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200A -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200A
KR20130039200A KR1020110103711A KR20110103711A KR20130039200A KR 20130039200 A KR20130039200 A KR 20130039200A KR 1020110103711 A KR1020110103711 A KR 1020110103711A KR 20110103711 A KR20110103711 A KR 20110103711A KR 20130039200 A KR20130039200 A KR 20130039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ight emitting
unit
ligh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808B1 (ko
Inventor
히로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808B1/ko
Priority to US13/561,405 priority patent/US9168865B2/en
Priority to DE102012214108.1A priority patent/DE102012214108B4/de
Priority to CN2012102927022A priority patent/CN103047593A/zh
Publication of KR2013003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60Q3/745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using lighting panels or mats, e.g. electro-luminescent panels, LED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21Y2105/16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square or rectangular, e.g. for ligh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EL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천정에 매트릭스형태로 구비한 유기 EL 발광부; 상기 유기 EL 발광부에 구비한 유기 EL 터치부; 상기 유기 EL 터치부를 터치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유기 EL 검출부; 상기 유기 EL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통해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판정하는 유기 EL 판정부; 및 상기 유기 EL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발광시키는 유기 EL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Organic EL light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타입의 유기 EL 패널을 이용하여 조명 영역과 배광 강약을 조절하는 유기 EL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의 중앙에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룸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룸 램프는 헤드라이닝에 고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하는 통상 2개의 전구와, 상기 전구를 덮는 렌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룸 램프는 전구가 발광하였을 때 그 빛이 실내 전체에 분산되면서 조명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룸 램프는 헤드라이닝 중앙에 고정되어 있어 실내의 한정된 장소만을 집중적으로 조명되기 때문에, 램프를 따라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더욱이 배광의 강약 조절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기 EL 소자들로 이루어진 유기 EL 발광부를 이용하여 조명 영역과 배광 강약을 조절하는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유기 EL 라이트 장치는 자동차의 천정에 매트릭스형태로 구비한 유기 EL 발광부; 상기 유기 EL 발광부의 일면에 구비한 유기 EL 터치부; 상기 유기 EL 터치부를 터치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유기 EL 검출부; 상기 유기 EL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통해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판정하는 유기 EL 판정부; 및 상기 유기 EL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발광시키는 유기 EL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천정에 유기 EL 라이트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명 영역 및 배광 강약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자동차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의 제1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의 제2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의 제3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라이트 장치는 자동차의 천정에 매트릭스형태로 구비한 유기 EL 발광부; 상기 유기 EL 발광부에 구비한 유기 EL 터치부; 상기 유기 EL 터치부를 터치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유기 EL 검출부; 상기 유기 EL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통해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판정하는 유기 EL 판정부; 및 상기 유기 EL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발광시키는 유기 EL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라이트 장치는 자동차의 천정에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 유기 EL 발광부; 자동차의 실내 일측에 구비하고, 유기 EL 발광부를 터치하는 위치를 촬영하는 유기 EL 촬영부; 상기 유기 EL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유기 EL 발광부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유기 EL 검출부; 상기 유기 EL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통해 발광 영역을 판정하는 유기 EL 판정부; 및 상기 유기 EL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발광 영역을 발광시키는 유기 EL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 EL 터치부 또는 유기 EL 발광부의 일면에는 투명한 보호시트를 구비한다.
상기 유기 EL 발광부는 복수개의 유기 EL 소자가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유기EL소자는 청색 EL 소자, 적색 EL 소자, 녹색 EL 소자, 황색 EL 소자 등 임의의 색을 발광하는 EL 소자 중 하나의 EL 소자로 구성되어 단색 광원을 형성하거나, 둘 이상의 EL 소자로 구성되어 다색 광원을 형성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라이트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천정(10)에 필름 형태로 배치된 유기 EL 발광부(110)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터치하면서 구획된 발광 영역을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명 영역 및 배광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라이트 장치(100)는 자동차의 천정(10)에 매트릭스형태로 구비한 유기 EL 발광부(110), 상기 유기 EL 발광부(110)의 일면에 구비한 유기 EL 터치부(120), 상기 유기 EL 터치부(120)를 터치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유기 EL 검출부(130), 상기 유기 EL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통해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을 판정하는 유기 EL 판정부(140), 및 상기 유기 EL 판정부(140)에 의해 판정된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을 발광시키는 유기 EL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발광부(110)는 복수개의 유기 EL소자(111)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유기 EL 패널을 형성하며, 상기 유기 EL 패널은 자동차의 천정(10)의 곡면 형태에 맞추어 설치하기 위해 굽힐 수 있는 필름 타입으로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유기 EL 소자는 청색 EL 소자, 적색 EL 소자, 녹색 EL 소자, 황색 EL 소자 등 임의의 색을 발광하는 EL 소자 중 하나의 EL 소자로 구성되어 단색 광원을 형성하거나, 둘 이상의 EL 소자로 구성되어 다색 광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조명 색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 EL소자(111)들로 이루어진 유기 EL 발광부(110)는 백라이트(backlight)를 요하지 않는 자가발광표시장치라고도 말하며, 이러한 유기 EL 발광을 이루는 각각의 유기EL소자는 병렬로 배치된 기생커패시터를 구비하며, 이 기생커패시터는 유기 EL소자(111)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하여 매우 큰 기생용량을 가진다.
즉, 선택된 각각의 유기 EL 소자들에 구동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터치부(120)는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으로, 유기 EL 발광부(110)의 저면에 형성하고, 터치 패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기 EL 검출부(130)는 유기 EL 터치부(120)의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즉, 상기 유기 EL 검출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도구가 접촉하는 유기 EL 터치부(120)의 시작점에서부터 끝점까지의 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판정부(140)는 유기 EL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터치 위치를 판정하여 발광 영역을 구획한다. 즉, 유기 EL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터치 위치의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연결되는 영역을 바탕으로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을 판정한다.
여기서 유기 EL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터치 위치의 시작점과 끝점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 터치 위치의 시작점과 끝점을 최소거리로 연결되게 발광 영역을 판정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구동부(150)는 유기 EL 판정부(140)로부터 판정된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에 위치한 EL 소자에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발광시킨다.
한편, 상기 유기 EL 터치부(120)의 표면에는 유기 EL 터치부(120) 및 유기 EL 발광부(110)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시트(160)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시트(160)를 통해 유기 EL 터치부(120) 및 유기 EL 발광부(110)의 사용주기를 크게 연장시킨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의 점등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탑승자는 유기 EL 터치부(120)에 손가락 또는 도구를 접촉시킨 상태로 형상을 그린다(도 2의 (a)).
그러면, 상기 유기 EL 터치부(120)에 접촉한 손가락 또는 도구에 의해 그려진 형상의 위치를 유기 EL 검출부(130)가 검출하여 유기 EL 판정부(140)에 전달하고, 유기 EL 판정부(140)는 그려진 형상이 닫혀진 형태가 되도록 보정하여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을 판정한다.
이와 같이 유기 EL 판정부(140)에 의해 발광 영역이 판정되면, 유기 EL 구동부(150)는 판정된 발광 영역 내의 EL 소자들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발광시킨다(도 2의 (b)).
이때,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이 맞지 않을 경우, 탑승자는 손가락 또는 도구로 발광 영역 내의 유기 EL 터치부(120)를 접촉한 상태로 이동시키며(도 2의 (c)), 이에 유기 EL 검출부(130)는 변경된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유기 EL 판정부(140)로 전달하고, 유기 EL 판정부(140)는 변경된 터치 위치 내의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을 다시 판정한다.
다음으로, 유기 EL 판정부(130)에 의해 발광 영역이 판정되면, 유기 EL 구동부(140)는 판정된 발광 영역 내의 EL 소자들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발광시킴으로써 발광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도 2의 (d)).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 터치부(120)의 영역을 확대하여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을 증대시키거나 배광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 내의 유기 EL 터치부(120)에 손가락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선을 그리면, 그려진 선을 중심으로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이 분할되면서 2개의 점등 영역으로 바뀐다.
한편,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 내의 유기 EL 터치부(120)에 손가락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다수의 선을 지그재그로 그리면, 그려진 선을 중심으로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 영역이 다수개로 분할되면서 다수개의 점등 영역으로 바뀌며, 이 다수의 점등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이동시켜 발광시킬 수 있다.
한편, 유기 EL 터치부(120)의 발광 영역을 다시 클릭하면, 발광 영역이 제거되면서 EL 소자로 공급된 구동전류가 차단되고, 이에 유기 EL 발광부(110)의 발광이 사라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천정(10)에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 유기 EL 발광부(110'), 자동차의 실내 일측에 구비하고 유기 EL 발광부(110')를 터치하는 위치를 촬영하는 유기 EL 촬영부(170), 상기 유기 EL 촬영부(170)에 의해 촬영된 유기 EL 발광부(110')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유기 EL 검출부(130'), 상기 유기 EL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통해 발광 영역을 판정하는 유기 EL 판정부(140') 및 상기 유기 EL 판정부(140')에 의해 판정된 발광 영역을 발광시키는 유기 EL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 EL 발광부(110'), 유기 EL 검출부(130'), 유기 EL 판정부(140'), 유기 EL 구동부(150')는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상기 유기 EL 발광부(110), 유기 EL 검출부(130), 유기 EL 판정부(140), 유기 EL 구동부(150)의 구성과 유사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촬영부(170)는 유기 EL 발광부(110')를 터치하는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유기 EL 발광부(110')를 접촉하는 위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유기 EL 검출부(130')로 전달한다.
따라서 유기 EL 검출부(130')는 유기 EL 촬영부(170)가 촬영한 유기 EL 발광부(110')의 위치 결과를 바탕으로 접촉영역을 검출한 후 유기 EL 판정부(140')에 전달하고, 상기 유기 EL 판정부(140')는 접촉영역이 바탕으로 발광 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유기 EL 구동부(150')는 유기 EL 판정부(140')에 의해 판정된 발광 영역 내의 EL 소자들에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발광시킨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유기 EL 라이트 장치 110: 유기 EL 발광부
120: 유기 EL 터치부 130: 유기 EL 검출부
140: 유기 EL 판정부 150: 유기 EL 구동부
160: 보호시트 170: 유기 EL 촬영부

Claims (5)

  1. 자동차의 천정에 매트릭스형태로 구비한 유기 EL 발광부;
    상기 유기 EL 발광부에 구비한 유기 EL 터치부;
    상기 유기 EL 터치부를 터치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유기 EL 검출부;
    상기 유기 EL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통해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판정하는 유기 EL 판정부; 및
    상기 유기 EL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유기 EL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발광시키는 유기 EL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2. 자동차의 천정에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 유기 EL 발광부;
    자동차의 실내 일측에 구비하고, 유기 EL 발광부를 터치하는 위치를 촬영하는 유기 EL 촬영부;
    상기 유기 EL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유기 EL 발광부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유기 EL 검출부;
    상기 유기 EL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통해 발광 영역을 판정하는 유기 EL 판정부; 및
    상기 유기 EL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발광 영역을 발광시키는 유기 EL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터치부 또는 유기 EL 발광부의 일면에는 투명한 보호시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발광부는 복수개의 유기 EL 소자가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되는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기EL소자는 청색 EL 소자, 적색 EL 소자, 녹색 EL 소자, 황색 EL 소자 등 임의의 색을 발광하는 EL 소자 중 하나의 EL 소자로 구성되어 단색 광원을 형성하거나, 둘 이상의 EL 소자로 구성되어 다색 광원을 형성하는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KR1020110103711A 2011-10-11 2011-10-11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KR101305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11A KR101305808B1 (ko) 2011-10-11 2011-10-11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US13/561,405 US9168865B2 (en) 2011-10-11 2012-07-30 Organic electro-luminescence lighting device for vehicle
DE102012214108.1A DE102012214108B4 (de) 2011-10-11 2012-08-08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12102927022A CN103047593A (zh) 2011-10-11 2012-08-16 车辆用有机电致发光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11A KR101305808B1 (ko) 2011-10-11 2011-10-11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200A true KR20130039200A (ko) 2013-04-19
KR101305808B1 KR101305808B1 (ko) 2013-09-06

Family

ID=4790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711A KR101305808B1 (ko) 2011-10-11 2011-10-11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68865B2 (ko)
KR (1) KR101305808B1 (ko)
CN (1) CN103047593A (ko)
DE (1) DE10201221410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0484A1 (fr) * 2013-09-09 2015-03-13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US9884586B2 (en) 2014-03-28 2018-02-06 Pioneer Corporation Vehicle lighting device
DE102014009595B4 (de) 2014-06-27 2016-10-20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leuchtungsvorrichtung ein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011095B4 (de) * 2014-07-25 2017-02-16 Audi Ag Betätigung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DE102014215329A1 (de) * 2014-08-04 2016-02-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mbientelichteinheit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Ambientelichtes in einem Fahrzeug
US20170113602A1 (en) * 2015-10-23 2017-04-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exterior badge
FR3049078B1 (fr) * 2016-03-21 2019-11-29 Valeo Vision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a reconnaissance vocale et/ou gestuelle pour l'eclairage interieur d'un vehicule
DE102016108262A1 (de) * 2016-05-04 2017-11-09 Osram Oled Gmbh Lichtemittierende baugrupp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ichtemittierenden baugruppe
JP6526611B2 (ja) * 2016-10-07 2019-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室内照明装置
DE102017215128A1 (de) * 2017-08-30 2019-02-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leuchtungssystem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JP6707591B2 (ja) * 2018-08-21 2020-06-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照明制御装置及び、車載用照明装置
DE102021211193A1 (de) 2021-10-05 2023-04-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euervorrichtung für einen Formhimmel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41764A1 (en) * 2000-02-26 2001-09-03 Federal Mogul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KR101035253B1 (ko) 2003-02-14 2011-05-19 넥스트 홀딩즈 리미티드 터치 스크린 신호 처리
KR20050117350A (ko) * 2004-06-10 2005-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무드 램프
US7750352B2 (en) * 2004-08-10 2010-07-06 Pinion Technologies, Inc. Light strips for lighting and backlighting applications
US7445350B2 (en) * 2005-08-22 2008-11-04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Interior/exterior component with electroluminescent lighting and soft touch switching
US20070068786A1 (en) * 2005-09-21 2007-03-29 Lear Corporation Touch pad having integrated lighting feature and touch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7264200A (ja) * 2006-03-28 2007-10-11 Denso Corp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RU2010129931A (ru) 2007-12-17 2012-01-2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Nl) Зеркало для лич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освещением, зависящим от полож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CN201331749Y (zh) * 2008-08-29 2009-10-21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颜色和大小识别功能的触摸装置
KR20100058314A (ko) 2008-11-24 2010-06-03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KR20100012916U (ko) 2009-06-19 2010-12-29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자동차용 선루프
TW201108861A (en) * 2009-07-15 2011-03-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uminaire with touch pattern control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8865B2 (en) 2015-10-27
US20130088147A1 (en) 2013-04-11
CN103047593A (zh) 2013-04-17
KR101305808B1 (ko) 2013-09-06
DE102012214108A1 (de) 2013-04-11
DE102012214108B4 (de)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808B1 (ko)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US11850998B2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ground illumination and icon projection module
US9302616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with multizone proximity control
RU2682103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многоз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на основе приближения
US11231157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US9380679B2 (en) Luminaire with touch pattern control interface
JP2019031286A5 (ko)
RU2674741C2 (ru) Лампа для чт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настройкой света низкой интенсивност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лампой
JP6865396B2 (ja) 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移動体
US9440599B2 (en) Arrangem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US20120020099A1 (en) Side-view mirror assembly with selectively illuminating portion
US9371034B2 (en) Lighting device
US20190323674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lighting tool for vehicle, window panel attached with lighting tool for vehicle, and on-vehicle display
JP2012044122A (ja) 照明装置
US10822015B2 (en) Steering switch device
JP2013541425A (ja) 運転状態警告灯を有する生産機械
KR200459778Y1 (ko) 자동차 콘솔용 스위칭 장치
KR200195904Y1 (ko) 신호등 장치
JP6062965B2 (ja) 発光システム
KR20100070758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콘트롤러 심볼 조명장치
KR20000016406U (ko) 신호등 장치
KR20150000086U (ko) 터치방식의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
KR20150086584A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횡단보도
JP2012046016A (ja) タイヤ側部の標章照明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