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787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787A
KR20130034787A KR1020110098855A KR20110098855A KR20130034787A KR 20130034787 A KR20130034787 A KR 20130034787A KR 1020110098855 A KR1020110098855 A KR 1020110098855A KR 20110098855 A KR20110098855 A KR 20110098855A KR 20130034787 A KR20130034787 A KR 20130034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flexible cable
layer
wire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4787A/ko
Publication of KR2013003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 몸체와, 상기 카메라 모듈 몸체에 마련된 터미널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가지는 플랙시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플랙시블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 1 부재; 상기 제 1 부재와 절연되도록 접착 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레이어를 가지는 제 2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접착/고정하며, 상기 절곡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되는 본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위치에서 구부러지는 플랙시블 케이블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랙시블 케이블은 소형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구성부품들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FFC(Flexible Flat Cable)와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를 포함하여 통칭된다. 상기 플랙시블 케이블은 부드러운 재질의 외피와 얇은 두께로 인해, 높낮이가 다르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품들 사이를 어려움 없이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랙시블 케이블은 선재의 도체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고 그 상면과 하면을 절연재질로 피복시킨 납작한 판형상의 케이블로서, 소정의 연성을 가져 자유롭게 굴곡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랙시블 케이블은 최근 전자산업의 성장으로 컴퓨터, 캠코더, 자동차 등의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원형케이블보다 설치가 자유롭고 조립이 간편하여 그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플랙시블 케이블의 연결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41880호(2008.05.14. 공개)에 상세하게 기재된 바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플랙시블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경우, 협소한 장착 공간으로 인해, 상기 플랙시블 케이블을 적어도 1회 이상 절곡(bending)하여 높낮이가 다르게 배치된 부품들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카메라 모듈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케이블은 많은 수의 단자부와 한정된 공간에서 연결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1개 통전층이 아닌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전층을 가지는 복층 구조로 마련되며, 이때, 각각의 층간 적층 시 본딩시트(bonding sheet)를 이용하여 각 층을 접착하여 고정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본딩시트를 이용하여 복층 구조로 플랙시블 케이블을 형성하면, 경화된 본딩시트가 상대적으로 딱딱하게 형성되어, 플랙시블 케이블의 접히는 부분 근처에서 크랙과 같은 물리적 손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접히는 부분에서 발생된 손상은 각 층간 본딩 결합을 손상시켜, 케이블이 층별로 분리되는 것과 같은 손상을 야기할 수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접히는 구간에서의 케이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플랙시블 케이블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 몸체와, 상기 카메라 모듈 몸체에 마련된 터미널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가지는 플랙시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플랙시블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 1 부재; 상기 제 1 부재와 절연되도록 접착 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레이어를 가지는 제 2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접착/고정하며, 상기 절곡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되는 본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부재는, 서로 다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각각의 와이어 레이어들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적층 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부재는, 서로 다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각각의 와이어 레이어들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적층 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부재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커버층;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층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와이어 레이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 레이어 사이를 절연하는 제 1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본딩 시트의 개재 하에 상기 제 1 부재와 접착되어 절연하는 제 2 수지층; 가장 바깥쪽에 노출되는 제 3 커버층; 및 상기 제 2 수지층과 제 3 커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어 갭은 상기 본딩시트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 2 커버층은, 상기 제 1 및 제 3 커버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3 커버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커버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지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수지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적어도 1 개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 갭의 폭(W)은, 절곡부의 폭(b)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플랙시블 케이블의 접히는 부분에 에어 갭(air gap)을 형성하여 본딩시트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플랙시블 케이블의 절곡부에서 본딩시트의 딱딱함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크랙과 같은 플랙시블 케이블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모듈 몸체와 플랙시블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플랙시블 케이블의 평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랙시블 케이블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랙시블 케이블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랙시블 케이블로 카메라 모듈을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랙시블 케이블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케이블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다.
핸드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과 같은 전자부품은 인쇄회로기판 등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필요가 있는데, 인쇄회로기판과 전자부품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 되어 있을 경우, 터미널을 이용한 직접 연결이 불가능하므로, 케이블 등을 이용한 배선으로 연결한다. 한 쌍의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케이블 부재가 필요한데, 전자부품의 특성상, 매우 많은 수의 단자를 한번에 연결할 필요가 있을 경우, 각 단자들마다 별도의 케이블 부재를 연결하여 배선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플랙시블 케이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랙시블 케이블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상으로 넓게 펼쳐진 형태로 마련되어, 여러 가닥의 케이블 부재를 하나의 층으로 구성하여 한번에 복수 개의 단자들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손쉽게 접거나 굽힌 상태로 배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플랙시블 케이블로 카메라 모듈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기재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의 일 측면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케이블(100)이 연결되는데,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카메라 모듈(1)의 높이 차이로 인해, 인접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랙시블 케이블(100)은 적어도 2개의 위치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에서 접힌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 각각의 접힌 위치의 각도는 서로 동일하며, 바람직하게는 내각이 74도 내외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물론, 이 접힌 각도를 권리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힌 위치의 각도는, 플랙시블 케이블(100)의 배치되는 장소 또는 위치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도 2는 이와 같이 구성된 플랙시블 케이블(1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카메라 모듈(1)과 연결되는 일단에는 제 1 단자(101)가 마련되고, 그 타단으로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위치에는 제 2 단자(102)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 개의 와이어 레이어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플랙시블 케이블의 접힌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구성에 발명의 특징이 있으며, 이 구성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케이블(100)은 적층구조로서, 제 1 부재(111)와 제 2 부재(112) 및 본딩 시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부재(111)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커버층(10)(20);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층(10)(20)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와이어 레이어(11)(13); 및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 레이어(11)(13) 사이를 절연하는 제 1 수지층(12);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제 1 커버층(10)은 플랙시블 케이블(100)의 노출된 바닥면을 형성하고, 제 3 커버층(30)은 노출된 상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및 제 3 커버층(10)(30)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 2 커버층(20)보다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3 커버층(10)(30)의 두께는 38㎛를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 2 커버층(20)의 두께는 적어도 27㎛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와이어 레이어(11)는 상기 제 1 커버층(10)의 상측에 적층 되며, 케이블 연결이 필요한 1군의 와이어 레이어들이 병렬 배치된다.
제 1 수지층(12)은 상기 제 1 와이어 레이어(11)의 상측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폴리이미드는, 일반적인 고분자에 비해 파격적인 고강도, 내열성이 있기 때문에, 전기절연성이 뛰어나 회로절연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제 1 수지층(12)의 두께는 상기 제 1 및 제 3 커버층(10)(30)의 두께와 비슷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와이어 레이어(13)는 상기 제 1 수지층(1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수지층(12)에 의해 상기 제 1 와이어 레이어(11)와 절연된다. 상기 제 2 와이어 레이어(13) 역시 복수 개의 배선들이 병렬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과 연결되어, 신호 교환 및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 2 커버층(20)은 상기 제 2 와이어 레이어(13)의 상측에 적층 배치되며, 상기 제 2 와이어 레이어(13)를 통과하는 전원 및 신호를 인접한 다른 도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딩시트(200)는 일종의 양면 테이프와 같은 것으로, 상기 제 2 커버층(20)의 상측에 접착되며, 그 두께는 13㎛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부재(112)는, 상기 본딩 시트(200)의 개재 하에 상기 제 1 부재(110)와 접착되는 제 2 수지층(21), 가장 바깥쪽에 노출되는 제 3 커버층(30) 및 상기 제 2 수지층(21)과 제 3 커버층(30)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와이어 레이어(22)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제 2 수지층(21)은 상기 본딩시트(200)의 상측에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 그 두께는 상기 본딩시트(200)의 두께와 비슷하게 마련되어, 주변의 도체로부터 전원 및 신호를 절연한다. 상기 제 2 수지층(21)은 상기 제 2 커버층(20)과 함께 상기 제 2 및 제 3 와이어 레이어(13)(22)의 단락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 2 수지층(21)의 두께는 상기 제 1 수지층(12)의 두께보다는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본딩시트(200)와 제 2 수지층(21)의 두께의 합은 제 2 커버층(20)의 두께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수지층(12)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더라도 충분히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3 와이어 레이어(22)는 상기 제 2 수지층(21)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 1 및 제 2 와이어 레이어(11)(13)와 같이, 복수 개의 배선들이 병렬 배치되어, 신호와 전원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제 3 커버층(30)은 상기 제 3 와이어 레이어(22)의 상측에 적층 배치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커버층(10)과 함께 플랙시블 케이블(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케이블(100)은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와 대응되는 상기 본딩시트(200) 부분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제 1 및 제 2 에어 갭(210)(220)이 형성되는 것에 발명의 특징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케이블(100)이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에서 접히면, 절곡 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의 전후로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갭(210)(22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갭(210)(220)은 일정 폭(W)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갭(210)(220)은 상기 본딩시트(200)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본딩시트(2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갭(210)(220)의 폭(W)은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의 폭(b)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에서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해 부드러움이 떨어지는 본딩시트(200)가 존재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에어 갭(210)(220)이 마련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에서 플랙시블 케이블(100)을 접더라도, 접힌 부분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카메라 모듈 10; 제 1 커버층
11; 제 1 와이어 레이어 12; 제 1 수지층
13; 제 2 와이어 레이어 20; 제 2 커버층
21; 제 2 수지층 22; 제 3 와이어 레이어
30; 제 3 커버층 100; 플랙시블 케이블
101; 제 1 단자 102; 제 2 단자
110; 제 1 절곡부 111; 제 1 부재
112; 제 2 부재 120; 제 2 절곡부
200; 본딩시트 210; 제 1 에어 갭
220; 제 2 에어 갭

Claims (11)

  1. 카메라 모듈 몸체와,
    상기 카메라 모듈 몸체에 마련된 터미널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가지는 플랙시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플랙시블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 1 부재;
    상기 제 1 부재와 절연되도록 접착 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레이어를 가지는 제 2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접착/고정하며, 상기 절곡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되는 본딩 시트;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서로 다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각각의 와이어 레이어들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적층 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서로 다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각각의 와이어 레이어들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적층 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커버층;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층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와이어 레이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 레이어 사이를 절연하는 제 1 수지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본딩 시트의 개재 하에 상기 제 1 부재와 접착되어 절연하는 제 2 수지층;
    가장 바깥쪽에 노출되는 제 3 커버층; 및
    상기 제 2 수지층과 제 3 커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와이어 레이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은 상기 본딩시트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층은,
    상기 제 1 및 제 3 커버층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커버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커버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수지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의 폭(W)은, 절곡부의 폭(b)보다 크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98855A 2011-09-29 2011-09-29 카메라 모듈 KR20130034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55A KR20130034787A (ko) 2011-09-29 2011-09-2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55A KR20130034787A (ko) 2011-09-29 2011-09-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787A true KR20130034787A (ko) 2013-04-08

Family

ID=4843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855A KR20130034787A (ko) 2011-09-29 2011-09-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4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3185A (zh) * 2021-03-30 2021-07-16 珠海景旺柔性电路有限公司 在弯折中高频信号稳定传输的多层柔性线路板及通信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3185A (zh) * 2021-03-30 2021-07-16 珠海景旺柔性电路有限公司 在弯折中高频信号稳定传输的多层柔性线路板及通信设备
CN113133185B (zh) * 2021-03-30 2022-08-12 珠海景旺柔性电路有限公司 在弯折中高频信号稳定传输的多层柔性线路板及通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4365B2 (ja) 高速伝送用基板
JP2006324406A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ド多層配線板
WO2014080963A4 (en) Printed wiring board and printed circuit board
US9666925B2 (en) Transmission line, a transmission line apparatus, and an electronic device
US9949368B2 (en) Resin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US9324491B2 (en) I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2517100A (ja) プリント回路アッセンブリ
KR20180054415A (ko) 형상 기억을 가지는 고속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JP6160308B2 (ja) 積層基板
US10020441B2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device
US8513533B2 (en) Multilayer stacked circuit arrangement with localized separation section
JP4363664B1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803100B1 (ko) 전자 기기의 다층 연성회로기판
KR20190099712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EP3035019B1 (en) Stator slot temperature sensor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
KR20130034787A (ko) 카메라 모듈
JP2017139180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132778A1 (ja) フレキシブル多層基板
JP5174793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5115116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CN105578724A (zh) 柔性电路板及移动终端
JP5170198B2 (ja) 配線基板付ケーブルアセンブリ
JP5651096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平面表示装置
CN105430883A (zh) 柔性电路板及移动终端
CN103715164A (zh) 柔性电路板及芯片封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