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387A -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387A
KR20130039387A KR1020110103898A KR20110103898A KR20130039387A KR 20130039387 A KR20130039387 A KR 20130039387A KR 1020110103898 A KR1020110103898 A KR 1020110103898A KR 20110103898 A KR20110103898 A KR 20110103898A KR 20130039387 A KR20130039387 A KR 20130039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information
mobile terminal
sequenc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983B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11010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9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바인딩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는 시퀀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바인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BI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SERVICE BETWEEN DEVIC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매체들 간의 다양한 서비스 연계를 위하여 특정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폰(smart phone)이 급속도로 보급됨으로 인해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tablet) PC, 스마트 TV 등과 같은 각종 매체들과 스마트 폰 간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의 일 예로 현재, 스마트 TV와 스마트 폰 간의 바인딩(binding)을 통하여 스마트 폰을 스마트 TV의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매체간의 바인딩을 위해서 기존에는 서버가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바인딩을 위한 인증 번호 등을 수신하여 스마트 TV와의 바인딩을 수행해왔다. 따라서,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유출되는 등 보안 문제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 폰에 사용자 정보나 인증 번호 등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1150호(공개일 2011년 06월 09일) "단말의 외부 기기 연동 방법"에는 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는 외부 기기들을 검색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고, 상기 외부 기기들 중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외부 기기와 동기를 맞추고, 상기 외부 기기에게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통해 단말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 또한 외부 기기를 검색하여 연동할 기기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과정이 필요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 기가 검색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가 검색되었다 하더라도 검색된 외부 기기 중 연동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단말을 바인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바인딩을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사용자 정보 또는 인증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매체들을 바인딩할 수 있는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매체들을 바인딩할 수 있는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바인딩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는 시퀀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바인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인딩 정보는 기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퀀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시퀀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바인딩되는 모바일 단말은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바인딩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바인딩 서버로 전송되는 시퀀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한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바인딩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간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바인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한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바인딩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방법은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는 시퀀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와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는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두 장치를 바인딩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사용자 정보 또는 인증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매체들을 바인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를 촬영하거나 상기 바인딩 정보를 따라서 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재미있게 사용자가 원하는 매체들을 바인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는 참조하면,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 및 모바일 단말(120) 간에 다양한 서비스가 바인딩 서버(130)를 통하여 연계됨이 도시되어 있다.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는 모바일 단말(120)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바인딩 서버(130)로 상기 바인딩 정보를 전송한다. 일 예로,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는 바인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PMP(Plasma Display Panel) 등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PC, 스마트 TV 등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바인딩 정보를 표시하고 바인딩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는 복수개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 중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20)과 바인딩시키고자 선택한 장치로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만이 도시되어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에서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에 기초하여 시퀀스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시퀀스 정보를 바인딩 서버(130)로 전송한다. 일 예로, 모바일 단말(120)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시퀀스 정보는 모바일 단말(120)에 구비된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감지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모바일 단말(12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모바일 단말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소정의 센서(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가 자이로 센서인 경우, 사용자가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움직이면 상기 자이로 센서가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에 따른 시퀀스를 감지함으로써 시퀀스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바인딩 서버(130)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로부터 바인딩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시퀀스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와 모바일 단말(120)을 바인딩한다.
여기서, 바인딩 정보는 기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움직이는 오브젝트는 사용자가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움직이는 공, 두더지 게임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딩 정보로서 움직이는 공이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에서 표시되는 경우, 상기 공은 도 1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의 디스플레이(115)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시퀀스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20)을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와 바인딩하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20)의 디스플레이(125) 상에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에서 표시되는 공의 시퀀스를 입력하면, 모바일 단말(120)은 입력된 시퀀스에 따라 시퀀스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바인딩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후, 바인딩 서버(130)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바인딩 정보의 시퀀스와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와 모바일 단말(120)로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두 장치가 서로 바인딩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때, 시퀀스 정보는 모바일 단말(12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20)에 구비된 카메라로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110)에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를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공의 움직임에 따른 시퀀스를 입력함으로써, 모바일 단말(120)에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시퀀스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12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115) 상에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를 촬영함으로써 동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바인딩 정보에서 자동으로 공의 움직임에 따른 시퀀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퀀스 정보를 바인딩 서버(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생성된 동영상을 바인딩 서버(130)로 직접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를 바인딩 서버(230)로 전송하고, 바인딩 서버(230)로부터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한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220)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22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로그램은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에서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시퀀스 정보를 바인딩 서버(230)로 전송하는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에서 바인딩 서버(230)로 전송되는 바인딩 정보와 모바일 단말(220)에서 바인딩 서버(230)로 전송되는 시퀀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한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바인딩 서버(230)로부터 수신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20)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정전식 또는 감압식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메모리에 설치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바인딩 서버(230)는 정보 수신부(232), 바인딩부(234), 바인딩 알림 메시지 생성부(236) 및 바인딩 알림 메시지 전송부(238)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32)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로부터 모바일 단말(220)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수신하는 한편, 모바일 단말(220)로부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에서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220)에 입력되는 시퀀스 정보를 수신한다.
바인딩부(234)는 정보 수신부(232)에서 수신한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이들이 다양한 서비스 연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220)을 바인딩한다.
예를 들어, 바인딩부(234)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바인딩 정보에서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른 시퀀스를 추출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220)로부터 수신한 시퀀스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220)로부터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동영상 파일이 전송되는 경우 해당 동영상 파일에서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른 시퀀스를 추출하여 바인딩 정보에서 추출된 시퀀스와의 매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가 바인딩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바인딩 서버(230)로 전송하도록 구현되고, 모바일 단말(220)이 바인딩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현된 경우에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22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파일들의 비교를 통하여 바인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바인딩 알림 메시지 생성부(236)는 바인딩부(234)로부터 해당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220)이 바인딩되는 경우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이들이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바인딩 알림 메시지 전송부(238)는 바인딩 알림 메시지 생성부(236)에서 생성된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해당하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 및 모바일 단말(22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바인딩 서버(230)로 전송되는 바인딩 정보는 도 1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오브젝트(예를 들어, 공, 동물 등)가 사용자가 따라 하기 쉬운 시퀀스로 움직이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바인딩 서버로(230)로 전송되는 시퀀스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퀀스에 대한 정보이거나 모바일 단말(220)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모바일 단말(22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오브젝트의 시퀀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220)이 바인딩 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220)은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의 제어를 위한 입력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모바일 단말(22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210)가 스마트 TV인 경우 스마트 TV에 바인딩된 모바일 단말(220)은 스마트 TV의 리모콘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바인딩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기 위하여 먼저, 해당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수신한다(S310).
이후, 사용자가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른 시퀀스를 모바일 단말에 입력하거나,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바인딩 정보를 비추고 이 때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따라하면,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시퀀스에 따라 시퀀스 정보를 생성하여 바인딩 서버로 전송한다(S320).
바인딩 서버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바인딩 정보수신하고 모바일 단말로부터 시퀀스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을 비교하여 매치 여부를 판단하고(S330), 매치되는 경우 해당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해당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함으로써(S340) 다양한 서비스가 두 장치들 간에 연계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 장치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바인딩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보안이 확보된다.
또한, 공과 같은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따라 하는 것으로 인한 게임과 같은 요소로 인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재미 요소를 제공할 수 있고, 간편한 바인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바인딩 서버에 의해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바인딩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가 직접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시퀀스 정보를 수신하여 바인딩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바인딩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과 바인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
115: 바인딩 정보
120: 모바일 단말
125: 시퀀스 정보
130: 바인딩 서버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는 시퀀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바인딩부
    를 포함하는, 바인딩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입력되는, 바인딩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는,
    기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인, 바인딩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퀀스에 대한 정보인, 바인딩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시퀀스에 대한 정보인, 바인딩 서버.
  6.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바인딩되는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바인딩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바인딩 서버로 전송되는 시퀀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한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바인딩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코드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입력되는 상기 시퀀스 정보를 상기 바인딩 서버로 전송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는,
    기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인, 모바일 단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퀀스에 대한 정보인, 모바일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영상 정보를 입력 받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 받은 영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브젝트의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바인딩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11.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간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바인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한 바인딩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바인딩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바인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바인딩 서버로 전송되는,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는,
    기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인,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퀀스에 대한 정보인,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시퀀스에 대한 정보인,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
  16.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과의 바인딩을 위한 바인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는 시퀀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와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치되는 경우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바인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인딩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바인딩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는, 바인딩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는,
    기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인, 바인딩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퀀스에 대한 정보인, 바인딩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시퀀스에 대한 정보인, 바인딩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기재에 따른 바인딩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103898A 2011-10-12 2011-10-12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 KR101798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98A KR101798983B1 (ko) 2011-10-12 2011-10-12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98A KR101798983B1 (ko) 2011-10-12 2011-10-12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87A true KR20130039387A (ko) 2013-04-22
KR101798983B1 KR101798983B1 (ko) 2017-11-20

Family

ID=4843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898A KR101798983B1 (ko) 2011-10-12 2011-10-12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8946A (zh) * 2018-09-20 2018-12-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基于移动通讯模块的设备与终端的绑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5295A (ja) * 2004-03-26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る携帯端末並びにサーバ
EP1968320B1 (en) * 2007-02-27 2018-07-18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Video call device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8946A (zh) * 2018-09-20 2018-12-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基于移动通讯模块的设备与终端的绑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983B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5364B2 (en) Switching display modes based on connection state
US102988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media capture
KR101465906B1 (ko)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888033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7125834B2 (ja) 画像取得方法および装置
EP30709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device
US20120058801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ing activ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mode
KR20130107274A (ko)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555390B (zh) 控制電子設備的方法與電子裝置
US201803415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application
KR20140095092A (ko)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0497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페어링 방법
US20140188387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trieving views extending a user's line of sight
US20150326705A1 (en) Mobile Device Data Transfer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202001251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isplay mod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1210280A (zh) 内容项的转化情况追踪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介质
JP2018505454A (ja) エアーマウスリモコンの最適化方法、装置およびエアーマウスリモコン
KR10220804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798983B1 (ko)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
JP6293975B2 (ja) 使用履歴を表示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1159668B2 (en)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323542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service therefor
US11763023B2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8500612A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1101318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이체 서비스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