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736A - 이미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736A
KR20130042736A KR1020110106792A KR20110106792A KR20130042736A KR 20130042736 A KR20130042736 A KR 20130042736A KR 1020110106792 A KR1020110106792 A KR 1020110106792A KR 20110106792 A KR20110106792 A KR 20110106792A KR 20130042736 A KR20130042736 A KR 2013004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alf mirror
light emitting
imag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991B1 (ko
Inventor
서성길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주)한국킹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킹유전자 filed Critical (주)한국킹유전자
Priority to KR102011010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9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5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lective optical element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벽면, 간판, 사인 보드, 포스트 박스, 및 다양한 광고물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적인 입체효과를 구현하거나, 주야에 따라 서로 상이한 이미지를 표현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의 사물에도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미지 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이미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차를 두고 노출되는 빛의 시간 차를 이용하여 이미지, 및 공간에 대한 입체 효과를 구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이미지를 입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좌측, 및 우측 안구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며, 인체의 뇌에서 두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평면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입체로 느끼도록 한다. 따라서, 평면 이미지를 입체로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는 좌측, 및 우측 안구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편광필터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 방식은 3D 입체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가 편광필터 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편광필터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면 이미지를 입체로 인식할 수 없으므로, TV, 및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반면, 두 장의 하프미러 사이에 이미지가 배치되도록 하여 두 장의 하프미러 사이에서 반복되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하프미러는 광 투과율이 30% ~ 50%인 아크릴, 또는 유리로 형성되며, 빛의 일부는 투과하고, 나머지는 반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하프미러 사이에 이미지 필름이 배치되도록 하면, 이미지 필름에 형성되는 이미지는 하프미러 외부로 돌출되는 듯한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두 장의 하프미러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지 필름의 입체감은 이미지 필름에 표시된 이미지가 단순히 하프미러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 이상의 다양한 이미지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프미러를 이용하여 다양한 입체 효과를 구현 가능한 이미지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야에 따라 표현되는 이미지를 달리하는 이미지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필름을 대신하는 사물을 입체 영상으로 표현 가능한 이미지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며, 일 영역에는 개방영역을 구비하는 제2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에 마련되는 제1발광소자, 상기 개방 영역에 위치하며, 광 투과성의 이미지 조성 부재, 및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로 광을 투사는 제2발광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프미러, 반사 시트, 상기 반사 시트와 상기 제1하프미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하프미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에 마련되는 제1발광소자, 상기 반사 시트와 상기 제2 하프미러 사이에 마련되는 이미지 필름, 및 상기 반사 시트와 상기 이미지 필름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이미지 필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제2발광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프미러의 노출 면에 위치하며, 도트, 및 라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토대로 이미지를 구현하여 주간에 시인성을 가지는 패턴 용지, 상기 하프미러의 타 면에 위치하는 이미지 필름, 상기 이미지 필름을 향해 광을 투사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에서 투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필름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 용지는, 야간에 시인성이 저감되고, 야간에 상기 발광소자가 점등 시, 상기 이미지 필름은 상기 패턴 용지를 대신하여 시인성을 갖는 이미지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리어 벽면, 간판, 사인 보드, 포스트 박스, 및 다양한 광고물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적인 입체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주야에 따라 서로 상이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하프미러에서 이미지가 돌출되어 표현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를 통해 설명된 패턴 용지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이미지가 표현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장치는 입체감 형성을 위해 한 쌍의 하프미러(110, 120)를 구비하며, 한 쌍의 하프미러(110, 120) 사이에는 발광소자(130)가 마련된다.
하프미러(110, 120)는 임계각(θ1) 이상의 빛은 외부로 투사하고, 임계각(θ1) 이내의 빛은 내부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의 반사율에 비해 내측 방향의 반사율이 더 높게 설정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하프미러(110, 120)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게 배치하고, 하프미러(110, 120) 사이에 마련되는 발광소자(130)에서 빛을 방출할 때, 임계각(θ1)(예컨대 60도) 이하의 빛(B2)은 하프미러(110, 120) 사이에서 무한 반복되고, 임계각(θ1)(예컨대 60도, 이하 생략함) 이상의 빛(B1)은 하프미러(110, 120) 외부로 방출된다. 임계각(θ1)을 만족하지 못하고 하프미러(110, 120) 사이에서 수차 반복되던 빛 중 일부는 임계각(θ1)을 만족하여 하프미러(110)의 외부로 방출되며, 이때, 외부로 방출되는 빛(B3)은 빛(B1)과의 시차(T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차(T1)에 의해 한 쌍의 하프미러(110, 120) 사이의 공간은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다. 발광소자(130)는 LED(Light Emitting Device)인 것이 바람직하며, 발광소자(130)의 발광 면은 하프미러(110, 120)의 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면과 하프미러(110, 120)의 면 방향에 대한 위치관계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공히 적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130)는 하프미러(110)와 하프미러(120) 사이에 위치하고, 균일한 입체감을 위해 중심점은 하프미러(110)와 하프미러(120) 사이의 거리가 균등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130)와 하프미러(110, 120) 사이의 거리 관계 또한 본 발명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1과 D2의 비는 1:1 ~ 1:1.5일 수 있으나, 이 수치는 증감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이미지 표시장치는 하프미러(110, 120), 제1발광소자(131, 132), 제2발광소자(150), 및 이미지 조성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프미러(120)는 일 영역에 개방영역(121)을 구비하며, 개방 영역(121)에는 이미지 조성 부재(140)가 배치되고, 제2발광소자(150)는 이미지 조성 부재(140)의 후단에서 이미지 조성 부재(140)를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다.
제1발광소자(131, 132)가 한 쌍의 하프미러(110, 120) 사이로 투사하는 광은 임계각(θ1)을 만족하여 선 방출된 빛과, 후 방출되는 빛의 시차에 비례하여 입체감을 구현한다. 이때, 제2발광소자(150)에 의해 투사된 광(B4)은 하프미러(110)의 임계각(예컨대 60도)을 만족하므로 외부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조성 부재(140)를 투과한 빛(B4)이 가장 먼저 외부로 이탈하며, 제1발광소자(131, 132)의 빛은 임계각(θ1)을 만족할 때, 하프미러(110)를 이탈하는 빛(B5, B6)이 형성되므로, 양자 간 시차(T2) 만큼 이미지 조성 부재(140)를 투과한 빛(B4)이 하프미러(110)에서 돌출되어 입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미지 조성 부재(140)는 아크릴, 유리, 및 플라스틱, 크리스탈, 및 기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조성 부재(140)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조형물일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조성 부재(140)는 상품 모형, 인물 모형, 동물 모형, 기업의 로고, 및 기타 다양한 조형물일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미지 조성 부재(140)는 한 쌍의 하프미러(110, 120)가 형성한 입체감 상에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조성 부재(140)의 교체에 따라 다양한 입체 이미지 표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개방 영역(121)과 제2발광소자(150) 사이에는 광 가이드 레이어(160)가 마련되어 제2발광소자(150)에서 방출되는 빛이 이미지 조성 부재(140)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레이어(160)는 불투명한 아크릴이나 포멕스, 또는 반사 재질(예컨대 금속)로 구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레이어(160)는 제2발광소자(150)의 빛이 이미지 조성 부재(140)를 향해 투사된 후, 그대로 하프미러(110)를 지나 외부로 이탈하도록 한다. 하프미러(110)의 면을 향해 수직하게 진행하는 빛(B4)은 하프미러(110)에서 반사되지 않고 외부로 이탈된다. 하프미러(110)를 그대로 이탈한 빛(B4)이 형성하는 이미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미러(110)에서 A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미지(140-1)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발광소자(150)에는 반사 시트가 부가될 수 있다. 반사 시트(미도시)는 제2발광소자(150)에서 방출되는 빛이 하프미러(11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반사 재질의 금속, 아크릴, 및 합성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장치는 한 쌍의 하프미러(210, 220), 제1발광소자(231, 232), 이미지 필름(240), 확산 필름(250), 제2발광소자(260), 및 반사시트(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하프미러(210, 220)는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프미러(210)와 하프미러(220)의 면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하프미러(210, 220) 사이에는 제1발광소자(231, 232)가 배치되고, 제1발광소자(231, 232)에서 방출되는 빛은 하프미러(210, 220) 사이의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제2발광소자(260)에서 투사되는 빛은 확산 필름(250)을 통해 확산되어 이미지 필름(240)을 투사하며, 이미지 필름(240)을 투사한 빛은 하프미러(210, 220)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의해 하프미러(210)의 외부에서 돌출되어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필름(240)은 염화비닐, 또는 아크릴 수지로 구성되는 렌티큘러(Lenticular) 필름일 수 있다. 이미지 필름(240)이 렌티큘러 필름(240)일 때, 필름의 일 면은 좌측 안구와 우측 안구로 볼 때의 이미지를 하나의 필름에 인쇄하여 형성하고, 인쇄면에 0.5mm 전후의 피치를 갖는 반구형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므로 이미지 필름(240)은 그 자체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미지 필름(240)이 렌티큘러 필름일 때, 이미지 필름(240)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상이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도 있고, 바라보는 각도 변화에 의해 수 장의 이미지가 순차로 표시되어 동영상처럼 표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2발광소자(260)를 통해 투사된 빛이 이미지 필름(210)의 외부에 표현될 때, 하프미러(210, 220)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의해, 하프미러(210)의 외부로 더욱 돌출되어 표현될 수 있다. 즉, 하프미러(210, 220)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이미지 필름(240)(렌티큘러 필름)이 형성하는 입체감이 부가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필름(240)은 2차원 인쇄물일 수도 있다. 이미지 필름(240)이 2차원 인쇄물인 경우, 광 가이드 레이어(280)를 통해 투사된 빛은 이미지 필름(240)에 나타난 이미지를 수직하게 하프미러(210)의 외부로 이탈시키고, 하프미러(210, 220)가 형성하는 입체감 상에 표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필름(240)의 2차원 이미지는 하프미러(210) 외부로 돌출되어 표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발광소자(260)의 일 측에는 반사 시트(270)가 마련되며, 반사 시트(270)는 제2발광소자(260)에서 방출되는 빛이 하프미러(210, 220) 방향으로 향하도록 반사 재질의 금속, 아크릴, 및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패턴 용지(310), 하프 미러(320), 이미지 필름(330), 확산 필름(340), 광 가이드 레이어(350), 발광소자(361, 362), 지지부재(370), 반사 시트(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턴 용지(310)는 표현 대상 이미지를 도트의 형태로 인쇄하거나, 또는 라인을 이용하여 인쇄한 것으로, 도트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 또는 라인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은 빛이 투과 가능한 투명한 영역에 해당한다.
패턴 용지(310)는 태양광이 존재하는 주간에는 태양광을 반사하며, 인쇄된 이미지가 외부로 표현되는 시인성을 갖는다. 패턴 용지(310)는 종이, 비닐, OHP 필름, 아크릴, 및 기타 투명, 및 불투명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패턴 용지(310)가 도트(dot)로 구성되는 이미지일 때, 도트 들 사이의 공간은 빛이 투과하는 영역이 되고, 도트 그 자체는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인쇄되는 이미지가 반투명 이미지인 경우, 도트를 통해서도 발광소자(361, 362)의 빛이 투사될 수는 있다.
라인 패턴을 이용하여 패턴 용지(310)에 이미지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라인 패턴 사이의 영역은 빛이 투과하는 영역이 되고, 라인 패턴 자체는 빛이 투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 또한, 인쇄되는 이미지가 반투명 이미지인 경우에는 라인 패턴을 통해서도 발광소자(361, 362)의 빛이 투과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야간에는 패턴 용지(310)의 시인성이 저감되어 외부에서 별도의 빛을 투사하지 않는 한, 패턴 용지(310)에 인쇄된 이미지는 보이지 않는다. 야간에는 발광소자(361, 362)가 구동하고, 발광소자(361, 362)의 빛은 광 가이드 레이어(350)를 통해 이미지 필름(340)에 투사될 수 있다. 이미지 필름(340)은 2차원 이미지를 표현하는 필름이거나, 또는 3차원 이미지를 표현하는 렌티큘러 필름일 수 있다. 이미지 필름(340)이 3차원 입체감을 표현 가능한 렌티큘러 필름일 때, 이미지 필름(340)의 입체 이미지는 광 가이드 레이어(350)에 의해 제공되는 수직한 발광소자(361, 362)의 빛에 의해 하프미러(320)를 향해 수직하게 향하게 되고, 하프미러(320)를 향해 수직하게 진행할 때, 하프미러(320)의 임계각(예컨대 60도)을 초과하므로 하프미러(320)를 통과하여 패턴 용지(310)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간에는 패턴 용지(310)에 인쇄된 이미지가 표현되고, 야간에는 이미지 필름(340)에 표현되는 이미지를 입체, 또는 평면의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하나의 이미지 표시장치에 의해 주간과 야간에 따른 이미지가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반사 시트(380)는 발광소자(361, 362)의 후단에 배치되어 발광소자(361, 362)에서 방출되는 빛이 후방으로 새지 않고 이미지 필름(340)을 향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를 통해 설명된 패턴 용지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도트 패턴의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다수의 도트가 패턴 용지에 인쇄됨을 볼 수 있다. 각 도트 사이의 영역은 발광소자(361, 362)에 의해 투사되는 빛이 통과 가능하고, 각 도트 자체는 발광소자(361, 362)의 빛이 투과 불가한 영역에 해당한다.
도 6의 (b)는 라인 패턴의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다수의 라인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됨을 볼 수 있다. 각 라인은 발광소자(361, 362)의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영역에 해당하고, 각 라인 사이의 영역은 발광소자(361, 362)의 빛이 통과 가능한 영역에 해당한다. 도시된 라인 패턴은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향하는 라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라인 패턴은 도 6의 (b)에 도시된 라인의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향하는 라인의 조합이거나, 또는 45도 사선을 향하는 라인의 조합일 수도 있다. 요지는 발광소자(361, 362)의 빛이 통과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며, 라인이 배열되는 방향이나 각도가 한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이미지가 표현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의 (a)는 주간에 시인성을 갖는 패턴 용지(310)의 인쇄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발광소자(361, 362)가 오프(off) 상태일 때, 표현된다. 도 7의 (b)는 야간에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표현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며, 이때, 외부 광원(예컨대, 태양광, 형광등, 백열등 등)이 차단된 상태일 때,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표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외부 광원이 차단될 때, 도트 패턴, 또는 라인 패턴의 형태로 인쇄된 패턴 용지(310)의 이미지는 시인성이 저감하고, 이때, 발광소자(361, 362)가 구동되면 이미지 필름(350)의 이미지가 외부로 표현됨으로써 패턴 용지(310)의 이미지를 대신하여 시인성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이미지 표시장치가 주간과 야간에 따라 각기 다른 이미지를 표현 가능하며, 주간에는 2차원 평면 이미지를 표시하고, 야간에는 2차원 평면 이미지, 또는 3차원 입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110, 120 : 하프미러 121 : 개방영역
131, 132 : 제1발광소자 140 : 이미지 조성 부재
150 : 제2발광소자

Claims (14)

  1.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며, 일 영역에는 개방영역을 구비하는 제2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에 마련되는 제1발광소자;
    상기 개방 영역에 위치하며, 광 투과성의 이미지 조성 부재; 및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로 빛을 투사하는 제2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는, 아크릴, 유리,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투명, 및 반투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소자는,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발광 면은 상기 제1하프미러, 및 상기 제2하프미러의 면 방향에 대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광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광 통로의 일 측에는 상기 제2발광소자와 위치하고, 상기 광 통로의 타 측에는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가 위치하도록 하는 광 가이드 레이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레이어는,
    불투명 재질, 및 반사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소자는,
    중심에서 상기 제1하프미러로 향하는 제1거리와, 상기 제2하프미러로 향하는 제2거리의 비가 1:1 내지 1: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7.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프미러;
    반사 시트;
    상기 반사 시트와 상기 제1하프미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하프미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에 마련되는 제1발광소자;
    상기 반사 시트와 상기 제2 하프미러 사이에 마련되는 이미지 필름; 및
    상기 반사 시트와 상기 이미지 필름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이미지 필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제2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필름은,
    렌티큘러(Lenticular)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필름과 상기 제2발광소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상기 이미지 필름으로 투사하는 확산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과 상기 반사 시트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투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필름으로 유도하는 광 통로를 형성하는 광 가이드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레이어는,
    불투명 재질, 및 반사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2. 하프미러의 노출 면에 위치하며, 도트, 및 라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토대로 이미지를 구현하여 주간에 시인성을 가지는 패턴 용지;
    상기 하프미러의 타 면에 위치하는 이미지 필름;
    상기 이미지 필름을 향해 광을 투사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에서 투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필름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 용지는, 야간에 시인성이 저감되고,
    야간에 상기 발광소자가 점등 시, 상기 이미지 필름은 상기 패턴 용지를 대신하여 시인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필름과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광을 확산시켜 상기 이미지 필름으로 투사하는 확산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필름과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투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필름으로 유도하는 광 통로를 형성하는 광 가이드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KR1020110106792A 2011-10-19 2011-10-19 이미지 표시장치 KR101293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792A KR101293991B1 (ko) 2011-10-19 2011-10-19 이미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792A KR101293991B1 (ko) 2011-10-19 2011-10-19 이미지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736A true KR20130042736A (ko) 2013-04-29
KR101293991B1 KR101293991B1 (ko) 2013-08-07

Family

ID=4844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792A KR101293991B1 (ko) 2011-10-19 2011-10-19 이미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213B1 (ko) * 2015-09-08 2016-12-22 (주)코텍 영상출력장치
WO2021137614A1 (ko) * 2019-12-30 2021-07-08 이재진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93A (ko) *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한화미 옥외광고물의 광고부 구조
KR20050039515A (ko) * 2004-06-04 2005-04-29 이길수 하프 미러를 이용한 피난 유도등
JP2008070697A (ja) 2006-09-15 2008-03-27 Toyoda Gosei Co Ltd 表示装置
JP5339120B2 (ja) 2008-08-18 2013-11-13 東海光学株式会社 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213B1 (ko) * 2015-09-08 2016-12-22 (주)코텍 영상출력장치
WO2021137614A1 (ko) * 2019-12-30 2021-07-08 이재진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991B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0475B2 (en) Display device for aerial image having retro-reflective part
JP4861180B2 (ja) 3dディスプレイ装置用バックライト
JP5776674B2 (ja) 表示装置および光源デバイス
TW201730629A (zh) 顯示裝置及空中像的顯示方法
JP2012221664A (ja) 表示装置
US10750159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KR20100026761A (ko)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평면 및 입체 겸용 영상 표시 장치
JP2013104915A (ja)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US7296901B2 (en) Projection display
KR101293991B1 (ko) 이미지 표시장치
CN114460759A (zh) 显示方法及显示装置
TWI428632B (zh) 立體影像顯示器
KR101211648B1 (ko)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WO2011079347A1 (en) Optically variable device
CN113366258A (zh) 照明设备
KR101897964B1 (ko) 2차원과 3차원 전환이 가능한 3d디스플레이장치
JP2023057103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0197473A (ja) 立体プロジェクション展示装置
KR20090087741A (ko) 입체그림
KR101487972B1 (ko) 렌티큘러 이미지 패널
JP7153223B2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及びバリア付き表示装置
TWM512147U (zh) 顯示裝置
JP5397911B2 (ja) 反射型再帰性フロントスクリーンおよび反射型立体表示用スクリーン
CN108535879A (zh) 显示设备以及显示设备的驱动方法和装置
KR20150108525A (ko)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3차원 입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