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358Y1 -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358Y1
KR200154358Y1 KR2019970016171U KR19970016171U KR200154358Y1 KR 200154358 Y1 KR200154358 Y1 KR 200154358Y1 KR 2019970016171 U KR2019970016171 U KR 2019970016171U KR 19970016171 U KR19970016171 U KR 19970016171U KR 200154358 Y1 KR200154358 Y1 KR 200154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wind direction
frame
discharge port
contro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597U (ko
Inventor
오범석
Original Assignee
오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범석 filed Critical 오범석
Priority to KR2019970016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35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가축들을 기르는 축사(畜舍)나 원예식물 등을 재배하는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한 농업용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풍을 공급하는 토출구의 전방에 별도의 풍향조절구를 설치하므로서 토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상하좌우 골고루 분사될 수 있게 하여 가축이나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통상의 농업용 열풍기(1)에 있어서, 본체(2)와 케이스(3)의 전방 선단에 구비된 토출구(6)의 외주(外周)에는 풍향조절구(10)를 프레임(11)에 의해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풍향조절구(10)를 이루는 프레임(11)의 내부에는 다단으로 연결된 상하조절판(12)과 좌우조절판(13)을 획일적으로 가변되게 설치하고, 상하조절판(12)은 프레임(11) 측방의 상하작동구(14)와 연결하며, 좌우조절판(13)은 프래임(11) 하방의 좌우작동구(15)와 연결하여 토출구(6)에서 송풍되는 열풍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풍향조절구(10)를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프레임(11)의 내부에 축설하므로서 풍향조절구(10) 전체가 상하 작동구(14)를 기점으로 가변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본 고안은 주로 가축들을 기르는 축사(畜舍)나 원예식물 등을 재배하는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한 농업용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풍을 공급하는 토출구의 전방에 별도의 풍향조절구를 설치하므로서 토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상하좌우 골고루 분사될 수 있게 하여 가축이나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나 돼지 등의 가축을 기르는 축사, 또는 원예식물 등을 재배하는 하우스의 내부에는 실내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열풍기가 설치된다.
상기한 기존의 열풍기는 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케이스의 전방 선단에는 열풍을 분사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와 케이스의 내부 후방에는 송풍팬과 버너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버너를 점화시킨 후 송풍팬을 가동시키면 케이스 선단의 토출구를 통해 실내에 열풍을 공급하여 축사내의 가축이나 하우스내의 식물을 따뜻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열풍기의 기술적 구성은 본체와 케이스의 전방측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토출구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측 내부의 송풍팬과 버너의 작동에 의해 열풍이 공급될 경우는 원형의 토출구를 통해 직선상으로 배출되므로 축사나 하우스등의 면적 전체에 균일한 열풍의 공급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열풍기의 토출구가 구비된 부위와 직선방향에는 열풍의 공급이 지나치게 과도하여 고열에 의해 가축이나 식물들의 성장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고, 토출구에서 비교적 거리가 먼 곳에 있는 가축이나 식물등은 열풍의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해 특히 동절기의 경우는 동사(凍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으며, 축사나 하우스 내부의 전체에 고른 열풍의 공급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므로 적은 열이 발생하는 열풍기를 여러대 구비하여 복수로 비치하여야 하는 등의 경제적인 손실이 가중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통상의 열풍기의 전방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토출구의 외측에 별도의 상하조절판과 좌우조절판이 구비되어 있는 풍향조절구를 프레임에 의해 분해 조립식으로 결합하므로서 실내의 온도변화나 축사 또는 하우스의 면적과 풍향의 위치를 감안하여 주기적으로 열풍이 공급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전체적인 실내에 균일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가축이나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로서 풍향 조절구를 결합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풍향 조절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풍기 2 : 본체
3 : 케이스 4 : 송풍팬
5 : 버너 10 : 풍향조절구
11 : 프레임 12 : 상하조절판
13 : 좌우조절판 14 : 상하작동구
15 : 좌우작동구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의 본체(2) 상부에는 케이스(3)가 결합되고, 이의 후방 내부에는 버너(5)와 송풍팬(4)이 설치되어 상기버너(5)를 점화시킨 후 송풍팬(4)을 가동시키면 전방에 구비된 토출구(6)를 통해 열풍이 공급되게 한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열풍기(1)에 있어서, 본체(2)와 케이스(3)의 전방 선단에 구비된 토출구(6)의 외주(外周)에는 풍향조절구(10)를 프레임(11)에 의해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풍향조절구(10)를 이루는 프레임(11)의 내부에는 다단으로 연결된 상하조절판(12)과 좌우조절판(13)을 각각 설치하고, 상하조절판(12)은 프레임(11)의 측방에 노출상태로 결합된 상하작동구(14)와 연결하여 상하작동구(14)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상하조절판(12)의 각도가 변위될 수 있게 하며, 좌우조절판(13)은 프레임(11)의 하방에 노출된 상태로 결합된 좌우작동구(15)와 연결하여 좌우작동구(15)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좌우조절판(13)의 각도가 변위되게 함으로서 토출구(6)에서 송풍되는 열풍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하조절판(12)과 좌우조절판(13)의 각도조절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와 같은 풍향 조절장치나 블라인드(Blind)와 같은 각종 조절장치를 적용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중 도4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이는 풍향조절구(10)를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프레임(10)의 내부에 축설하므로서 상하조절판(12)이 각각 가변되는 것이 아니고, 풍향조절구(10) 전체가 상하작동구(14)를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의 본체(2) 상부에 반원형으로 된 케이스(3)가 결합되고, 전방에는 토출구(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후방의 버너(5)와 송풍팬(4)이 작동하므로서 일반적인 열풍기(1)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버너(5)를 점화시킨 후 송풍팬(4)을 회전시키면 버너(5)의 화염에 의한 열기가 케이스(3)의 내측을 통과하여 전방의 토출구(6)를 통해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어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나 원예작물을 재배하는 하우스 등의 실내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열풍기(1)의 용도와 기능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열풍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전방의 토출구(6)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토출구(6)에 의해 직선상으로 송풍이 되나 상기한 토출구(6)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풍향조절구(10)에 의해 열풍의 공급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토출구(6)를 통해 열풍이 분사되면 이의 전방측에는 프레임(11)에 의해 풍향조절구(10)가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하조절판(12)과 좌우조절판(13)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조절판(12)의 일측에는 상하작동구(14)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풍향을 상하로 조절할 경우는 상하작동구(14)를 작동하여 상하조절판(12)을 상하로 이동을 시키면 상기 상하조절판(12)은 일반적인 에어컨디셔너의 기능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상하조절판(12)은 전체적으로 각각 일정 각도로서 각각 가변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열풍의 공급방향을 좌우로 조절할 경우는 프레임(11)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작동구(15)를 작동하게 되면 상하조절판(12)의 경우와 동일하게 좌우조절판(13)이 각각 일정각도로 가변되어 원하는 각도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4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이는 풍향조절구(10)를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프레임(11)의 내부에 별도로 축설하므로서 상하조절판(12)이 각각 가변되는 것이 아니고, 풍향조절구(10) 전체가 상하작동구(14)를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인 바, 즉 이는 열풍의 상하방향조절시에만 사용할 시 토출구(6)의 외단에 결합된 프레임(11)의 내부에 상하조절판(12)이 다단으로 결합되고 외측에는 상하작동구(14)가 노출상태로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열풍의 공급을 상하로 조절할 경우는 상하작동구(14)를 작동하게 되면 상하조절판(12)은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풍향조절구(10) 전체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되므로 열풍의 공급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하조절판(12)과 좌우조절판(13)은 상하작동구(14)와 좌우작동구(15)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작을 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전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이나 실내의 온도 등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각도를 변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사항은 통상의 농업용 열풍기(1)에 있어서, 본체(2)와 케이스(3)의 전방 선단에 구비된 토출구(6)의 외주(外周)에는 풍향조절구(10)를 프레임(11)에 의해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풍향조절구(10)를 이루는 프레임(11)의 내부에는 다단으로 연결된 상하조절판(12)과 좌우조절판(13)을 획일적으로 가변되게 설치하고, 상하조절판(12)은 프레임(11) 측방의 상하작동구(14)와 연결하며, 좌우조절판(13)은 프레임(11) 하방의 좌우작동구(15)와 연결하여 토출구(6)에서 송풍되는 열풍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고, 또한, 풍향조절구(10)를 프레임(11) 내부에서 상하작동구(1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설하여 다단의 상하조절판(12)이 상하작동구(14)에 의하여 획일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풍향조절구(10) 전체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조절장치에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열풍기(1)의 전방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토출구(6)의 외측에 별도의 상하조절판(12)과 좌우조절판(13)이 구비되어 있는 풍향조절구(10)를 프레임(11)에 의해 분해 조립식으로 결합하므로서 실내의 온도변화나 축사 또는 하우스의 면적과 풍향의 위치를 감안하여 주기적으로 열풍이 공급되는 방향을 매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전체적인 실내에 균일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가축이나 기타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각종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농업용 열풍기(1)에 있어서, 본체(2)와 케이스(3)의 전방 선단에 구비된 토출구(6)의 외주(外周)에는 풍향조절구(10)를 프레임(11)에 의해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풍향조절구(10)를 이루는 프레임(11)의 내부에는 다단으로 연결된 상하조절판(12)과 좌우조절판(13)을 획일적으로 가변되게 설치하고, 상하조절판(12)은 프레임(11) 측방의 상하작동구(14)와 연결하며, 좌우조절판(13)은 프레임(11) 하방의 좌우작동구(15)와 연결하여 토출구(6)에서 송풍되는 열풍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풍향조절구(10)를 프레임(11) 내부에서 상하작동구(1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설하여 다단의 상하조절판(12)이 상하작동구(14)에 의하여 획일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풍향조절구(10) 전체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19970016171U 1997-06-27 1997-06-27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KR200154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171U KR200154358Y1 (ko) 1997-06-27 1997-06-27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171U KR200154358Y1 (ko) 1997-06-27 1997-06-27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97U KR19990002597U (ko) 1999-01-25
KR200154358Y1 true KR200154358Y1 (ko) 1999-08-02

Family

ID=1950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171U KR200154358Y1 (ko) 1997-06-27 1997-06-27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3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04B1 (ko) * 2006-02-21 2007-09-05 엄성만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온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59B1 (ko) * 2011-10-06 2013-04-22 (주)동서그린산업 서리방지 및 약액분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04B1 (ko) * 2006-02-21 2007-09-05 엄성만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온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97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8057B1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3446272A (en)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of greenhouse
KR20140121611A (ko) 비닐 덕트를 이용한 냉난방 공조 시스템
KR100557771B1 (ko) 열풍기
KR200154358Y1 (ko)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KR102151951B1 (ko) 버섯 재배용 수분 공급 장치
KR102141718B1 (ko)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
KR100909680B1 (ko) 농업용 열풍시스템
KR200263476Y1 (ko) 농축산물 하우스용 냉난방 공기 조화 장치
KR20160084356A (ko) 습도에 따른 온도를 제어하는 동식물 생육용 온풍기
KR102063503B1 (ko) 이류체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온습도 조절장치
KR200304896Y1 (ko) 비닐하우스의 병충해 예방용 훈증장치
KR20140113841A (ko) 축사 및 식물 재배용 싸이클론 송풍 히터
US4852799A (en) Weatherized, baffled, gas filtered, semi-automatic heating system for a poultry house or the like
KR20180048050A (ko) 비닐하우스에 구비되는 외부 찬공기 공급용 송풍장치
KR100367757B1 (ko) 농업용 열풍기
KR101791254B1 (ko) 폐열을 이용한 시설원예하우스용 난방시스템
CA2592674C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205340Y1 (ko) 농·축산용간접방식열풍기
JP2963427B2 (ja) 植物の栽培促進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28700B1 (ko) 미니 풍열기
KR200217102Y1 (ko) 농,축산용 온풍기
KR102513141B1 (ko)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
KR20010035224A (ko) 지상 및 지중 난방장치
JP3917311B2 (ja) 植物栽培ハウス用lpガス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