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736A -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736A
KR20130035736A KR1020110100241A KR20110100241A KR20130035736A KR 20130035736 A KR20130035736 A KR 20130035736A KR 1020110100241 A KR1020110100241 A KR 1020110100241A KR 20110100241 A KR20110100241 A KR 20110100241A KR 20130035736 A KR20130035736 A KR 20130035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diffuser pocket
curtain
diffuser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정
곽동진
윤정훈
진혜승
이상목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5736A/ko
Publication of KR2013003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압축 가스를 에어백 쿠션 내부로 공급하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충돌시 고압의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봉제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물 부재로 이뤄지며, 상기 봉제 접합부는 상기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접합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DIFFUSER POCKET FOR CURTAIN AIRBAG}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에 설치되어 에어백 작동시 인플레이터 가스가 쿠션에 고르게 전개되도록 하며, 에어백의 성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air bag)은, 주행중인 차량이 약 40 km/h 이상의 속도에서 정면 또는 측면 충돌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돌충격을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한 후, 화약을 폭발시켜 에어백 쿠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의 기능성 및 편의성과 더불어 탑승객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의 사고시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과 관련된 장치들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안전장치들 중에서, 특히 에어백 시스템은 안전벨트와 함께 사용되어 자동차의 정면충돌이나 측면충돌시 탑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상기 에어백 시스템 중, 특히 자동차의 측면충돌과 관련된 에어백 시스템은 통상 탑승객의 머리부 보호를 위한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과, 탑승객의 옆구리부 보호를 위한 사이드 에어백(Side Air-Bag)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커튼 에어백은 보통 차실내의 측상단을 따라 설치되어 자동차의 충돌시 커튼식으로 전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도어나 시트 측면에 장착되어 탑승객의 옆구리부가 도어를 비롯한 차체에 직접적으로 부딪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에어백 쿠션은 일정한 형태로 제조된 후, 그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힌 상태로 자동차의 핸들이나 자동차 측면 유리창 또는 측면 구조물 등에 장착된 후에,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로부터 에어백 쿠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제조함에 있어, 에어백 전개 상황에서의 쿠션(Cushion) 내부로의 원활한 가스(Gas) 흐름을 컨트롤하고, 또한 순간적인 강한 압력에 의해 충격을 쉽게 받는 주입부 주위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디퓨져 포켓이나 Y-sock, H-pocket 등의 별도의 이너백(Inner bag) 부품이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적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퓨져 포켓은 순간적인 강한 충격에 직접적으로 데미지를 받으므로, 쿠션의 안정적인 전개 성능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우선 1차적으로 이러한 부품들의 충분한 내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의 폴딩성 및 패키지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유지하며 우수한 에어백 전개 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즉, 인플레이터 가스가 에어백 쿠션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전개 성능을 갖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주입부 하단영역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한 우수한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을 갖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디퓨져 포켓을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고압의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봉제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물 부재로 이뤄지며, 상기 봉제 접합부는 상기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접합된 것이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압축 가스를 에어백 쿠션 내부로 공급하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디퓨져 포켓을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라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라 함은 에어백 작동시 인플레이터 가스를 에어백 쿠션 내부로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직물 소재의 장치로서, Y-sock, H-pocket 등의 별도의 이너백(Inner bag) 부품을 말한다. 이러한 장치는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 유닛과 연결되어 에어백 쿠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가스 토출구를 포함하는 튜브 또는 파이프 형태를 갖는다.
특히, 이러한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은 인플레이터부터 고온 고압 가스를 에어백 쿠션에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강한 충격에 직접적으로 데미지를 받게 되는데, 이 경우에 쿠션의 안정적인 전개성능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우선 1차적으로 이러한 부품들의 충분한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커튼 에어백에 포함되는 가스 가이드(Gas guide) 역할을 하는 가스 튜브(Gas tube) 혹은 Y-sock 등의 디퓨져 부품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내구성 유지를 위해 코팅원단을 2겹 혹은 3겹으로 하여 상호 봉제 접합을 통해 제조된다. 가스 튜브(Gas tube)의 경우, 내부 열내구성 확보를 위해 별도의 우레탄 혹은 고무성분의 보강재를 내부에 포함시켜 내구성을 강화하였으나, 고무재질의 접착력 및 비용(Cost) 상승의 요인이 되어왔다. 혹은 최소 2겹 이상의 에어백용 코팅 원단을 사용하여 봉제할 경우, 겹수 증가에 따른 봉제 작업성 저하 및 사이드 커튼 부품의 내부 부피 증가로 폴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 외,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여러 보강부품들을 디퓨져 포켓에 적용할 경우, 비용(cost) 상승은 물론 부피증가에 따른 폴딩성 저하, 사이드 커튼 제작에서의 작업성 저하 등과 같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순간 고온 고압의 인플레이터 전개 상황에서 강한 압력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쉽게 파열이 발생되는 봉제 접합부를 서로 교착이 되는 형태로 봉제를 실시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어, 에어백 작동시 우수한 전개 성능 및 향상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은 소정의 특성을 갖는 봉제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물 부재로 이뤄지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이 제공된다. 이러한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은 차량의 충돌시 고압의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봉제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물 부재로 이뤄지며, 상기 봉제 접합부는 상기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접합된 것이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압축 가스를 에어백 쿠션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봉제 접합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퓨져 포켓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방식대로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서로 일렬로 마주 보는 형태로 봉제 접합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별도의 우레탄 혹은 고무 성분의 보장재를 내부에 포함시켜 내구성을 강화해야 했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직물 부재의 시접 부위가 봉제선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된 형태로 접합된 것이 될 수 있다. 이때, "시접"이라 함은 봉제선부터 원단 재단면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이러한 시접 부위가 봉제선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에 받는 힘의 정도를 각각 지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보다 우수한 봉목강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순 상호 거울상으로 교접하여 봉제할 경우, 강한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 봉제선을 중심으로 쉽게 파열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봉제선을 중심으로 각각의 시접면이 서로 교착한 형태에서는 서로간의 받는 힘을 서로 지지해주게 되어 더욱 강력한 봉목강도를 부여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에어백 전개시, 쉽게 파열이 발생되어지는 봉제 접합부의 내구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한쪽 접합면을 폴딩하여 보강재의 역할을 해줌과 동시에, 각각의 접합면은 상하부로 서로 마주보며 교착이 되는 형태로 봉제 접합을 실시하여 보다 강력한 접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디퓨져 포켓 판넬이 되는 직물 부재는 나일론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 섬유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그 중에서 나일론계 섬유로 제조하는 것이 고온 고압 가스에 대한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 측면에서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섬유로는 섬도가 210 내지 1,050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840 데니어, 좀더 바람직하게는 315 내지 840 데니어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직물의 강도 측면에서 섬도가 210 데니어 이상이 바람직하고, 직물의 후도 측면에서 섬도가 1,050 데니어 이하인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니어는 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길이 9,000 m가 1 g일 경우 1 데니어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필라멘트수가 50 내지 500인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는 경사 및 위사의 제직밀도, 즉, 경사밀도 및 위사밀도가 각각 38 본/인치 이상 또는 38 내지 60 본/인치, 바람직하게는 각각 41 본/인치 이상 또는 41 내지 57 본/인치로 제직될 수 있다. 에어백 작동시 인플레이터 가스에 대한 우수한 공기 차단 효과를 달성하는 측면에서 경사 및 위사 밀도를 38 본/인치 이상의 고밀도로 제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상기 직물 부재는 특히, 에어백 쿠션내 적용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기밀성, 폴딩성 등을 동시에 확보하는 측면에서 섬도가 315 내지 840 데니어인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경사 및 위사의 제직 밀도가 38 본/인치 이상이 되도록 제직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의 직물 부재는 고압 고온 가스에 대한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직물층 표면에, 즉, 일면 또는 양면에 피복된 수지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코팅층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코팅층의 단위면적당 코팅량은 20 내지 300 g/m2,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g/m2가 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직물층이 이중직이나 부분 접결직 등으로 제직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코팅량이 30 g/m2 내지 200 g/m2가 바람직하고, 상기 직물층이 바스켓직이나 접결직 등으로 제직된 경우는 상기 코팅량이 20 g/m2 내지 180 g/m2 수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상기 직물 부재의 두께는 0.2 내지 1.7 mm,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 mm, 좀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2 mm가 될 수 있다. 상기 직물 부재의 두께는 고온 고압 가스에 대한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 유지 측면에서 0.2 mm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직물의 폴딩성 측면에서 1.7 mm 이하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은 상기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접합된 하나 이상의 봉제 접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봉제 접합부는 나일론계 원사, 폴리에스테르계 원사, 및 아라미드계 원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봉제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내열성 및 수축성 측면에서 나일론 66, 나일론 46, 케블라(아라미드계 원사) 등의 원사를 봉제사로 사용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6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봉제사로는 섬도가 215 내지 1,890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420 내지 1,260 데니어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강도 측면에서 봉제사 섬도가 215 데니어 이상이 바람직하고, 내성(탄성) 측면에서 봉제사 굵기가 1,890 데니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봉제 접합부는 싱글락(single lock), 더블락(double lock), 싱글 체인(single chain), 더블 체인(double chain) 등의 봉제법을 최적 범위로 땀수 등을 함께 조절하며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봉제 부분은 땀수가 20 내지 60 ea/100m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ea/100mm가 되도록 봉제할 수 있다. 이때, 봉제 부분의 땀수가 20 ea/100mm 미만이면 봉제부분의 강도가 너무 약하여 에어백 조립시 상기 차체 체결 부위의 봉제부분이 뜯어지는 문제가 있고, 60 ea/10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봉제시 효율성이 떨어져 봉제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미국재료시험협회규격 ASTM D 5822 방법으로 측정한 봉목강도가 1,500 N 이상 또는 1,500 내지 3,000 N,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0 N 이상 또는 1,800 내지 2,500 N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부의 봉목강도는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고온 고압 가스의 팽창력에 대한 파열 방지 측면에서 1,500 N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직물 부재의 손상 방지 등의 측면에서는 3,000 N 이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의 봉제 접합부가 포함될 수 있도록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의 판넬로서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봉제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을 제조함에 있어서, 이러한 교착된 형태의 봉제 접합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일반 봉제 설비로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일반 봉제 설비로는 노루발이 원통형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위해 특수 고안된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를 포함한 봉제 설비를 사용할수 있으며, 이 경우에 봉제 실린더(Cylinder)에 디퓨져 판넬(panel) 부품을 거치하여 원통 내부를 통과하면서 봉제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직물 부재의 봉제 시, 직선형 봉제패턴이 아닌 원형이나 직선상의 지그재그 타입의 특수 봉제 패턴을 적용할 경우, 더욱 강력한 접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상기 직물 부재는 일반적인 원단 제조 공정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가공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직, 바스켓직, 접결직, 부분접결직, 및 그의 혼합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직으로 직물 부재를 제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통상적인 제직 방법과, 정련 및 텐터링 공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판넬용 직물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같이 제조된 직물 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봉제 접합부를 포함하여 튜브 형태 등이 이뤄지도록, 재단하고 봉제 접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직물 부재는 나일론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 섬유로 위사 및 경사로 이용하여 비밍(beaming), 제직, 정련, 및 텐터링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직물 부재는 통상적인 제직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직기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평직 형태의 직물 부재는 레피어 직기(Rapier Loom)나 에어제트 직기(Air Jet Loom) 또는 워터제트 직기(Water Jet Loom)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OPW 형태의 직물 부재는 자카드 직기(Jacquard Loom)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디퓨져 포켓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관련 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통상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은 자동차 측면충돌이나 전복사고시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의 사항은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서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접합하여, 에어백 전개시 쉽게 파열이 발생하는 봉제 접합부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의 봉제 접합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의 봉제 접합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예 따른 디퓨져 포켓을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나일론계 섬유 등의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제직, 정련, 및 텐터링 공정을 거쳐 직물 부재를 제조한 후에, 상기 직물 부재의 표면에 액상 실리콘 고무(LSR) 수지를 나이프 코팅(knife over ro1l coating)방법으로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실리콘 코팅된 직물 부재를 디퓨져 포켓 판넬로 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퓨져 포켓 판넬 접합부가 한쪽면이 폴딩된 상태에서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봉제 접합 공정을 수행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을 제조하였다.
이때, 구체적인 봉제사 종류, 즉, 나일론 원사 또는 케블라(Kevlar) 등과 구체적인 봉제 방법 등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나머지 조건은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제조 또는 에어백용 원단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조건에 따랐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원단 종류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원단 섬도(dTex) 700 470 700 700 700
제직 밀도(thread/inch) 41X41 49X49 41X41 41X41 41X41
제직 형태 평직 평직 평직 평직 평직
고무 성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고무 코팅량(g/m2) 25 25 25 25 25
봉제사 재질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Kevlar 나일론66
봉제사 섬도(Denier) 1,260 1,260 1,260 840 1,260
봉제타입 Double Chain Double Chain Double Lock Double Chain Single Lock
봉제땀수(ea/100mm) 35 35 35 35 35
봉제 형태 직선형 직선형 직선형 직선형 지그재그형
접합 형태 상하 교착 상하 교착 상하 교착 상하 교착 상하 교착
보강폴딩여부
비교예 1~4
봉제 접합 공정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퓨져 포켓 판넬 접합부의 상면과 하면을 서로 일렬로 마주 보는 형태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을 제조하였다.
이때, 구체적인 봉제사 종류 및 봉제 방법 등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나머지 조건은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제조 또는 에어백용 원단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조건에 따랐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원단 종류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원단 섬도(dTex) 700 470 700 700
제직 밀도(thread/inch) 41X41 49X49 41X41 41X41
제직 형태 평직 평직 평직 평직
고무 성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고무 코팅량(g/m2) 25 25 25 25
봉제사 재질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봉제사 섬도(Denier) 1,260 1,260 1,260 1,260
봉제타입 Single Lock Single Lock Double Chain Single Lock
봉제땀수(ea/100mm) 35 35 35 35
봉제 형태 직선형 직선형 직선형 지그재그형
접합 형태 상호 교착 상호 교착 상호 교착 상호 교착
보강폴딩여부
실험예 1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된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물성은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a) 접합부의 봉목강도 및 봉목신율
상기 디퓨져 포켓에서 접합부 시편을 재단하여 미국재료시험협회규격 ASTM D 5822에 따른 봉목강도 측정장치의 하부 클램프에 고정시키고, 상부 클램프를 위로 이동시키면서 접합부 시편이 파단될 때의 강도 및 신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봉목 부분은 중심에 위치하게 하여 접합부의 봉목강도 및 봉목신율을 측정하였다.
(b) 쿠션 전개 시험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디퓨져 포켓와 커튼 에어백 쿠션(OPW, 420D, 57x49, 실리콘 코팅 75 g/m2)을 결합하여 디퓨져 포켓이 포함된 커튼 에어백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디퓨져 포켓이 포함된 커튼 에어백을 시험전개용 커튼에어백 전용 지그에 충분히 고정 시키고, 인플레이터 장치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질소 압축 탱크로부터 연결된 파이프를 상기 에어백에 연결한 후, 25~30 bar의 순간 압력을 가하여 전개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전개 시험 후, 쿠션 내부의 디퓨져 포켓을 분리하여 그 파열 여부를 육안 확인하여 판별하였다.
구분 봉목강도(N) 봉목신율(%) 쿠션 전개 시험 결과
실시예 1 2,320 58 접합부 파열 없음
실시예 2 2,056 52 접합부 파열 없음
실시예 3 1,795 57 접합부 파열 없음
실시예 4 2,531 62 접합부 파열 없음
실시예 5 1,812 48 접합부 파열 없음
비교예 1 1,362 47 접합부 파열
비교예 2 1,214 48 접합부 파열
비교예 3 1,612 53 접합부 파열
비교예 4 1,523 52 접합부 파열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봉제 접합된 실시예 1~5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은 봉목강도 및 봉목신율이 각각 1,795 N 내지 2,531 N 및 48% 내지 62%으로 모두 우수한 정도이며, 쿠션 전개 시험에서 접합부 파열이 전혀 없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기존의 방식대로 봉제 접합부가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서로 일렬로 마주 보는 형태로 적용한 비교예 1~4의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은 봉목강도가 1,214 N 내지 1,523 N에 불과하고, 쿠션 전개 시험에서 모두 접합부 파열이 나타나며 에어백 작동시 고온 고압의 인플레이터 가스를 에어백 쿠션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여 에어백 전개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Claims (14)

  1. 차량의 충돌시 고압의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봉제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물 부재로 이뤄지며, 상기 봉제 접합부는 상기 직물 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교착되는 형태로 접합된 것이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압축 가스를 에어백 쿠션 내부로 공급하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직물 부재의 시접 부위가 봉제선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된 형태로 접합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한쪽 면이 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하부로 서로 교착되어 봉제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부재는 나일론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 섬유로 제조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부재는 섬도가 315 내지 840 데니어인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경사 및 위사의 제직 밀도가 38 본/인치 이상이 되도록 제직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부재의 표면에 피복된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층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층의 단위면적당 코팅량이 20 내지 300 g/㎡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나일론계 원사, 폴리에스테르계 원사, 및 아라미드계 원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봉제사를 사용하여 봉제 접합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섬도가 215 내지 1,890 데니어의 봉제사를 사용하여 봉제 접합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싱글락, 더블락, 싱글 체인, 및 더블 체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봉제법으로 접합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봉제부분의 땀수가 20 내지 60 ea/100mm가 되도록 봉제 접합된 것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접합부는 미국재료시험협회규격 ASTM D 5822 방법으로 측정한 봉목강도가 1,500 N 이상인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퓨져 포켓을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시스템.
KR1020110100241A 2011-09-30 2011-09-30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KR20130035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241A KR20130035736A (ko) 2011-09-30 2011-09-30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241A KR20130035736A (ko) 2011-09-30 2011-09-30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736A true KR20130035736A (ko) 2013-04-09

Family

ID=4843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241A KR20130035736A (ko) 2011-09-30 2011-09-30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57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804B1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102522870B1 (ko) 에어백용 기포, 에어백 및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 방법
KR20100117527A (ko) 에어백 가스 주입용 튜브형 직물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1090994A1 (en) Double-sewn airbag mounting assemblies
JP5566474B2 (ja) 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及びこれを含むエアバッグシステム
WO2006055785A1 (en) Air bag fabric and inflatable elements formed therefrom
JP2010203023A (ja) 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KR101352327B1 (ko) 에어백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20140070444A (ko) 사이드 커튼 에어백용 라미네이팅 원단
KR101103802B1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에어백 시스템
JP2013023784A (ja) エアバッグ用基布
EP3042806B1 (en) Air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349085B1 (ko)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20130035736A (ko) 커튼 에어백용 디퓨져 포켓
KR101984943B1 (ko)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36699A (ko) 에어백 가스 주입용 튜브형 직물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55393B1 (ko)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02477B1 (ko) 아라미드 원단을 포함하는 차량 외부용 에어백
KR101352085B1 (ko) 에어백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20120078662A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101350990B1 (ko) 에어백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20210038356A (ko) 다중직물
KR20110006133A (ko) 에어백 가스 주입용 필호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47969A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101073662B1 (ko) 에어백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