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597A -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597A
KR20130041597A KR1020110105960A KR20110105960A KR20130041597A KR 20130041597 A KR20130041597 A KR 20130041597A KR 1020110105960 A KR1020110105960 A KR 1020110105960A KR 20110105960 A KR20110105960 A KR 20110105960A KR 20130041597 A KR20130041597 A KR 20130041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gas
chimney
ondol
gas furnac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8697B1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102011010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97B1/en
Publication of KR2013004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5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 F24D2200/065Wood fired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PURPOSE: A smoke exhaust channel structure of a Korean floor heating system is provided to effectively exhaust smoke by forming inner and outer structures of the smoke exhaust channel structure to help each other. CONSTITUTION: A smoke exhaust channel structure of a Korean floor heating system comprises an inner smoke exhaust channel structure and an outer smoke exhaust channel structure. In the inner smoke exhaust channel structure, a low temperature smoke exhaust channel(2b) is built on the lower side of a high temperature smoke exhaust channel(2, 2a) which is connected to a partition(1). The other part of the smoke exhaust channel,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 temperature smoke exhaust channel, is connected to one side of a chimney cavity(9). The chimney(8)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imney cavity. An air-hole is equipped in the other side of the chimney cavity.

Description

온돌의 배연로 구조{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Structural furnace structure of ondol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본 발명은 온돌 내부 배연로 구조와, 온돌 외부 배연로 구조가 결합되어 배연(排煙) 작용이 양호하며, 온돌의 난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온돌의 배연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dol flue gas furnace structure, and an ondol outer flue gas furnace structure is combined to have a good flue gas action and to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ondol.

일반적으로 온돌은 낮은 위치의 아궁이에서 연료로 연소하면 아궁이보다 높은 위치의 경사진 구들의 고래를 통하여 연소 가스가 건물 외부에 세워진 굴뚝으로 배출되면서 구들을 가열하여 난방하고 고래의 종단부에 깊게 파인 방 개자리에 의해 외부의 냉기와 습기를 침하시키어 원활한 배연 작용과 아궁이로 역풍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In general, when ondol is fueled by a fire in a lower position,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into a chimney built outside the building through the whales of the inclined spheres higher than the fire, heating and heating the spheres and deeply digging at the end of the whale. Opening and sinking the outside cold and moisture by the dog seat to prevent the flue gas smoothly and the back wind from the fire.

종래의 온돌의 고래는 병렬로 축조되거나, 분산형으로 축조되어 있으나, 아궁이에서 연소된 열기를 함유한 연기가 고래를 거의 직선 거리로 지나 굴뚝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연소 가스에 함유된 열에 의해 구들장이 충분히 가열되기 전에 굴뚝으로 배출되어 열손실이 크고 온돌의 난방 효율이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ondol whales are built in parallel or distributed, but since the smoke containing hot air from the firewood is discharged to the chimney through the whale almost straight distance, the heat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is sufficie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eat dissipation is discharged to the chimney before being heated and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ondol is not high.

또 고래를 지그재그로 축조하여 배연로를 지나치게 길게 연장하면 배연 저항이 높게 되어 원활하게 배연되지 못하고 또 약간의 바람이 불어도 아궁이로 연기가 나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whale is constructed in a zigzag and the smoke exhaust path is extended too long, the smoke resistance is high and the smoke is not smoothly smoked.

또 온돌의 고래를 합리적으로 축조하여도 온돌 외부의 배연로가 단순하여 겨울철 온돌 외부의 배연로에 냉기와 습기의 영향을 받게 되면 온돌 내부 배연로의 배연 작용이 온돌 외부 배연로의 영향을 받게 되어 난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ondol's whale is reasonably constructed, the flue gas outside the ondol is simple, and if the flue gas outside the ondol is affected by cold and moisture in the winter, the flue action of the inner flue will be affected by the flue outsid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heating effect.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실제로 온돌의 구조와 굴뚝의 구조에 대하여 여러 가지 많은 실험을 통하여 온돌의 난방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온돌의 배연로의 구조를 개발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rrect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rough a number of experiments on the actual structure of the ondol and the structure of the chimney over a long time to develop a new ondol flue gas furnace structure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ondol It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돌 내부 배연로 구조와 온돌 외부 배연로 구조가 배연 작용을 서로 상조(相助)할 수 있게 구성되어 계절과 기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하게 배연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ndol flue gas structure' that the ondol internal flue gas structure and the ondol outer flue gas structure is configured to mutually mutually play the role of flue gas so that it is not affected by the seasons and the climate well.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궁이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가 양호하게 배연 중에 구들과의 접촉이 양호하여 온돌의 난방 효과를 보다 높이게 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dol flue gas structure' in which the combustion gas combusted in the firewood is well in contact with the spheres during flue gas so as to enhance the heating effect of the ondo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돌 내부 배연로 구조에서 고온 배연로와 저온 배연로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온돌에서의 열 이용률이 보다 높게 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dol flue gas furnace structure' in which the heat utilization rate in the ondol is higher due to the dual structure of the hot flue gas furnace and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in the ondol internal flue gas furnac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돌 외부 배연로 구조에서 배연관 및 굴뚝이 이중관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냉기와 습기로부터 내부 배연 통로가 보온(保溫) 유지되고 기체의 상승 기류의 형성으로 연기가 굴뚝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며, 굴뚝 개자리에 의해 아궁이에 대한 역풍 방지 및 굴뚝의 배연 작용을 촉진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xhaust pipe and the chimney are formed as a double pipe in the ondol external flue gas structure so that the internal flue gas passage is kept warm from the outside cold and moisture, and the gas is easily formed into the chimney by the formation of a rising air flow of the gas. It is to provide a 'ondol flue-gas structure' that prevents backwinds to the headlights and promotes the flue action of the chimney by the chimney opening.

본 발명은 온돌의 배연로에 있어서, 아궁이에서 연소된 연소열의 이용률을 높이어 유효하게 난방할 수 있게 된 온돌 내부 배연로 구조와, 온돌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가 외부 기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굴뚝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온돌 외부 배연로의 구조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dol flue gas furnace has an internal flue gas furnace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heating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combustion heat combusted in the firewood, and the smok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ndol to the chimne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external climate.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flue gas furnace that discharges smoothly.

본 발명에서 온돌 내부 배연로의 구조는 온돌 내부에 축조된 아궁이의 연소통과 마주한 온돌의 뒤쪽 부분에서 좌우 양측의 중간 부분으로 배연로를 구성하는 격벽이 건물의 내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들장을 시공할 수 있는 설정된 높이로 축조되어 구들의 좌우 양측에서 뒤쪽의 격벽의 중앙부에서 서로 연통(連通)된 고온 배연로(高溫 排煙路)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의 좌우 종단 부분에 고온 배연로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on-board internal flue gas is constructed in the guddle fiel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by the partition wall which constitutes the flue gas in the middle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rear part of the ondol facing the combustion cylinder of the arch built inside the ondol. High temperature flue gas passages are formed in the centers of the rear bulkheads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heres, and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inlet of the hot flue gas passages i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ulkheads. Is formed.

좌우 양측으로 축조된 상기 고온 배연로가 서로 연통되는 격벽의 중간 부분에서 한쪽의 고온 배연로의 하부측에 저온 배연로가 굴뚝을 향하여 구축되고 저온 배연구의 배연구는 상기 고온 배연구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is constructed toward the chimney at the lower side of on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in the middle part of the partition wall where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s construc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formed in.

따라서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의 유출구는 저온 배연로의 유입구와 공통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의 유출구 측에는 배연 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조절블록이 상하 적절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Therefore, the outlets of the high-temperature flue gas furnace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located in common with the inlet of the low-temperature flue gas furnace, and a plurality of control blocks for controlling the flue gas action are installed at appropriate heights up and down on the outlet sides of the hot flue gas furnac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상기 조절블록에 의해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의 유출구의 단면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의 배연 작용이 좌우되며, 좌우 고온 배연로의 배연 작용이 상호 균형을 이루는 조건으로 조절블록을 설치하여 구들을 축조한 후에는 별도의 조절 조작 없이 그대로 사용된다.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cross-section of the outlet of the hot flue gas furnac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y the control block, the flue gas action of the hot flue gas furnac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s determined, and the control block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lue gas action of the left and right hot flue gas furnace is balanced. After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spheres, they are used without any adjustment.

따라서, 처음부터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의 배연 작용이 균형을 이루도록 배연로가 축조되었다고 하면, 조절블록의 시공은 생략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flue gas furnace is constructed so that the flue gas action of the hot flue ga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s balanced from the beginn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ntrol block can be omitted.

또한 온돌의 배연 공간에는 여러 개의 구들 받침대가 축조되어 구들을 시공하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exhaust space of Ondol, several sphere pedestals are constructed to construct spheres.

본 발명에서 온돌 외부의 배연로의 구조는 상기 온돌 내부의 배연로의 구조와 연결된 것으로 온돌 내부의 저온 배연로와 연결된 배연관(여네미)과, 굴뚝 개자리 및 상기 굴뚝 개자리의 상부 측에 설치된 굴뚝으로 되어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flue gas furnace outside the ondol is connected to the structure of the flue gas furnace inside the ondol, and the flue pipe (Yemi) connected to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inside the ondol, chimney seat and the chimne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imney seat It is.

상기 배연관은 외부의 냉기로부터 내부 배연 통로의 보온 유지를 위해 이중관으로 되어있고 온돌 내부의 저온 배연관 및 지하로 요입되게 축조된 굴뚝 개자리의 일측면에 접속되어 온돌 내부의 저온 배연로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가 배연관을 통하여 굴뚝으로 유도하게 되어 있다.The exhaust pipe is a double pipe for maintaining the insulation of the internal flue passage from the outside cold air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 temperature flue pipe inside the ondol and the chimney opening built into the base and discharged from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inside the ondol. Combustion gas is directed to the chimney through the flue-pipe.

또 상기 굴뚝 개자리의 상부 측에 설치된 굴뚝은 외부의 냉기로부터 내부 배연 통로를 보온 유지하기 위한 이중관으로 되어 배연관에서 유도된 연소 가스가 굴뚝 측으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himne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imney opening is a double pipe for keeping the internal flue passages warm from the external cold air, and the combustion gas induced in the flue pipe is discharged to the chimney side.

또 상기 굴뚝 개자리의 외측면에는 댐퍼(damper)가 구비된 통기공이 구비되어 있다. 이 댐퍼는 통기공의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며 굴뚝의 숨구멍이라고 한다. 평소에는 댐퍼에 의해 통기공이 닫혀 있으며 저기압의 경우 통기공을 개방하여 굴뚝을 통한 연소 가스의 상승 작용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imney seat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provided with a damper (damper). This damper controls the air intake of the vents and is called the chimney's pores. Normally, the air vent is closed by the damper, and in the case of low pressure, the air vent is opened to help the synergism of the combustion gas through the chimney.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뚜막 아궁이나 함실아궁이에서 나무나 기타 연료를 때면, 화열을 함유한 연소 가스(연기)는 연소통의 상부에 배치된 축열판 사이의 틈을 통하여 온돌의 뒤쪽의 격판 측으로 배출되어 격판에 의해 부딪혀 반사 동작으로 좌우 양측으로 확산되면서 굴뚝 측을 향하여 이동 기류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wood or other fuel is fired in a firewood or a firebox, the combustion gas containing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diaphragm on the rear side of the ondol through a gap between the heat storage plates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ylinder. It is discharged and hit by the diaphragm and diffuse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 reflective operation, and a moving airflow is formed toward the chimney side.

즉, 온돌의 배연 공간에서 확산된 연소 가스는 일단 뒤쪽에 구비된 격벽에 부딪혀 반사 동작으로 와류되면서 격벽과 온돌의 구들과 접촉되어 가열된다. 이어서, 연소 가스는 온돌의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각각 고온 배연로를 거쳐 유출구를 통하여 저온 배연로의 배연구로 유입된다.That is, the combustion gas diffused in the flue space of the ondol is heated by contacting the partition walls and the spheres of the ondol while vortexing the barrier rib provided at the rear side and vortexing by the reflection operation. Subsequently, the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inlet of the high temperature flue-gas furnace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ndol, and flows into the low-temperature flue gas furnace through the outlet through the hot flue-gas.

이러한 배연 과정에서 연소열의 대부분은 격벽과 구들을 가열하여 온돌의 난방을 유지하며, 이러한 연소열의 난방 이용에 따라 저온 배연로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온도는 보다 낮게 저하되어 있다. Most of the combustion heat in the flue gas heating process partitions and spheres to maintain the heating of the ondol,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o the low-temperature flue gas furnace is lower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eating of the combustion heat.

이때, 온돌 내부 배연로를 흐르는 연소 가스의 온도는 굴뚝의 외부 공기의 온도보다는 높기 때문에 더운 연소 가스는 비중이 가벼워 굴뚝으로 배출되려는 상승 기류가 형성되어 연소 가스는 굴뚝 측으로 계속 흐르게 되며, 배연관을 통하여 굴뚝 개자리를 통하여 굴뚝의 배연 통로로 배출된다.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 the ondol internal flue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of the chimney, the hot combustion gas has a low specific gravity, so that an upward air flow is formed to be discharged to the chimney, and the combustion gas continues to flow to the chimney side. Through the chimney seat is discharged into the flue passage of the chimney.

온돌 외부 배연로의 구조에서 배연관은 외부관과 내부관에 의해 외부 배연 통로와 내부 배연 통로가 형성된 이중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 벽이나 외부 공기의 냉기에 의해 배연관의 외부관이 다소 냉각되어도 배연관의 내부관은 보온 유지되기 때문에 온돌 내부 배연로로 배출되는 온기를 가진 연소 가스가 배연관으로 용이하게 통과하여 굴뚝으로 유도된다. In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flue gas furnace, the flue gas pipe is a double pipe with external flue gas passages and internal flue gas passages formed by the external pipes and the internal pipes. Since the inner pipe of the tube is kept warm, the combustion gas with the warmth discharged to the ondol internal flue gas easily passes through the flue pipe and is led to the chimney.

또 외부 공기가 차거나 습기가 많은 경우에는 굴뚝의 냉기와 습기가 굴뚝 개자리에 침하되기 때문에 온돌 내부 배연로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가 용이하게 굴뚝으로 상승하여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utside air is cold or humid, since the cold and moisture of the chimney sinks into the chimney seat,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ondol internal flue gas can easily rise to the chimney and be discharged.

굴뚝은 외부관과 내부관에 의해 외부 배연 통로와 내부 배연통로의 이중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굴뚝의 외부관이 다소 냉각되어도 굴뚝 내부관이 보온 유지되어서 굴뚝으로 연소 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된다.Since the chimney is a double pipe of the outer flue passage and the inner flue passage by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the chimney inner tube is kept warm even when the outer tube of the chimney is slightly cooled, and the combustion gas is easily discharged to the chimney.

또 저기압의 경우, 댐퍼를 조작하여 통기공을 통하여 굴뚝 개자리의 공간 내부에 약간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하면, 굴뚝의 상단부와 굴뚝의 하단부가 통기공을 통하여 상하 대류 작용을 이루는 통로가 형성되어 굴뚝의 배연 작용이 촉진된다. 댐퍼는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하고 평시에는 통기공을 댐퍼에 의해 닫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low pressure, when a damper is operated to allow some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space of the chimney opening through the vent hole, a passage is formed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himney and the lower end of the chimney make up and down convection through the vent hole. The flue gas is promoted. The damper is opened only when necessary and the vent is normally closed by the damper.

또한 굴뚝 개자리에 의해 가령 굴뚝으로 강한 역풍이 유입되어도 굴뚝 개자리에서 와류(渦流) 되면서 흐름이 소실되어 온돌의 아궁이에는 역풍이 차단된다. 또 온돌의 고래를 따라 이동하는 연소 가스의 배출 작용이 저해 받지 아니한다. In addition, even when a strong backward wind flows into the chimney by the chimney opening, the flow is lost as the vortex flows from the chimney opening, and the back wind is blocked in the ondol. In addition, the discharge action of combustion gas moving along the ondol whale is not impeded.

본 발명에서는 아궁이 측으로 굴뚝이 설치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아궁이의 반대 측에 굴뚝이 설치된 경우에는 온돌 내부 배연로의 종단부에 온돌 개자리가 축조되는 등 온도 내부 배연로의 구조는 설계적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으나 온돌 외부 배연로 구조는 그대로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mney is installed to the side of the arch, but when the chimney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rch, the structure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flue,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ondol open end at the end of the internal flue can be changed somewhat by design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flue gas furnace remains the same.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돌 내부 배연로 구조와 온돌 외부 배연로 구조가 배연 작용을 서로 상조(相助)할 수 있게 구성되어 계절과 기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하게 배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dol internal flue gas furnace structure and the ondol external flue gas furnace structure can be configured to mutually cooper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lue gas can be well discharged with little effect on the seasons and the climate.

또 아궁이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가 양호하게 배연 중에 구들과의 접촉이 양호하여 온돌의 난방 효과가 보다 향상된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gas combusted in the firewood is well in contact with the spheres during flue gas so that the heating effect of the ondol is further improved.

또한 온돌 내부 배연로 구조에서 고온 배연로와 저온 배연로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온돌 내부에 연소 가스의 열 이용률이 보다 높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ndol internal flue gas furnace structure, a double structure of a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and a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is formed, so that the heat utilization rate of the combustion gas is higher in the ondol.

또 온돌 외부 배연로 구조에서 배연관 및 굴뚝이 이중관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냉기와 습기로부터 내부 배연 통로가 보온(保溫) 유지되고 기체의 상승 기류의 형성으로 연소 가스가 굴뚝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굴뚝 개자리에 의해 아궁이에 대한 역풍 방지 및 굴뚝의 배연 작용이 촉진되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lue gas pipes and the chimneys are formed as double pipes in the ondol external flue gas furnace structure, so that the internal flue gas passages are kept warm from the outside cold and moisture, and the combustion gas is easily discharged to the chimney by the formation of the rising air flow of the gas. This has various effects, such as preventing the headwind against the headlight and promoting the flue action of the chimney.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 배연로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온도 외부 배연로의 예시도
도 5는 온도 외부 배연로의 단면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uble exhaust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temperature outside flue gas furnac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mperature outside flue gas furnace

본 발명은 온돌의 배연로에 있어서, 아궁이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에 함유된 연소열을 유효하게 수열하여 난방하게 된 온돌 내부의 배연로(A) 구조와, 온돌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외부 기온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하게 된 온돌 외부의 배연로(B) 구조의 결합으로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ue gas furnace (A) structure inside an ondol which effectively heats and heats the combustion heat contained in a combustion gas combusted in a firewood and heats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an ondol in an ondol flue gas furnace. It is a combination of the flue gas (B) structure on the outside of the ondol which is smoothly discharged with little influence.

도 1,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온돌 내부의 배연로(A)의 구조는 온돌 내부에 축조된 아궁이(F)의 연소통(U)과 마주한 온돌의 뒤쪽 부분에서 좌우 양측의 중간 부분으로 배연로를 구성하는 격벽(1)이 건물의 내벽(W)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온돌의 좌우 양측에서 격벽(1)의 뒤쪽으로 서로 연통된 고온 배연로(2)(2a)가 축조되고 상기 격벽(1)의 좌우 종단부에 상기 고온 배연로(2)(2a)의 유입구(2e)(2d)가 각각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Fig. 2 and Fig. 3, the structure of the flue gas furnace A inside the ondol is a middle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at the rear part of the ondol facing the combustion cylinder U of the subfamily F built inside the ondol.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passages 2 and 2a in which the partition walls 1 constituting the flue gas passag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ndol to the rear of the partition wall 1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inner wall W of the building are constructed. The inlet openings 2e and 2d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passages 2 and 2a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1, respectively.

온돌의 좌우 양측으로 축조된 상기 고온 배연로(2)(2a)가 서로 연통된 중간부에서 한쪽의 고온 배연로(2a)의 하부측에 저온 배연로(2b)가 굴뚝(8)을 향하여 축조되고 저온 배연로(2b)의 배연구(2u)는 상기 고온 배연로(2)(2a)가 연통되는 중간 부분에 형성된다.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passage 2b is constructed toward the chimney 8 at the lower side of one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passages 2a in the middle portion where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passages 2, 2a built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ndo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exhaust study 2u of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where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2a communicates with.

따라서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2)(2a)의 유출구(2n)는 상기 저온 배연로(2b)의 배연구(2u)와 공통으로 위치되어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2)(2a)로 흐른 연소 가스는 상기 유출구(2n)와 배연구(2u)를 통하여 저온 배연로(2b)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Therefore, the outlet 2n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s 2 and 2a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s located in common with the exhaust gas 2u of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so as to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s 2 and 2a on both sides. The flowing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o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through the outlet 2n and the exhaust gas research 2u.

도 1 및 도 3에서는 한쪽 고온 배연로(2)(2a)와 저온 배연로(2b)가 상하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구들의 높이를 감안하여 다른 쪽 고온 배연로(2)의 상하 높이의 절반 크기로 표시되어 있다. In FIG. 1 and FIG. 3, since on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and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are overlapped up and down,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spheres, the size of half of the top and bottom height of the other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Is indicated.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각 배연로(2)(2a)(2b)의 상하 높이를 동일하게 축조할 수 있고 저온 배연로(2b)의 상하 높이만을 보다 작게 축조하여 배연 속도를 보다 높일 수도 있다.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vertical heights of the respective flue gas furnaces 2, 2a and 2b can be equally constructed, and only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s 2b can be constructed smaller to increase the flue gas velocity.

상기 고온 배연로(2)(2a)의 유출구(2n)에는 고온 배연로(2)(2a)의 배연 작용을 조절하는 2개의 조절블록(3)(3a)이 요입된 블록 좌(座)(4)에 상하 적절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At the outlet 2n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a block seat in which two control blocks 3, 3a for regulating the flue gas action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are inserted. 4) It is installed at the proper height up and down.

상기 조절블록(3)(3a)에 의해 고온 배연로(2)(2a)의 유출구(2n)의 단면 크기의 조절에 따라 좌우 양측의 고온 배연로(2)(2a)의 배연 작용이 좌우되며 좌우 고온 배연로(2)(2a)의 배연 작용이 상호 균형을 이루는 조건으로 조절블록의 높이를 조절하여 구들을 시공한 후에는 그대로 두고 사용된다.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outlet (2n)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by the control block (3) (3a), the flue gas action of the hot flue gas furnace (2) (2a) on both sides is determin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phere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trol block in the condition that the flue gas action of the left and right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is mutually balanced, it is used as it is.

처음부터 좌우 고온 배연로(2)(2a)의 배연 작용이 균형을 이루는 조건으로 배연로가 축조되었다면 조절블록의 설치는 생략해도 된다. If the flue gas furnace is constructed on the condition that the flue gas action of the left and right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is balanced from the beginning, the installation of the control block may be omitted.

또한 온돌의 배연 공간(a)에는 도시되지 않은 여러 개의 구들 받침대가 축조되고 그 위에 구들(5)과 온돌 마감재로 방바닥(6)이 시공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phere pedestals (not shown) are constructed in the flue space (a) of the ondol, and the floor 6 is constructed with the spheres 5 and the ondol finishing material thereon.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온돌 외부의 배연로(B)의 구조는 상기 온돌 내부의 배연로(A)의 구조와 연결된 것으로 온돌 내부의 저온 배연로(2b)와 연결된 배연관(여네미)(7)이 지하에 요입되게 축조된 굴뚝 개자리(9)의 일 측면에 접속되어있고 상기 굴뚝 개자리(9)의 상부 측에는 굴뚝(8)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굴뚝 개자리(9)의 타 측면에는 댐퍼(9d)로 조작되는 통기공(9a)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structure of the flue gas (B) outside the ondol is connected to the structure of the flue gas (A) inside the ondol to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2b) inside the ondol ( Nemi) (7)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himney nest 9 constructed to be recessed underground, the chimney 8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chimney nest 9, the chimney nest 9 On the other side of the vent hole 9a which is operated by the damper 9d is formed.

상기 배연관(7)은 외부관(7a)과 내부관(7b)이 스페이스 링(R)에 의하여 내외의 배연 통로(d1)(d2)를 두고 형성되는 이중관으로 되어 있다. The exhaust pipe 7 is a double pipe in which the outer pipe 7a and the inner pipe 7b are formed by the space ring R with the exhaust pipes d1 and d2 inside and outside.

또 상기 굴뚝(8)은 외부관(8a)과 내부관(8b)이 스페이스 링(R)에 의하여 내외의 배연 통로(t1)(t2)를 두고 이중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the chimney 8, the outer tube 8a and the inner tube 8b are formed in a double tube with the exhaust passages t1 and t2 inside and outside by the space ring R.

본 발명의 실시예서 아궁이(F)의 크기가 약 43cm X 40cm 이라 하면, 배연관(7)과 굴뚝(8)의 구경은 아궁이의 1/4의 크기로 하고 배연로(2)(2a)(2b)의 구경은 굴뚝 구경의 2배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ize of the fire extinguisher (F) is about 43 cm X 40 cm, the size of the flue gas pipe 7 and the chimney 8 is 1/4 the size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flue gas furnace 2 (2a) ( The diameter of 2b) is preferably twice the size of the chimney bore.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뚜막 아궁이나 함실아궁이에서 연료를 때면 화열을 함유한 연소 가스(연기)는 연소통(U)의 상부에 배치된 축열판(P) 사이의 틈을 통하여 온돌의 배연 공간(a)의 뒤쪽의 격벽(1) 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격벽(1)에 충돌되는 반사 작용으로 좌우 양측으로 확산되면서 굴뚝(8) 측을 향하여 이동 기류가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 to 3, when the fuel is burnt in the firewood or the incubator, the combustion gas containing the heat (smoke) is disposed on the heat storage plate P disposed above the combustion vessel U. The air flow is discharged toward the chimney 8 side while being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partition wall 1 at the rear of the flue space (a) of the ondol and diffus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by the reflective action impinging on the partition wall 1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ndol. do.

상기 온돌의 배연 공간(a)에서 확산된 연소 가스는 일단 뒤쪽에 구비된 격벽(1)에 충돌하여 반사 작용으로 와류(渦流) 되면서 격벽(1)과 구들(5)과 접촉되어 가열된다. 이어서, 연소 가스는 온돌의 좌우 양측의 유입구(2e)(2d)를 통하여 각각 고온 배연로(2)(2a)로 유입되어 각각 고온 배연로(2)(2a)를 지나 유출구(2n)로 유출되는 동시에 저온 배연로(2b)의 배연구(2u)로 유입된다.The combustion gas diffused in the flue space (a) of the ondol is heated by contacting the partition wall (1) and the spheres (5) while colliding with the partition wall (1) provided at the rear and vortexing by reflection. Subsequently, the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passages 2 and 2a through the inlets 2e and 2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ndol, respectively, and passes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passages 2 and 2a to the outlet port 2n. At the same time, it is introduced into the study (2u) of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2b).

이러한 배연 과정에서 연소 가스에 함유된 연소열의 대부분은 격벽(1)과 도시되지 않은 구들 받침대와 구들(5)의 가열에 의해 온돌의 난방에 사용되고 따라서 저온 배연로(2b)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온도는 보다 낮게 저하되어 있다. Most of the combustion heat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in this flue gas process is used for heating of the ondol by heating the partition wall 1 and the unillustrated sphere pedestals and spheres 5, and thus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into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The temperature is lowered lower.

그러나 온돌 외부 배연로(B)에 비하여 온돌 내부 배연로(A)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연소 가스는 굴뚝(8) 측으로 계속 진행되며, 배연관(7)의 배연로의 각 배연 통로(d1)(d2)를 통하여 굴뚝 개자리(9)를 거쳐, 굴뚝(8)의 배연 통로(t1)(t2)로 상승 배출된다.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ondol inner flue gas (A) is higher than the ondol outer flue gas (B), the combustion gas proceeds to the chimney (8) side, and each flue passage (d1) of the flue gas of the flue pipe (7) ( It rises and discharges to the flue gas passage t1 (t2) of the chimney 8 through the chimney opening 9 through d2).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온돌 외부 배연로(B)의 구조에서 배연관(7)은 외부관(7a)과 내부관(7b)의 중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 내벽 및 외부 냉기에 의해 배연관(7)의 외부관(7a)이 다소 냉각되어도 내부관(7b)은 배연 통로(d1)(d2)를 흐르는 연소 가스의 열기에 의해 보온 유지되어, 연소 가스가 배연관(7)의 배연 통로(d1)(d2)를 용이하게 통과하여 굴뚝(8) 측으로 유도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in the structure of the ondol outer flue-gas B, the flue pipe 7 is formed by the middle pipe of the outer pipe 7a and the inner pipe 7b, so Even if the outer pipe 7a of the flue pipe 7 is somewhat cooled, the inner pipe 7b is kept warm by the heat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through the flue gas passages d1 and d2, so that the combustion gas is exhaust pipe 7 It passes through the flue gas passage (d1) (d2) of and is led to the chimney (8) side.

또 굴뚝(8)은 외부관(8a)과 내부관(8b)의 이중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냉기에 의해 굴뚝(8)의 외부관(8a)이 다소 냉각되어도 굴뚝(8)의 내부 관(8b)은 연소 가스의 열기에 의해 보온 유지되어, 굴뚝(8)의 배연 통로(t1)(t2)로 연소 가스가 용이하게 상승 배출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himney 8 is formed of a double tube of the outer tube 8a and the inner tube 8b, the inner tube of the chimney 8 is cooled even if the outer tube 8a of the chimney 8 is somewhat cooled by external cold air. 8b is kept warm by the heat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combustion gas rises and discharges easily to the flue gas passage t1 (t2) of the chimney 8.

또 기후 조건에 따라 굴뚝(8)의 내부에 냉기와 습기가 있는 경우, 냉기와 습기가 비중이 무거워 굴뚝 개자리(9)에 침하되기 때문에 연소 가스에 대한 배출 저항이 작게 되므로 굴뚝(8)으로 용이하게 상승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cold and moisture in the inside of the chimney 8 according to climatic conditions, sinc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ld and moisture is heavy and settles in the chimney opening 9, since the discharge resistance to the combustion gas is small, the chimney 8 is easy. Upwardly discharged.

또 저기압의 경우, 굴뚝 개자리(9)의 타 측면에 구비된 댐퍼(9d)를 조작하여 통기공(9a)을 통하여 굴뚝 개자리(9)의 공간 내부에 약간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하면, 굴뚝(8)의 상단부와 굴뚝(8)의 하단부에 통기공(9a)을 통하여 상하 대류 작용을 이루는 통로가 형성되어 배연관(7)으로 유출된 연소 가스가 굴뚝의 배연 통로(t1)(t2)를 통하여 상승되는 배연 작용이 촉진된다. In the case of low pressure, when a damper 9d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himney opening 9 is operated to allow some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space of the chimney opening 9 through the air vent 9a, the chimney ( The upper end of the 8 and the lower end of the chimney (8) is form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9a) through the upper and lower convection action is formed so that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flue pipe (7) is the flue passage (t1) (t2) of the chimney Flue gas is promoted through.

댐퍼(9d)는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하고 평시에는 통기공(9a)을 댐퍼(9d)에 의해 닫아 둔다.The damper 9d is opened only when necessary and the vent 9a is normally closed by the damper 9d.

또한 굴뚝 개자리(9)에 의해 가령, 굴뚝(8)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측으로 강한 역풍이 유입되어도 굴뚝 개자리(9)에서 와류(渦流) 되면서 풍력이 소실되어 온돌의 아궁이 측으로 외부 바람이 역류되는 일이 없고, 또 온돌의 고래를 따라 이동하는 연소 가스의 배출 작용을 저해 받는 일이 없다.
In addition, even when a strong backward wind flows from the upper end of the chimney 8 to the lower end side by the chimney opening 9, the wind is lost due to vortex flow in the chimney opening 9, and external wind flows back toward the ondol's arch. In addition, the discharge action of the combustion gas moving along the whale of the ondol is not impaired.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돌 내부 배연로(A) 구조와, 온돌 외부 배연로(B) 구조의 결합에 의해 아궁이(F)에서 연료로가 연소된 연소 가스가 고온 배연로(2)(2a)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연소 가스에 함유된 연소열에 의해 방바닥(6)의 격벽(1)과 구들(5)이 신속하게 가열되어 단시간에 방바닥이 따뜻하게 되고 온도가 저하된 연소 가스는 보다 낮은 위치의 저온 배연로(2b)를 통하여 이중 배연관(7) 및 이중 굴뚝(8)으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종래의 온돌의 배연로와 달리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고 난방 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gas in which the fuel path is combusted in the firewood (F) by the combination of the ondol internal flue gas furnace (A) structure and the ondol external flue gas furnace (B) structure is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Accordingly, the partition wall 1 and the balls 5 of the floor 6 are rapidly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while moving in a zigzag to warm the floor in a short time. It is easily discharged to the double exhaust pipe (7) and the double chimney (8) through the flue gas (2b) can be effectively heated unlike the conventional flue gas of the ondol has the advantage that the heating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1 : 격벽 2,2a : 고온 배연로 2b : 저온 배연로 2e,2d : 유입구
2n : 유출구 2u : 배연구 3,3a : 조절블록 4 : 블록 좌
5 : 구들 6 : 방바닥 7 : 배연관 7a : 외부관 7b : 내부관
8 : 굴뚝 8a : 외부관 8b : 내부관 9 : 굴뚝 개자리 9a : 통기공
9d : 댐퍼 A : 온돌 내부 배연로 B : 온돌 외부 배연로
F : 아궁이 P :축열판 U : 연소통 W : 건물의 내벽 R: 스페이스 링 a : 온돌의 배연 공간 d1,d2 : 배연관의 배연 통로
t1, t2 : 굴뚝의 배연 통로
1: bulkhead 2,2a: high temperature flue gas 2b: low temperature flue gas 2e, 2d: inlet
2n: outlet 2u: pear research 3,3a: control block 4: block left
5: sphere 6: floor 7: flue tube 7a: outer tube 7b: inner tube
8: Chimney 8a: Outer tube 8b: Inner tube 9: Chimney opening 9a: Vent hole
9d: Damper A: Internal flue gas furnace B: Ondol flue gas furnace
F: Fire extinguisher P: Heat storage plate U: Combustion tube W: Inner wall of building R: Space ring a: Flue gas space d1, d2: Flue gas passage of flue pipe
t1, t2: flue gas passage of the chimney

Claims (6)

온돌의 배연로의 구조에 있어서,
아궁이(F)와 마주한 온돌의 뒤쪽에서 온돌의 좌우 양측 중간부로 격벽(1)이 축조되어 상기 격벽(1)과 건물의 내벽(W) 사이에 고온 배연로(2)(2a)가 형성되고 상기 고온 배연로(2)(2a)가 연통된 격벽(1)의 중간부에서 굴뚝을 향하여 저온 배연로(2b)가 한쪽의 고온 배연로(2a)의 하부 측에 이중으로 중첩되게 축조하여 된 온돌 내부의 배연로(A) 구조와,
상기 저온 배연로(2b)에 연결된 이중관의 배연관의 타단부가 지하로 요입되게 축조된 굴뚝 개자리(9)의 일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굴뚝 개자리(9)의 상부 측에 이중관의 굴뚝(8)이 설치되며, 상기 굴뚝 개자리(9)의 타 측면에 굴뚝의 배연 작용을 제어하는 댐퍼로 조작되는 통기공(9a)이 구비하여 된 온돌 외부 배연로(B) 구조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아궁이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가 고온 배연로(2)(2a)와 저온 배연로(2b)를 거쳐 배연관(7)을 통하여 굴뚝(8)으로 배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
In the structure of the flue gas of the ondol,
The partition wall 1 is constructed from the rear of the ondol facing the archery F to the middl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ndol so that a high temperature flue gas passage 2 and 2a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1 and the inner wall W of the building. Ondol formed by constructing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to overlap the lower side of one hot flue gas furnace 2a toward the chimney from the middle part of the partition 1 where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s 2 and 2a communicated. Internal flue gas furnace (A) structure,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pipe of the double pipe connected to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passage (2b)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himney opening 9 constructed to be recessed underground, and the chimney 8 of the double pipe on the upper side of the chimney opening 9. Is installed,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ondol external flue-gas (B)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vent hole (9a) that is operated as a damper for controlling the flue action of the chimney on the other side of the chimney opening (9),
The combustion gas structure of the ondo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ustion gas burnt in the firewood is discharged to the chimney (8) through the exhaust pipe (7) via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and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제 1 항에 있어서,
온돌 내부 배연로(A)의 구조에서 고온 배연로(2)(2a)의 좌우 양측의 격벽(1)의 종단 부분에 연소 가스 유입구(2e)(2d)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1)의 중간 부분에서 고온 배연로(2)(2a)의 유출구(2n)와 저온 배연로(2b)의 배연구(2u)가 형성되어, 배연로(2)(2a)로 흐른 연소 가스가 유출구(2n) 및 배연구(2u)를 통하여 저온 배연로(2b) 배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Combustion gas inlets (2e) and (2d) are formed in the end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in the structure of the on-board internal flue gas (A) and the middle of the partition wall (1) In the portion, an exhaust port 2n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and a flue gas study 2u of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are formed, and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flue gas furnace 2 (2a) flows into the outlet port 2n. And a low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b) through the exhaust gas research (2u) exhaust gas structure of the ondol.
제 1 항에 있어서,
고온 배연로(2)(2a)의 유출구(2n) 상부 측에 배연 작용 조절용 2개의 조절블록(3)(3a)이 블록 좌(4)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n ondol flue gas furna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wo control blocks (3) (3a) for controlling flue gas action are provid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outlet (2n) of the high temperature flue gas furnace (2) (2a).
제 1 항에 있어서,
저온 배연로(2b)와 굴뚝 개자리(9)로 연결된 배연관(7)은 외부관(7a) 및 내부관(7b)이 스페이스 링(R)에 의해 외부 배연 통로(d1)와 내부 배연 통로(d2)가 형성된 이중관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exhaust pipe 7 connected to the low temperature flue gas passage 2b and the chimney seat 9 has an outer pipe 7a and an inner pipe 7b connected to the outer flue passage d1 and the inner flue passage by the space ring R. d2) ondol flue gas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 pipe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굴뚝 개자리(9)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굴뚝(8)은 외부관(8a)과 내부관(8b)이 스페이스 링(R)에 의해 외부 배연 통로(t1)와, 내부 배연 통로(t2)가 형성된 이중관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himney 8 installed vertically on the top of the chimney opening 9, the outer pipe 8a and the inner pipe 8b have an outer flue passage t1 and an inner flue passage t2 by the space ring R. Ondol flue gas furna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double pipe.
제 1 항에 있어서,
굴뚝(8)이 설치된 굴뚝 개자리(9)의 타 측면에 댐퍼(9d)로 조작되는 통기공(9a)이 형성되어, 저기압 시에 굴뚝(8)의 배기 작용을 촉진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의 배연로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ther side of the chimney opening 9 in which the chimney 8 is installed, the ventilation hole 9a which is operated by the damper 9d is formed, and it promotes the exhaust action of the chimney 8 at the time of low pressure. Flue gas furnace structure.
KR1020110105960A 2011-10-17 2011-10-17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KR101348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60A KR101348697B1 (en) 2011-10-17 2011-10-17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60A KR101348697B1 (en) 2011-10-17 2011-10-17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597A true KR20130041597A (en) 2013-04-25
KR101348697B1 KR101348697B1 (en) 2014-01-13

Family

ID=4844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60A KR101348697B1 (en) 2011-10-17 2011-10-17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432B1 (en) * 2013-03-07 2014-03-19 문재남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multi-layer structure
CN106440011A (en) * 2016-09-19 2017-02-22 江苏大学 Cold water heating device based on suspended ka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432B1 (en) * 2013-03-07 2014-03-19 문재남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multi-layer structure
CN106440011A (en) * 2016-09-19 2017-02-22 江苏大学 Cold water heating device based on suspended ka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697B1 (en) 201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802B1 (en)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101481086B1 (en) korean hypocaust improving efficiency of heating
KR101296409B1 (en) Horizontal Type Multipurpose Boiler
KR20120085443A (en) Firewood Boiler
KR101348697B1 (en)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KR101287693B1 (en) Hybrid Boiler
KR101257738B1 (en) Structure of heat-storing plate of ondol
KR101207959B1 (en) Firewood boiler for perfect combustion
BG2090U1 (en) Stove-pipe heat exchanger
RU126433U1 (en) BOILER HEATING WATER HEATING STEEL
KR101802155B1 (en) Removable Jangjilbang Ondol Structure
KR102182085B1 (en) Hypocaust heating apparatus
RU2241909C2 (en) Oven for bath house
KR101500537B1 (en) Boiler with Improved Structure
KR200330676Y1 (en) Stand type boiler
CN203286594U (en) Energy-saving heating boiler
WO2011152691A2 (en) Fireplace also having a boiler function
RU2460946C1 (en) Water heating temperature-controlled tank with coaxial energy-efficient flue pipe (versions)
KR20150056935A (en) Fire wood type hot blaster heater
KR101325663B1 (en) Combustion device for fire wood boiler
KR102337803B1 (en) Heating device having boiler and hypocaust
RU2277677C2 (en) Heating-digesting complex
KR102134556B1 (en) the heating system for a korean floor type heater bed
KR102463614B1 (en)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20140025872A (en) Fireplace with hot-water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