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393A -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393A
KR20130037393A KR1020110101776A KR20110101776A KR20130037393A KR 20130037393 A KR20130037393 A KR 20130037393A KR 1020110101776 A KR1020110101776 A KR 1020110101776A KR 20110101776 A KR20110101776 A KR 20110101776A KR 20130037393 A KR20130037393 A KR 20130037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chemical
uni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159B1 (ko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동서그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그린산업 filed Critical (주)동서그린산업
Priority to KR102011010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1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6Devices for generating heat, smoke or fog in gardens, orchards or forests, e.g. to prevent damage by frost
    • A01G13/065Frost protection by generating fog or by spray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28Centrifugal spr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과 타측에 공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와 토출구를 상호 연통하는 중공이 마련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구동모터가 마련된 송풍부와, 본체의 토출구 측에 설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분사노즐에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부가 마련된 분사유닛과, 본체의 토출구 측에 설치되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를 구비하고, 풍향조절부는 본체의 토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해 공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가이드깃과,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다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는 본체의 토출구 측에 설치된 풍향조절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확산되므로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광범위한 지역에 공기를 송풍하거나 약액을 분무할 수 있으므로 본체를 회전시키는 데 소요되는 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는 약액을 과수에 분무하여 방제효과 뿐만 아니라, 제어부에 의해 약액의 분산를 중단하고 과수원에 바람만을 송풍할 수 있으므로 서리방지, 과수원 지역의 온도 하강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anti-prost and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원과 같은 지역에 바람을 송풍시켜 서리의 발생을 방지하고, 과수원에 약액을 살포하는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나무는 주변환경 및 온도변화에 의하여 과일의 수확량 및 품질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이거나 표고가 비교적 높은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온도변화가 심하고 냉기류의 유입이 많으므로 과수의 관리에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경우 과수는 봄에 개화하여 가을에 열매를 맺어 수확하게 되는데, 개화기의 과수관리는 열매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한해 농사의 성폐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과일나무의 싹이 트고 개화되는 시기인 4~5월경 지표부근에는 복사냉각에 의해 차가운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이 시기에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 야간에 기온이 빙점 아래로 떨어지면 대기 중의 수분이 얼음결정으로 변하면서 서리가 내리고, 이러한 서리에 의해 과일나무에 동해가 발생할 수 있다.
과일나무가 개화시기에 동해를 입으면 꽃이 열리지 않거나 열려도 발육이 좋지 않아 수정률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과일의 수확량이 감소되고, 품질이 저하된다.
과일나무의 개화시기에 온도가 낮아져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과일나무 주변에 불을 피워 서리 피해를 방지하였으나 불을 피우면 공해물질 및 냄새가 주변의 주택가로 번지는 단점 등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송풍기를 이용한 방법은 송풍기의 회전범위 및 상하방향의 회동범위가 제한적으로어 송풍면적이 작으며, 단지 바람만을 과일수에 공급하므로 과일나무의 병해를 예방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204호에서는 '광역 분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광역분무장치는 차량에 안정되게 고정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장치의 상측에 고정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이 입구측에 설치되고 출구측에 분사노즐이 고정되며 길이 가변되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에 약액을 고압으로 공급하는 고압 분무기과, 상기 고압 분무기에 공급되는 약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광역분무장치는 과수원과 같은 광범위한 지역에 송풍 및 약액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야하므로 번거러우며, 분사관 및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해 다량의 동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역분무장치는 부피가 커서 다수의 과일나무들이 식재된 과수원에 진입이 어려워 광범위한 과수 방제가 어려우며, 차량탑재형으로 대형 과수에는 적용가기 어렵고, 장치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광범위한 지역에 송풍 및 약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본체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바람을 확산시키는 풍향조절부가 마련되며,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한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는 일측과 타측에 공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상호 연통하는 중공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구동모터가 마련된 송풍부와, 상기 본체의 토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상기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부가 마련된 분사유닛과, 상기 본체의 토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토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가이드깃과,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통풍구가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깃들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직경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회전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되, 상호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깃들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상호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깃들은 상기 회전프레임에, 상기 회전프레임의 직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가이드깃들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깃들을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직경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깃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링크와, 상기 링크를 상기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측에 상기 본체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본체를 회동시키는 각도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의 궤적을 따라 기어이가 형성된 제1치합부재와, 상기 제1치합부재에 치합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치합부재와, 상기 제2치합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는 본체의 토출구 측에 설치된 풍향조절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확산되므로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광범위한 지역에 공기를 송풍하거나 약액을 분무할 수 있으므로 본체를 회전시키는 데 소요되는 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는 약액을 과수에 분무하여 방제효과 뿐만 아니라, 제어부에 의해 약액의 분산를 중단하고 과수원에 바람만을 송풍할 수 있으므로 서리방지, 과수원 지역의 온도 하강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향조절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향조절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100)는 지면에 설치된 지주(202)와, 지주(202)의 상측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201)과, 베이스프레임(201)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후방면에 유입구(301)가 형성되고, 전방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302)가 마련된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에 설치되어 토출구(302)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400)와, 토출구(302)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에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유닛(500)과, 본체(300)의 토출구(302) 측에 설치되어 토출구(3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600)를 구비한다.
지주(202)는 본체(300)를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지주(202)는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미도시)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플랜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201)은 지주(202)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프레임(201)의 상면에는 본체(30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본체(30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입구(301) 및 토출구(302)를 상호 연결하는 중공(303)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본체(300)는 후술되는 분사유닛(500)의 제1관부재(525)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전단부 외주면에 설치판(304)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판(304)은 본체(3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본체(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송풍부(400)는 본체(300)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구동모터(401)와, 팬구동모터(401)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토출구(302)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402)을 구비한다.
팬구동모터(401)는 회전축이 본체(300)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도록 제1브라켓(403)에 의해 본체(300)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된다. 이때, 팬구동모터(401)는 송풍팬(402)이 설치된 회전축이 본체(3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본체(300)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402)은 본체(300)의 유입구(301)를 통해 외기를 본체(300) 내부로 흡입하고, 본체(300)의 토출구(30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분사유닛(500)은 토출구(302) 측의 본체(300)에 설치되어 송풍팬(40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10)과, 분사노즐(510)에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부(520)를 구비한다.
분사노즐(510)은 본체(300)의 설치판(304)에 설치된 후술되는 약액공급부(520)의 제1관부재(525)의 전방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본체(300)의 전방으로 약액을 분사한다. 이때, 분사노즐(510)은 다수개가 제1관부재(525)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분사노즐(510)의 분사구가 본체(300)의 전방을 향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분사노즐(51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분사구가 본체(300)의 중심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약액공급부(520)는 내부에 약액이 수용된 약액탱크(523)와, 내부에 물이 수용된 물탱크(550)와, 분사노즐(510)과 약액탱크(523) 및 물탱크(550)에 연통되게 연결된 공급관(521)과, 공급관(521)에 설치되어 약액탱크(523) 내에 수용된 약액 및 물탱크(550) 내의 물을 분사노즐(510)로 펌핑하는 공급펌프(522)와, 공급관(521)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521)을 개폐하는 개폐밸브(524)를 구비한다.
약액탱크(523)는 본체(300)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내부에 약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다. 약액탱크(523) 내에 수용되는 약액은 과일나무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제나 과일나무에 기생하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살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550)는 본체(300)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물탱크(550) 내에 수용된 물은 공급관(521) 내에서 약액과 혼합되어 분사대상 과일나무에 적합하게 약액의 농도를 낮춘다.
공급관(521)은 본체(300)의 설치판(304)에 설치되는 제1관부재(525)와, 제1관부재(525)와 약액탱크(523)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관부재(526)를 구비한다.
제1관부재(525)는 본체(300)의 설치판(304)에 대응되게 환형으로 연장형성되어 설치판(304)의 전면에 고정설치된다. 제1관부재(525)는 내부에 약액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로 형성되며, 전방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분사노즐(510)이 설치되어 있다.
제2관부재(526)는 일단이 제1공급관(521)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분기관(555,556)으로 분기된다. 제1분기관(555)은 약액탱크(523)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용이하게 내부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차단밸브(557)가 설치된다. 제2분기관(556)은 물탱크(550)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용이하게 내부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2차단밸브(558)가 설치되어 있다.
제2공급관(521)은 작업자가 본체(300)를 이동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밸브(524)는 제1관부재(525)와 공급펌프(522) 사이 및 공급펌프(522)와 약액펌프 사이의 제2관부재(526) 설치되어 제2관부재(526)를 개폐한다. 개폐밸브(524)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액탱크(523) 내에 수용된 약액 및 물탱크(550) 내에 수용된 물은 공급펌프(522)에 의해 펌핑되어 제2공급관(521)을 통해 제1공급관(521)으로 공급된다. 제1공급관(521)으로 공급된 물과 약액의 혼합액은 제1공급관(521)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510)에 의해 본체(300)의 전방으로 분사된다. 분사노즐(510)에 의해 분사된 혼합액은 토출구(3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과수원에 분무된다.
한편, 분사유닛(500)은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송신하는 약액분무신호 또는 서리방지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530)와, 통신부(5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개폐밸브(524) 및 공급펌프(522)를 제어하는 제어부(540)를 구비한다.
통신부(53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단말기를 구비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는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컴퓨터, 휴대폰 또는 피디에이(PDA)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신부(530)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통신부(53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540)는 통신부(530)를 통해 약액분무신호가 수신될 경우, 과수원과 같은 약액분무 대상지역에 공기의 송풍과 함께 혼합액이 분무될 수 있도록 공급펌프(522)를 작동시키며, 공급관(521)이 개방되도록 개폐밸브(524)를 제어한다. 통신부(530)를 통해 서리방지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약액분무 대상지역에 공기만 송풍될 수 있도록 공급펌프(522)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공급관(521)이 폐쇠되도록 개폐밸브(52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40)는 제1 및 제2차단밸브(557,558)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분기관(555,556)의 개폐를 제어하여 분사노즐(510)에 의해 분사되는 혼합액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통신부(530)를 통해 원거리에서 제어부(540)를 조절하여 혼합액의 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관리자는 통신부(530) 및 제어부(540)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개폐밸브(524) 및 공급펌프(522)를 제어하여 약액분무 대상 지역에 서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만을 송풍하거나 과일나무에 약액을 공급하기 위해 약액을 분무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600)는 토출구(302) 측 본체(300)에, 지지유닛(620)에 의해 송풍팬(402)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깃(630)과,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40)를 구비한다.
회전프레임은 본체(300)의 토출구(302) 측 내부에 설치되며, 송풍부(40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통풍구가 마련될 수 있도로 환형으로 형성된다. 회전프레임은 회전시 본체(30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본체(3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유닛(620)은 회전프레임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구동부(640)의 전기모터(641)의 회전축에 고정된 고정부재(621)와, 양단이 각각 고정부재(621)와 회전프레임의 내주면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부재(621)에 회전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지지부재(미도시)와, 상기 고정부재(621)를 본체(3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623)을 구비한다.
고정부재(621)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되며, 후면은 지지브라켓(62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부재(621)의 양측면에는 지지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지지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고정부재(621)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부재(621)의 양측면에 대향되는 회전프레임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지지브라켓(623)은 고정부재(621)에 대향되는 위치의 본체(300) 내에 위치하는 지지블럭(624)과, 지지블럭(624)을 본체(300) 내부에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암(625)을 구비한다.
지지블럭(624)은 본체(300) 내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면 고정부재(62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암(625)은 일단은 지지블럭(624)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30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가이드깃(630)들은 송풍팬(40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회전프레임의 직경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회전프레임에 각각 고정된다. 가이드깃(63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경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양단은 회전프레임의 내주면에 각각 고정된다. 다수의 가이드깃(630)은 상호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가이드깃(630)은 송풍팬(40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해 공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공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402)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는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깃(630)에 의해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므로 약액분무 대상에 대한 공기의 송풍범위가 확장된다.
한편, 도 3에는 가이드깃(63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깃(630)들은 본체(300) 내의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각도가 상호 상이하게 형성되되, 회전프레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경사각이 커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깃(630)들의 경사각이 상호 상이하므로 송풍팬(402)으로부터 송풍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다양한 방향으로 가이드되므로 약액분무 대상에 대한 공기의 송풍범위가 보다 더 확장되며, 송풍되는 공기에 분사된 약액의 분무효율도 향상된다.
구동부(640)는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641)와, 전기모터(641)가 본체(300)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전기모터(641)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을 구비한다.
전기모터(641)는 회전축이 고정부재(621)의 후면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킨다.
제2브라켓은 일단은 전기모터(641)의 상하측 외주면에, 타단은 전기모터(641)의 상하측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본체(300) 내주면에 각각 고정되어 전기모터(641)를 본체(300) 내부에 지지한다. 이때, 제2브라켓은 전기모터(641)의 회전축이 본체(300)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팬(402)을 작동시키면, 본체(300)의 유입구(30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본체(300)의 중공(303)을 통과하여 토출구(302)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되는 공기에 분사유닛(500)을 통해 약액을 분사하여 과일나무가 식재된 과수원과 같은 약액분무 대상 지역에 약액을 분무한다.
이때, 송풍팬(402)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는 풍향조절부(600)의 가이드깃(630)에 의해 가이드되어 본체(3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산되므로 광범위한 지역에 약액을 분무시킬 수 있다.
또한, 약액분무 대상지역에 서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약액분무 대상지역에 공기만을 송풍할 수 있도록 관리자는 통신부(530) 및 제어부(540)를 통해 개폐밸브(524) 및 공급펌프(52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향조절부(6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깃(630)들은 회전프레임에, 송풍팬(40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풍향조절부(600)는 가이드깃(630)들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깃(630)들을 회동시키는 회동부(700)를 더 구비한다.
회동부(700)는 가이드깃(630)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링크(710)와, 링크(710)를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720)를 구비한다.
링크(7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링크(710)는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깃(630)들의 전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깃(630)은 중앙부분이 회전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전단부가 링크(7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710)는 이동부(7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621)에 대향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고정부재(621)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720)는 고정부재(621)의 전면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액츄에이터이다. 이동부(720)의 피스톤 단부는 링크(710)의 연결돌기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이동부(720)가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동부(72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링크(7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회동부(700)에 의해 작업자는 가이드깃(630)의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므로 약액분무 대상지역의 면적에 따라 약액의 분무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100)는 본체(300)가 제3브라켓(701)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01)의 상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300)의 토출구(30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본체(300)를 회동시키는 각도조절부(802)를 더 구비한다.
각도조절부(802)는 본체(300)의 회동축 일단부에 고정되며, 본체(30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치합부재(851)와, 제1치합부재(851)에 대향되는 위치의 베이스프레임(201)에 설치되어 제1치합부재(851)에 치합되는 제2치합부재(852)와, 제2치합부재(85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53)를 구비한다.
제1치합부재(851)는 하단부가 본체(300)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의 곡면이 마련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차합부재(851)의 하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제2치합부재(852)는 제1치합부재(851)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201)의 상면에 위치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3브라켓(7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치합부재(852)는 제1치합부재(851)의 기어이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모터(853)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방생시키는 전기모터이고, 제2치합부재(852)의 일단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제2치합부재(852)를 회전시킨다. 구동모터(853)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에 의해 제2치합부재(852)가 회전하고, 제2치합부재(852)에 치합된 제1치합부재(851)는 회전하여 본체(300)를 회동시킨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89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도조절부(890)는 본체의 회전축에 체결된 피동기어(891)와,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축(892)과, 상기 아이들 축에 체결된 구동기어(893)와, 상기 구동기어(893) 및 피동기어(891)에 설치된 연결체인(894)과, 상기 구동기어(893)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아이들축(892)에 설치된 손잡이(895)와, 상기 아이들축(892)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는 회동가능하되, 타방향으로는 회동을 억제시키는 회동억제부를 구비한다.
이때, 아이들축(892)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지주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손잡이(895)가 아이들축(892) 단부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손잡이(895)의 설치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기어(893)에 설치될 수도 있다.
회동억제부는 아이들축(892)에 체결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래칫기어(897)이가 형성된 래칫기어(897)와, 일단이 래칫기어(897)이에 삽입되도록 래칫기어(897)에 인접된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래칫폴(898)을 구비한다.
래칫기어(897)에 형성된 래칫기어(897)이의 개수는 베이스프레임(201)에 대한 본체(300)의 기울기 조정 각도 범위 중 최대각도와 최소각도 범위 내에 단위 조정각도로 설정된 세분 각도에 대해 래칫폴(898)이 간섭할 수 있게 형성되면 된다.
이때, 래칫기어(897)이는 래칫폴(898)에 의해 간섭되어 본체(300)가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되, 상방으로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칫폴(898)은 래칫기어(897)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래칫기어(897)가 본체(300)가 베이스프레임(201)을 기준으로 상방으로는 회전가능하되 하방으로는 회전이 억제되도록 지주(20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체(300)는 회전억제부(896)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01)을 기준으로 상방으로는 회전 가능하나,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회동이 제한된다. 이때, 본체(300)를 하방으로 회동시킬 경우, 래칫폴(898)의 일단이 래칫기어(897)이들 사이에서 분리되도록 회동시킨 다음, 손잡이(895)를 회전시켜 본체(300)를 회동시킨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부(805)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도조절부(805)는 본체(300)의 하측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웜휠(810)과, 웜휠(810)에 대향되는 위치의 베이스프레임(201)에 설치되어 웜휠(810)에 치합되는 웜(820)과, 웜(820)을 회전시키는 모터(830)를 구비한다.
웜휠(810)은 본체(300)의 회동축에 대향되는 위치의 본체(300) 하측 외주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하면은 본체(300)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의 곡면이 마련된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웜휠(810)의 하측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웜(820)은 웜휠(810)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201)의 상면에, 제5브라켓(821)에 의해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300)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웜(820)은 웜휠(810)의 기어이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8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방생시키는 전기모터이고, 윔의 일단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웜(820)을 회전시킨다. 모터(830)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에 의해 웜(820)이 회전하고, 웜(820)에 치합된 웜휠(810)은 회전하여 본체(300)를 회동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300: 본체
400: 송풍부
500: 분사유닛
510: 분사노즐
520: 약액공급부
600: 풍향조절부
610: 회전프레임
630: 가이드깃
640: 구동부
700: 회동부
710: 링크
720: 이동부
800: 각도조절부
810: 웜휠
820: 윔
830: 모터

Claims (5)

  1. 일측과 타측에 공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상호 연통하는 중공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구동모터가 마련된 송풍부와;
    상기 본체의 토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상기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부가 마련된 분사유닛과;
    상기 본체의 토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토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가이드깃과,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통풍구가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깃들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직경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회전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되, 상호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깃들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상호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깃들은 상기 회전프레임에, 상기 회전프레임의 직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가이드깃들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깃들을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직경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깃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링크와,
    상기 링크를 상기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측에 상기 본체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본체를 회동시키는 각도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회전축에 체결된 피동기어와;
    상기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축과;
    상기 아이들축에 체결된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와 구동기어에 연결된 연결체인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력을 상기 구동기어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아이들축에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KR1020110101776A 2011-10-06 2011-10-06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KR10125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76A KR101255159B1 (ko) 2011-10-06 2011-10-06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76A KR101255159B1 (ko) 2011-10-06 2011-10-06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93A true KR20130037393A (ko) 2013-04-16
KR101255159B1 KR101255159B1 (ko) 2013-04-22

Family

ID=4843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776A KR101255159B1 (ko) 2011-10-06 2011-10-06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15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144B1 (ko) * 2014-07-03 2015-02-24 공용선 수류확산장치
CN109452253A (zh) * 2019-01-10 2019-03-12 南京林业大学 一种用于高射程喷雾机精确对靶喷雾的矢量式末端调整系统及方法
KR20190048626A (ko) * 2017-10-31 2019-05-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살포기 송풍장치
KR102046481B1 (ko) * 2019-03-25 2019-12-02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046480B1 (ko) * 2019-03-25 2019-12-02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180734B1 (ko) 2020-07-14 2020-11-19 장금배 냉해 및 서리 방지시스템
KR102231247B1 (ko) * 2020-01-10 2021-03-25 (주)시스코 보온시설물용 온도 조절 및 공기 교반장치
KR20210087277A (ko) * 2020-01-02 2021-07-12 (주)이노테크 방역용 소독기
KR102362457B1 (ko) 2021-09-23 2022-02-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복합 열교환 구조를 갖는 농업용 냉난방 장치
KR102492589B1 (ko) * 2022-02-17 2023-01-26 이종표 이류체 분사노즐을 이용한 하우스용 포터블 약액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13B1 (ko) * 2013-03-20 2013-06-17 한동특장(주) 격자를 이용한 원거리 방제기용 풍향 유도 장치
KR101416550B1 (ko) * 2013-05-20 2014-07-11 한동특장(주) 격자를 이용한 원거리 방제기용 풍향 유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869U (ja) 1984-07-28 1986-02-22 株式会社 丸山製作所 スピ−ドスプレ−ヤ
JPS6332668U (ko) 1986-08-19 1988-03-02
KR200154358Y1 (ko) * 1997-06-27 1999-08-02 오범석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JP4251651B2 (ja) 2006-05-23 2009-04-08 株式会社共立 スピードスプレーヤの送風量制御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144B1 (ko) * 2014-07-03 2015-02-24 공용선 수류확산장치
KR20190048626A (ko) * 2017-10-31 2019-05-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살포기 송풍장치
CN109452253A (zh) * 2019-01-10 2019-03-12 南京林业大学 一种用于高射程喷雾机精确对靶喷雾的矢量式末端调整系统及方法
CN109452253B (zh) * 2019-01-10 2024-02-02 南京林业大学 一种用于高射程喷雾机精确对靶喷雾的矢量式末端调整系统及方法
KR102046481B1 (ko) * 2019-03-25 2019-12-02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046480B1 (ko) * 2019-03-25 2019-12-02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20210087277A (ko) * 2020-01-02 2021-07-12 (주)이노테크 방역용 소독기
KR102231247B1 (ko) * 2020-01-10 2021-03-25 (주)시스코 보온시설물용 온도 조절 및 공기 교반장치
KR102180734B1 (ko) 2020-07-14 2020-11-19 장금배 냉해 및 서리 방지시스템
KR102362457B1 (ko) 2021-09-23 2022-02-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복합 열교환 구조를 갖는 농업용 냉난방 장치
KR102492589B1 (ko) * 2022-02-17 2023-01-26 이종표 이류체 분사노즐을 이용한 하우스용 포터블 약액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159B1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159B1 (ko)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EP2858477B1 (en) Irrigation system for use in a controlled environment
KR101219017B1 (ko) 무선제어 및 송풍량이 가변조절되는 스마트 방역방제기
US6223995B1 (en) Method for cooling golf greens and other vegetation
US5297737A (en) Sprinkler frost clip
KR101158358B1 (ko) 회전노즐의 회전제어장치
CN111280025B (zh) 一种能够根据风向摆动的农业用灌溉装置
JP2010155236A (ja) 低圧噴霧装置
KR20140121611A (ko) 비닐 덕트를 이용한 냉난방 공조 시스템
US877641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rtificial snow dispersal
KR101515499B1 (ko) 좌우로 살포되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US8919366B2 (en) Electromechan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ispensing or purging fluids
KR100497064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무전원 무인 방제방법및 그 장치
JP4551989B2 (ja) 屋根の散水装置
WO2017130261A1 (ja) ミスト発生システム、農業用ハウス
US20210137037A1 (en) Hydroponic growth system and assembly
KR101079259B1 (ko) 식물 재배용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
KR20080026961A (ko) 광범위 살포형 농약방제기
KR101333419B1 (ko) 방제기의 약액 가열방지 및 동결방지장치
US20070221758A1 (en) Precision irrigato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0301384Y1 (ko) 농약 살포 장치
CN212971096U (zh) 一种园林施工用洒水车
KR200140959Y1 (ko) 농약살포기
CN210120819U (zh) 一种用于农业大棚的喷灌系统
KR102492589B1 (ko) 이류체 분사노즐을 이용한 하우스용 포터블 약액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