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481A -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481A
KR20130040481A KR1020110105281A KR20110105281A KR20130040481A KR 20130040481 A KR20130040481 A KR 20130040481A KR 1020110105281 A KR1020110105281 A KR 1020110105281A KR 20110105281 A KR20110105281 A KR 20110105281A KR 20130040481 A KR20130040481 A KR 20130040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weight
parts
mixture
scr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644B1 (ko
Inventor
백경화
Original Assignee
백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화 filed Critical 백경화
Priority to KR1020110105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6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8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를 용이하게 물과 함께 씻어 낼 수 있고, 피부의 건조를 방지하여 피부 노폐물을 탈리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할 수 있는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UGER-SCRUB FOR REMOVING NASTY SMELL STICKING ON SKIN OF HUMAN BODY ACCORDING TO MUGWORT CAUTERY}
본 발명은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를 용이하게 물과 함께 씻어 낼 수 있고, 피부의 건조를 방지하여 피부 노폐물을 탈리하고, 피부를 보습할 수 있으며, 혈액 순환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할 수 있는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목욕비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89-0010181호(공개일자 ; 1989년 08월 07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89-0010181호에 개시되어 있는 목욕비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목욕비누는 목욕용세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전체 세제액에 대하여 로거스트빈검 35 내지 40중량%을 50 내지 70℃의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아미노카프로산 0.8 내지 1.5중량%와 붕산 0.2 내지 0.6중량%을 첨가시켜 담밀상의 투명한 젤리형태의 결합제를 제조한 다음, 이와는 별도로 기포제인 라우릴유산소다 15 내지 20중량%를 60 내지 9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고삼(苦參) 15 내지 20중량%를 첨가하고 서서히 20 내지 40분간 교반한 후, 황백(黃柏) 15 내지 20중량%을 첨가시켜서 얻어진 혼합물을 쑥 5 내지 10중량% 및 정유 0.5 내지 2.0중량%와 함께 상기의 결합제에 단순합성시킨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조한 종래의 목욕비누는 로거스트빈검을 주원료로 하여서 액상의 점도를 높혀주고 나서 여기에 기포제를 첨가시켜 유리유산이 제거되도록
하고, 천연 살충제와 영양물질을 혼합시켜서 인체에 무해하도록 하며, 피부조직의 끈끈막도 보호해주고 세균층의 발육을 억제시키면서 찜질 및 뜸의 효과를 우수하게 나타낼 수는 있으나,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의 목욕비누를 사용하여 목욕해도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가 제거되지 않아 장시간 동안 인체에서 쑥뜸 냄새가 나서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를 물과 함께 용이하게 씻어 낼 수 있는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의 건조를 방지하여 피부 노폐물을 탈리하고, 피부를 보습할 수 있으며, 혈액 순환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할 수 있는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제조방법은 설탕 950 내지 1050중량부, 올리브오일 19.5 내지 26.5중량부, 호호바오일 25.5 내지 34.5중량부 및 천연방부제 0.6 내지 0.8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여하여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가 혼합된 제1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1 혼합물 혼합공정과; 상기 제1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1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레몬즙 85 내지 107중량부, 살구씨분말 42.5 내지 57.5중량부 및 레몬에센셜오일 0.6 내지 0.8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레몬즙/살구씨분말/레몬에센셜오일이 함유된 제2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2 혼합물 혼합공정과; 상기 제2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2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글리세린 17 내지 23중량부 및 히알루로산 17 내지 23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젤러틴 형상의 설탕 스크럽 조성물을 제조하는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과; 상기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을 특정 형상의 금형에 투입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여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성형하는 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과;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특정 형상의 성형물을 금형으로부터 인출하는 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과;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에서 인출된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그늘에서 5일 내지 8일 동안 방치하여 경화시키는 설탕 스크럽 성형물 경화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에 의하면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를 물과 함께 용이하게 씻어 낼 수 있고, 피부의 건조를 방지하여 피부 노폐을 탈리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 1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S는 스텝(Step) 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설탕 950중량부, 올리브오일 26.5중량부, 호호바오일 25.5중량부 및 천연방부제(자몽씨 추출물) 0.6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여하여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방부제가 혼합된 제1 혼합물을 혼합(제1 혼합물 제조공정 ; 스텝S1)하고, 상기 제1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1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레몬즙 85중량부, 살구씨분말 42.5중량부 및 레몬에센셜오일 0.6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레몬즙/살구씨분말/레몬에센셜오일이 함유된 제2 혼합물을 혼합(제2 혼합물 혼합공정 ; 스텝S2)하고, 상기 제2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2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글리세린 23중량부 및 히알루로산 17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젤러틴 형상(겔 상태; 반고체의 상태)의 설탕 스크럽 조성물(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 ; 스텝S3)을 제조하였다.
상기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을 특정 형상(예를 들면, 직륙면에, 원형, 단면이 타원형상체, 원형 봉형상체, 일정한 두께의 다각형 형상체 등)의 금형에 투입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여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성형(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 ; 스텝S4)하고,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인출(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 ; 스텝S5)한 다음에,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에서 인출된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그늘에서 5일 내지 8일 동안 방치하여 경화(설탕 스크럽 성형물 경화공정 ; 스텝S6)시켜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에 의해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설탕 1,000중량부, 올리브오일 23중량부, 호호바오일 30중량부 및 천연방부제(자몽씨 추출물) 0.7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여하여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가 혼합된 제1 혼합물을 혼합(제1 혼합물 혼합공정 : S1)하고, 상기 제1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1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레몬즙 100중량부, 살구씨분말 50중량부 및 레몬에센셜오일 0.7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레몬즙/살구씨분말/레몬에센셜오일이 함유된 제2 혼합물을 혼합(제2 혼합물 제조공정 ; S2)하고, 상기 제2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2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글리세린 20중량부 및 히알루로산 20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젤러틴 형상(겔 상태; 반고체의 상태)의 설탕 스크럽 조성물(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 ; S3)을 제조하였다.
상기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을 특정 형상(예를 들면, 직륙면에, 원형, 단면이 타원형상체, 원형 봉형상체, 일정한 두께의 다각형 형상체 등)의 금형에 투입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여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성형(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 ; S4)하고,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금형으로부터 인출(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 ; S5)한 다음에,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에서 인출된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그늘에서 5일 내지 8일 동안 방치하여 경화(설탕 스크럽 성형물 경화공정 ; S6)시켜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에 의해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설탕 1050중량부, 올리브오일 19.5중량부, 호호바오일 34.5중량부 및 천연방부제(자몽씨 추출물) 0.8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여하여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가 혼합된 제1 혼합물을 혼합(제1 혼합물 혼합공정 ; S1)하고, 상기 제1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1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레몬즙 107중량부, 살구씨분말 57.5중량부 및 레몬에센셜오일 0.8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레몬즙/살구씨분말/레몬에센셜오일이 함유된 제2 혼합물을 혼합(제2 혼합물 제조공정 ; S2)하고, 상기 제2 혼합물 제조공정에서 혼합된 제2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글리세린 17중량부 및 히알루로산 23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젤러틴 형상(겔 상태; 반고체의 상태)의 설탕 스크럽 조성물(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 ; S3)을 제조하였다.
상기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을 특정 형상(예를 들면, 직륙면에, 원형, 단면이 타원형상체, 원형 봉형상체, 일정한 두께의 다각형 형상체 등)의 금형에 투입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여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성형(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 ; S4정)하고,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교반기로부터 인출(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 ; S5)한 다음에,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에서 인출된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그늘에서 5일 내지 8일 동안 방치하여 경화(설탕 스크럽 성형물 경화공정 ; S6)시켜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에 의해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설탕 500중 올리브오일 23중량부, 호호바오일 30중량부 및 천연방부제(자몽씨 추출물) 0.7중량부 교반기에 투여하여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가 혼합된 제1 혼합물을 혼합(제1 혼합물 혼합공정)하고, 상기 제1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1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레몬즙 107중량부, 살구씨분말 57.5중량부 및 레몬에센셜오일 0.8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레몬즙/살구씨분말/레몬에센셜오일이 함유된 제2 혼합물을 혼합(제2 혼합물 제조공정)하고, 상기 제2 혼합물 제조공정에서 혼합된 제2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글리세린 17중량부 및 히알루로산 23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젤러틴 형상(겔 상태; 반고체의 상태)의 설탕 스크럽 조성물(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을 제조하였다.
상기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을 특정 형상(예를 들면, 직륙면에, 원형, 단면이 타원형상체, 원형 봉형상체, 일정한 두께의 다각형 형상체 등)의 금형에 투입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여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성형(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하고,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교반기로부터 인출(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한 다음에,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에서 인출된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그늘에서 5일 내지 8일 동안 방치하여 경화(설탕 스크럽 성형물 경화공정)시켜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에 의해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및 비교예에 있어서, 설탕은 백설탕 및 흑설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흑설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1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으로 쑥뜸을 받은 10명에게 인체를 물로 씻은 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인체에 비누와 같이 바르고 나서 3분 내지 5분 동안 인체의 피부를 문질러서 마사지하였다.
다음에, 인체를 물로 씻은 후에 실시예1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인체에 다시 바르고 나서 3분 내지 5분 동안 인체의 피부를 문질러서 마사지한 후에, 인체를 물로 씻은 후에 수건(타월)로 닦아낸 다음에,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가 나는지를 코로 맡아보았더니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되었던 쑥뜸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았다.
그 이유로서는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에 설탕, 올리브오일, 호호바오일, 천연방부제, 레몬즙, 살구씨분말, 레몬에센셜오일, 글리세린 및 히알루로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설탕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인체에 비누와 같이 바르고 문지를 때(마사지 시)에 인체의 피부에 있는 각질이 피부로부터 탈리되어 각질층에 스며든 쑥뜸 냄새가 각질과 함께 탈리되어 쑥뜸 냄새가 제거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에는 올리브오일을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를 매끄럽게하고, 호호바오일에 의해서 피부 노폐물을 제거하고, 보습력을 유지시키며, 가려움증의 유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호호바오일은 첨가된 식물성 성분(예를 들면, 레몬즙, 레몬에센셜오일 및 살구씨분말 등)의 변질을 자몽씨 추출물인 천연방부제와 함께 방지하는 작용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에 함유되어 있는 레몬즙은 pH가 2 내지 3인 강한 신맛을 내는 산성이므로, 인체에 부착된 고기 냄새 및 비린 냄새를 제거하는 작용을 하고, 살구씨분말은 면역력을 증가할 뿐만 아니라, 피부 노폐물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고, 레몬에센셜오일은 보습작용을 하고, 글리세린은 끈기 있는 점액으로서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고, 히알루로산은 보습작용을 한다.
실시예2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쑥뜸을 받은 10명에게 실시예1의 테스트에서와 같은 인체에 비누를 바르고 샤워(실시예1과 같이 2회)한 후에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가 나는지를 코로 맡아보았으나, 실시예1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쑥뜸을 받은 10명과 같이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가 나는지를 코로 맡아보았더니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되었던 쑥뜸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았다.
실시예3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쑥뜸을 받은 10명에게 실시예1의 테스트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인체에 바르고 샤워(실시예1과 같이 2회)한 후에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가 나는지를 코로 맡아보았으나, 실시예1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쑥뜸을 받은 10명과 같이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가 나는지를 코로 맡아보았더니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되었던 쑥뜸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았다.
그런데, 비교예에 의해 제조한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쑥뜸을 받은 10명에게 실시예1의 테스트와 같은 방법으로 인체에 바르고, 샤워(실시예1과 같이 2회)한 후에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가 나는지를 코로 맡아보았으나, 비교예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쑥뜸을 받은 10명과 같이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가 나는지를 코로 맡아보았더니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되었던 쑥뜸 냄새를 맡을 수 있었다.
그 이유로서는 비교예에 의해 제조한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에 함유된 설탕 성분이 소량(500중량부 이하)이어서 비교예에 의해 제조한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인체에 비누와 같이 바르고 문지를 때(마사지 시)에 인체의 피부에 있는 각질이 피부로부터 원활하게 탈리되지 않아 각질층에 스며든 쑥뜸의 냄새가 각질과 함께 탈리되지 않아 쑥뜸 냄새가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비교예에 의해 제조한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에 함유된 다른 성분, 다시 말하면 올리브오일, 호호바오일, 천연방부제, 레몬즙, 살구씨분말, 레몬에센셜오일, 글리세린 및 히알루로산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고 있으므로, 올리브오일에 의해 피부를 매끄럽게하고, 호호바오일에 의해서 피부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의 보습력을 유지시키며, 가려움증의 유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호호바오일은 첨가된 식물성 성분(예를 들면, 레몬즙, 레몬에센셜오일 및 살구씨분말 등)의 변질을 자몽씨 추출물인 천연방부제와 함께 방지하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3과 같은 특성은 가지고 있었다.
또한, 비교예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에 함유되어 있는 레몬즙은 pH가 2 내지 3인 강한 신맛을 내는 산성이므로, 인체에 부착된 고기 냄새 및 비린 냄새를 제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살구씨분말은 면역력을 증가할 뿐만 아니라, 피부 노폐물을 제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레몬에센셜오일은 보습특성을 가지고 있고, 글리세린은 끈기 있는 점액으로서 피부를 보호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히알루로산은 인체를 보습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설탕을 950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의해 제조한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본 발명의 설탕 스크럽)을 인체에 바르고 문지를 때(마사지 시)에 인체의 피부에 있는 각질이 피부로부터 탈리되지 않아 각질층에 스며든 쑥뜸 냄새가 각질과 함께 탈리되지 않아 쑥뜸 냄새를 제거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설탕을 1050중량부를 초과해서 함유하면 각질층에 스며든 쑥뜸 냄새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나, 다른 성분의 함량이 부족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올리브오일 19.5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를 매끄럽게 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올리브오일을 26.5중량부 초과해서 함유하면 피부를 매끄럽게 할 수는 있으나 다른 성분의 함량이 부족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호호바오일을 25.5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없고, 보습력을 유지할 수 없으며, 가려움증의 유발을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없고, 식물성 성분(레몬즙, 레몬에센셜오일 및 살구씨분말 등)을 변질시킬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호호바오일을 34.5중량부 초과해서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 노폐물을 제거하고, 보습력을 유지시키며, 가려움증의 유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식물성 성분(레몬즙, 레몬에센셜오일 및 살구씨분말 등)을 변질시킬 염려가 없으나, 다른 성분의 함량이 부족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천연방부제를 0.6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의해 제조한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이 변질될 염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고, 천연방부제를 0.8중량부 초과해서 함유하고 있으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의해 제조한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이 변질될 염려가 없으나,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함유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레몬즙을 85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인체에 부착된 고기 냄새 및 비린 냄새를 제거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레몬즙을 107중량부 초과해서 함유하고 있으면, 인체에 부착된 고기 냄새 및 비린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나, 다른 성분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살구씨분말을 42.5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 노폐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살구씨분말을 57.5중량부 초과하여 함유하고 있으면,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피부 노폐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는 있으나, 다른 성분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레몬에센셜오일을 0.68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를 보습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레몬에센셜오일을 0.8중량부 초과해서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를 용이하게 보습할 수는 있으나, 레몬에센셜오일을 과도하게 함유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글리세린을 17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를 보호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글리세린을 23중량부 초과하여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를 보호할 수는 있으나 다른 성분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히알루로산을 17중량부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를 보습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히알루로산을 23중량부 초과하여 함유하고 있으면, 피부를 보습할 수는 있으나 다른 성분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은 쑥뜸시에 인체에 부착된 쑥뜸 냄새를 용이하게 물과 함께 씻어 낼 수 있고, 피부의 건조를 방지하여 피부 노폐물을 탈리하고, 본 발명의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을 인체의 피부에 바르고 마사지한 후에 물로 있어내므로 혈액 순환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계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설탕 950 내지 1050중량부, 올리브오일 19.5 내지 26.5중량부, 호호바오일 25.5 내지 34.5중량부 및 천연방부제 0.6 내지 0.8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여하여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가 혼합된 제1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1 혼합물 혼합공정과;
    상기 제1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1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레몬즙 85 내지 107중량부, 살구씨분말 42.5 내지 57.5중량부 및 레몬에센셜오일 0.6 내지 0.8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설탕/올리브오일/호호바오일/천연방부제/레몬즙/살구씨분말/레몬에센셜오일이 함유된 제2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2 혼합물 혼합공정과;
    상기 제2 혼합물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제2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글리세린 17 내지 23중량부 및 히알루로산 17 내지 23중량부를 투여하면서 균등하게 섞이도록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젤러틴 형상의 설탕 스크럽 조성물을 제조하는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과;
    상기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젤러틴 형상 설탕 스크럽 조성물을 특정 형상의 금형에 투입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여 특정 형상의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성형하는 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과;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특정 형상의 성형물을 금형으로부터 인출하는 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과;
    상기 설탕 스크럽 성형물 인출공정에서 인출된 설탕 스크럽 성형물을 그늘에서 5일 내지 8일 동안 방치하여 경화시키는 설탕 스크럽 성형물 경화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방부제는 자몽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의 제조방법.

KR1020110105281A 2011-10-14 2011-10-14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KR101397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281A KR101397644B1 (ko) 2011-10-14 2011-10-14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281A KR101397644B1 (ko) 2011-10-14 2011-10-14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481A true KR20130040481A (ko) 2013-04-24
KR101397644B1 KR101397644B1 (ko) 2014-05-29

Family

ID=4844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281A KR101397644B1 (ko) 2011-10-14 2011-10-14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145A (ko) * 2017-08-22 2019-03-05 (주) 제이티 세정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566B1 (ko) 2017-06-23 2018-02-13 이국희 피부 마사지 겔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920A (ko) * 2004-08-16 2006-02-21 주식회사 태평양 설탕을 함유한 피부 스크럽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6985B1 (ko) * 2005-03-15 2012-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70022949A (ko) * 2005-08-22 2007-02-28 김기자 마사지용 스크럽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239792A (ja) 2007-03-27 2008-10-09 Shigeko Takahashi スクラブ剤配合石鹸組成物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145A (ko) * 2017-08-22 2019-03-05 (주) 제이티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644B1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7496325A (zh) 含牡丹精油、青瓜提取液和蜗牛原液的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827258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CN106580800A (zh) 琥珀面膜
CN107245394A (zh) 一种含有鹿油火麻油的多功能冷制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1311692B1 (ko) 아토피 피부 및 여드름 치료용 비누와 이의 제조방법
CN102266280B (zh) 精制鹿油在制备保湿化妆品中的应用
CN108158885A (zh) 修复妊娠纹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15975A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2611063B1 (ko) 마사지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7644B1 (ko)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CN108542851A (zh) 一种中药保湿防皲裂护手霜及其制备方法
CN104887602A (zh) 茉莉洗头洗面液
CN106377449A (zh) 亚麻籽油锁水紧致面膜及其制备工艺
CN106221974A (zh) 一种抗菌美肤温和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7412019A (zh) 淡化妊娠纹的乳木果复合马油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06237398A (zh) 一种含鸸鹋油亲肤保湿舒适型避孕套
KR101643241B1 (ko) 피부 민감용 천연비누 조성물
KR20160071756A (ko)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KR20210006713A (ko) 단단함이 향상된 고체샴푸의 제조방법
RU2211024C1 (ru) Способ ухода за сухой кожей
KR20150049801A (ko)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H22882U (th) สบู่สครับผงเห็ดฟิลินัส ลินเทียส
TH22882A3 (th) สบู่สครับผงเห็ดฟิลินัส ลินเทียส
RU2277430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тонизирующим, омолаживающим действием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