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767A -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 - Google Patents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767A
KR20130037767A KR1020110102179A KR20110102179A KR20130037767A KR 20130037767 A KR20130037767 A KR 20130037767A KR 1020110102179 A KR1020110102179 A KR 1020110102179A KR 20110102179 A KR20110102179 A KR 20110102179A KR 20130037767 A KR20130037767 A KR 20130037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a
display member
nail
attached
taka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호 최
Original Assignee
상 호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 호 최 filed Critical 상 호 최
Priority to KR102011010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767A/ko
Publication of KR2013003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6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out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6Nails; Staples with barbs, e.g. for metal parts; Drive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타카못의 사용상태 및 타카에 충전해야 할 시점을 작업자로 하여금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타카못연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타카못이 일렬로 배열되어 서로 접합된 타카못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타카못연결체를 구성하는 타카못 중, 상기 타카못연결체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타카못에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타카못의 머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못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A tacking nail or tacking pin including indicator of charging time for tacker}
본 발명은 타카못 또는 타카핀의 충전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타카못 또는 타카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카(Tacker)에 삽입하여 사용 시 타카못 또는 타카핀이 소진된 상태 및 그 충전할 시점을 표시해 줄 수 있는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카(Tacker)는 사람의 힘이 아닌 에어(air) 또는 전자석의 압력을 이용하여 철심을 박는 장치로서, 그 일측에 설치된 매거진에 철심을 넣은 후 에어실린더 또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콘크리트 또는 목재로 된 벽면에 철심을 박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타카에 장전되는 타카못(11)은 낱개로 매거진에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도 1과 같이 여러 개가 일렬로 부착된 타카못연결체(10)의 형태로 제작되어 타카의 내부에 장전된다.
상기와 같은 타카못연결체(10)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카(4)의 매거진(4a) 내에 장전된 후, 사용 시 낱개로 분리되면서 타카못(11)이 전진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카(4)를 목재에 대하여 사용 시, 타카못(11)이 타카의 매거진(4a) 내에서 소진되게 되면, 타카(4)의 사용자는 그 소진 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즉, 타카(4)의 타격봉이 타카(4)의 선단보다 더 돌출된 상태까지 전진하여 강한 충격력으로 타카못(11)의 머리부를 때림으로써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카못(11)의 머리부가 목재(5)의 표면보다 더 아래까지 소정 깊이로 들어간 상태가 되고 목재(5)의 부스러기(5a)가 덮이게 된다. 이와 함께, 타카못(11)이 소진되어 매거진(4a) 내에 타카못(11)이 없는 상태에서도 상기 타격봉이 목재(5)의 표면을 때림으로써 목재(5)에 타카못(11)이 박힐 때와 동일한 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타카못(11)이 박힌 상태와 그렇지 않은 상태가 외관상으로 구별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타카(4)의 타격봉이 때린 부분에 타카못(11)이 박혀 있는지 여부를 자세히 관찰하지 않으면, 타카못(11)이 소진된 사실을 발견하는 시점이 늦어지고, 타카(4)의 타격봉에 의해 불필요한 흠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99348호(2001.11.09.공개)에는 도 2와 같은 타카(4)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타카(4)는 타카못(11)의 소진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매거진(4a)에 투시창(4b)을 형성하여 타카못(11)의 소진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그와 같은 구조의 타카(4)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기존에 사용하는 타카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타카못(11)의 머리부에 색상을 입힘으로써 타카못이 소진되는 시점에서 타카못(11)의 머리부의 색상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구성하는 방식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카못은 목재(5)의 표면으로부터 소정깊이까지 머리부가 파고든 상태로 박힘과 함께, 작업이 이루어지는 목재(5)의 표면에서 목재의 부스러기(5a) 등이 덮여 타카못(11)의 머리부의 색상을 구별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ㄷ”자 형상의 다수의 타카핀이 서로 밀착되어 접착되어 있는 다른 종류의 타카핀연결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타카(Tacker)에 사용될 수 있고, 타카못 또는 타카핀의 소진상태 및 타카에 타카못 또는 타카핀을 충전해야 할 시점을 작업자로 하여금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타카못 또는 타카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타카못이 일렬로 배열되어 서로 접합된 타카못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타카못연결체를 구성하는 타카못 중, 상기 타카못연결체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타카못에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타카못의 머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못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한 양 다리와 상기 양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머리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의 타카핀이 서로 밀착되도록 다수개가 접합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타카핀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타카핀연결체를 구성하는 타카핀 중, 상기 타카핀연결체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타카핀에는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연결머리부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핀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몸체부의 양단에 머리부와 첨단부가 형성된 타카못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머리부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못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한 양 다리와 상기 양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머리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의 타카핀에 있어서, 상기 연결머리부에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연결머리부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핀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카못은 타카의 타격봉에 의해 목재 내부까지 타카못의 머리부가 매몰된 상태에서도 표시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타카못의 소진상태 또는 충전시점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카못이 전부 소진된 상태에서 타카의 타격봉이 목재의 표면을 때림으로써 목재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타카못 또는 타카핀의 충전이 적기에 이루어져 타카작업도 연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카못의 머리부의 상면 및 측면까지 표시부재가 부착되거나 타카못의 몸체부에 부착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경우, 표시부재의 나머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타카못의 길이방향을 따라 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재의 날개부가 타카못의 몸체부로부터 크게 이격되지 않으므로 타카의 매거진에 장전 시 그 장전시키는 작업을 표시부재가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의 효과는 타카핀 및 그 연결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도 1은 종래의 타카못연결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타카(Tacker)의 사시도 및 타카못연결체의 결합도
도 3은 종래 타카못이 목재에 박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못연결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못이 목재에 박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타카못에 표시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재가 타카못의 머리부의 측면까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타카못에 표시부재가 부착된 구성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재가 부착된 하나의 타카못이 타카(Tacker)에 장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못에 표시부재가 부착되는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카핀연결체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카핀연결체의 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카핀이 목재에 박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타카핀에 표시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재가 부착된 하나의 타카핀과 그것과 함께 타카에 장착될 종래의 타카핀연결체에 대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못연결체(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카못연결체(20)는 다수의 타카못(21)이 일렬로 밀착하여 나열된 상태에서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타카못(21)은 머리부(21a), 몸체부(21b) 및 뾰족한 첨단부(21c)로 구성되어 있고, 그러한 다수의 타카못(21)이 일렬로 배열되어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타카에 장전되는 타카못연결체(20)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타카못연결체(20)에서 상기 타카못연결체(20)를 구성하는 타카못(21) 중, 상기 타카못연결체(2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타카못(21)에 표시부재(31)가 부착된다.
상기 표시부재(31)는 타카못연결체(20)가 타카(4)에 장전되어 사용될 때, 타카못(21)의 잔류량이 감소되어 타카못(21)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재(31)는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띠형상의 일단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타카못(21)의 머리부(21a)의 윗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31a)와, 상기 타카못(21)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일단부인 날개부(31b)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31a)는 머리부(21a)의 측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재(31)는 다수의 타카못(21)이 연결되어 있는 타카못연결체(2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부착된다. 반드시 타카못연결체(20)의 측단부에 위치하는 타카못(21)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측단부에 위치하는 타카못(21) 즉, 측방향으로 맨 끝에 위치하는 타카못(21)에 부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재(31)는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닐 등 합성수지, 고무, 종이 재질 등이 적합하다. 표시부재(31)를 머리부(21a)에 부착할 때에는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고, 빨강, 파랑 등 목재와 명확히 구별될 수 있는 색소를 첨가하여 작업자가 표시부재(31)의 존재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타카못(21)이 목재(5)에 박힌 상태를 도시한다. 그 상태에서 타카못(21)의 머리부(21a)에 표시부재(31)의 일단이 부착된 상태이고, 나머지 부분은 목재(5)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재(31)의 출현을 발견하면, 타카(4)에 타카못연결체(20)를 충전할 시점임을 인식하게 되고, 타카못연결체(20)를 추가적으로 충전하게 된다.
타카못(21)의 머리부(21a)에 매달려 있는 표시부재(31)는 사용자가 당겨 끊어 내거나 뽑아냄으로써 작업대상물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타카못연결체(2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복수의 타카못(21~23)에 표시부재(32)가 부착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표시부재(32)는 복수개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타카못(21~23)의 머리부에 부착되어 있으나, 각각의 타카못(21~23)과 함께 개별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시부재(32)에 칼집 또는 자름선(32d)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타카(4)에서 타격봉이 전진하여 하나의 타카못(23)의 머리부를 때리면, 전진하는 타카못(23)의 표시부재(32)와 남아있는 타카못(22)에 부착된 표시부재(32)가 칼집 또는 자름선(32d)에 의해 쉽게 찢어서 분리된다. 상기 구성은 타카못연결체(20′)가 거의 소진되는 시점에서 여러 차례 표시부재(32)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소진상태를 인식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표시부재(32)는 사전에 서로 분리하여 각각의 타카핀(21~23)에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은 표시부재(33)가 타카못(21)의 머리부(21a)의 측면까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타카못(21)의 머리부(21a)의 상면에 일단부가 부착된 띠형상의 표시부재(33)는 도 7에서 “b"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는 머리부(21a)의 일측면에도 부착되어 부착부(33a)가 머리부(21a)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표시부재(33)의 날개부(33b)가 타카못(21)의 외측방향이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지 않는다. 즉, 타카못(21)의 머리부(21a)의 측면이 표시부재(33)를 잡고 있으므로, 타카못(21)의 몸체부(21b)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지런히 늘어진 상태로 표시부재(33)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타카(4)의 매거진(4a)에 타카못(21)을 장전 시 돌출되는 표시부재(33)로 인해 그 장전상태가 방해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8은 하나의 타카못(21)에 표시부재(33)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부(21b)의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21a)에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재(33)가 부착된다. 상기 표시부재(33)는 부착부(33a)에 해당하는 일단이 상기 머리부(21a)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타카못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날개부(33b)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재(33)가 부착된 하나의 타카못(21)을 사용하는 방법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타카(4)의 매거진(4a)에 타카못을 장전하는 경우, 종래의 타카못연결체(10)와 함께 최하부에 표시부재(33)가 부착된 하나의 타카못(21)이 장전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타카못연결체(10)가 소진된 후에는 표시부재(33)가 부착된 타카못(21)이 전진하여 목재(5)에 박히게 되므로, 타카못연결체(10)의 소진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0은 타카못(21)에 표시부재(33)를 부착하는 전술한 구성을 변형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 내지 (C)에서는 표시부재(33) 중 부착부(33a)와 상기 날개부(33d) 사이에 타카못(21)의 몸체부(21b)에 부착되는 부분(33c)이 존재한다. 그 접착을 위해서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의 (a)는 머리부(21a)의 윗면에 표시부재(33)의 부착부(33a)가 형성되고, 다른측 일단부에 부착되지 않은 날개부(33d)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몸체부(21b)에 부착된 부분(33c)이 존재한다.
도 10의 (b)는 표시부재(33)의 부착부(33e)가 타카못(21)의 머리부(21a)의 측면에 형성된 구성이고, 도 10의 (c)는 표시부재(33)의 중간부분이 머리부(21a)에서 부착부(33e)를 형성하고, 타카못(21)의 양측에 날개부(33d)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한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재(33) 중 부착부(33a)와 상기 날개부(33d) 사이에 타카못(21)의 몸체부(21b)에 부착되는 부분(33c)이 존재함으로써, 표시부재(33)가 타카못(21)으로부터 크게 이격되지 않고, 타카못(21)의 몸체부(2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리된 상태로 표시부재(33)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카(4)의 매거진(4a)에 타카못(21)을 장전 시 돌출되는 표시부재(33)로 인해 그 장전상태가 방해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카못(21)을 타카(4)에 장전하여 목재에 박게 되면, 상기 표시부재(33) 중 몸체부(21b)에 부착되는 부분(33c)은 목재에 타카못(21)이 박히는 과정에서 목재가 강하게 밀어 올리게 되므로 몸체부(21b)로부터 분리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타카못(21)뿐 아니라 타카못연결체(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종류의 타카에 사용되는 타카핀연결체(60)에 표시부재(34)가 부착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타카핀연결체(6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타카핀연결체(60)에서 표시부재(34)가 부착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타카핀연결체(60)를 구성하는 타카핀(61)은 서로 평행한 양 다리(61b,62c)와 상기 양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머리부(61a)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카핀연결체(60)는 그와 같은 타카핀(61)이 서로 밀착되도록 다수개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타카핀연결체(6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표시부재(34)도 타카핀연결체(60)를 구성하는 타카핀(61)중, 상기 타카핀연결체(6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타카핀(61)에 부착된다.
상기 표시부재(34)는 반드시 측단부에 위치하는 타카핀(61)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측단부에 위치하는 타카핀(61) 즉, 측방향으로 맨 끝에 위치하는 타카핀(61)에 설치되는 것이 적정한 충전시점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표시부재(34)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질의 재료로써 합성수지, 고무, 종이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재(34)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상기 타카핀의 연결머리부(61a)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34a)와, 상기 타카핀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34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재(34)는 양 다리(61b,62c)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다리(61b)의 표면 중 상기 연결머리부(61a)와 인접하고 있는 상단의 표면영역(b)에 상기 표시부재(34)의 일부분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재(34)의 나머지부분은 타카핀(61)의 표면에서 분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리(61b)의 상단의 표면영역(b)과 표시부재(34)의 부착으로 인해 다리(61b)의 측면에서 표시부재(34)를 잡아주고 있으므로 표시부재(34)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표시부재(34)가 타카핀(61)의 다리(61b)와 나란히 정리된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타카(4)의 매거진(4a)에 장전하는 작업이 표시부재(34)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타카핀(61)이 목재(5)에 박힌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타카핀(61)의 연결머리부(61a)에 표시부재(34)의 부착부(34a)가 부착된 상태이고, 나머지 날개부(34b)는 목재(5)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타카핀(61)의 소진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참고로, 타카핀(61)이 목재(5)에 박히는 과정에서 다리(61b)의 상단의 표면영역(b)과 부착된 표시부재(34)의 부분은 목재(5)가 밀어올리게 되므로 다리(61b)에서 분리되게 된다.
도 14는 타카핀연결체(60′)에 부착되는 표시부재(35)가 서로 인접하는 다수의 타카핀(61~63)에 부착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부재(35)는 복수개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타카핀(61~63)의 연결머리부에 부착되어 있으나, 각각의 타카핀(61~63)과 함께 개별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부재(35)에 칼집 또는 자름선(35d)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타카(4)에서 타격봉이 전진하여 하나의 타카핀(63)의 연결머리부를 때리면, 전진하는 타카핀(63)의 표시부재와 남아있는 타카핀(62)에 부착된 표시부재(35)가 칼집 또는 자름선(35d)에 의해 쉽게 찢어져 분리된다.
상기 구성은 타카핀연결체(60′)가 거의 소진되는 시점에서 여러차례 표시부재(35)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그 상태를 인식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표시부재(35)는 사전에 서로 분리하여 각각의 타카핀(61~63)에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5는 하나의 타카핀(61)에 표시부재(34)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그와 같이 표시부재(34)가 부착된 하나의 타카핀(61)을 사용하는 방법은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표시부재(33)가 부착된 하나의 타카못(21)이 장전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즉, 종래의 타카핀연결체(50)가 장전되는 매거진의 하부에 장전되어 종래의 타카핀연결체(50)가 모두 소진된 후에 표시부재(34)가 나타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4; 타카 4a; 매거진
4b; 투시창 5; 목재
5a; 부스러기 10,20,20′,20″; 타카못연결체
11,21,22,23; 타카못 21a; 머리부
21b; 몸체부 21c; 첨단부
31,32,33,34,35; 표시부재 31a,33a,33e,34a; 부착부
31b,33b,33d,34b; 날개부 32d,35d; 자름선
50,60,60′; 타카핀연결체 61,62,63; 타카핀
61a; 연결머리부 61b,62c; 다리

Claims (14)

  1. 다수의 타카못이 일렬로 배열되어 서로 접합된 타카못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타카못연결체를 구성하는 타카못 중, 상기 타카못연결체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타카못에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타카못의 머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못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연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종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연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머리부 중 윗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연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와 상기 날개부 사이에는
    상기 머리부 하측에 있는 상기 타카못의 몸체부에 상기 표시부재가 일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연결체
  5. 서로 평행한 양 다리와 상기 양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머리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의 타카핀이 서로 밀착되도록 다수개가 접합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타카핀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타카핀연결체를 구성하는 타카핀 중, 상기 타카핀연결체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타카핀에는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연결머리부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핀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연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종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연결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 다리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다리의 표면 중, 상기 연결머리부와 인접하고 있는 상단의 표면에 상기 표시부재의 일부분이 부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연결체
  8. 몸체부의 양단에 머리부와 첨단부가 형성된 타카못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머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못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종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머리부 중 윗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와 상기 날개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에 상기 표시부재가 일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
  12. 서로 평행한 양 다리와 상기 양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머리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의 타카핀에 있어서,
    상기 연결머리부에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연결머리부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타카핀에 부착되지 않은 일단부인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종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양 다리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다리의 표면 중, 상기 연결머리부와 인접하고 있는 상단의 표면에 상기 표시부재의 일부분이 부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KR1020110102179A 2011-10-07 2011-10-07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 KR20130037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179A KR20130037767A (ko) 2011-10-07 2011-10-07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179A KR20130037767A (ko) 2011-10-07 2011-10-07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767A true KR20130037767A (ko) 2013-04-17

Family

ID=4843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179A KR20130037767A (ko) 2011-10-07 2011-10-07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7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37671S1 (en) Golf club head
TW200743514A (en) Golf club head
US20140162810A1 (en) Golf tee set
WO2005065312A3 (en) Golf club having stepped grooves
CN204566064U (zh) 一种用于钉钉的铰接式定位锤
CN102728038A (zh) 具有带的高尔夫球杆头护套及制造高尔夫球杆头护套的方法
US9682467B2 (en) Nail-driving hammer
KR20130037767A (ko)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또는 타카핀
US20060048608A1 (en) Side-load nail holding hammer
US9220961B1 (en) Golf tee
KR101343295B1 (ko) 타카 사용을 위한 충전시점 표시부재를 구비한 타카못 및 타카핀
US6585143B1 (en) Anchor setting device
CN207493147U (zh) 一种羽毛球拍框
KR101422324B1 (ko) 못 뽑기장치
KR100601735B1 (ko) 파이프 박음 장치의 구조
US3087728A (en) Breakable simulated golf club
JP4136035B2 (ja) ソフトテニスボール
CN206309726U (zh) 一种气钉
JP2006296508A (ja) ゴルフ練習用マ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ゴルフ練習用マット・クラブセット
CN207493148U (zh) 一种羽毛球拍侧框护套及羽毛球拍
CN211961086U (zh) 可拆装跳高护钉鞋底
KR101933319B1 (ko) 셔틀콕 정돈기
KR200474120Y1 (ko) 보호벽 망치
JP3163800U (ja) ゴルフ用ティー
CN210698698U (zh) 一种一体化成型碳纤维曲棍球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