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439A -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439A
KR20130038439A KR1020110102803A KR20110102803A KR20130038439A KR 20130038439 A KR20130038439 A KR 20130038439A KR 1020110102803 A KR1020110102803 A KR 1020110102803A KR 20110102803 A KR20110102803 A KR 20110102803A KR 20130038439 A KR20130038439 A KR 20130038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radle
terminal
grooves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439A/ko
Priority to US13/647,613 priority patent/US9081544B2/en
Publication of KR2013003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 몸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거치홈들; 및 상기 거치홈들 사이에서 회동하여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 상으로 출몰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되면, 상기 지지판은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거치홈들 중 하나가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지지판이 거치대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구조이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한 쌍의 거치홈들 사이에서 지지판이 출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말기를 거치하는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탁자 등의 평면에 거치하는데 이용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른 사용자 또는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기술 및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영역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상대방 호출,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동영상 서비스, 벨소리, 게임, 모바일 뱅킹(mobile baking)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사용자들도 점차 청소년 계층으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되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통상적인 개념의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에 근접한 휴대용 단말기가 상용화되었다. 따라서 이동 중에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 더 나아가서는 사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는 휴대성과 사용성의 향상을 위하여, 즉, 소형화되면서도 확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스위치들로 이루어지는 자판을 활용하는 대신에, 대체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터치 스크린은 화면상에 자판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자판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흔히, 도킹 스테이션이라 불리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폰이 내장된 거치대에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는 오디오와 같은 음향 기기로 활용될 수 있으며, 텔레비전 수상기나 프로젝터와 같은 영상기기와 결합되어 동영상 재생기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자판이 설치된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를 결합하면 랩탑 컴퓨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대체로 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한정되어 왔으나, 다양해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부가 장치로서 거치대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형을 유지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와 함께 휴대하는 것이 번거로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함께 휴대하는 것이 편리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거치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확장하는데 유용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단순히 거치하는 용도와 입력 장치를 확장하는 용도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치대 몸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거치홈들; 및 상기 거치홈들 사이에서 회동하여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 상으로 출몰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되면, 상기 지지판은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거치홈들 중 하나가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홈들 중 제1의 거치홈 일측에서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자판(key board)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1 거치홈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은 상기 제1 거치홈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기 제1 거치홈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단말기의 일면과 대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은 상기 제1 거치홈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기 거치홈들 중 제2의 거치홈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일단부가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돌출되는 보호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그의 일면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거치대 몸체에 결합하고, 상기 보호 리브가 상기 단말기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홈들 사이에서 회동하여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 상으로 출몰하는 제2 지지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은 상기 거치홈들 중 제1의 거치홈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지지판의 회동 중심이 되는 제2 회동축은 상기 거치홈들 중 제2의 거치홈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지지판의 일단이 제2 회동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거치홈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지지판은 그의 타단이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인접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과 동시에 회동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을 각각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을 고정하는 잠금 장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잠금 장치부는,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잠금 홈들;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 홈들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잠금 돌기들; 및 상기 잠금 돌기들을 상기 잠금 홈들과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잠금 장치부는, 상기 잠금 부재에 제공되며, 일측 내벽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일측 외벽이 상기 제1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잠금 부재의 직선 운동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경사면이 간섭됨과 아울러, 상기 잠금 돌기들을 상기 잠금 홈들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잠금 장치부는, 상기 수용홈의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작동 부재의 양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홈들 중 하나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작동 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잠금 장치부는, 상기 잠금 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대 몸체에 결합되는 잠금 장치 커버; 및 상기 잠금 장치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작동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장치 커버 내에서 직선 이동한다.
한편, 상기 거치대는, 각각이 상기 거치홈들 중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들; 및 상기 브라켓들의 양단에 각각 제공되는 회동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 각각의 일부분이 상기 회동핀들 중 하나의 결합되어 상기 회동핀의 지지를 받아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는, 상기 브라켓들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간섭 돌기들; 및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 각각에 형성되는 제2 간섭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간섭 돌기가 서로 간섭되어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타단에 제공되는 베어링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 부재와 간섭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상에 형성되는 제1 회피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개구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회피홈에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가이드; 및
상기 제2 지지판에 형성되는 제2 회피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 가이드와 함께 상기 제2 회피홈에 수용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홈들 각각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들은 각각 상기 거치홈들 중 하나에 지지된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지지판이 거치대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구조이므로,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거치대 몸체를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 가능한 구조로 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만을 휴대하는 것과 거치대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로 휴대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과 휴대가 편리하다. 또한, 거치대 몸체에 자판을 설치할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확장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거치대를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다. 아울러, 자판이 설치된 거치대라 할지라도, 한 쌍의 거치홈들 사이에서 지지판이 출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말기를 거치하는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치대의 지지판이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거치대 몸체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제1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제2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제2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잠금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작동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잠금 장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가 대면한 상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단말기가 제1의 거치홈에 지지된 상태로 거치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단말기가 제2의 거치홈에 지지된 상태로 거치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100)는, 일면에 한 쌍의 거치(111a, 111b)홈들이 형성된 거치대 몸체(101)와, 상기 거치홈(111a, 111b)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으로 출몰하는 지지판(102)을 구비한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겠지만, 휴대용 단말기(106)는 그 일면이 상기 지지판(102)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거치홈(111a, 111b)들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거치대 몸체(10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거치홈(111a, 111b)들을 구비한다. 상기 거치홈(111a, 111b)들은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거치홈(111a, 111b)들 중 제1의 거치홈(111a) 일측에는 자판(19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치홈(111a) 일측에는 스피커 폰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자판(191)이 상기 제1 거치홈(111a) 일측에 설치된 경우, 상기 거치대(100)는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 입력 장치를 확장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거치홈(111a)의 일측에 스피커 폰이 설치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100)에 장착되어 음향 기기로 활용될 것이다.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측 가장자리,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거치홈(111a, 111b)들 중 제2의 거치홈(111b)이 위치된 가장자리 둘레에는 보호 리브(1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리브(119)는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6)는 그 일면이 상기 거치대(100)와 대면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보호 리브(119)는 상기 거치대 몸체(101)를 상기 단말기(106)에 결속시키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 리브(119)는, 통상의 휴대용 보호 케이스와 유사하게, 별도의 결속 돌기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자성체 등을 통해서도 상기 단말기(106)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100)가 단말기의 일면과 대면한 상태로 결합된 경우, 외형적으로 두께가 다소 증가하지만, 상기 거치대(100)와 단말기(106)가 하나의 몸체를 이루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100)를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106)와 결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100)가 필요하지 않다면, 사용자는 단말기(106)만을 휴대할 수도 있다. 결국, 사용자는 단말기(106)에 저장된 콘텐츠나 단순한 인터넷 검색 등에 이용하고자 한다면, 단말기(106)만을 휴대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중에 상기 단말기(106)를 이용한 업무 처리나 입력 장치의 확장이 필요하다면 상기 거치대(100)를 단말기(106)에 결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판(102)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113)이 형성된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수납홈(113)은 상기 거치홈(111a, 111b)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브라켓홈(113a, 113b)들, 베어링 수납홈(113c)들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홈(113)의 양측으로는 잠금 장치부(104)와 보조 브라켓(159)을 설치하기 위한 홈(113d)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 장치부(104)는 상기 지지판(102)의 일측에만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지지판(10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홈(113) 및 그 내부와 주위에 형성된 각종 홈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판(102)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밀착되었을 때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서, 상기 거치홈(111a, 111b)들 각각에는 고정홈(111c)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지지 부재(193)(193)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판(102)은 그의 어느 한 쪽 단부가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으로 출몰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102)을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거치대(100)는 제1 브라켓(105a), 회동핀(153)들, 보조 브라켓(159)을 구비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제1 브라켓(105a)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저면에 형성된 체결홀(159a)들과 양단에 각각 형성된 회동홀(157a)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105a)의 외주면에는 제1 간섭 돌기(153a)들이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브라켓(105a)이 상기 수납홈(113)에 형성된 브라켓홈(113a)들 중 하나에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체결홀(159a)을 통해 스크루(screw)(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브라켓(105a)을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보조 브라켓(159)은 상기 수납홈(11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113d)들 중 하나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조 브라켓(159)은 상기 회동홀(157a)과 마주보게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핀(153)들 각각이 상기 제1 브라켓(105a)의 양단에서 상기 보조 브라켓(159)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홀(157a)에 체결된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102)의 일단에는 한 쌍의 결속 부재(121)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속 부재(121)들이 상기 제1 브라켓(105a)의 양단에 각각 제공된 회동핀(153)들 중 하나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판(102)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로써, 상기 회동핀(153)들을 이용하여 상기 결속 부재(121)들을 상기 제1 브라켓(105a)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거치홈(111a)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의 회동축(A1; 도 3에 도시됨)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102)은 상기 제1 회동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판(102)은 그 일부분이 상기 회동핀(153)들 중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핀(153)들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제1 회동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100)는 잠금 장치부(104)와 제1 탄성 부재(151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판(102)을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잠금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판(102)을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151a)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자유단들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는 상기 거치대 몸체(101)상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판(102)에 지지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151a)는 상기 회동핀(153)의 외주면을 코일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브라켓(105a)의 양단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장치부(104)는 상기 수납홈(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잠금 장치부 홈(115)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판(102)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잠금 홈(127)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에는 잠금 부재(141), 코일 스프링(149)이 수용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49)은 일단이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의 내벽에, 타단이 상기 잠금 부재(141)에 각각 지지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149)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에는 스프링 홈(11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49)들은 각각 그의 일단이 상기 스프링 홈(115a)들 중 하나에 수용된다. 상기 잠금 부재(141)는 상기 코일 스프링(149)의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상기 잠금 부재(141)의 일면에는 잠금 돌기(141e)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납홈(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149)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잠금 홈(127)들 중 하나와 각각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잠금 장치부(104)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홈(11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부재(141)에는 상기 잠금 돌기(141e)들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프링 돌기(141d)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49)들은 각각 그의 타단이 상기 제2 스프링 돌기(141d)들 중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149)이 상기 잠금 부재(141)를 가압하여 상기 잠금 돌기(141e)들을 상기 잠금 홈(127)들 중 하나와 맞물리게 한다.
상기 잠금 부재(141)는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에 수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상기 잠금 부재(141)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잠금 돌기(141e)들을 상기 잠금 홈(127)들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누름 동작으로 상기 잠금 부재(141)를 직선 이동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잠금 부재(141)를 직선 이동시키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서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에는 작동 부재(143)가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의 저면에 작동홈(115b; 도 4에 도시됨)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 부재(143)가 직선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 상에 잠금 장치 커버(145)가 결합되어 상기 잠금 부재(141), 코일 스프링(149) 등을 은폐하게 된다. 상기 잠금 장치 커버(145)에는 평판 형태의 커버 몸체(145a)를 관통하는 작동홀(145c)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작동홀(145c)은 상기 작동 부재(143)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 부재(143)가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만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작동 부재(143)의 일부분은 상기 작동홀(145c)을 통해 상기 잠금 장치 커버(145)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잠금 부재(141)에는 제1의 경사면(141b)이 형성된 수용홈(1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부재(143)의 몸체(143a) 일측 외벽에는 상기 제1 경사면(141b)에 상응하는 제2의 경사면(14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경사면(141b, 143b)은 각각 상기 잠금 부재(141)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 부재(143)의 서로 대향하는 양 외측면에는 각각 가이드 돌기(14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141a)의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가이드 홈(141c)들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43c)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홈(141c)들 중 하나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홈(141a) 내에서 상기 작동 부재(143)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잠금 장치 커버(145)는 상기 작동홀(145c)의 주위에서 내측면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145d)들을 구비하는데, 상기 스토퍼 돌기(145d)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홈(141c) 내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43c)와 간섭된다. 이로써, 상기 작동 부재(143)가 상기 거치대 몸체(10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한다. 아울러, 상기 잠금 장치 커버(145)의 몸체(145a) 내측면에는 복수의 보스(145b)들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장치부 홈(115)의 주위에 형성된 홀들에 수용된다. 상기 보스(145b)들 각각에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 장치가 체결되어 상기 잠금 장치 커버(145)를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홀(145c)에 의해 상기 작동 부재(143)는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잠금 부재(141)는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 부재(143)에 대하여 상기 잠금 부재(141)의 이동 범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홈(141c)은 상기 가이드 돌기(143c)의 폭보다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 부재(141)의 직선 왕복 운동 범위가 2mm라면, 상기 가이드 홈(141c)은 상기 가이드 돌기(143c)보다 적어도 2mm이상의 넓은 폭을 가져야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 부재(143)가 상기 수용홈(141a)에 배치되면, 상기 제1 경사면(141b)을 상기 제2 경사면(143b)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149)이 상기 잠금 부재(141)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 부재(143)는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서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어 상기 잠금 장치 커버(145)의 외측으로 최대한 돌출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돌기(145d)가 상기 가이드 돌기(143c)에 간섭되어 상기 작동 부재(143)가 상기 잠금 장치 커버(14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부재(143)가 상기 잠금 장치 커버(145)의 외측으로 최대한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 부재(141)가 상기 코일 스프링(149)에 의해 상기 수납홈(113)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한 지점에 위치되며, 이때, 상기 잠금 돌기(141e)들은 상기 잠금 홈(127)들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113) 상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납홈(113)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잠금 돌기(141e)를 밀어 상기 잠금 부재(141)를 후퇴시킨다. 상기 잠금 돌기(141e)들에는 각각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납홈(113)으로 진입하는 동안 상기 잠금 돌기(141e)들의 경사면이 상기 지지판(102)에 간섭되어 상기 잠금 부재(141)가 후퇴하고, 상기 지지판(102)은 상기 수납홈(113)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하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부(104)에 의해 상기 지지판(102)은 상기 수납홈(113)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잠금 장치부(104)의 작동 부재(143)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제1 탄성 부재(151a)는 상기 지지판(102)을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단말기(106)의 일면이 상기 지지판(102)과 대면하게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판(102)의 한쪽 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거치된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106)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제2 거치홈(111a, 111b)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 부재(193)들은 상기 제1, 제2 거치홈(111a, 111b)에 형성된 고정홈(111c)에 각각 고정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111c)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193a)와, 상기 고정 몸체(193a)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 리브(19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106)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제2 거치홈(111a, 111b) 중 하나에 지지되었을 때, 상기 지지 리브(193b)가 상기 단말기(106)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 부재(193)들은 각각 우레탄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체로 제작되어 단말기(106) 거치시 충격이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193)들은 상기 제1, 제2 거치홈(111a, 111b) 각각에 하나씩만 장착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지지 부재들이 상기 제1, 제2 거치홈(111a, 111b)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93)의 길이를 상기 제1, 제2 거치홈(111a, 111b)들의 길이에 근접하게 제작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거치홈(111a, 111b)에 지지되는 단말기(106)의 가장자리의 전체를 지지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거치대 몸체(101)로부터 회동하는 각도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거치대(100)는 제1, 제2 간섭 돌기(153a, 125)들을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간섭 돌기(153a)들은 적어도 한 쌍이 상기 제1 브라켓(105a)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간섭 돌기(125)들은 상기 제1 간섭 돌기(153a)들과 상응하는 수만큼 상기 지지판(102)의 어느 한쪽 측단,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 부재(121)들 사이에서 상기 지지판(10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02)이 회동하면, 상기 제2 간섭 돌기(125)들은 상기 제1 브라켓(105a)의 주위를 선회하면서 상기 제1 간섭 돌기(153a)들과 간섭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간섭 돌기(153a)들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판(102)의 회동 각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대(100)는, 제2의 지지판(10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판(103)은 상기 지지판(102)을 지지함으로써, 단말기(106)를 거치했을 때 단말기(106)의 무게에 의해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지지판(103)은 상기 제2 거치홈(111b)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브라켓(105b)을 통해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상기 제2 지지판(103)의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제2 회동축(A2)은 상기 제2 거치홈(111b)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브라켓(105a)과 유사하게, 상기 제2 브라켓(105b)은 저면에 형성된 체결홀(159b)들과 양단에 각각 형성된 회동홀(157b)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브라켓(105b)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브라켓(105a)과 동일한 구성이지만, 그 길이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105b)의 외주면에는 제3 간섭 돌기(153b)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지지판(103)에는 제2의 결속 부재(131)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브라켓(105b)의 양단에 제공되는 회동핀(153)들을 통해 상기 제2 브라켓(105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지지판(103)에는 제4의 간섭 돌기(135)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3 간섭 돌기(153b)와 함께 상기 제2 지지판(103)의 회동 각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2 지지판(103) 또한 제2의 탄성 부재(151b)에 의해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돌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 지지판(103)은 상기 지지판(102)을 거치대 몸체(101)에 결합하는 구조와 유사하게 상기 거치대 몸체(101)와 결합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보조 브라켓(159)의 구성은 상기 지지판(102)이나 제2 지지판(103)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이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판(103)은 상기 지지판(102)과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판(103)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102)의 일면에는 개구부(122; 도 5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개구부(122)의 일면에는 제1 회피홈(129)과 스토퍼 부재(15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피홈(129)과 스토퍼 부재(157)는 각각 상기 개구부(122)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회피홈(129)은 상기 개구부(122) 상에서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 부재(157)는 상기 개구부(122) 상에서 상기 제1 회피홈(129)에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부재(157)는 우레탄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개구부(122)에 형성된 스토퍼 가이드(123)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1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판(103)에는 상기 제2 결속 부재(131)와 인접하는 위치에 제2의 회피홈(137)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판(103)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결속 부재(131)와 대향하는 위치에 베어링 부재(155a)가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 부재(155a)는 회전핀(155b)과 이-링(E-ring)(미도시)과 같은 기계요소들에 의해 상기 제2 지지판(10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회전 지지편(133)들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이 회동하면, 상기 베어링 부재(155a)는 상기 지지판(102)의 일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이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제2 지지판(103)의 한쪽 단부는 상기 지지판(102)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이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부재(155a)는 상기 제1 회피홈(129)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 수납홈(113c)에 수용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157)와 스토퍼 가이드(123)는 상기 제2 회피홈(137)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잠금 돌기(141e)들은 상기 잠금 홈(127)들과 각각 맞물려, 상기 지지판(102)을 상기 수납홈(113)에 수납된 상태로 구속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는 상기 단말기(106)의 일면에 대면한 상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100)가 상기 단말기(106)와 결합하더라도, 상기 단말기(106)의 디스플레이 장치(161)는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치대(100)와 단말기(106)를 결합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도 단말기(106)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106)를 상기 거치대(1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 부재(143)를 누르면, 상기 잠금 부재(141)가 후퇴하면서 상기 잠금 돌기(141e)들은 상기 잠금 홈(127)들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잠금 돌기(141e)들이 상기 잠금 홈(127)들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탄성 부재(151a, 151b)는 각각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을 회동시켜 상기 거치대(100)의 일면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이 일정 각도만큼 회동하여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하면, 상기 제1 간섭 돌기(153a)들은 제2 간섭 돌기(125)들과, 상기 제3 간섭 돌기(153b)들은 제4 간섭 돌기(135)들과 각각 간섭되어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이 회동하는 동안, 상기 베어링 부재(155a)는 상기 지지판(102)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간섭 돌기(153a, 125, 153b, 135)들이 서로 간섭되어 상기 지지판(102)과 제2 지지판(103)의 회동이 정지되면, 상기 베어링 부재(155a)는 상기 스토퍼 부재(157)와 간섭된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로써, 단말기(106)가 상기 지지판(10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판(103)이 상기 지지판(102)을 지지하여 단말기(106)의 무게에 의해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는 각각 단말기(106)가 상기 제1 거치홈(111a)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거치대(100)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102)은 단말기(106)의 일면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단말기(106)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설치된 자판(191)은 상기 단말기(106)의 입력 장치로 활용된다. 상기 단말기(106)와 자판(191)의 연결은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치홈(111a)에 별도의 커넥터를 배치하여 단말기(106)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접속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6과 도 17은 각각 단말기(106)가 상기 제2 거치홈(111b)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거치대(100)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106)가 상기 제2 거치홈(111b)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거치대(100)에 거치되면, 상기 지지판(102)의 일측 단부가 상기 단말기(106)의 일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6)는 사용자의 조작이 많이 요구되지 않는 기능,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 재생, 영상 통화, 화상 회의 등의 기능을 실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한 쌍의 거치홈들 사이에 지지판을 출몰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거치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치대의 사용 용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거치대로 단말기의 일면을 감싸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거치대 101: 거치대 몸체
102: 지지판 103: 제2 지지판
104: 잠금 장치부 106: 단말기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 몸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거치홈들; 및
    상기 거치홈들 사이에서 회동하여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 상으로 출몰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되면, 상기 지지판은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거치홈들 중 하나가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들 중 제1의 거치홈 일측에서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자판(key board)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1 거치홈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은 상기 제1 거치홈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기 제1 거치홈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단말기의 일면과 대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은 상기 제1 거치홈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기 거치홈들 중 제2의 거치홈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일단부가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돌출되는 보호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그의 일면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거치대 몸체에 결합하고, 상기 보호 리브가 상기 단말기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들 사이에서 회동하여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 상으로 출몰하는 제2 지지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은 상기 거치홈들 중 제1의 거치홈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지지판의 회동 중심이 되는 제2 회동축은 상기 거치홈들 중 제2의 거치홈에 인접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의 일단이 제2 회동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거치홈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지지판의 타단이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인접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지지판과 동시에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을 각각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을 고정하는 잠금 장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잠금 장치부는,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잠금 홈들;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 홈들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잠금 돌기들; 및
    상기 잠금 돌기들을 상기 잠금 홈들과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부는,
    상기 잠금 부재에 제공되며, 일측 내벽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일측 외벽이 상기 제1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잠금 부재의 직선 운동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경사면이 간섭됨과 아울러, 상기 잠금 돌기들을 상기 잠금 홈들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를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부는,
    상기 수용홈의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작동 부재의 양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홈들 중 하나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작동 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부는,
    상기 잠금 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대 몸체에 결합되는 잠금 장치 커버; 및
    상기 잠금 장치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작동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장치 커버 내에서 직선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3. 제6 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거치홈들 중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들; 및
    상기 브라켓들의 양단에 각각 제공되는 회동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 각각의 일부분이 상기 회동핀들 중 하나의 결합되어 상기 회동핀의 지지를 받아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들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간섭 돌기들; 및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 각각에 형성되는 제2 간섭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간섭 돌기가 서로 간섭되어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의 회동 범위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5.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타단에 제공되는 베어링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 부재와 간섭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상에 형성되는 제1 회피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개구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회피홈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가이드; 및
    상기 제2 지지판에 형성되는 제2 회피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이 상기 거치대 몸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 가이드와 함께 상기 제2 회피홈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들 각각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들은 각각 상기 거치홈들 중 하나에 지지된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KR1020110102803A 2011-10-10 2011-10-10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30038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03A KR20130038439A (ko) 2011-10-10 2011-10-10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US13/647,613 US9081544B2 (en) 2011-10-10 2012-10-09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03A KR20130038439A (ko) 2011-10-10 2011-10-10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39A true KR20130038439A (ko) 2013-04-18

Family

ID=4804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03A KR20130038439A (ko) 2011-10-10 2011-10-10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81544B2 (ko)
KR (1) KR201300384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20B1 (ko) * 2018-02-27 2019-06-05 유영상 휴대 단말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2312B (zh) * 2012-02-24 2015-10-01 First Dome Corp A lifting device for the movement of auxiliary electronic objects
CN104679318B (zh) * 2013-11-29 2017-10-17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US9996112B2 (en) * 2016-11-10 2018-06-12 Acer Incorporated Electronic assembly and docking station
KR102377493B1 (ko) * 2017-11-21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912050S1 (en) * 2018-03-11 2021-03-02 Shenzhen Riitek Technology Co., Ltd. Keyboard
USD924872S1 (en) * 2019-08-16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
USD933068S1 (en) * 2019-10-01 2021-10-12 Microsoft Corporation Keyboard
USD984997S1 (en) 2019-10-01 2023-05-02 Microsoft Corporation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8642B2 (en) * 2001-02-06 2003-03-25 Huo-Lu Tsai Portable input apparatus
TW545858U (en) * 2002-11-22 2003-08-01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lid with an additional supporting function
TW587801U (en) * 2003-03-10 2004-05-11 Tatung Co Holder structure of portable keyboard
TWM246678U (en) * 2003-12-17 2004-10-11 Tatung Co Erecting structure of portable computer
TWM249084U (en) * 2003-12-31 2004-11-01 Tatung Co Support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US7327560B1 (en) * 2005-11-01 2008-02-05 Logitech Europe S.A. Keyboard with integrated laptop stand
US7983035B1 (en) * 2010-09-07 2011-07-19 Shao-Chieh Ting Sliding table of a tablet personal computer
TWI488563B (zh) * 2011-11-18 2015-06-11 Benq Corp 周邊輸入裝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20B1 (ko) * 2018-02-27 2019-06-05 유영상 휴대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8826A1 (en) 2013-04-11
US9081544B2 (en)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8439A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5009099B2 (ja) 携帯情報端末
EP2016680B1 (en) Sliding tilt unit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US8195255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7925317B2 (en) Keypad, sliding module and sliding module flexible circuit for portable terminal
KR20010024946A (ko) 전자 장치용 힌지 어셈블리
JP5609763B2 (ja) コネクタ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7132508A (ja) スライドヒンジ装置およびスライドヒンジ装置を用いた個人携帯端末機
JP2007518286A (ja) 移動通信装置用可動式機能エレメント
JP5168385B2 (ja) 電子機器
KR20070092044A (ko) 휴대용전자장치
JP2008079093A (ja) 電子機器
US787339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10175011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83354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회전 힌지 장치
KR1012186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790106B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70013394A (ko)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스크린 장치
KR100881579B1 (ko) 멀티 모드 구조
KR101768719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80096345A (ko) 2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5354201B2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ガタツキ防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