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319B1 - 셔틀콕 정돈기 - Google Patents

셔틀콕 정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19B1
KR101933319B1 KR1020170122176A KR20170122176A KR101933319B1 KR 101933319 B1 KR101933319 B1 KR 101933319B1 KR 1020170122176 A KR1020170122176 A KR 1020170122176A KR 20170122176 A KR20170122176 A KR 20170122176A KR 101933319 B1 KR101933319 B1 KR 101933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inlet side
outlet side
arrang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102017012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의 깃털을 손쉽고 빠르게 정리 정돈할 수 있는 셔틀콕 정돈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으로 셔틀콕이 통과할 수 있는 셔틀콕 삽입홀이 형성되되, 셔틀콕을 셔틀콕 삽입홀에 삽입하기 위한 입구측은 연장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출구측에는 연장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정리홈 및 정리턱이 번갈아가면서 형성되되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셔틀콕 정리부가 형성되어 있어, 입구측으로 셔틀콕을 통과시키는 과정만으로도 꺽이거나 접혀진 셔틀콕의 깃털을 입, 출구측 및 셔틀콕 정리부에서 정리 정돈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셔틀콕의 정돈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셔틀콕 정돈기{A Tool for Arranging Shuttle-cock}
본 발명은 셔틀콕의 깃털을 손쉽고 빠르게 정리 정돈할 수 있는 셔틀콕 정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테니스와 같이 코트 중앙에 설치된 네트를 사이에 두고, 라켓으로 셔틀콕(Shuttlecock)을 쳐서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득점을 겨루는 것이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1:1로 행하는 단식과 2:2로 행하는 복식이 있으며 레크리에이션으로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다.
한편, 상술한 셔틀콕은 다양한 형태로서 제작이 되는데, 일반적으로 새의 깃털을 반구상의 코르크로 이루어진 헤드에 꽂은 것으로 무게는 4.5∼5.5g이고, 코르크의 지름은 2.5∼2.8cm이며, 깃털의 수는 16장, 깃털 끝에서 헤드 상부면까지의 길이는 6.4∼7.0cm여야 하며, 깃털 끝의 지름은 58~68mm, 헤드의 상부면과 깃털의 외주면은 65°~75°정도의 각을 갖게 되고, 최고속도는 320km/h이며, 경기자가 코트의 한쪽 끝에서 언더핸드로 쳐서 반대편 백바운더리 라인 안쪽의 53~99cm 사이에 떨어져야 한다.
(특허문헌 1) KR10-1309330 B1 인조킷털을 이용한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한편, 상기와 같은 셔틀콕은 배드민턴 경기를 하는 과정에서 깃털부분이 부러지거가 꺾이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경우 손으로 파손된 부분의 제거하거나 또는 깃털을 일일히 손질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손질작업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어 대부분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설령 작업을 할 경우 간혹 손가락에 잔량이 깃털이 묻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돈기는 셔틀콕을 통과시키기만 하여도 깃털의 정리정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셔틀콕 정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입구측으로 셔틀콕을 통과시키는 과정만으로도 꺽이거나 접혀진 셔틀콕의 깃털을 입, 출구측 및 셔틀콕 정리부에서 정리 정돈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되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입구측(A)과 출구측(B)이 관통되어 셔틀콕(1)을 통과시킬 수 있는 셔틀콕 삽입홀(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입구측(A)의 삽입홀(10) 직경은 셔틀콕(1)의 헤드(1a)부분은 그냥 통과하되 깃털부분(1b)이 통과할 때에는 눌려서 접힐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도록 하되 출구측(B)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출구측(B)은 입구측(A)에서 연장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정리홈(21)과 정리턱(22)으로 이루어진 셔틀콕 정리부(20)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특히, 상술한 셔틀콕 정리부(20)의 정리턱(22)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셔틀콕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턱(22a)이 더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돈기(50)를 이용한 셔틀콕의 정리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돈기(50)를 이용하여 셔틀콕(1)의 깃털부분(1b)을 정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셔틀콕 정돈기(50)의 입구측(A)에 형성된 셔틀콕 삽입홀(10)에 셔틀콕(1)의 헤드(1a)를 삽입한다.
그러면, 셔틀콕(1)의 헤드(1)가 입구측(A)의 셔틀콕 삽입홀(10)을 통과하면 셔틀콕(1)의 깃털부분(1b)이 입구측(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접히게 되어 서로 벌어져 있는 깃털부분(1b)을 모아줌으로써 벌어진 부분을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입구측(A)을 통과한 셔틀콕(1)의 깃털부분(A)은 입구측(A)과 출구측(B) 사이의 최대 직경을 형성하고 있는 구간을 지나게 된 후 다시 직경이 작아지는 출구측(B)으로 이동되어 깃털부분(B)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만약, 입구측(A)에서 출구측(B)으로 이어지는 셔틀콕 삽입홀(10)이 셔틀콕(1)의 깃털부분(1b)을 모아줄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만 이루어졌을 경우 셔틀콕 삽입홀(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깃털부분(1b)이 계속 눌려지게 되어 깃털부분(1b)이 눌려지는 힘에 의해 부러지거나 부러지지는 않더라도 재생이 되지 않아 펼쳐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셔틀콕 삽입홀(10)이 입구측(A)에서 연장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입구측(A)과 출구측(B) 사이의 최대 직경을 통과한 깃털부분(1b)은 다시 직경이 작아지는 출구측(B)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출구측(B)에는 정리홈(21)과 정리턱(22)이 번갈아 가면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셔틀콕 정리부(20)을 통과하게 되면서 깃털 사이사이에서 부러져 있던 깃털들이 정리홈(21)에 의해 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셔틀콕 정리부(20)의 정리턱(22)에는 걸림턱(22a)이 형성되어있어 셔틀콕(1)의 깃털부분(1b)을 쓸어내리면서 정렬시켜 주어 사용자가 손쉽게 셔틀콕(1)의 깃털부분(1b)을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 : 셔틀콕
A : 입구측 B : 출구측
10 : 셔틀콕 삽입홀
20 : 셔틀콕 정리부
21 : 정리홈 22 : 정리턱 22a : 걸림턱
50 : 셔틀콕 정돈기

Claims (2)

  1.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으로 셔틀콕(1)이 통과할 수 있는 셔틀콕 삽입홀(10)이 형성되되, 셔틀콕(1)을 셔틀콕 삽입홀(10)에 삽입하기 위한 입구측(A)은 출구측(B)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입구측(A)과 연결된 출구측(B)에는 연장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정리홈(21) 및 정리턱(22)이 번갈아가면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셔틀콕 정리부(20)가 형성되어 있어, 셔틀콕(1)을 입구측(A)에서 출구측(B)으로 통과시켜 셔틀콕(1)의 깃털부분(1b)이 셔틀콕 정리부(20)를 통과하면서 정리되되,
    상기 입구측(A)의 셔틀콕 삽입홀(10)의 직경은 셔틀콕(1)의 헤드(1a)부분은 그냥 통과하고 깃털부분(1b)이 통과할 때에는 눌려서 접힐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셔틀콕 정리부(20)를 구성하는 정리턱(22)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셔틀콕(1)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턱(22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셔틀콕 정돈기.
  2. 삭제
KR1020170122176A 2017-09-22 2017-09-22 셔틀콕 정돈기 KR101933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76A KR101933319B1 (ko) 2017-09-22 2017-09-22 셔틀콕 정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76A KR101933319B1 (ko) 2017-09-22 2017-09-22 셔틀콕 정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319B1 true KR101933319B1 (ko) 2018-12-28

Family

ID=6500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176A KR101933319B1 (ko) 2017-09-22 2017-09-22 셔틀콕 정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3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645A (ja) * 2004-02-02 2005-08-11 Nobuo Nanaumi シャトルコック供給器具
JP2005305066A (ja) 2004-04-19 2005-11-04 Nobuo Nanaumi シャトルコック引き出し部分の開閉装置
KR100665336B1 (ko) 2005-05-11 2007-01-09 주식회사 장학산업 셔틀콕 공급장치
JP3897707B2 (ja) 2003-01-31 2007-03-28 松澤 博 練習用シャトルコック保持具
JP2011115247A (ja) 2009-12-01 2011-06-16 Satoe Nakahara 肩掛け型バドミントン練習用球出し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7707B2 (ja) 2003-01-31 2007-03-28 松澤 博 練習用シャトルコック保持具
JP2005211645A (ja) * 2004-02-02 2005-08-11 Nobuo Nanaumi シャトルコック供給器具
JP2005305066A (ja) 2004-04-19 2005-11-04 Nobuo Nanaumi シャトルコック引き出し部分の開閉装置
KR100665336B1 (ko) 2005-05-11 2007-01-09 주식회사 장학산업 셔틀콕 공급장치
JP2011115247A (ja) 2009-12-01 2011-06-16 Satoe Nakahara 肩掛け型バドミントン練習用球出し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39862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199B2 (en) Dog fetch toy
US8918943B2 (en) Apparatus for cleaning golf clubs
US8534726B2 (en) Table tennis ball collector and dispenser
US7951022B2 (en) Racket and projectile game
CN105283229B (zh) 球拍及护线管
US4512573A (en) Hockey stick having a U-shaped head
US20060063616A1 (en) Ball retrieval device
US200900757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owing and Catching
CN102728038A (zh) 具有带的高尔夫球杆头护套及制造高尔夫球杆头护套的方法
KR100885536B1 (ko) 미끄럼 방지 보조그립
KR101933319B1 (ko) 셔틀콕 정돈기
DE2117297A1 (de) Übungsgerät für Golfspieler
KR101720256B1 (ko) 거리별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US20210268338A1 (en) Sports ball, bat, and associated methods
US5653441A (en) Racket string comb
US7198574B2 (en) Putter with integral ball retriever
WO2010117104A1 (en) Golf tee
KR200442049Y1 (ko) 배드민턴 셔틀콕
WO2017098761A1 (ja) 球技の打数記録ツール
US5788590A (en) Stick game toy
CN209900657U (zh) 高尔夫练习器
US20030141664A1 (en) String and bead game
KR101169667B1 (ko) 골프클럽용 심줄인출장치
CN207493148U (zh) 一种羽毛球拍侧框护套及羽毛球拍
JP2023007270A (ja) パドルラケット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