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993A - 파종 장치 - Google Patents

파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993A
KR20130037993A KR1020110102596A KR20110102596A KR20130037993A KR 20130037993 A KR20130037993 A KR 20130037993A KR 1020110102596 A KR1020110102596 A KR 1020110102596A KR 20110102596 A KR20110102596 A KR 20110102596A KR 20130037993 A KR20130037993 A KR 20130037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eeding
support
se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346B1 (ko
Inventor
조영손
Original Assignee
조영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손 filed Critical 조영손
Priority to KR102011010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3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파종 바늘이 형성된 제1 륜(輪), 상기 제1 륜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륜의 회전시 상기 파종 바늘에 의해 형성된 지면의 파종 홈에 종자를 뿌리는 제2 륜 및 상기 제1 륜의 축과 상기 제2 륜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함으로써, 무경운 파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파종 장치{SEEDER}
본 발명은 파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경운(無耕耘) 상태로 파종이 가능한 파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종작업은 파종한 종자가 일시에 발아(發芽)하여 균일하게 생육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깊이로 적당한 양의 종자를 능률적으로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기의 주요기능은 골파기, 씨뿌리기, 흙덮기이다.
파종기를 크게 나누면 산파기(散播機:broad caster), 조파기(條播機:grain drill), 점파기(點播機:planter)의 3종류가 있다.
조파기는 맥류와 같은 곡물의 줄뿌림에 사용되는 작업기인데, 크기는 대개 골파기 기구의 수와 그들의 간격으로 표시하며, 골파기 기구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5~35cm이다. 점파기는 비교적 넓은 그루 사이를 필요로 하는 옥수수, 두류, 목화, 감자 등을 파종하는 데 사용한다. 산파기는 주로 알갱이가 작고 가벼운 목초나 아마 등의 종자를 흩어뿌리는 데 사용된다.
각 파종기에서 흙덮기 작업은 쇄토기(碎土機:harrow) 등 다른 작업기에 의하여 별도로 이루어지거나 생략되기도 한다. 무경운 상태에서 파종을 하기 위해서는 파종 홈을 신뢰성 있게 형성하고 종자를 파종 홈에 투입한 후 적절하게 흙덮기(복토)를 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파종기에 의하면 위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무경운 상태에서의 파종이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42961호에는 파종 홈을 형성하고 파종 홈에 종자를 뿌리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살펴보면 파종 홈을 형성하는 파종 바늘이 설치된 부위가 직접 열리도록 하여 열린 개구부를 통해 종자가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파종 홈에 종자를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복토에 관한 수단이 마련되지 못함으로써 무경운 상태에서의 파종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파종기는 파종 작업 전에 경운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42961호
본 발명은 무경운(無耕耘) 상태로 파종이 가능한 파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파종 바늘이 형성된 제1 륜, 상기 제1 륜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륜의 회전시 상기 파종 바늘에 의해 형성된 지면의 파종 홈에 종자를 뿌리는 제2 륜 및 상기 제1 륜의 축과 상기 제2 륜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륜의 폭은 상기 제2 륜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륜은 외주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륜은 상기 제1 륜의 궤적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flange)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륜의 원주 길이는 상기 제2 륜의 직경이 상기 제1 륜의 직경 이하인 범위 내에서 상기 파종 바늘의 간격의 체배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륜에서 상기 구멍의 간격은 상기 제1 륜에서 상기 파종 바늘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륜의 회전시 상기 구멍이 상기 파종 홈에 정렬되도록 상기 제1 륜의 각속도와 상기 제2 륜의 각속도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제1 륜의 축에 형성된 제1 기어, 상기 제2 륜의 축에 형성된 제2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륜의 후방에서 상기 지면에 끌리는 복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륜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토 수단은, 'U'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대에 연결시키는 연결축 및 일단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굴곡진 부위가 아래로 당겨지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 장치는 파종 홈을 형성하는 파종 바늘이 설치된 바퀴와 종자를 뿌리는 바퀴를 별개로 구성함으로써 파종 홈을 신뢰성 있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륜에 의해 파종 홈이 복토되고 다져지므로 신뢰성 있는 파종이 가능하다. 이러한 효과는 제2 륜의 폭을 제1 륜보다 크게 하고 제2 륜의 외주면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륜의 후방에 별도의 복토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복토가 수행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따르면 신뢰성 있는 무경운 파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3은 지면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서 파종 바늘에 의해 파종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서 제2 륜의 구멍을 통해 파종 홈에 종자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서 제2 륜과 복토 수단에 의해 파종 홈이 복토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이 완료된 후의 종자의 발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파종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과정을 일괄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실험적으로 제작된 파종 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11은 파종 장치에 의해 파종이 이루어지는 밭을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해 전작물이 쓰러져 있는 밭에 형성된 파종 홈과 파종 홈에 투입된 종자를 헤쳐 살펴본 사진.
도 13은 파종 후 4주 후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14는 파종 후 성장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파종 장치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파종 바늘(111)이 형성된 제1 륜(輪)(110), 상기 제1 륜(110)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131)을 통해, 상기 제1 륜(110)의 회전시 상기 파종 바늘(111)에 의해 형성된 지면의 파종 홈에 종자를 뿌리는 제2 륜(130) 및 상기 제1 륜(110)의 축과 상기 제2 륜(130)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대(150)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륜(110)은 진행 방향 상으로 제2 륜(130)의 전방에 위치하는 바퀴로, 외주면에 파종 바늘(111)이 형성된다. 이때, 파종 파늘(111)은 흙에 종자가 투입되어지는 파종 홈을 만들기 용이하도록 깔대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파종 바늘을 등간격으로 설치하면 제1 륜(110)의 궤적을 추종하는 제2 륜(130)에서 종자가 유출되는 구멍의 간격과 동기화가 용이하다. 제1 륜이 제2 륜보다 작으면 진행 방향의 확인과 운행이 어려우므로 제1 륜의 지름은 제2 륜의 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륜(130)은 진행 방향 상으로 제1 륜(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바퀴로, 외주면에 종자가 유출되는 구멍(13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륜(130)에는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종자가 유입되는 종자 관(137)과, 종자 관의 타단에 설치되며 종자가 수납되는 종자 수납통(135)이 부가될 수 있다. 종자가 구멍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제2 륜의 내부 구조는 유압식, 공압식, 기계식, 중력식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론 앞에서 언급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42961호의 종자 유출 구조 등 기존의 유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제2 륜(130)은 제1 륜(110)이 지나간 자리, 즉 궤적을 그대로 따라가도록(추종) 설비된다. 제2 륜(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131) 간의 거리(간격)는 제1 륜(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종 바늘(111) 간의 거리(간격)와 동일하다. 구멍이 1개인 경우 하나의 구멍(131)으로부터 동일 구멍까지의 길이는 곧 제2 륜(130)의 외주의 길이가 되며, 이때 외주의 길이는 파종 바늘(111) 간의 거리와 동일하다. 구멍이 2개인 경우 제2 륜(130)의 외주의 길이는 파종 바늘(111) 간 거리의 2배이다. 정리하면, 제2 륜(130)의 원주 길이는 제2 륜(130)의 직경이 제1 륜(110)의 직경 이하인 범위 내에서 파종 바늘(111)의 간격의 체배수가 된다.
제2 륜의 구멍 간격과 제1 륜의 파종 바늘 간격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파종 바늘이 지면에 형성한 파종 홈에 제2 륜의 구멍이 매칭되지 않으면 소망하는 파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제1 륜(110)이 X 위치에 파종 홈을 형성한 경우, 제1 륜(110)의 궤적을 추정하는 제2 륜(130)의 구멍(131)이 X 위치에 정렬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종자를 구멍(131)을 통해 유출시키면 유출된 종자는 파종 홈에 투입된다. 이를 위해 파종 장치는 제2 륜(130)의 회전시 구멍(131)이 파종 홈에 정렬되도록 제1 륜(110)의 각속도와 제2 륜(130)의 각속도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속도의 동기화는 각 륜의 각속도는 륜의 원주 길이와 각 기어의 단위 기어수의 차이로 인하여 다른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기화 수단(170)은 다양한 링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수단(170)은 제1 륜(110)의 축에 형성된 제1 기어(171), 제2 륜(130)의 축에 형성된 제2 기어(173), 제1 기어(171)와 제2 기어(173)를 연결하는 체인(175)을 포함한다.
제2 륜(130)은 제1 륜(110)의 궤적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flange)(133)가 제2 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외주면의 일측에 플랜지(133)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구멍(131)의 위치와 타협함으로써 외주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33)의 폭과 돌출 정도는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플랜지(133)는 제2 륜(130)과 별개로 형성되어 제2 륜(130)에 장착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플랜지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파종 홈을 형성하는 제1 륜과 파종 홈에 종자를 뿌리는 제2 륜을 별개로 형성하고, 제2 륜이 제1 륜의 궤적을 추종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제1 륜에 의해 형성된 파종 홈을 제2 륜이 자나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종자를 뿌리고 흙을 복토하고 다지게 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파종이 가능하다. 또한, 흙을 다짐으로써 조류 등이 뿌려진 종자를 훼손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경운 상태의 논밭은 입모 중인 작물과 다수의 잡초, 퇴비로 인하여 흙이 가려진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종을 수행하면 뿌려진 종자가 잡초, 퇴비에 의해 흙에 닿지 못하게 되므로 발아가 불가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하면 뿌려진 종자가 잡초, 퇴비에 의해 흙에 닿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하더라도 제2 륜에 의한 압력으로 인하여 파종 홈으로 강제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또한, 제2 륜은 복토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파종 홈으로 유입된 종자를 신뢰성 있게 흙으로 덮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하면 무경운 상태에서도 파종이 가능하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지지대(150)에 연결되어 제2 륜(130)의 후방에서 지면에 끌리는 복토 수단(190)을 포함할 수 있다.
복토 수단(190)은 제2 륜(130)에서 이루어진 복토를 한번 더 수행하는 요소로, 파종 파늘(111)로 파내어진 흙과 주변의 흙을 긁어서 파종 홈으로 유도한다.
복토 수단(19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토 수단(190)은 몸체부(191), 연결축(193), 탄성부(195)를 포함한다.
각 륜의 좌측과 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150)가 제2 륜(130)의 후방으로 연장될 때, 몸체부(191)는 지지대에서 연장된 각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91)는 제2 륜(130)의 진행 방향 상으로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에서 굴곡진 부위가 땅에 닿게 되는 부분으로 굴곡 부위는 'U' 형상과 같이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복토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결축(193)은 지지대(150)에 몸체부(191)를 연결한다. 연결축의 형상과 연결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각 지지대(150)에서 연장된 부위의 단부와, 몸체부의 각 단부를 관통하는 원통 막대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때 연결축(193)은 몸체부(191)가 제2 륜의 진행 방향 상으로 전후로 유동되도록 지지대(150)에 몸체부(191)를 연결시킨다.
몸체부의 자체 무게로 인하여 흙을 긁을 수 있으나, 복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토 수단에는 몸체부에서 굴곡진 부위를 지면 쪽으로 당기는 탄성부(195)가 부가될 수 있다.
탄성부(195)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때 스프링의 일단은 지지대(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부(191)에 연결된다.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대(150)에 바로 연결시키기 어려운 경우 지지대에서 연장되거나 지지대에 체결되는 가이드(197)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가이드에 스프링의 일단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지면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서 파종 바늘에 의해 파종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서 제2 륜의 구멍을 통해 파종 홈에 종자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서 제2 륜과 복토 수단에 의해 파종 홈이 복토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이 완료된 후의 종자의 발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작물 A가 입모(立苗)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입모 중인 작물 A 사이에 작물 B의 종자(210)를 파종할 수 있다.
이때 입모 중인 작물 A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파종 장치에서 적어도 제1 륜(110)과 제2 륜(130)의 폭은 기존의 작물 A의 입모 간격보다 작아야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입모 중인 작물 A의 사이로 파종 장치가 지나가면서 파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도 4는 제1 륜에 의해 파종 홈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제2 륜에 의해 작물 B의 종자(210)가 파종 홈에 투입되는 동시에 복토가 일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제2 륜의 후방에 위치하는 복토 수단에 의해 파종 홈에 대한 복토가 수행된 상태를 나타낸다.
살펴보면 파종 장치에서 적어도 제1 륜(110)과 제2 륜(130)의 폭이 작물 A의 입모 간격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륜(130)에 의한 복토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1 륜(110)의 폭 Wf는 파종 바늘(111)이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2 륜(130)의 폭 Wr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제1 륜(110)의 폭이 작으면 제1 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파종 바늘(111)의 두께 역시 제2 륜(130)보다 작다. 이에 따르면 파종 바늘(111)에 의해 지면에 형성된 파종 홈 역시 제2 륜(130)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제1 륜의 궤적을 추종하는 제2 륜은 파종 홈 전체를 덮는 형태로 지나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파종 홈을 복토하게 되며 제2 륜의 무게와 외부 압력에 의해 복토된 흙을 다지게 된다.
이때 제2 륜(130)에 의한 복토와 흙의 다짐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제2 륜(130)의 외주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파종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진행 방향 상으로 플랜지(133)가 형성된 좌측부의 지름이 가장 크고 우측부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제2 륜(130)이 개시되어 있다. 도 8에 개시된 제2 륜(130)에 의하면 파종 홈에 진입한 제2 륜의 좌측 부위에 의해 흙이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복토되기 시작하며 구멍(131)을 통해 종자(210)가 파종 홈의 바닥으로 투입된다. 그 후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루어지는 복토 과정이 지속되어 제2 륜은 파종 홈 바닥에 투입된 종자(210)를 흙으로 덮게 된다. 이때 제2 륜은 단순하게 흙만 덮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적어도 제2 륜의 무게로 흙을 다지게 됨으로써 효과적인 파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의 도 3 내지 도 7의 파종 과정을 일괄적으로 도 9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서 제1 륜(110)에 설비된 파종 바늘(111)은 파종 홈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만 하면 된다. 기존에는 파종 바늘이 파종 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종자를 뿌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파종 바늘의 파종 홈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제한이 있었다. 그로 인하여 기존의 파종 바늘은 경운 시와 비교하여 보다 단단하며 잡토 및 퇴비로 덮혀 있는 무경운 시의 지면에 파종 홈을 형성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륜은 파종 홈만 형성하면 되므로 무경운에 최적화된 파종 바늘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경운 상태의 지면에도 파종 홈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종 홈에 종자를 뿌리는 동시에 파종 홈 또는 뿌려진 종자를 누르는 제2 륜에 의해 종자가 파종 홈에 신뢰성 있게 투입되도록 하며 복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복토 부위 역시 다지게 된다. 그 결과 주변의 원하지 않는 종자, 이른바 잡초의 유입을 초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류(鳥類)가 뿌려진 종자를 섭취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파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이용한 무경운 상태에서의 파종 결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작물수량성(%) 보리
관행 경운 재배 100 100 100 100
부분경운직파(무제초) 50 75 70 75
무경운입모중점파(무제초) 95 97 95 93
표 1은 논밭 전체의 경운 후에 파종을 하는 관행 경운 재배, 입모 중인 작물은 그대로 둔 채 새로 파종할 종자의 경로만을 경운한 후에 파종을 하는 부분경운직파,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적용하여 무경운으로 타 작물이 입모 중인 상태에서 파종을 하는 무경운입모중점파의 작물수량성을 나타낸다.
표 1의 수치는 시험 1, 2년차를 평균한 값으로 일반관행재배에 비하여 부분경운직파의 경우는 수량성이 관행 경운 재배의 50-75%범위에 분포하였으나 무경운입모중점파의 경우는 93-97%정도로 관행 경운 재배와 거의 수량성에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무경운입모중점파는 잡초방제를 인위적으로 하지 않았고 경운도 하지 않고 조류 등을 인위적으로 방제하지도 않은 상태에서의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적용하면 높은 생산성으로 친환경농산물을 재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파종 장치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파종 장치는 인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작되었으며 인력에 의한 조정이 용이하도록 지지대에서 연장되는 손잡이가 부가되어 있다. 물론 파종 장치는 손잡이 대신 트랙터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파종 장치는 지지대에 형성되어 손잡이 또는 트랙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에 의하면 손잡이의 착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트랙터와의 착탈 또한 가능하다. 즉, 결합부는 다양한 견인 수단에 파종 장치가 연결되도록 한다. 결합부의 구조와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제1 륜과 제2 륜의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지대에 부가되거나 지지대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종이 수행된 밭을 도 11에 나타내었다. 입모 중인 전작물의 사이로 파종 장치를 구동시켰으며, 이때 파종 장치가 지나가는 곳에는 수확 과정에서 쓰러진 전작물이 널려 있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해 전작물이 쓰러져 있는 밭에 형성된 파종 홈과 파종 홈에 투입된 종자(빨간 지시선으로 표시)를 헤쳐 살펴본 사진이다. 주변이 전작물 등 풀이 널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종 홈이 정확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파종 홈에 종자가 정확하게 투입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변의 풀들로 인하여 파종 홈에는 흙이 많이 덮혀있지는 않았으나 파종 홈을 충분히 덮고 있었으며 촬영을 위해 걷어내었다.
도 13은 파종 후 4주 후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으로 누런색의 전작물의 사이에서 파종된 후작물(초록색)이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4는 후작물의 성장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잡초 발생량(%) 보리
관행 경운 재배 100 100 100 100
부분경운직파(무제초) 700 200 250 210
무경운입모중점파(무제초) 130 140 150 120
표 2는 파종 방법별 잡초 발생량을 관행 경운 재배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표이다.
부분경운직파는 200-700% 내외로 작물별로 매우 다양한 수치로 잡초가 발생하였다. 특히, 콩의 경우는 관행 경운 재배에 비하여 7배 많은 잡초가 발생하여 피해가 심각하였다.
무경운입모중점파는 잡초 발생량이 관행 경운 재배의 120-150%에 분포하여 부분경운직파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으며, 이 수치는 생상성에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 수치에 해당한다.
작물 재배시 전작물이 있는 조건에서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이용하면 무경운으로 후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기존의 이모작은 경운, 전작물 파종, 전작물 수확, 경운, 후작물 파종, 후작물 수확의 6단계를 거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이용하면 전작물 파종, 전작물 수확, 후작물 파종, 후작물 수확의 4단계를 거치면 된다. 전작물이 입모 중인 상태에서 파종과 수확이 가능하므로 전작물을 피복작물이나 식용작물 또는 사료작물로 재배하고, 전작물의 수확 직전에 토양의 훼손을 최소화하여 후작물을 파종하여 잡초발생량을 줄이고 일반 점파에서 문제시되는 조류 등의 피해도 동시에 줄이면서 후작물의 생육을 건전하게 유도한다. 또한 제초제를 살포하지 않고 토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며 생산성을 유지하여 소비자에게는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농민에게는 소득을 증대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 의한 무경운 파종은 수확량이 우수하고 잡초 발생률이 낮으며 생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운행하기 위한 손잡이 등은 파종 장치를 끄는 기계, 동물에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파종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2모작이 이루어지는 농토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110...제1 륜 111...파종 바늘
130...제2 륜 131...구멍
133...플랜지 135...종자 수납통
137...종자 관 150...지지대
170...동기화 수단 171...제1 기어
173...제2 기어 175...체인
190...복토 수단 191...몸체부
193...연결축 195...탄성부
197...가이드 210...종자

Claims (11)

  1.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파종 바늘이 형성된 제1 륜(輪);
    상기 제1 륜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륜의 회전시 상기 파종 바늘에 의해 형성된 지면의 파종 홈에 종자를 뿌리는 제2 륜; 및
    상기 제1 륜의 축과 상기 제2 륜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파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륜의 폭은 상기 제2 륜의 폭보다 작은 파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륜은 외주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륜은 상기 제2 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flange)를 구비하는 파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륜의 원주 길이는 상기 제2 륜의 직경이 상기 제1 륜의 직경 이하인 범위 내에서 상기 파종 바늘의 간격의 체배수인 파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륜에서 상기 구멍의 간격은 상기 제1 륜에서 상기 파종 바늘의 간격과 동일한 파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륜의 회전시 상기 구멍이 상기 파종 홈에 정렬되도록 상기 제1 륜의 각속도와 상기 제2 륜의 각속도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수단을 포함하는 파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제1 륜의 축에 형성된 제1 기어;
    상기 제2 륜의 축에 형성된 제2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파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륜의 후방에서 상기 지면에 끌리는 복토 수단을 포함하는 파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륜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토 수단은,
    'U'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대에 연결시키는 연결축; 및
    일단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굴곡진 부위가 아래로 당겨지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파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어 손잡이 또는 트랙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파종 장치.
KR1020110102596A 2011-10-07 2011-10-07 파종 장치 KR10134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596A KR101347346B1 (ko) 2011-10-07 2011-10-07 파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596A KR101347346B1 (ko) 2011-10-07 2011-10-07 파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993A true KR20130037993A (ko) 2013-04-17
KR101347346B1 KR101347346B1 (ko) 2014-01-03

Family

ID=4843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596A KR101347346B1 (ko) 2011-10-07 2011-10-07 파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0888A (zh) * 2014-11-26 2015-03-04 董兆伟 一种手推式播种器的下籽装置
CN110754189A (zh) * 2019-10-21 2020-02-07 安徽嘉景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树苗培育用施肥设备
WO2021203506A1 (zh) * 2020-04-09 2021-10-14 丰疆智能软件科技(南京)有限公司 播种器及其播种方法以及带有播种器的农业机械
CN115299217A (zh) * 2022-09-01 2022-11-08 上海博哉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播种装置
CN117223442A (zh) * 2023-09-18 2023-12-15 东海绿泽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蔬菜工厂化育苗用精量播种装置及播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5382B (zh) * 2019-12-12 2020-12-25 绍兴市米莉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间歇性运动保证播种和填坑一体化的播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013B1 (ko) * 1989-09-21 1991-12-10 강우성 파종기
KR100352292B1 (ko) 2000-03-30 2002-09-12 문동길 점파식 자동파종기
KR200327932Y1 (ko) 2003-06-30 2003-09-26 구진섭 점파파종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0888A (zh) * 2014-11-26 2015-03-04 董兆伟 一种手推式播种器的下籽装置
CN104380888B (zh) * 2014-11-26 2016-01-20 董兆伟 一种手推式播种器的下籽装置
CN110754189A (zh) * 2019-10-21 2020-02-07 安徽嘉景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树苗培育用施肥设备
WO2021203506A1 (zh) * 2020-04-09 2021-10-14 丰疆智能软件科技(南京)有限公司 播种器及其播种方法以及带有播种器的农业机械
CN115299217A (zh) * 2022-09-01 2022-11-08 上海博哉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播种装置
CN115299217B (zh) * 2022-09-01 2024-05-03 山西滴滴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播种装置
CN117223442A (zh) * 2023-09-18 2023-12-15 东海绿泽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蔬菜工厂化育苗用精量播种装置及播种方法
CN117223442B (zh) * 2023-09-18 2024-05-03 东海绿泽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蔬菜工厂化育苗用精量播种装置及播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346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65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ll inter-row simultaneous application of herbicide and fertilizer, soil preparation, and seeding of a cover crop in a standing crop
CN203575033U (zh) 水稻覆膜旱种多功能直播机
KR101347346B1 (ko) 파종 장치
CN104838854A (zh) 一种无公害玉米高产种植方法
Toshpulatovic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BASIS OF POTATO DEVELOPMENT
EP1901600B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illage using ridges
CN104798561A (zh) 一种鸡毛菜全程机械化生产配套栽培方法
CN107114105A (zh) 一种用小麦压青技术修复花生连作障碍的方法
Singh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mechanical planters for planting of chickpea and pigeonpea
CN105165500A (zh) 水稻旱地及水地直播种植方法
RU244665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рганического возделывания зерновых
Koronka Machinery development for direct drilling
CN105210493B (zh) 玉米推茬清垄旋耕播种方法
RU166491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машина для чересполосного посева зерновых и ухода за всходами
EP2773177B1 (en) An agricultural machine provided with a displaceable implement section
Dixit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tractor-operated inclined plate and pneumatic planters
CN206620425U (zh) 免耕机
CN101288368A (zh) 一种芦笋种子机械化育苗技术
Kathirvel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lanters for cotton crop
CN104488518A (zh) 一种有机蔬菜的种植方法
CN212812693U (zh) 一种用于玉米合理密植的免耕错位播种机
CN110419405B (zh) 一种黑豆高产栽培方法及中耕除草装置
RU5993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почвы и направленного внесения основной дозы твердых 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при посеве
CN209845674U (zh) 一种高效率的牵引式精密免耕施肥播种机
RU2054229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сои на зерно на орошаемых земл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