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748A -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748A
KR20130035748A KR1020110100262A KR20110100262A KR20130035748A KR 20130035748 A KR20130035748 A KR 20130035748A KR 1020110100262 A KR1020110100262 A KR 1020110100262A KR 20110100262 A KR20110100262 A KR 20110100262A KR 20130035748 A KR20130035748 A KR 20130035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rame
fixed
construc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섭
Original Assignee
장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섭 filed Critical 장태섭
Priority to KR102011010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5748A/ko
Publication of KR2013003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04F13/084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in sheet-like materials, e.g. sheet-metal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타일 시공구조는 타일과, 상기 타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타일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중 한 개의 프레임은 힌지고정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타일이 삽입가능한 설치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접착제나 줄눈제의 사용없이 타일을 손쉽게 시공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유해화학물질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친환경적이면서, 더 나아가 미술의 심리 치료(Art therapy), 색채치료(Color therapy)가 가능한 아트타일을 이용하여 집이나 거리 또는 사무실에서도 쉽게 미술을 접하여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심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A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ile}
본 발명은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술의 심리 치료(Art therapy), 색채치료(Color therapy)가 가능한 아트타일을 접착제나 줄눈제의 사용없이 손쉽게 시공함으로써, 집이나 거리 또는 사무실에서도 쉽게 미술을 접하여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심리 치료에 도움을 줄뿐 아니라 유해화학물질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은 외형을 아름답게 하거나, 부식 등을 막기 위한 것으로, 일반 주택의 주방, 화장실, 목욕탕, 세면장 등 물이 많이 접하는 부분과 건물의 외장 마감재로 방수와 청결유지 및 미감을 필요로 하는 곳에 시공한다.
종래의 타일 시공은 유해 화학물인 타일 접착제의 과도한 사용으로 설치 후 지속적으로 유해물질을 배출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가 마르기까지의 장시간의 시공시간과 시공 후에 타일과 타일 사이의 간격유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줄눈제의 사용이 불가피 했다.
또한, 그러나 종래의 타일 시공법은 다수의 타일을 줄눈을 정확히 맞추면서 일일이 벽면에 부착해야 하는데, 이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시공하기 어려워서 타일을 전문적으로 시공하는 타일공에게 의뢰해야 한다.
이처럼 타일을 시공할 때마다 타일공에게 의뢰하는 것은 복잡하고 바쁜 공사 현장에 있어서,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인건비가 추가로 지출되어 결국 공사 비용을 늘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10-0649984호에서는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타일을 시공함으로써, 전문 타일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타일을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일 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일(20)의 4면에 각각의 프레임(10)(30)(40)이 결합됨으로써, 시공방법 및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기술은 벽면에 다수개의 타일을 시공하는 구조로서, 집이나 거리 또는 사무실에서도 쉽게 미술을 접하도록 하는 아트 타일을 적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액자 형식으로 타일을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집이나 거리 또는 사무실에서도 쉽게 미술을 접하도록 아트 타일을 시공하는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타일을 시공할 때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유해 화학물질 배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타일의 시공방법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타일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타일의 일정부분 파손 등으로 타일 교체 시에 쉽게 타일을 교체함으로써, 불필요한 폐기물 양성을 줄일 수 있는 타일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미술의 심리 치료(Art therapy), 색채치료(Color therapy), 색채심리학(Color psychology) 부분을 타일에 접목하여, 집이나 거리 사무실에서도 쉽게 미술을 접하고,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심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타일의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타일과, 상기 타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타일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중 한 개의 프레임은 힌지고정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타일이 삽입가능한 설치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지어 벽체에 고정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에 타일을 삽입하여 시공하는 타일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타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후면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후면판의 테두리에 상기 프레임이 구비된다.
상기 타일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단이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마감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프레임은 볼트 또는 나사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한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타일은 도기, 자기, 아크릴, 금속, 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타일의 전면에는 그림이나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일 시공방법은 타일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요홈이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중 한 개의 프레임은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설치프레임 구조체를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의 힌지고정된 상기 프레임을 개방한 후 상기 프레임의 요홈에 상기 타일을 끼워 타일을 삽입하는 단계와, 개방된 상기 프레임을 회동시킨 후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를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의 후면판을 상기 벽체에 고정함으로써, 설치프레임 구조체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액자 형식으로 타일을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타일의 시공방법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일을 시공할 때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유해 화학물질 배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일의 일정부분 파손 등으로 타일 교체 시에 쉽게 타일을 교체함으로써, 불필요한 폐기물 양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술의 심리 치료(Art therapy), 색채치료(Color therapy), 색채심리학(Color psychology) 부분을 타일에 접목하여, 집이나 거리 사무실에서도 쉽게 미술을 접하고,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심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타일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이 완성된 타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타일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타일(100)을 접착제나 줄눈제의 사용없이 손쉽게 벽체에 시공할 수 있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타일은 일반적인 타일뿐 아니라 미술의 심리 치료(Art therapy), 색채치료(Color therapy)가 가능한 아트타일을 포함하여, 집이나 거리 또는 사무실에서도 쉽게 미술을 접하여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심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타일 시공구조는 타일(100)과, 상기 타일(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프레임(204)(206)으로 이루어지는 설치프레임 구조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타일(1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통상 타일(100)은 정사각형 내지 직사각형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서의 타일(100) 역시 사각형상의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일(100)의 형상을 사각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200)는 상기 타일(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므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20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204)과, 상기 고정프레임(204)에 일단이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마감프레임(20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204)과 마감프레임(206)의 내측면에는 상기 타일(100)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요홈(204a)(206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요홈(204a)(206a)은 상기 타일(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며, 타일(100)의 가장자리가 단차진 형상인 경우, 상기 타일(100)의 가장자리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이 완성된 타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200)에 타일(100)이 삽입되면, 상기 요홈(204a)(206a)에 상기 타일(10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타일(1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200)에는 타일(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판(202)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판(202)은 벽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후면판(202)의 테두리에 상기 프레임(204)(206)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204)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한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100)은 도기, 자기, 아크릴, 금속, 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타일(100)은 전면에 그림이나 문양이 형성되는 아트 타일(Art tile)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타일 시공방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200)를 벽체에 고정한다. 이때 설치프레임 구조체(200)의 후면판(202)을 벽체에 고정하는데, 상기 후면판(202)의 각각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상의 고정수단,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200)의 마감프레임(206)은 개방된 상태이며, 상기 프레임(204)(206)의 요홈(204a)(206a)에 상기 타일(100)을 끼워 타일(100)을 설치프레임 구조체(200)에 삽입한다.
이후, 개방된 상기 마감프레임(206)을 회동시킨 후 별도의 결합수단, 예를 들어, 볼트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프레임(206)을 고정프레임(204)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타일의 시공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타일을 시공할 때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해 화학물질 배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일의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타일의 일정부분이 파손되거나 타일의 교체가 요구될 때 타일을 교체하는 작업도 용이하고, 불필요한 폐기물 양성을 줄일 수 있다.
100 : 타일 200 : 설치프레임 구조체
202 : 후면판 204 : 고정프레임
204a, 206a : 요홈 206 : 마감프레임

Claims (8)

  1. 타일; 및
    상기 타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타일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중 한 개의 프레임은 힌지고정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타일이 삽입가능한 설치프레임 구조체;
    로 이루어지어 벽체에 고정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에 타일을 삽입하여 시공하는 타일 시공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타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후면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후면판의 테두리에 상기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단이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마감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프레임은 볼트 또는 나사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한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도기, 자기, 아크릴, 금속, 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타일의 전면에는 그림이나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구조.
  7. 벽체에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일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요홈이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중 한 개의 프레임은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설치프레임 구조체를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의 힌지고정된 상기 프레임을 개방한 후 상기 프레임의 요홈에 상기 타일을 끼워 타일을 삽입하는 단계; 및
    개방된 상기 프레임을 회동시킨 후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타일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를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설치프레임 구조체의 후면판을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방법.
KR1020110100262A 2011-09-30 2011-09-30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130035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262A KR20130035748A (ko) 2011-09-30 2011-09-30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262A KR20130035748A (ko) 2011-09-30 2011-09-30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748A true KR20130035748A (ko) 2013-04-09

Family

ID=4843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262A KR20130035748A (ko) 2011-09-30 2011-09-30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57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457A (ko) * 2017-06-03 2018-12-12 권영진 양면형의 el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457A (ko) * 2017-06-03 2018-12-12 권영진 양면형의 el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8572C (en) Multi-piece shower wall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120005967A1 (en) Adapto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walls around tubs, showers, and the like
CN107427165B (zh) 淋浴房及安装方法
CN210508517U (zh) 一种装配式预制整体卫浴
CA2894099C (en) Molded wall unit
US20240060311A1 (en) Wall paneling system
CA2680653A1 (en) Tile adaptor
KR100841357B1 (ko) 발코니 난간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KR20120002908U (ko) 조립식 타일마감재
US201100358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ttaching an insert onto an existing bathtub and shower enclosure
KR20130035748A (ko) 타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2007107236A (ja) ユニットバスの納まり構造
KR101295416B1 (ko) 슬라이딩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 시공구조체
CA2884498A1 (en) Adjustable apron for bathing fixtures
CN215055724U (zh) 一种快速拼装的淋浴房
CN210976055U (zh) 用水组合式房间的止水构造
AU785196B2 (en) Shower base
JP2004150162A (ja) 可変壁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解体方法
JPH08312171A (ja) 浴室用防水パン
JP3947430B2 (ja) ユニットルーム
JPS6025469Y2 (ja) 内壁の取付構造
JP2001020542A (ja) シャワー洗面ユニット
JP2010265705A (ja) 配管ケースのフレーム施工方法および配管ケースのフレーム構造
KR20200022058A (ko) 줄눈홈에 줄눈 프레임을 설치하는 방법 및 줄눈 프레임
JPS5815552Y2 (ja) ユニツト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