 및 건설을 포함하는 산업과, 기타에너지, 발전, 석유정제, 가스제조를 포함하는 에너지산업, 철도, 도로, 해운, 항공을 포함하는 수송, 가정, 상업, 공공 및 기타로 구분한다.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산출한다.
석유류, LNG, 전력 사용량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를 직접배출하는 고정연소, 이동연소와 간접배출하는 전력부문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또한, 고정연소는 기체연료와 액체연료로 구분하여 배출량을 산출하고, 이동연소는 도로에서의 배출량을 산출한다.
먼저, 고정연소 중 기체연료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이때, Ei,j : 연료(i)연소에 따른 온실가스(j)별 배출량(tCOeq)
Qi : 연료(i) 사용량(측정값, m3-연료)
ECi : 연료(i)의 열량계수(연료 순발열량, MJ / m3-연료)
EFi,j : 연료별(i) 온실가스(j) 배출계수(kg-GHG / TJ-연료)
fi : 연료(i)의 산화계수
Feq,j : 온실가스(j)별 CO 등가계수(CO = 1, CH4 = 21, N2O = 310)
또한, 고정연소 중 액체연료에 대한 CO배출량은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한다.
Figure pat00002
Ei,j : 연료(i) 연소에 따른 온실가스(j)별 배출량(tCOeq ton)
Qi : 연료(i)의 사용량(측정값, ℓ-연료)
ECi : 연료(i)의 열량계수(연료 순발열량, MJ / ℓ-연료)
EFi,j : 연료(i)의 온실가스(j) 배출계수(kg-GHG / TJ-연료)
fi : 연료(i)의 산화계수
Feq,j : 온실가스(j)별 CO₂ 등가계수(CO = 1, CH4 = 21, N2O = 310)
그리고, 이동연소에 대한 CO배출량은 수학식 3에 의해 산출한다.
Figure pat00003
Ei,j : 연료 종류 (i)의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j)의 배출량(tCO₂eq ton)
Qi : 연료 종류 (i)의 연료소비량(ℓ)
ECi : 연료 종류 (i)의 순발열량(MJ /ℓ-연료)
EFi,j : 연료 종류 (i)에 대한 온실가스 (j)의 배출계수(kg/TJ)
Feq,j : 온실가스 (j)의 CO 등가계수(CO = 1, CH4 = 21, N2O = 310)
i : 연료 종류
그리고, 간접배출되는 전력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수학식 4에 의해 산출한다.
Figure pat00004
CO₂eq Emissions : 전력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tCO₂eq)
Q :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력 사용량(MWh)
EFj : 전력 간접배출계수(tGHG/MWh)
Feq,j : 온실가스(j)의 CO등가계수(CO = 1, CH4 = 21, N2O = 310)
j : 배출 온실가스 종류
이와 같이 부문별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도 3과 같이 부문별로 산출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서울시의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산업, 에너지산업, 수송, 가정, 상업 공공의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여 비교해본 결과로써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에너지 산업부문, 공공부문, 산업부문, 상업부문, 수송 부문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부문의 경우 계절에 따른 변화가 매년 큰 폭으로 나타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한 후 대기오염자료 DB(40)로부터 읽어온 월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간의 상관도를 추출한다(S30).
에너지를 사용함에 따라 석유류의 연소시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물질도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대기오염자료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항으로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량과의 상관도를 통해 가장 밀접한 대기오염물질을 선정한다.
대기오염물질로는 CO, SO2, NO2, O3, PM10 이 포함되며 일별로 측정된 대기오염물질 농도 자료는 대기오염자료 DB(40)에 저장된다.
이러한 대기오염물질과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과의 상관도로 추출할 때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기오염물질로는 일산화탄소가 해당된다.
한편, 일산화탄소 농도와 온실가스 배출량 간의 상관도는 석유류 및 LNG의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과는 상당히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나 전력 사용량에 대해서는 일산화탄소 농도와의 상관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 및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경우에는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전력 사용량은 제외한 석유류와 LNG의 사용량에 따른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반으로 산출한다(S40).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기오염물질 중 일산화탄소 농도를 기반으로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산출한다.
먼저, 월별 일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일별 인산화탄소 농도의 비를 통해 수학식 5와 같이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Cd = d일의 온실가스 배출 기여도(%)이고, Qd·concentration 은 d일의 일산화탄소 농도이고,
Figure pat00006
는 d가 속한 해당 월의 일별 일산화탄소 농도의 총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산출한 후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기반으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으로부터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한다(S50).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수학식 6과 같이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와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곱하여 산출한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Qd·emission 는 d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고, Cd 는 d일의 온실가스 배출 기여도(%)이고, Qm·emission 는 m월의 온실가스 배출량이다.
이와 같이 산출된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서울시의 1999년부터 2009년까지의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로써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전반적으로 여름철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낮아지고, 겨울철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는 등의 계절적 요인에 따른 온도변화가 반영된 온실가스 배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가정부문에 대한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통해 일별 실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S60).
이와 같이 산출되는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온실가스 배출량 DB(50)에 저장되어 출력부(60)를 통해 제공됨으로써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예측이 가능하여 일별 데이터와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입력부
20 : 제어부
30 : 에너지 사용량 DB
40 : 대기오염자료 DB
50 : 온실가스 배출량 DB
60 : 출력부

Claims (6)

  1. 제어부가 설정된 지역에서 사용한 월별 에너지 사용량을 에너지 사용량 DB로부터 읽어오는 단계;
    상기 월별 에너지 사용량을 바탕으로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
    대기오염자료 DB로부터 읽어온 월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상기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간의 상관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월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일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기여도를 기반으로 일일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기반으로 상기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으로부터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별 에너지 사용량은 설정지역에서 사용되는 석유류, LNG 및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오염물질은 일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별 온실가스 배출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석유류와 LNG의 사용량에 따른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상기 일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한 후 온실가스 배출량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KR1020110107724A 2011-10-20 2011-10-20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KR20130043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24A KR20130043518A (ko) 2011-10-20 2011-10-20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24A KR20130043518A (ko) 2011-10-20 2011-10-20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518A true KR20130043518A (ko) 2013-04-30

Family

ID=4844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24A KR20130043518A (ko) 2011-10-20 2011-10-20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35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02B1 (ko) * 2013-06-04 2014-10-24 차대중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경보 시스템 및 온실가스 배출 경보 제공방법
KR20160023205A (ko) * 2014-08-21 2016-03-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가스 발생량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74982A (zh) * 2019-09-18 2020-01-10 中冶赛迪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温室气体排放量核算、分析和预测的系统、方法及设备
KR20210032808A (ko) * 2019-09-17 2021-03-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기질 측정자료의 일변화 패턴 자동 분석 방법
KR102409452B1 (ko) 2021-12-23 2022-06-17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02B1 (ko) * 2013-06-04 2014-10-24 차대중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경보 시스템 및 온실가스 배출 경보 제공방법
KR20160023205A (ko) * 2014-08-21 2016-03-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가스 발생량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2808A (ko) * 2019-09-17 2021-03-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기질 측정자료의 일변화 패턴 자동 분석 방법
CN110674982A (zh) * 2019-09-18 2020-01-10 中冶赛迪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温室气体排放量核算、分析和预测的系统、方法及设备
KR102409452B1 (ko) 2021-12-23 2022-06-17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ca et al. Economic growth and atmospheric pollution in Spain: discussing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Cavaignac et al. Techno-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cess evaluation of biogas upgrading via amine scrubbing
Zheng et al. Analysis of air pollution reduction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in the industry sector of Yangtze River Delta in China
Morvay et al. Applied industrial energ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Jiang et al. Achieving zero/negative-emissions coal-fired power plants using amine-based postcombustion CO2 capture technology and biomass cocombustion
Jack et al. Health co-benefits of climate mitigation in urban areas
Munir et al. Holistic carbon planning for industrial parks: a waste-to-resources process integration approach
KR20130043518A (ko)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Choudhary et al. Integrating Greenhouse gases (GHG) assessment for low carbon economy path: Live case study of Indian national oil company
Valero et al. What are the clean reserves of fossil fuels?
Vijay et al. A bottom-up method to develop pollution abatement cost curves for coal-fired utility boilers
Fölster et al. Climate policy to defeat the green paradox
Abbas et al. Assessment of long-term energy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cleaner technologies for brick production
Bruvoll et al. Quantifying central hypotheses on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for a rich economy: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study
Wan et al. Does the EU emissions trading system help reduce PM 2.5 damage? A research based on PSM-DID method
Flamarz Al-Arkawazi The gasoline fuel quality impact on fuel consumption, air-fuel ratio (AFR), lambda (λ) and exhaust emissions of gasoline-fueled vehicles
Yan et al. Hybrid dynamic coal blending method to address multiple environmental objectives under a carbon emissions allocation mechanism
Karman Life-cycle analysis of GHG emissions for CNG and diesel buses in Beijing
Eslamidoost et al. Carbon footprint calculation in one of the largest gas refinery companies in the Middle East
Biermann Partial CO 2 Capture to Facilitate Cost-Efficient Deployment of Carbon Capture and Storage in Process Industries-Deliberations on Process Design, Heat Integration, and Carbon Allocation
Sarıkoç Lifecycle-based environmental pollution cost analyses of a spark ignition engine fueled with a methanol-gasoline blend
Oh et al. Optimal capacity design of amine-based onboard CO2 capture systems under variable marine engine loads
KR20140017844A (ko)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Winnes et al. Aftertreatment of methane slip from marine gas engines
Nami Modelling the prospects and impacts of methanol use in transportation in China at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