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811A -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811A
KR20130034811A KR1020110098894A KR20110098894A KR20130034811A KR 20130034811 A KR20130034811 A KR 20130034811A KR 1020110098894 A KR1020110098894 A KR 1020110098894A KR 20110098894 A KR20110098894 A KR 20110098894A KR 20130034811 A KR20130034811 A KR 2013003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roller
door glass
flap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444B1 (ko
Inventor
신일섭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4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Winding tubes, e.g. telescopic tubes or conically shap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블라인드의 작동력을 좌우하는 가이드롤러를 원통형으로 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이드롤러가 도어글라스에 접촉되면 면접촉되어 그만큼 접촉면적이 넓기 때문에 마찰력이 커서 내마모성이 떨어지면서 가이드롤러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100) 내부의 권회통(110)에 감긴 차양막(200)이 모터로 출입되는 양쪽 와이어강선(30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도어글라스(400)를 가려주는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에 있어서, 차양막(200) 상단에 설치되며, 양쪽의 와이어강선(300) 선단이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고정부(510)가 구비되고, 양단에 핀축공(521)이 있는 롤러설치홈부(520)가 전면에 다수 형성된 플랩(500)과; 핀축공(521)에 양단이 끼워져 걸리는 핀(610)에 의해 롤러설치홈부(520)에 설치되어 도어글라스(400)와 접촉 회전되며, 가운데 부위가 불룩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롤러(6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600)를 가운데 배가 나오는 배럴형상으로 제작하여 가이드롤러(600)가 도어글라스(400)에 접촉시 가운데 부위만 접촉되게 하여 접촉면적을 적게할 수 있음에 따라 마찰력이 적어져 내마모성이 향상되면서 가이드롤러(600)의 수명이 늘어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electric bind d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블라인드의 작동력을 좌우하는 가이드롤러의 형상을 가운데가 불록하게 나온 배럴형상으로 제작하여 가이드롤러와 도어글라스와의 접촉면적을 작게하여 그만큼 마찰력을 줄여서 가이드롤러가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글라스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의 측면 시계확보와 쾌적한 실내 거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하절기와 같이 일조량이 많을 경우에는 글라스를 통해서 직사광선이 다량으로 투광되므로 차실내의 온도상승과 더불어 운전자의 눈부심 등을 유발하여 안전운행에 방해가 되는 일이 종종 발생된다.
또한, 차량 실내의 상황을 외부로 부터 보호받아야 할 경우에도 사생활을 침해 받을 수 있어 불편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트림과 도어 인너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 블라인드와 같은 커튼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도어글라스를 가리고 싶을 때 언제든지 도어글라스를 가릴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통상적으로 도어글라스를 가릴 경우에는 도어에 설치되고 후면창을 가릴 경우에는 리어시트 후방의 패키지 트레이에 설치하는 것이며, 그 동작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되는데 근래 고급 차량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전동식을 채택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만을 조작하면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블라인드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전동식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동식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차양막(20)이 양력을 효과적으로 받게 하기 위하여 상단에 플랩(50)이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차양막(20)이 플랩(50)과 함께 상하 승강되는 구조이고, 도 2 에서와 같이 플랩(5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롤러(60)가 설치되어 차양막(20)에 작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롤러(60)는 도 3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도어글라스(40)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승하강 된다.
그런데 종래 가이드롤러(60)의 경우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60)를 사용하기 때문에 즉, 가이드롤러(60)의 작동력은 도어글라스(40)와의 접촉면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데 원통형의 가이드롤러(60)의 경우에는 도어글라스(40)와 면접촉이 되어 그만큼 접촉면적이 넓기 때문에 작동력 과다로 블라인드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고 마찰력이 커서 내마모성이 떨어지면서 수명이 짧아지는 것이며, 그만큼 소음도 많이 발생되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롤러와 도어글라스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블라인드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내마모성을 높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소음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내부의 권회통에 감긴 차양막이 모터로 출입되는 양쪽 와이어강선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도어글라스를 가려주는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에 있어서, 차양막 상단에 설치되며, 양쪽의 와이어강선 선단이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고정부가 구비되고, 양단에 핀축공이 있는 롤러설치홈부가 전면에 다수 형성된 플랩과; 핀축공에 양단이 끼워져 걸리는 핀에 의해 롤러설치홈부에 설치되어 도어글라스와 접촉 회전되며, 가운데 부위가 불룩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를 가운데 배가 나온 배럴 형상으로 제작하여 도어글라스와의 접촉시 가운데만이 접촉되게 하여 접촉면적을 줄여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가이드롤러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소음도 감쇄시켜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블라인드에서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 도면.
도 2 는 도 1의 A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 은 종래 가이드롤러가 도어글라스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횡단면도.
도 4 는 종래 가이드롤러가 도어글라스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에서 플랩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8 은 도 7의 결합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라 가이드롤러가 도어글라스에 접촉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라 가이드롤러가 도어글라스에 접촉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에서 플랩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라 가이드롤러가 도어글라스에 접촉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라 가이드롤러가 도어글라스에 접촉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100) 내부의 권회통(110)에 감긴 차양막(200)이 모터로 출입되는 양쪽 와이어강선(30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도어글라스(400)를 가려주는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에 있어서, 차양막(200) 상단에 설치되며, 양쪽의 와이어강선(300) 선단이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고정부(510)가 구비되고, 양단에 핀축공(521)이 있는 롤러설치홈부(520)가 전면에 다수 형성된 플랩(500)과; 핀축공(521)에 양단이 끼워져 걸리는 핀(610)에 의해 롤러설치홈부(520)에 설치되어 도어글라스(400)와 접촉 회전되며, 가운데 부위가 불룩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롤러(6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100)에 설치된 권회통(110)에서 권회되는 차양막(200)의 상단에 와이어강선(300)이 연결되는 와이어고정부(510)가 구비된 플랩(500)을 설치하고 그 플랩(500)에는 가이드롤러(600)를 설치하여 차양막(200)이 상하 이동시 가이드롤러(600)가 도어글라스(400)와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차양막(200)에 작동력을 부여토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가이드롤러(600)의 형상을 변형하여 가이드롤러(600)와 도어글라스(400)의 접촉면적을 작게하여 블라인드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가이드롤러(600)가 도어글라스(400)와의 마찰에도 잘 닳지 않도록 하고, 소음발생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600)를 가운데 배가 나온 형상으로 제작하고, 세로 방향으로 핀끼움공(620)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가이드롤러(600)를 플랩(5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롤러(600)를 플랩(500)의 롤러설치홈부(520)에 안착되게 하여 플랩(500)의 핀축공(521)과 가이드롤러(600)의 핀끼움공(620)이 서로 관통되게 한다.
이처럼 플랩(500)의 롤러설치홈부(520)에 가이드롤러(60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핀(610)을 플랩(500)의 핀축공(521)을 끼워 가이드롤러(600)의 핀끼움공(620)을 통과되게 한 후 다시 플랩(500)의 핀축공(521)에 끼워지게 하면 가이드롤러(600)는 플랩(500)의 롤러설치홈부(520)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가이드롤러(600)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도어글라스(4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 처럼 배럴 형상으로 제작된 가이드롤러(600)는 도어글라스(400)에 접촉시 불룩한 가운데 부위만 도어글라스(4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이므로 그만큼 도어글라스(400)와의 접촉면적이 적어지면서 마찰력이 적어져 마모가 쉽게 일어나지를 않는 것은 물론 소음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롤러(600)의 중앙에는 빙둘러 장착홈(630)을 형성하고, 그 장착홈(630)에는 도어글라스(400)와 접촉되는 연질의 롤러링(640)을 돌출되게 설치한 것으로 이는 가이드롤러(600)가 도어글라스(400)에 접촉되면 롤러링(640)이 도어글라스(400)와 접촉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도어글라스(400)와의 접촉면적을 더욱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롤러(600)의 중앙에 설치된 연질의 롤러링(640)형상은 링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한개 또는 그이상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롤러링(640)의 형상이 꼭 링형태가 아닌 가이드롤러(600)를 전부 감싸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가이드롤러(600)의 형상과 동일하게 배럴형상으로 제작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블라인드가 위, 아래로 승하강 될 경우 가이드롤러(600)전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연질의 롤러링(6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롤러(600)의 각각 좌우측면에는 롤러링(640)의 두께와 동일한 걸림턱(도면중 미도시)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 도어 110 : 권회통
300 : 와이어강선 400 : 도어글라스
500 : 플랩 510 : 와이어고정부
520 : 롤러설치홈부 521 : 핀축공
600 : 가이드롤러 610 : 핀
620 : 핀끼움공 630 : 장착홈
640 : 롤러링

Claims (3)

  1. 도어(100) 내부의 권회통(110)에 감긴 차양막(200)이 모터로 출입되는 양쪽 와이어강선(30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도어글라스(400)를 가려주는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에 있어서,
    차양막(200) 상단에 설치되며, 양쪽의 와이어강선(300) 선단이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고정부(510)가 구비되고, 양단에 핀축공(521)이 있는 롤러설치홈부(520)가 전면에 다수 형성된 플랩(500)과;
    핀축공(521)에 양단이 끼워져 걸리는 핀(610)에 의해 롤러설치홈부(520)에 설치되어 도어글라스(400)와 접촉 회전되며, 세로 방향으로 핀끼움공(620)이 있고, 가운데 부위가 불룩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롤러(600);
    로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롤러(600)의 중앙에는 빙 둘러 장착홈(630)을 형성하고,
    그 장착홈(630)에는 도어글라스(400)와 접촉되는 연질의 롤러링(640)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도어글라스(400)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가이드롤러(600)에 설치되는 롤러링(640)은 가이드롤러(600)중앙부에 한개또는 가이드롤러(600)전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KR1020110098894A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KR10128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94A KR101282444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94A KR101282444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811A true KR20130034811A (ko) 2013-04-08
KR101282444B1 KR101282444B1 (ko) 2013-07-17

Family

ID=4843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894A KR101282444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497B1 (ko) * 2014-10-02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러블라인드 커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7348A1 (de) * 2006-09-29 2008-04-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ntriebs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Abdeckelementes, Türbaugrupp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Antriebsvorricht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497B1 (ko) * 2014-10-02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러블라인드 커튼장치
US9469178B2 (en) 2014-10-02 2016-10-18 Hyundai Motor Company Roller blind curtain device f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444B1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6959B2 (ja) 自動車のグレージングルーフ、対応する組立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車両
US9238940B2 (en) Structure of roll blind using dual roller
KR101383009B1 (ko) 롤러형 바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장치
KR101217873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JP3143588U (ja) 車両用多目的装置
KR101282444B1 (ko)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KR101271947B1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KR101048058B1 (ko)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WO2014196257A1 (ja) 車両
KR101185192B1 (ko)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의 샤프트 구조
KR101264631B1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KR200477555Y1 (ko) 자동차의 이중창문 장치
KR100375844B1 (ko) 차체의 일부가 회전하는 사이드 스텝 구조
JP3169556U (ja) 自動車用風切音低減構造体及びその部材
KR101438785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CN202451029U (zh) 一种汽车车门上的遮阳装置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200073648A (ko) 도어 글라스 어셈블리
JP2007224661A (ja)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KR20050047833A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용 커튼장치
CN211519661U (zh) 车辆
JPH02208120A (ja)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KR20230033949A (ko) 자동차용 바람 및 햇빛가리개
KR20090083261A (ko) 자동차용 분할식 창문
KR20110099612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