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314A -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314A
KR20100058314A KR1020080117070A KR20080117070A KR20100058314A KR 20100058314 A KR20100058314 A KR 20100058314A KR 1020080117070 A KR1020080117070 A KR 1020080117070A KR 20080117070 A KR20080117070 A KR 20080117070A KR 20100058314 A KR20100058314 A KR 20100058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panel
toled
imag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호
임우빈
Original Assignee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8314A/ko
Publication of KR2010005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OLED(투명한 OLED)를 적용하여 슬림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가 해당 키패드에 투과되어 표시될 수 있는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키패드 정보가 패터닝되며, 발광된 픽셀에 대응하는 상기 키패드 정보를 표시하는 TOLED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 및 상기 TOLED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상기 TOLED 패널의 해당 픽셀을 발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TOLED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는 이미지삽입부를 포함하는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OLED, 터치 패널, 이미지, 키패드, 모바일 기기

Description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KEYPAD APPARATUS,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AND KEYPA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OLED(투명한 OLED)를 적용하여 슬림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정보가 해당 키패드에 투과되어 표시될 수 있는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각종 정보 검색은 물론, 송수신 혹은 문자 입력에 필요한 키패드(Keypad)가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키패드는 회로 패턴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PCB)의 상면에 베이스 시트를 접착하고 여기에 돔 스위치와 백라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LED 램프를 설치한 다음, 이들 상면에 다시 한글의 자음 모음, 영문 알파벳, 숫자 등이 인쇄된 상면 시트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키패드는 구조적인 특성상 두께를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키패드를 구성하는 PCB의 경우 최소의 두께가 있어야만 회로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돔 스위치 또한 일정 높이를 유지하여야 누름 후 복원이 가능하며, 여기에 LED 램프의 두께가 더해져 키패드 전체의 두께는 항상 일정 이상의 두께로 유지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키패드 구조를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 휴대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두께 및 사이즈 등이 커지게 되므로 슬림(slim)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키패드는 단순히 키 조작을 할 수 있는 키패드 정보만이 표시되도록 구현되어 있어, 개성 있는 키패드를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OLED(투명한 OLED)를 적용하여 제품의 구조를 슬림(slim)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가 해당 키패드 정보와 더불어 이미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키패드 장치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키패드 장치의 제어 방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키패드 정보가 패터닝되며, 발광된 픽셀에 대응하는 상기 키패드 정보를 표시하는 TOLED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 및 상기 TOLED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상기 TOLED 패널의 해당 픽셀을 발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TOLED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를 삽입할 수 있는 이미지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키패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터치 패널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패널의 전기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키패드 정보가 패터닝된 TOLED 패널의 해당 픽셀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해당 픽셀을 발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TOLED 패널의 발광된 픽셀에 대응하여 이미지삽입부에 삽입된 이미지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TOLED(투명한 OLED)를 키패드에 적용함으로써, 휴대폰, PMP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제품의 구조를 슬림(slim)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이미지를 키패드 정보와 동시에 표시되도록 구현함으로써, 개성 있는 키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면서 자신만의 키패드를 갖게 하여 구매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는 터치 패널(10), TOLED 패널(20), 이미지삽입부(30) 및 제어부(40) 등을 구비한다.
터치 패널(Touch Panel)(10)은 펜이나 손에 의해 검광자가 눌러지고, 그 힘 으로 도전 필름이 눌려져 X-Y 전극패턴과 접촉됨에 의해, X-Y 전극패턴의 전압 차를 검출하는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터치 포인트에 대한 시그널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터치 패널(10)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세부적인 구성 등은 생략한다.
터치 패널(10)은 후술할 TOLED 패널(20)의 구동 IC(20a) 및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40)를 거쳐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TOLED 패널(20)의 해당 픽셀의 전극을 구동한다.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20)은 ITO 투명 양전극 상에 정공수송층, 발광 및 전자수송층을 코팅한 후, 투명 음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Mg:Ag(조성비 5:95)를 100 Å 이내로 얇게 코팅한 다음 음전극 상에 전도도 보상, 보호층 역할 및 투명도 유지를 위한 ITO 막을 코팅하여 제조하는 투명한 OLED 패널이다. 상기와 같은 TOLED 패널(20)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세부적인 구성 등은 생략한다.
TOLED 패널(20)은 터치 패널(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터치 패널(10)의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픽셀이 발광된다.
TOLED 패널(20)에는 제어부(40)와 연결되는 구동 IC(20a)가 실장된다.
TOLED 패널(20)은 터치 패널(10)의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픽셀이 발광되고, 발광된 픽셀에 대응하는 키패드 정보가 표시 되도록 키패드 패턴(21)이 패터닝 될 수 있다.
여기서, 키패드 패턴(21)은 예를 들어,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키패드 정보는 한글의 자음 모음, 영문 알파벳, 숫자, 특수 문자 등을 포함하며, TOLED 패널(20)에 각각의 영역들이 구획되어 패터닝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터치 패널(10) 및 TOLED 패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터치 패널(10)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TOLED 패널(20)의 해당 픽셀을 발광시키도록 TOLED 패널(20)의 구동 IC(20a)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미지삽입부(30)는 TOLED 패널(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31)를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30a)이 형성되며, 안착홈(30a)에 안착된 이미지(31)는 TOLED 패널(20)의 발광에 의해 이미지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이미지삽입부(30)의 이미지(31)는 사용자가 임의의 이미지(31)를 부착 또는 편집하여 구비되고, 키패드 패턴(21)의 구획된 위치와 대응하게 적어도 하나의 다양한 이미지(31)를 구비되도록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미지삽입부(30)의 이미지(31)는 키패드 패턴(21)과 대응되게 구획어 위치되지 않고, 전체적인 하나의 이미지(31)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이미지삽입부(30)의 이미지(31)는 사진(인물 및 풍경 등), 캐릭터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 중 이미지를 탈착할 수 있 도록 형성된 모바일 기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50)는 도 2에 도시된 키패드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본체부(51)가 구비된다.
또한, 모바일 기기(50)의 본체부(51)에는 키패드 장치 중 이미지삽입부(30)가 위치되는 본체부(51)의 측면에 이미지삽입부(30)와 대응되는 크기의 이미지삽입구(51a)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이미지삽입구(51a)는 이미지(31)를 탈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미지(31)를 본체부(51)에서 보다 쉽게 탈거하기 위해 이미지(31)의 일측 단부에 탈거손잡이편(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고, 기 공지된 탄성력에 의한 록킹 방식을 적용하여 이미지(31)를 본체부(51)에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키패드 정보가 패터닝된 TOLED 패널(20) 및 사용자의 원하는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안착할 수 있는 이미지삽입부(30)를 키패드에 적용함으로써, 휴대폰, PMP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제품의 구조를 슬림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성있는 키패드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배가 시킬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터치 패드 미동작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b는 키패드 장치의 터치 패드 동작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키패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키패드 장치의 터치 패널(10)이 미동작시, 즉 사용자가 터치 패널(10)을 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10)에서 전기 신호가 발생되지 않아 TOLED 패널(20)의 전체 영역이 발광하지 않게 되어 전체 키패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다. 혹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0)에 최소한의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TOLED 패널(20)의 전체 영역이 약하게 발광되어 TOLED 패널(20)에 패터닝된 전체 키패드 정보가 약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TOLED 패널(20)의 하단에 위치된 이미지삽입부(30)에 구비된 이미지 (31)의 전체 이미지가 약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패널(10)의 원하는 터치 포인트를 누르게 되면, 터치 패널(10)이 동작하여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는 터치 패널(10)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전기신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S101).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10)은 펜이나 손에 의해 검광자가 눌러지고, 그 힘으로 도전 필름이 눌려져 X-Y 전극패턴과 접촉됨에 의해, X-Y 전극패턴의 전압 차를 검출하는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터치 포인트의 시그널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전기신호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40)에서 감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40)가 터치 패널(10)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전기신호를 감지하면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TOLED 패널(20)의 해당 픽셀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 여 터치 패널(10)의 터치 포인트에 해당하는 TOLED 패널(20)의 픽셀만을 발광시킨다.
발광된 픽셀은 TOLED 패널(20)에 패터닝된 키패드 정보를 표시하되, 터치 부분만을 밝게 표시하거나, 혹은 TOLED 패널(20)의 전체 영역이 약하게 발광하고, 터치된 해당 픽셀의 위치만 더욱 밝게 발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S102).
다음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31)가 구비된 이미지삽입부 (30)의 이미지 정보가 TOLED 패널(20)의 발광된 픽셀에 대응하여 이미지 정보를 밝게 표시하게 된다(S103).
혹은, TOLED 패널(20)의 전체 영역이 약하게 발광하고, 터치된 해당 픽셀의 위치만 더욱 밝게 발광하도록 구현하여 해당 키패드 정보에만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S103).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 중 이미지를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모바일 기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터치 패드 미동작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터치 패드 동작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터치 패널 20 : TOLED 패널
20a : 구동 IC 21 : 키패드 패턴
30 : 이미지삽입부 30a : 안착홈
31 : 이미지 40 : 제어부
50 : 모바일 기기 51 : 본체부
51a : 이미지삽입구

Claims (3)

  1.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키패드 정보가 패터닝되며, 발광된 픽셀에 대응하는 상기 키패드 정보를 표시하는 TOLED 패널;
    상기 터치 패널 및 상기 TOLED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상기 TOLED 패널의 해당 픽셀을 발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TOLED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는 이미지삽입부를 포함하는 키패드 장치.
  2. 제 1 항의 상기 키패드 장치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3. 제어부가 터치 패널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전기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응하는 키패드 정보가 패터닝된 TOLED 패널의 해당 픽셀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해당 픽셀을 발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TOLED 패널의 발광된 픽셀에 대응하여 이미지삽입부에 삽입된 이미지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패드 제어 방법.
KR1020080117070A 2008-11-24 2008-11-24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KR20100058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070A KR20100058314A (ko) 2008-11-24 2008-11-24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070A KR20100058314A (ko) 2008-11-24 2008-11-24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872A Division KR20110061525A (ko) 2011-04-22 2011-04-22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314A true KR20100058314A (ko) 2010-06-03

Family

ID=4235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070A KR20100058314A (ko) 2008-11-24 2008-11-24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83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8865B2 (en) 2011-10-11 2015-10-27 Hyundai Motor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ce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9619060B2 (en) 2012-11-13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d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8865B2 (en) 2011-10-11 2015-10-27 Hyundai Motor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ce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9619060B2 (en) 2012-11-13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d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737B2 (en) Dynamically controlled keyboard
JP2006164929A (ja) 発光アレイで文字を表示するキーボード装置及びそのキーユニット
US9704671B2 (en) Luminous keyboard
CN104471515B (zh) 触摸感测方法及装置
CN105448568B (zh) 按键装置
CN201903838U (zh) 触控冷光键盘装置
KR20100058314A (ko)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CN101853810A (zh) 具有高分子发光二极管的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7084474A (ja) タッチセンサ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10061525A (ko)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CN201903839U (zh) 发光键盘结构
TWM410280U (en) Inputting apparatus
JP2009076293A (ja) キー入力装置
CN210041788U (zh) 智慧黑板的电容按键
TWI652708B (zh) 連接器及按鍵還有製造方法
CN114792494A (zh) 背光控制系统、方法、触摸遥控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606116B (zh) 键盘
TWI398794B (zh) 具有高分子發光二極體的電子裝置
US20180267577A1 (en) Connector, ke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9625917U (zh) 一种基于边框触控操作的显示设备
US201201117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User Input Element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344141B1 (ko) 제어 기기
CN206340470U (zh) 薄膜式发光键盘
CN101587388A (zh) 触控屏幕及应用该触控屏幕的电子系统
KR101054358B1 (ko)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및 터치센서용 도광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