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452B1 -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452B1
KR102409452B1 KR1020210186375A KR20210186375A KR102409452B1 KR 102409452 B1 KR102409452 B1 KR 102409452B1 KR 1020210186375 A KR1020210186375 A KR 1020210186375A KR 20210186375 A KR20210186375 A KR 20210186375A KR 102409452 B1 KR102409452 B1 KR 10240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emission
chemical
calculation unit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박정현
유건우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30Prediction of properties of chemical compounds, compositions or 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제품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추출된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에 생활환경 배출량을 더하여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구비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은 가정하수, 대기, 토양의 경로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1 산정부; 공기 배출을 통해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생활환경 배출량과 인체직접 노출량을 더하여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2 산정부; 및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더하여 물질배출량을 산정하고, 상기 물질배출량에 포함된 변수인 인체직접 노출량을 제외시켜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배출랴을 더하여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3 산정부;를 구성하고, 물질 환경배출량의 산정을 통해 자연 및 생활환경 상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A system for calculating environmental emissions of substances based on product usage}
본 발명은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학제품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추출된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에 생활환경 배출량을 더하여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구비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학물질의 제품 사용에 따른 화학물질의 배출 경로는 다양할 수 있고, 화학물질의 배출량, 즉, 물질배출량은 제품 사용량을 포함한 변수를 산정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데이터이며, 구체적으로는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및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더하는 것으로 산정될 수 있는데,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은 자연환경 배출량을 의미하며, 상기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은 생활환경 배출량과 인체직접 노출량을 더하는 것으로 산정될 수 있다.
즉, 물질배출량은 자연환경 배출량, 생활환경 배출량 및 인체직접 노출량을 모두 더하는 것으로 산정되는 데이터 값일 수 있다. 또한, 물질배출량을 이루는 데이터 중 하나인 인체직접 노출량을 뺀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및 생활환경 배출량을 더하는 것으로 자연 및 생활환경에서의 화학물질 배출량인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물질배출량에서 인체직접 노출량을 제외하고, 나머지 데이터인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및 생활환경 배출량을 더하는 것으로 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알고리즘이 구비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7190호(2011.12.1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2370호(2016.08.24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5259호(2016.08.1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3518호(2013.04.30 공개)
본 발명은 물질배출량을 산정한 후, 상기 물질배출량에서 인체직접 노출량을 제외하고, 나머지 데이터인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및 생활환경 배출량을 더하는 것으로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구비된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그룹별 제품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산정한 후,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기반으로 산정한 하수처리장배출량, 대기배출량 및 토양배출량으로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고, 가구/시설단위별 제품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을 산정한 후,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에 실내공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인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하수, 대기, 토양의 경로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1 산정부; 공기 배출을 통해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생활환경 배출량과 인체직접 노출량을 더하여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2 산정부; 및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더하여 물질배출량을 산정하고, 상기 물질배출량에 포함된 변수인 인체직접 노출량을 제외시켜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배출랴을 더하여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3 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산정부는, 입력되는 그룹별 화학제품 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산정하는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는,
Figure 112021149493467-pat00001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는 행렬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A는 화학제품 사용량, MS는 시장점유율, C는 농도, 1은 요소가 1로만 이루어진 벡터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i는 개인, H는 사용자그룹, l은 제품 브랜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산정부는,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사용자그룹별 배출계수 및 상수나 하수, 우수 따위가 흘러가도록 만든 관인 관거 내에서 화학물질별로 분해되지 않고, 처리되지 않는 화학물질의 양을 곱하여 하수처리장배출량을 산정하는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대기환경배출계수를 곱하여 대기배출량을 산정하는 대기배출량 산정부;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토양환경배출계수를 곱하여 토양배출량을 산정하는 토양배출량 산정부; 및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 대기배출량, 토양배출량을 더하여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1149493467-pat00002
Figure 112022042564627-pat00034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는 행렬곱,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STP는 하수처리장,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 Deg는 1-관거 내 화학물질 분해율, WT는 1-화학물질의 처리효율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배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35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Air는 대기,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일 수 있다.
또한, 싱기 토양배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05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토양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Soil은 토양,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산정부는, 입력되는 가구-시설단위별 화학제품 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을 산정하는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에 실내공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생활환경 배출량인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을 산정하는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 입력되는 노출량 변수로부터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하는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 및 상기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에 인체직접노출량을 더하여 상기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는,
Figure 112021149493467-pat00006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A는 화학제품 사용량, 1은 요소가 1로만 이루어진 벡터, C는 농도, MS는 시장점유율이며, 윗침자 및 인덱스인 f는 가구/시설,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l은 제품 브랜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36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화학제품이 가구-시설별 머무르는 시간 비율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f는 가구/시설,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Air는 대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37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변수인 EXP는 누적 노출량이고, 윗첨자 및 인덱스인 i는 개인,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PP는 노출경로(흡입, 경피, 경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1149493467-pat00009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변수인 누적 노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변수인 w는 화학제품의 사용유무, t는 화학제품의 사용시간, f는 화학제품의 사용빈도, q는 화학제품의 사용량, u는 화학물질의 농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은, 상기 제3 산정부가 산정한 물질 환경배출량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단말; 상기 단말로부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송신을 요청받는 경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마련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방안 제시부; 및 상기 제1, 2, 3 산정부에서 각각 산정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데이터가 기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안 제시부는, 상기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변수인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및 생활환경 배출량을 토대로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을 판단하고, 상기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적용 가능한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질 환경배출량의 산정을 통해 자연 및 생활환경 상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연산되는 데이터의 값을 토대로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을 판단하고,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적용 가능한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참고하여 화학물질의 배출량 저감을 위한 대책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산정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산정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산정부가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산정부가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산정부가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 및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제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100)(이하에서는, '산정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자연 및 생활환경 상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산정부(110), 제2 산정부(120), 제3 산정부(130), 데이터베이스(140), 단말(150) 및 방안 제시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산정부(110)는 가정하수, 대기, 토양의 경로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자연환경 배출량)을 산정하는 알고리즘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되어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산정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산정부(110)는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112), 대기배출량 산정부(113), 토양배출량 산정부(114) 및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는 입력되는 그룹별 화학제품 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그룹별 화학제품 사용량의 기준인 그룹은 특정 연령, 가구, 시설, 지역, 도시, 국가 등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가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수식은 이하의 [수학식 1]과 같으며, 상기 산정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이하의 수학식들에 포함된 변수 중 '.'는 행렬곱을 의미하고, '⊙'은 요소별(elementwise)곱을 의미한다.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0
상기 [수학식 1]에서,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A는 화학제품 사용량, MS는 시장점유율(마켓쉐어), C는 농도, 1은 요소가 1로만 이루어진 벡터를 의미하고, 윗첨자 및 인덱스인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i는 개인, H는 사용자그룹, l은 제품 브랜드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가 상기 [수학식 1]의 알고리즘 수식을 기반으로 산정한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은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112), 대기배출량 산정부(113) 및 토양배출량 산정부(114)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112)는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에서 산정된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사용자그룹별 배출계수 및 상수나 하수, 우수 따위가 흘러가도록 만든 관인 관거 내에서 화학물질별로 분해되지 않고(Deg), 처리되지 않는 화학물질의 양(WT) 즉, 상기의 관거 내 분해되지 않은 화학물질의 비율과 처리되지 않은 화학물질의 비율을 곱하여 하수처리장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112)가 하수처리장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수식은 이하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1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2
상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를 의미하고, 윗첨자 및 인덱스인 STP는 하수처리장,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 Deg는 1-관거 내 화학물질의 분해율, WT는 1-화학물질의 처리효율을 의미한다.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112)가 상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의 알고리즘 수식을 기반으로 산정한 하수처리장배출량은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에 입력될 수 있다.
대기배출량 산정부(113)는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에서 산정된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대기환경배출계수를 곱하여 대기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대기배출량 산정부(113)가 대기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수식은 이하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3
상기 [수학식 4]에서,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를 의미하고, 윗첨자 및 인덱스인 Air는 대기,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을 의미한다.
상기 대기배출량 산정부(113)가 상기 [수학식 4]의 알고리즘 수식을 기반으로 산정한 대기배출량은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에 입력될 수 있다.
토양배출량 산정부(114)는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에서 산정된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토양환경배출계수를 곱하여 토양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토양배출량 산정부(114)가 토양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수식은 이하의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4
상기 [수학식 5]에서,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를 의미하고, 윗첨자 및 인덱스인 Soil은 토양,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을 의미한다.
상기 토양배출량 산정부(114)가 상기 [수학식 5]의 알고리즘 수식을 기반으로 산정한 토양배출량은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에 입력될 수 있다.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는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112), 대기배출량 산정부(113) 및 토양배출량 산정부(114)에서 입력된 하수처리장배출량, 대기배출량 및 토양배출량을 더하여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제3 산정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산정부(120)는 공기 배출 등을 통해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알고리즘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되어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산정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산정부(120)는 생활환경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121),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122),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 및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121)는 입력되는 가구-시설단위별 화학제품 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을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121)가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수식은 이하의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5
상기 [수학식 6]에서,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A는 화학제품 사용량, 1은 요소가 1로만 이루어진 벡터, C는 농도, MS는 시장점유율을 의미하고, 윗침자 및 인덱스인 f는 가구/시설,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l은 제품 브랜드를 의미한다.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121)가 상기 [수학식 6]의 알고리즘 수식을 기반으로 산정한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은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122)에 입력될 수 있다.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122)는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121)로부터 입력된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에 실내공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생활환경 배출량인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122)가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수식은 이하의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6
상기 [수학식 7]에서,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화학제품이 가구-시설별 머무르는 시간 비율을 의미하고, 윗첨자 및 인덱스인 f는 가구/시설,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Air는 대기를 의미한다.
상기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122)가 상기 [수학식 7]의 알고리즘 수식을 기반으로 산정한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은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24)에 입력될 수 있다.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는 입력되는 노출량 변수로부터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가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수식은 이하의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7
상기 [수학식 8]에서, 변수인 EXP는 누적 노출량을 의미하고, 윗첨자 및 인덱스인 i는 개인,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PP는 노출경로(흡입, 경피, 경구)를 의미한다.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가 상기 [수학식 8]의 알고리즘 수식을 기반으로 인체직접 노출량은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24)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가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변수는 상기 [수학식 8]의 변수, 윗첨자 및 인덱스에 포함된 데이터일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누적 노출량은 이하의 [수학식 9]를 통해 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8
상기 [수학식 9]에서, 변수인 w는 화학제품의 사용유무, t는 화학제품의 사용시간, f는 화학제품의 사용빈도, q는 화학제품의 사용량, u는 화학물질의 농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9]의 변수 중 화학제품의 사용유무는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0'이고, 화학제품을 사용한 경우라면 '1'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4083호인 '개인별 다중이용행태를 반영한 제품안전기준 제시 시뮬레이션 시스템'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4083호의 기술특징이 반영된 시스템으로서 누적 노출량을 산정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24)는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122)에서 입력된 가구-시설단위 배출량과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에서 입력된 인체직접 노출량을 더하여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제3 산정부(13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3 산정부(130)는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로부터 수신하는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24)로부터 수신하는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더하여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산정부(130)는 상기 물질배출량을 산정한 다음, 상기 물질배출량에 포함된 변수인 인체직접 노출량을 제거(제외)하여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물질 환경배출량은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에 생활환경 배출량(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을 더한 데이터 값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제1 산정부(110)에서 산정된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하수처리장배출량, 대기배출량, 토양배출량,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제2 산정부(120)에서 산정된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인체직접 노출량,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및 제3 산정부(130)에서 산정된 물질배출량 및 물질 환경배출량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2, 3 산정부(110, 120, 13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150)은 산정 시스템(100)의 사용자가 구비하는 장치로서 제3 산정부(130)가 산정한 물질 환경배출량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질 환경배출량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150)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출력 데이터의 설정 값에 따라 물질 환경배출량 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산정되는 물질배출량을 제3 산정부(13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50)의 사용자는 산정 시스템(100)이 요구하는 물질 환경배출량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물질배출량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150)은 물질 환경배출량의 산정을 통해 자연 및 생활환경 상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150)은 사용자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방안 제시부(160)에 물질 환경배출량 또는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데 이용된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에 적용되어야 할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방안 제시부(160)는 단말(150)로부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송신을 요청받게 되면,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마련하여 상기 단말(150)로 송신할 수 있는데, 상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방안 제시부(160)는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변수인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및 생활환경 배출량을 토대로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예: 가정하수, 공기배출)을 판단하고,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적용 가능한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예: 관거 교체 또는 세척)을 생성한 다음에 단말(15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150)의 사용자는 방안 제시부(160)로부터 수신한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기반으로 화학물질의 배출량 저감을 위한 대책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안 제시부(160)가 단말(150)로 송신할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은 데이터베이스(140)에 기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에 상기 방안 제시부(160)와 데이터베이스(140)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데이터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져 추가, 생략 및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산정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방법(S40~S60)의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산정부가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산정부가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산정부가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 및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제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방법에서 제1 산정부(110)가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에는 그룹별 제품사용량이 입력될 수 있으며(S41),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111)는 그룹별 제품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산정할 수 있다(S42).
그 후,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112)는 하수처리장배출량을 산정하고(S43), 산정부(113)는 대기배출량을 산정하며(S44), 토양배출량 산정부(114)는 토양배출량을 산정하는데(S45), 상기의 과정(S43, S44, S45)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에는 하수처리장배출량, 대기배출량 및 토양배출량의 값(데이터)이 각각 입력될 수 있다(S46).
그 후,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는 하수처리장배출량, 대기배출량 및 토양배출량을 모두 더하여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S4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방법에서 제2 산정부(120)가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121)에는 가구-시설단위별 제품사용량이 입력될 수 있으며(S51), 이 경우에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121)는 가구-시설단위별 제품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을 산정할 수 있다(S52).
그 후,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122)에는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및 실내공기 배출계수가 입력될 수 있으며(S53),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에 실내공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가구-시설단위 발생량을 산정할 수 있다(S54).
상기 과정(S51~S54) 후 또는 동시에,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에는 상기 [수학식 8]의 알고리즘 수식에 포함된 데이터인 노출량 변수가 입력될 수 있으며(S55), 이 경우에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는 상기 노출량 변수를 기반으로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S56).
그 후,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24)에는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122)에서 산정된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인 생활환경 배출량과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123)에서 산정된 인체직접 노출량이 입력될 수 있으며(S57), 이 경우에 상기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24)는 상기 생활환경 배출량과 인체직접 노출량을 더하여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S5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방법에서 제3 산정부(130)가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는 과정 및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제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산정부(130)에는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15)의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124)의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이 입력될 수 있으며(S61), 이 경우에 상기 제3 산정부(130)는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더하여 물질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S62).
그 후, 상기 제3 산정부(130)는 물질배출량이 산정된다면, 상기 물질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포함된 인체직접 노출량을 제거(제외)할 수 있으며(S63), 이를 통해 상기 제3 산정부(130)는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고, 단말(150)에는 상기 제3 산정부(130)가 산정한 물질 환경배출량의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S64).
그 후, 단말(150)의 사용자는 상기 단말(150)에 신호를 입력하여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요청할 수 있다(S65).
이때 만약, 사용자가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요청하는 경우(S65-YES), 방안 제시부(160)는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및 생활환경 배출량을 토대로 화학물질의 배출량 저감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을 판단할 수 있고(S66), 이를 기반으로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적용 가능한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생성한 다음, 상기 단말(150)로 송신할 수 있다(S67).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방법(S40~S6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정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산정 시스템, 110: 제1 산정부,
111: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 112: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
113: 대기배출량 산정부, 114: 토양배출량 산정부,
115: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 120: 제2 산정부,
121: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 122: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
123: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 124: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
130: 제3 산정부, 140: 데이터베이스,
150: 단말, 160: 방안 제시부.

Claims (13)

  1.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하수, 대기, 토양의 경로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1 산정부;
    공기 배출을 통해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배출량인 생활환경 배출량과 인체직접 노출량을 더하여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2 산정부; 및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더하여 물질배출량을 산정하고, 상기 물질배출량에 포함된 변수인 인체직접 노출량을 제외시켜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과 생활환경 배출량을 더하여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제3 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정부는,
    입력되는 그룹별 화학제품 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산정하는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 산정부는,
    Figure 112021149493467-pat00019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는 행렬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A는 화학제품 사용량, MS는 시장점유율, C는 농도, 1은 요소가 1로만 이루어진 벡터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i는 개인, H는 사용자그룹, l은 제품 브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정부는,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사용자그룹별 배출계수 및 상수나 하수, 우수 따위가 흘러가도록 만든 관인 관거 내에서 화학물질별로 분해되지 않고, 처리되지 않는 화학물질의 양을 곱하여 하수처리장배출량을 산정하는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대기환경배출계수를 곱하여 대기배출량을 산정하는 대기배출량 산정부;
    상기 사용자그룹별 발생량에 토양환경배출계수를 곱하여 토양배출량을 산정하는 토양배출량 산정부; 및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 대기배출량, 토양배출량을 더하여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38

    Figure 112022042564627-pat00039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하수처리장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는 행렬곱,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STP는 하수처리장,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 Deg는 1-관거 내 화학물질 분해율, WT는 1-화학물질의 처리효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배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40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대기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Air는 대기,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싱기 토양배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41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토양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계수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Soil은 토양,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H는 사용자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산정부는,
    입력되는 가구-시설단위별 화학제품 사용량에 화학물질함량비를 곱하여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을 산정하는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에 실내공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생활환경 배출량인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을 산정하는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
    입력되는 노출량 변수로부터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하는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 및
    상기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에 인체직접노출량을 더하여 상기 생활환경 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생활환경 물질배출량 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 산정부는,
    Figure 112021149493467-pat00024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가구-시설단위별 발생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A는 화학제품 사용량, 1은 요소가 1로만 이루어진 벡터, C는 농도, MS는 시장점유율이며, 윗침자 및 인덱스인 f는 가구/시설,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l은 제품 브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시설단위 배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42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가구-시설단위 배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은 요소별곱이고, 변수인 E는 발생량 또는 배출량, f는 화학제품이 가구-시설별 머무르는 시간 비율이며, 윗첨자 및 인덱스인 f는 가구/시설,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Air는 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2042564627-pat00043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변수인 EXP는 누적 노출량이고, 윗첨자 및 인덱스인 i는 개인, j는 화학제품, c는 화학물질, PP는 노출경로(흡입, 경피, 경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 산정부는,
    Figure 112021149493467-pat00027

    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인체직접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변수인 누적 노출량을 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변수인 w는 화학제품의 사용유무, t는 화학제품의 사용시간, f는 화학제품의 사용빈도, q는 화학제품의 사용량, u는 화학물질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산정부가 산정한 물질 환경배출량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단말;
    상기 단말로부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송신을 요청받는 경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마련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방안 제시부; 및
    상기 제1, 2, 3 산정부에서 각각 산정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의 데이터가 기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안 제시부는,
    상기 물질 환경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변수인 상기 자연환경 물질배출량 및 생활환경 배출량을 토대로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을 판단하고, 상기 화학물질의 배출량이 저감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적용 가능한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방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KR1020210186375A 2021-12-23 2021-12-23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KR10240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375A KR102409452B1 (ko) 2021-12-23 2021-12-23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375A KR102409452B1 (ko) 2021-12-23 2021-12-23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452B1 true KR102409452B1 (ko) 2022-06-17

Family

ID=8226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375A KR102409452B1 (ko) 2021-12-23 2021-12-23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45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747A (ja) * 1998-10-30 2000-05-16 Toshiba Corp 化学物質管理システムおよび同化学物質の管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80088011A (ko) * 2007-03-28 2008-10-02 한국화학연구원 통합환경관리를 위한 위해성 예측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101097190B1 (ko) 2009-12-31 2011-12-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43518A (ko) 2011-10-20 2013-04-30 (주)에코아이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KR20160095259A (ko) 2015-02-02 2016-08-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질 인위적 배출량 산정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2370B1 (ko) 2015-01-28 2016-08-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표수 경계대에서의 물 및 물질 배출량 측정장치
KR20200028639A (ko) * 2018-09-07 2020-03-17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화학제품의 위해성 평가장치 및 방법
KR102194083B1 (ko) * 2019-10-23 2020-12-28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개인별 다중이용행태를 반영한 제품안전기준 제시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747A (ja) * 1998-10-30 2000-05-16 Toshiba Corp 化学物質管理システムおよび同化学物質の管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80088011A (ko) * 2007-03-28 2008-10-02 한국화학연구원 통합환경관리를 위한 위해성 예측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101097190B1 (ko) 2009-12-31 2011-12-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43518A (ko) 2011-10-20 2013-04-30 (주)에코아이 온실가스의 일별 배출량 산출방법
KR101652370B1 (ko) 2015-01-28 2016-08-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표수 경계대에서의 물 및 물질 배출량 측정장치
KR20160095259A (ko) 2015-02-02 2016-08-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질 인위적 배출량 산정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28639A (ko) * 2018-09-07 2020-03-17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화학제품의 위해성 평가장치 및 방법
KR102194083B1 (ko) * 2019-10-23 2020-12-28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개인별 다중이용행태를 반영한 제품안전기준 제시 시뮬레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etzsch et al. A re-evaluation of Reineke's rule and stand density index
Becher et al. The gluon jet function at two-loop order
Bérard et al. Brunet-Derrida behavior of branching-selection particle systems on the line
Leung et al. Managing invasive species: rules of thumb for rapid assessment
Haas et al. Risk assessment of virus in drinking water
Esteva et al. Analysis of a dengue disease transmission model
Collard et al. Branching, blending, and the evolution of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human populations
Caetano et al. Optimal and sub‐optimal control in Dengue epidemics
Staudenmayer et al. Measurement error in linear autoregressive models
Auslander et al. Random evolutionarily stable strategies
Severns et al. Consequences of long-distance dispersal for epidemic spread: Patterns, scaling, and mitigation
Wang et al. Disease dynamics in a coupled cholera model linking within-host and between-host interactions
Yang et al. A note on asymptotic behaviors of stochastic population model with Allee effect
Wang et al. Impact of bacterial hyperinfectivity on cholera epidemics in a spatially heterogeneous environment
Rumí et al. Approximate probability propagation with mixtures of truncated exponentials
Matis et al. Generalized stochastic compartmental models with Erlang transit times
Lindner et al. Proposal of a unified biodiversity impact assessment method.
Sieber et al. Constructive effects of environmental noise in an excitable prey–predator plankton system with infected prey
Paez Chavez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impulsive control
KR102409452B1 (ko) 제품사용량 기반 물질 환경배출량 산정 시스템
Brown et al. p-EMA (I): simulating the environmental fate of pesticides for a farm-level risk assessment system
Devipriya et al. Optimal control of multiple transmission of water-borne diseases
Hamilton et al. RIRA: A tool for conducting health risk assessments for irrigation of edible crops with recycled water
Liu et al. The dynamics of a predator-prey model with Ivlev’s functional response concern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Kuper et al. A crop needs more than a drop: towards a new praxis in irrigation management in North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