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570A -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570A
KR20130034570A KR1020120039412A KR20120039412A KR20130034570A KR 20130034570 A KR20130034570 A KR 20130034570A KR 1020120039412 A KR1020120039412 A KR 1020120039412A KR 20120039412 A KR20120039412 A KR 20120039412A KR 20130034570 A KR20130034570 A KR 20130034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oop filter
offset
block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김휘용
임성창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4366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3457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CN201510346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902286B/zh
Priority to BR122020015282-6A priority patent/BR122020015282B1/pt
Priority to BR122014023991-2A priority patent/BR122014023991B1/pt
Priority to BR122020015284-2A priority patent/BR122020015284B1/pt
Priority to CN201280058538.7A priority patent/CN103959794B/zh
Priority to BR112014007434-8A priority patent/BR112014007434B1/pt
Priority to CN201510359035.9A priority patent/CN105007497B/zh
Priority to CN201410466651.XA priority patent/CN104202610A/zh
Priority to KR1020120107639A priority patent/KR101356450B1/ko
Priority to IN3108CHN2014 priority patent/IN2014CN03108A/en
Priority to JP2014533205A priority patent/JP2014531851A/ja
Priority to EP16192441.0A priority patent/EP3145196A3/en
Priority to US14/347,709 priority patent/US9270990B2/en
Priority to BR122020015286-9A priority patent/BR122020015286B1/pt
Priority to EP21204985.2A priority patent/EP3965427A1/en
Priority to PCT/KR2012/007833 priority patent/WO2013048151A1/ko
Priority to CN201510345865.6A priority patent/CN104902284B/zh
Priority to EP12835079.0A priority patent/EP2763411A4/en
Priority to EP16188610.6A priority patent/EP3154267A3/en
Priority to EP14181502.7A priority patent/EP2887674A3/en
Publication of KR20130034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570A/ko
Priority to KR1020130093114A priority patent/KR20130095241A/ko
Priority to KR1020130093115A priority patent/KR20130095242A/ko
Priority to KR1020130093113A priority patent/KR101366650B1/ko
Priority to US14/251,113 priority patent/US9148663B2/en
Priority to JP2014083073A priority patent/JP2014171227A/ja
Priority to KR1020140054257A priority patent/KR20140066677A/ko
Priority to KR1020140054258A priority patent/KR101744024B1/ko
Priority to JP2015103817A priority patent/JP2015181270A/ja
Priority to US14/820,880 priority patent/US9204148B1/en
Priority to US14/820,842 priority patent/US9204171B1/en
Priority to JP2017007873A priority patent/JP2017108424A/ja
Priority to KR1020170063276A priority patent/KR101868121B1/ko
Priority to KR1020180066357A priority patent/KR101977740B1/ko
Priority to KR1020180066358A priority patent/KR101977741B1/ko
Priority to KR1020180066356A priority patent/KR101977739B1/ko
Priority to KR1020180066355A priority patent/KR101977738B1/ko
Priority to KR1020190052886A priority patent/KR102030425B1/ko
Priority to JP2019175804A priority patent/JP2020017986A/ja
Priority to KR1020190121949A priority patent/KR102140328B1/ko
Priority to KR1020200093360A priority patent/KR102194038B1/ko
Priority to KR1020200176182A priority patent/KR102337652B1/ko
Priority to JP2021184936A priority patent/JP2022043032A/ja
Priority to KR1020210172841A priority patent/KR20210153572A/ko
Priority to KR1020230024468A priority patent/KR102631239B1/ko
Priority to JP2023127350A priority patent/JP2023145724A/ja
Priority to KR1020240011520A priority patent/KR20240018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에 관한 기술로, 압축된 영상 비트스트림을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네트워크 채널로 전송할 때, 대상 블록과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에 따라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 방법을 제한함으로써 에러에 강인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using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filtering}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는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네트워크 채널로 압축된 영상 비트스트림을 전송하여 압축된 영상 비트스트림 내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대한 대응방안이 없기 때문에,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에 의하여 에러가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전파 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된 영상 비트스트림 내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종래의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는 복원된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으며, 영상 비트스트림의 복호화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 대상 블록과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시 상기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의 수행 방법을 제한하여 에러에 강인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의 수행 방법 등을 기존의 방법과 달리 제한함으로써 영상 복호화 과정이 에러에 강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는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네트워크 채널로 압축된 영상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경우, 압축된 영상 비트스트림 내에서 에러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이 없기 때문에,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에 의하여 에러가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전파 될 수 있다.
CIP(Constrained intra prediction)는 에러에 강인하게 하기위한 기술로써 화면내 예측시 사용되는 주변의 복원된 샘플 영역이 화면간 부호화된 경우 예측 대상 블록 주변의 복원된 샘플을 이용하지 않고, 화면내 부호화되고 복원된 주변 샘플들을 보간법(interpolation) 혹은 외삽법(extrapolation)을 이용해 참조 샘플을 생성한 뒤, 해당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화면내 예측을 수행한다. 따라서, 주변의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이 참조하는 픽쳐가 손실되어도 예측 대상 블록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디블록킹 필터링 과정에서는 CIP 모드의 사용 유무 또는 부호화 파라미터에 관계 없이 복원된 영상에 필터링을 수행하므로, 복원된 영상 내의 에러(ex 화면간)가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영역(ex 화면내) 으로 전파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필터링은 복원된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은 제안 방법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전송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현재 블록과 주변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에 따라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또는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제한함으로써, 화면간 부호화된 블록을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없는 경우에도 화면내 부호화된 블록의 정상 복호를 보장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면간 부호화된 블록의 오류가 화면내 부호화된 블록으로 전파 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화면내 부호화된 블록의 복원 결과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에서 동일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나타낸다.
[공통 실시예]
[E1] 부호화 대상 시퀀스, 픽쳐, 프레임, 필드, 슬라이스, 부호화 유닛, 예측 유닛, 혹은 변환 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시그널링 하는 단계;
([D1] 복호화 대상 시퀀스, 픽쳐, 프레임, 필드, 슬라이스, 부호화 유닛, 예측 유닛, 혹은 변환 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부호화기에서 에러 내성에 대응하기 위한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시그널링(signaling)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bitstream)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 Sequence Parameter Set) 혹은 픽쳐 파라미터 세트 (PPS: Picture Parameter Set) 혹은 적응 파라미터 세트 (APS: Adaptation Parameter Set) 혹은 슬라이스 헤더 (slice header) 등에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때, 에러 내성에 대응하기 위한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것은 부호화기(encoder)에서 비트스트림(bitstream)에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와 같은 지시자(indicator)를 삽입하여, 복호화기(decoder)에서 비트스트림을 파싱(parsing)하여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 지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지시자는 부호화기에서 산술 부호화(arithmetic coding) 혹은 가변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 등의 엔트로피 부호화 과정을 통해 비트스트림에 포함되며, 복호화기에서는 해당 엔트로피 복호화 과정을 통해 비트스트림 내의 지시자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를 이용해서 시그널링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constrained_offset_and_filter_flag 를 시그널링하여 ‘0’이면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지 않고, ‘1’이면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픽쳐 파라미터 세트를 이용해서 시그널링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constrained_offset_and_filter_flag 를 시그널링하여 ‘0’이면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지 않고, ‘1’이면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예를 들어, 에러에 강인한 화면내 예측을 위한 constrained_intra_pred_flag 가 ‘1’이면, 별도의 constrained_offset_and_filter_flag 의 시그널링 없이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할 수 있다.
부호화기에서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 지원 여부에 대한 지시자의 시그널링 없이,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에서 항상 제한된 오프셋 보상 혹은 루프 필터를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부호화기 또는 복호화기의 오프셋 보상 과정 혹은 루프 필터 과정에서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부호화 파라미터는 화면내(intra) 부호화되었는지 혹은 화면간(inter) 부호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부호화 모드(coding mode), 화면내 예측 모드(intra prediction mode), 화면간 예측 모드(inter prediction mode), 부호화 블록 플래그(CBF: coded block flag), 양자화 매개변수(quantization parameter),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움직임 벡터 예측기(motion vector predictor), 참조 영상 색인(reference picture index), 슬라이스/타일 경계 (slice/tile boundary) 여부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또는 루프 필터의 적용 대상 블록 혹은 주변 블록들이 화면내 부호화되었는지 혹은 화면간 부호화되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어느 블록이 화면내 부호화되었으면 해당 블록을 화면내 모드(intra mode)로 부호화되었다고 할 수 있고, 어느 블록이 화면간 부호화되었다면 해당 블록을 화면간 모드(inter mode)로 부호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이 PCM (pulse coded modulation) 모드로 부호화되었다면, 해당 블록은 화면내 부호화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부/복호화기에서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함에 있어, 부호화 파라미터에 따라 신뢰성 강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오프셋 보상 과정 또는 루프 필터 과정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와 같이 부호화 파라미터에 따른 신뢰성 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부호화 파라미터의 조합에 따라 신뢰성 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 현재 슬라이스 내에서 예측이 수행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강하다고 판단하며,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은 이전 슬라이스를 통해서 예측이 수행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BF가 0이거나, SKIP 인 블록은 잔여 신호가 존재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다른 블록과 비교하여 왜곡이 크기 때문에 신뢰성이 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스/타일 경계 내에 있는 블록은 신뢰성이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밖에 있는 블록은 신뢰성이 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오프셋 보상 - 부호화기 실시예]
오프셋 보상 중 화소 적응적 오프셋(SAO: Sample Adaptive Offset)을 이용하여 원본영상과 복원영상 간의 화소 값 오차를 계산하여 오프셋을 구하고 이를 복원영상에 수행하여 원본영상과의 왜곡을 최소화함으로써 주관적/객관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프셋 보상 방법 중 화소 적응적 오프셋(SAO: Sample Adaptive Offset)의 부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E2-1]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 여부 결정 및 시그널링 수단: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한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는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혹은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혹은 적응 파라미터 세트(adaptation parameter set) 혹은 슬라이스 헤더 (slice header) 에 sample_adaptive_offset_enabled_flag를 포함함으로써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단위의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를 복호화기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이때,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각각 비트스트림에 포함하여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 각각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블록의 구조를 시그널링한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 내에 sao_split_flag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슬라이스를 쿼드트리(quadtree)로 분할하여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 여부에 대한 블록의 구조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쿼드트리로 분할하는 깊이(depth) 정보도 비트스트림에 포함하여 해당 깊이까지 분할 여부를 시그널링하며 분할되는 영역의 최소 단위는 LCU(Largest Coding Unit)가 될 수 있다.
[E3-1] 화소 적응적 오프셋 파라미터 결정 수단
화소 적응적 오프셋 파라미터는 오프셋(offset), 오프셋 보상 블록 구조, 쿼드트리 깊이, 오프셋 타입(type), 오프셋 종류(category)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type) 및 오프셋 결정 및 시그널링 수단: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한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 정보 및 오프셋 값을 결정한 뒤 복호화기로 시그널링 한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은 7가지가 있으며 각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마다 다른 개수와 다른 오프셋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이 에지 오프셋(EO: Edge Offset)으로 결정된 경우 4개의 오프셋 값을 복호화기로 시그널링 할 수 있고, 밴드 오프셋(BO: Band Offset)으로 결정된 경우 16개의 오프셋 값을 복호화기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화소 적응적 오프셋 종류(category) 결정 및 시그널링 수단: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에 따라 오프셋 보상을 수행함에 있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종류를 결정하여 결정된 종류에 해당하는 오프셋 보상을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에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에지 오프셋은 4개의 오프셋 종류, 밴드 오프셋은 16개의 오프셋 종류가 있으며 각각 파싱된 오프셋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오프셋의 결정 방법은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와 주변의 화소들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고, 밴드 오프셋의 결정 방법은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가질 수 있는 화소 값의 범위를 16개의 구간으로 나눈 뒤 나눠진 구간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화소 적응적 오프셋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E4-1]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 수단: 상기 결정된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 여부 및 결정된 오프셋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복원된 영상의 화소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오프셋을 화소 값에 가산하여 오프셋 보상된 화소 값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오프셋 보상 부호화기의 과정은 하나의 슬라이스를 쿼드트리 구조의 다양한 블록의 크기로 분할하고 각 블록마다 에지 오프셋 혹은 밴드 오프셋 중에서 최적의 타입으로 율-왜곡 최적화 (RDO: 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이용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최적의 타입에서 오프셋 종류 및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화소 적응적 오프셋 파라미터는 부호화기에서 결정되고 결정된 정보를 부호화기에서 엔트로피 부호화하여 복호화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오프셋 보상 - 복호화기 실시예]
오프셋 보상 방법 중 화소 적응적 오프셋(SAO: Sample Adaptive Offset)의 복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D2-1]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 여부 결정 수단: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는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혹은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혹은 적응 파라미터 세트(adaptation parameter set) 혹은 슬라이스 헤더 (slice header) 에 포함된 sample_adaptive_offset_enabled_flag를 파싱함으로써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단위의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각각 파싱하여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 각각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블록의 구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sao_split_flag를 파싱함으로써 하나의 슬라이스를 쿼드트리(quadtree)로 분할하여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블록의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쿼드트리로 분할 하는 깊이(depth) 정보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여 해당 깊이까지 분할 여부를 결정하며 분할되는 영역의 최소 단위는 LCU가 될 수 있다.
[D3-1] 화소 적응적 오프셋 파라미터 결정 수단
화소 적응적 오프셋 파라미터는 오프셋(offset), 오프셋 보상 블록 구조, 쿼드트리 깊이, 오프셋 타입(type), 오프셋 종류(category)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type) 및 오프셋 결정 수단: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한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 정보 및 오프셋 값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은 7가지가 있으며 각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마다 다른 개수와 다른 오프셋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이 에지 오프셋(EO: Edge Offset)으로 결정된 경우 4개의 오프셋 값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고, 밴드 오프셋(BO: Band Offset)으로 결정된 경우 16개의 오프셋 값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여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과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화소 적응적 오프셋 종류(category) 결정 수단: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타입에 따라 오프셋 보상을 수행함에 있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종류를 결정하여 결정된 종류에 해당하는 오프셋 보상을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에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에지 오프셋은 4개의 오프셋 종류, 밴드 오프셋은 16개의 오프셋 종류가 있으며 각각 파싱된 오프셋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오프셋의 결정 방법은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와 주변의 화소들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고, 밴드 오프셋의 결정 방법은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가질 수 있는 화소 값의 범위를 16개의 구간으로 나눈 뒤 나눠진 구간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화소 적응적 오프셋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D4-1]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 수단: 상기 결정된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 여부 및 결정된 오프셋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복원된 영상의 화소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오프셋을 화소 값에 가산하여 오프셋 보상된 화소 값을 복원할 수 있다.
[오프셋 보상 - 상세 실시예]
상기 [E3-1]/[D3-1] 화소 적응적 오프셋 파라미터 결정 수단에서,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과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한된 오프셋 파라미터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오프셋 타입(type)은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에지 오프셋은 4개의 오프셋 타입으로 세분될 수 있으며 각 오프셋 타입은 4개의 오프셋 종류(category)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 에지 오프셋 종류는 도 2에서와 같이 각도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오프셋 종류는 조건(condition)에 의하여 결정된다. 결정된 오프셋 타입에 따라 오프셋 타입 색인은 부호화되어 복호화기로 시그널링되며, 오프셋 종류는 시그널링 없이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에서 각각 조건에 의하여 분류될 수 있다.
에지 오프셋에서 오프셋 종류를 결정함에 있어, 오프셋 수행 대상 블록과 오프셋 수행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오프셋 수행 대상 블록과 좌측 블록이 화면내로 부호화 되었고 상위 블록이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경우, 도 2의 조건을 판별할 때, 도 3의 ‘C’와 ‘N1’은 화면내 블록의 화소가 되고 ‘N2’는 화면간 블록의 화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로 에러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주변의 블록들 중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은 사용하지 않고,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 내의 에러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에러 내성에 강인한 화면내로 부호화된 화소들만을 이용하여 오프셋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주변의 블록들 중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은 사용하지 않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을 에러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에러 내성에 강인한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로 대체한 뒤 오프셋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N2’의 값을 ‘D’로 대체한 뒤 도 2의 조건에 의하여 오프셋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내성에 강인하도록 오프셋 종류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E4-1]/[D4-1]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 수단에서,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과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한된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오프셋 종류에 해당하는 오프셋 값은 부호화되어 복호화기로 시그널링되며, 복호화기에서 각 오프셋 값을 복호화한 후, 각 블록 내의 화소마다 조건에 의해 분류되는 오프셋 종류에 해당하는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로 에러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주변의 블록들 중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은 사용하지 않고,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블록 내의 에러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에러 내성에 강인한 화면내로 부호화된 화소들만을 이용하여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주변의 블록들 중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은 사용하지 않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을 에러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에러 내성에 강인한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로 대체한 뒤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내성에 강인하도록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지 않거나, 에지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호화 과정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D1] 제한된 화면내 예측을 수행하는 경우(즉, constrained_intra_pred_flag 가 1인 경우)에, constrained_in_loop_filter_flag를 파싱하여 제한된 인루프 필터 수행 여부 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때, constrained_in_loop_filter_flag 가 1이면 제한된 인루프 필터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0이면 제한된 인루프 필터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한된 인루프 필터의 적용 대상은 디블록킹 필터, 오프셋 보상(SAO), 루프 필터(AL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D2-1]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에서 sample_adaptive_offset_enabled_flag를 파싱하여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비트스트림에서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 각각에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각각 파싱할 수 있다.
[D3-1] 제한된 오프셋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 오프셋 타입이 에지 오프셋인 경우 4개의 에지 오프셋 타입 중 하나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여 결정할 수 있고, 이때, 해당 타입에 대해 오프셋 종류를 결정함에 있어,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속하고 주변 화소가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에 속할 경우 대상 화소에 대한 오프셋 종류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지 않게 오프셋 종류를 ‘0’으로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x, y) 위치의 화소에 대한 오프셋 종류를 결정하지 않고, ‘0’ 으로 할 수 있다. 조건에서, hPos[k]과 vPos[k]은 상기 결정된 오프셋 타입에 따른 주변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k 는 0 과 1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셋 타입이 2인 경우, 주변 화소는 (x, y-1)과 (x, y+1) 위치의 화소값일 수 있다.
조건1: constrained_in_loop_filter_flag = 1
조건2: (x, y) 위치의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속하고 (x + hPos[k], y + vPos[k]) 위치의 하나 이상의 화소가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에 속하는 경우
Figure pat00005
[D4-1]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 수행함에 있어, 오프셋 보상 대상 화소가 속한 블록과 대상 화소의 주변 화소가 속한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한된 화소 적응적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D3-1]에 의해 오프셋 종류를 결정하지 않고 ‘0’으로 한 경우, 대상 화소에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3-1]에 의해 오프셋 종류를 ‘0’으로 한 경우, recSaoPicture[x, y] = recPicture[x, y] 일 수 있다. 여기서 recSaoPicture[x, y] 는 (x, y) 위치의 화소에 대해 오프셋 보상을 수행한 후의 화소값을 나타내며, recPicture[x, y]는 (x, y) 위치의 오프셋 보상을 거치기 전의 복원된 화소값을 나타낸다. 즉, 상기 식은 복원된 화소값에 오프셋이 적용되지 않은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루프 필터 - 부호화기 실시예]
적응적 루프 필터(ALF: Adaptive Loop Filter)을 이용하여 원본영상과 복원영상 간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위너 필터(Wiener filter)에 기반한 필터 계수를 유도한 후 이를 복원영상에 수행하여 원본영상과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주관적/객관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응적 루프 필터(ALF: Adaptive Loop Filter)의 부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E2-2]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여부 결정 수단: 적응적 루프 필터의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한다. 예를 들어,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여부는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혹은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혹은 적응 파라미터 세트(adaptation parameter set) 혹은 슬라이스 헤더 (slice header) 에 adaptive_loop_filter_flag를 포함함으로써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단위의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여부를 복호화기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때,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에 화소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각각 비트스트림에 포함하여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 각각에 적응적 루프 필터의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부호화 유닛(coding unit) 단위의 필터 수행 여부 플래그와 같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포함하여 부호화 유닛 단위로 필터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영상 단위로 필터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수행되는 최대 깊이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삽입하여 부호화 유닛에서 특정 깊이의 부호화 유닛까지만 적응적 루프 필터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E3-2] 적응적 루프 필터 파라미터 결정 수단:
적응적 루프 필터 파라미터는 필터 모양(shape), 필터 계수(coefficient), 필터 분류(classification) 방법, 필터 색인(index), 필터 예측 방법, 필터 수행 최대 깊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필터 모양 및 필터 계수 결정 수단: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모양들 중에 하나의 모양을 결정하고 시그널링 한다. 예를 들어, 필터 모양은 부호화기에서 최적의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 계수를 결정하고 시그널링 한다. 예를 들어, 필터 계수는 부호화기에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필터 계수의 개수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계수는 다른 차수(order)의 지수 골롬 (exponential Golomb) 코드로 부호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 계수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해서 필터 계수 간에 DPCM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등과 같은 방법으로 예측 부호화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필터 계수는 다른 필터 계수의 합으로부터 예측 부호화 될 수 있다.
필터 분류 수단: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필터 분류 수단으로 영역 기반 적응 (RA: Region-based adaptation)과 블록 기반 적응(BA: Block-based adaptation)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 때 필터를 달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기에서 영역 기반 적응으로 결정하면 alf_region_adaptation_flag를 ‘1’로 시그널링하고 블록 기반 적응으로 결정하면 alf_region_adaptation_flag을 ‘0’으로 시그널링한다. 영역 기반 적응이 사용될 경우 분할된 영상 영역 당 다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가 선택될 수 있으며, 블록 기반 적응이 사용될 경우 화소들의 변화량 및 방향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어떤 필터가 선택되었는지는 필터 색인을 이용할 수 있다.
[E4-2]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수단: 상기 결정된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여부 및 결정된 필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복원된 영상의 화소에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체 적응적 루프 필터 부호화기의 과정은 하나의 슬라이스를 부호화 트리 블록(Coding Tree Block) 구조에 동기화하여 부호화 유닛 단위로 필터 수행 여부, 필터 수행 최대 깊이, 필터 예측 방법, 필터 분류 방법, 필터 모양, 필터 계수를 율-왜곡 최적화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최적의 적응적 루프 필터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적응적 루프 필터 파라미터는 부호화기에서 결정되고 결정된 정보를 부호화기에서 엔트로피 부호화하여 복호화기로 전송할 수 있다.
[루프 필터 - 복호화기 실시예]
적응적 루프 필터(ALF: Adaptive Loop Filter)의 복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D2-2]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여부 결정 수단: 적응적 루프 필터의 수행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혹은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혹은 적응 파라미터 세트(adaptation parameter set) 혹은 슬라이스 헤더 (slice header) 에 포함된 adaptive_loop_filter_flag를 파싱함으로써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단위의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에 화소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각각 파싱하여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 각각에 적응적 루프 필터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유닛(coding unit) 단위의 필터 수행 여부 플래그와 같은 정보를 파싱하여 부호화 유닛 단위로 필터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영상 단위로 필터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수행되는 최대 깊이에 대한 정보를 파싱하여 부호화 유닛에서 특정 깊이의 부호화 유닛까지만 적응적 루프 필터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D3-2] 적응적 루프 필터 파라미터 결정 수단:
적응적 루프 필터 파라미터는 필터 모양(shape), 필터 계수(coefficient), 필터 분류(classification) 방법, 필터 색인(index), 필터 예측 방법, 필터 수행 최대 깊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필터 모양 및 필터 계수 결정 수단: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모양들 중에 하나의 모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복호화기에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필터 모양을 결정한다.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 계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부호화기에서 계산하고 전송한 필터 계수를 복호화기에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이때 필터 계수의 개수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계수는 다른 차수(order)의 지수 골롬 (exponential Golomb) 코드로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 계수를 효율적으로 복호화하기 위해서 필터 계수 간에 DPCM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등과 같은 방법으로 예측 복호화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필터 계수는 다른 필터 계수의 합으로부터 예측 복호화 될 수 있다.
필터 분류 수단: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필터 분류 수단으로 영역 기반 적응 (RA: Region-based adaptation)과 블록 기반 적응(BA: Block-based adaptation)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 때 필터를 달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기에서 전송한 alf_region_adaptation_flag를 파싱하여 ‘1’이면 영역 기반 적응으로 결정하고, ‘0’이면 블록 기반 적응으로 결정한다. 영역 기반 적응이 사용될 경우 분할된 영상 영역 당 다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가 선택될 수 있으며, 블록 기반 적응이 사용될 경우 화소들의 변화량 및 방향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어떤 필터가 선택되었는지는 필터 색인을 이용할 수 있다.
[D4-2]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수단: 상기 결정된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여부 및 결정된 필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복원된 영상의 화소에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한다.
[루프 필터 - 상세 실시예]
상기 [E3-2]/[D3-2] 적응적 루프 필터 파라미터 결정 수단에서, 필터 수행 대상 블록과 필터 수행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한된 필터 파라미터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모양들 중에 하나의 필터 모양을 결정할 때, 부호화기에서 다수의 필터 모양들 중에서 최적의 필터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모양은 도 4와 같을 수 있고, 각 필터 내의 숫자는 필터 계수 인덱스를 의미한다. 부호화기에서 필터 모양과 필터 분류 방법은 부호화되어 복호화기로 시그널링되며, 필터 분류 방법에 따라 필터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필터는 최대 16개까지 존재할 수 있으며, 필터 분류 방법으로 영역 기반 적응과 블록 기반 적응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16개의 필터 중 하나의 필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필터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 방법은 필터 모양의 중앙에 위치한 화소값을 필터링 함에 있어, 각 필터 계수와 각 위치에 해당하는 화소값의 곱의 합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 기반 적응에서 필터를 선택함에 있어, 필터 수행 대상 블록과 필터 수행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필터 대상 블록이 화면내로 부호화 되었고 주변 블록이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경우, 4x4 블록 단위에서 수평 혹은 수직의 방향성을 판별할 때, 도 5에서 음영이 칠해지지 않은 4x4 블록은 화면내 블록의 화소가 되고 음영이 칠해진 화소들은 화면간 블록의 화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R’은 복원된 화소를 의미하며, VA는 수직, HA는 수평의 방향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블록 기반 적응을 수행할 때, 필터 수행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로 에러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주변의 블록들 중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은 사용하지 않고, 필터 수행 대상 블록 내의 에러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에러 내성에 강인한 화면내로 부호화된 화소들만을 이용하여 필터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기반 적응을 수행할 때, 필터 수행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주변의 블록들 중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은 사용하지 않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을 에러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에러 내성에 강인한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로 대체한 뒤 필터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R(0,0)’ 위치에서의 수평 혹은 수직의 방향성을 판별할 때, 화면간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R(-1,0)’ 혹은 ‘R(0,-1)’의 값을 화면내 블록의 값으로 대체한 후, 방향성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기반 적응을 수행할 때, 필터 수행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값이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에러 내성에 강인하도록 하기 위해 필터 분류 수단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E4-2]/[D4-2] 적응적 루프 필터 수행 수단에서, 필터 수행 대상 블록과 필터 수행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한된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 수 있다.
필터 분류 방법으로 결정된 필터들은 부호화되어 복호화기로 시그널링되며, 복호화기에서 각 필터를 복호화한 후, 각 블록 내의 화소마다 필터 분류 방법에 의해 분류되는 필터를 이용하여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함에 있어, 필터 수행 대상 블록과 필터 수행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필터 대상 블록이 화면내로 부호화 되었고 주변 블록이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경우, 4x4 블록 단위에서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 때, 도 6에서 음영이 칠해지지 않은 4x4 블록 및 주변 블록들은 화면내 블록의 화소가 되고 음영이 칠해진 화소들은 화면간 블록의 화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수행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 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로 에러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주변의 블록들 중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은 사용하지 않고, 필터 수행 대상 블록 내의 에러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에러 내성에 강인한 화면내로 부호화된 화소들만을 이용하여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수행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 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주변의 블록들 중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은 사용하지 않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을 에러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에러 내성에 강인한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들로 대체한 뒤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수행 대상 화소가 화면내로 부호화 된 블록에 포함되고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내성에 강인하도록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 필터 모양이 결정 되었고, 도 6의 4x4 블록의 각 화소값에 상기 필터를 적용할 때, 필터링 대상 화소의 위치는 가운데에 있는 ‘9’번이 되고, 주변의 화소값과 해당하는 위치의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를 수행한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필터 계수가 화면내로 부호화된 블록에 포함하는 경우만 필터를 적용한다. 다시 말해, 도 6에서 화소값 ‘I’, ‘j’, ‘k’, ‘l’, ‘m’, ‘n’, ‘o’, ‘p’ 에 대해서만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호화 과정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D1] 제한된 화면내 예측을 수행하는 경우(즉, constrained_intra_pred_flag 가 1인 경우)에, constrained_in_loop_filter_flag를 파싱하여 제한된 인루프 필터 수행 여부 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때, constrained_in_loop_filter_flag 가 1이면 제한된 인루프 필터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0이면 제한된 인루프 필터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한된 인루프 필터의 적용 대상은 디블록킹 필터, 오프셋 보상(SAO), 루프 필터(AL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D2-2]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에서 adaptive_loop_filter_enabled_flag를 파싱하여 적응적 루프 필터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비트스트림에서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 각각에 화소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각각 파싱할 수 있다.
[D3-2] 제한된 적응적 루프 필터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 필터 수행 대상 블록과 필터 수행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필터 대상 화소가 속한 블록이 화면내로 부호화 되었고 주변 화소들이 속한 블록이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경우, 블록 단위의 수평 혹은 수직의 방향성을 판별할 때, 화면내 블록의 화소들만을 이용하여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방향성 판별을 위해, R(0,0) 과 R(0,2), R(2,0), R(2,2) 위치에서 도 5의 수식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때, 제한된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하고, 음영 칠해진 부분이 화면간, 흰색 블록이 화면내로 부호화 된 경우, 상기 수식에 사용되는 화소 및 주변 화소들이 모두 화면내에 속하는 R(2,2) 위치에 대해서만 방향성을 판별하고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D4-2] 필터 수행 대상 블록과 필터 수행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한된 적응적 루프 필터를 수행함에 있어, 필터링 대상 화소가 속한 블록이 화면내로 부호화되었고 필터링을 위해 사용되는 주변 화소가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에 속하는 경우, 대상 화소에 대해 루프 필터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하나의 필터 모양이 정해져 있고, 상기 [D3-2]에서 결정한 필터를 ‘9’ 위치의 화소에 적용함에 있어, 적용 대상 화소 주변의 하나 이상의 화소가 화면간으로 부호화된 블록에 속하는 경우, 대상 화소에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Claims (1)

  1.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
KR1020120039412A 2011-09-28 2012-04-1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34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4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33205A JP2014531851A (ja) 2011-09-28 2012-09-27 制限されたオフセット補償及びループフィルタに基づく映像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並びにその装置
EP16192441.0A EP3145196A3 (en) 2011-09-28 2012-09-27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CN201510345865.6A CN104902284B (zh) 2011-09-28 2012-09-27 用于解码视频的方法
BR122014023991-2A BR122014023991B1 (pt) 2011-09-28 2012-09-27 Aparelho para codificação de um vídeo
BR122020015284-2A BR122020015284B1 (pt) 2011-09-28 2012-09-27 Aparelho para decodificação de um vídeo
CN201280058538.7A CN103959794B (zh) 2011-09-28 2012-09-27 基于约束偏移补偿和环路滤波来编码和解码图像的方法、及其设备
BR112014007434-8A BR112014007434B1 (pt) 2011-09-28 2012-09-27 Aparelho para decodificação de um vídeo
CN201510359035.9A CN105007497B (zh) 2011-09-28 2012-09-27 用于编码视频的方法
CN201410466651.XA CN104202610A (zh) 2011-09-28 2012-09-27 用于编码视频的设备
KR1020120107639A KR101356450B1 (ko) 2011-09-28 2012-09-2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IN3108CHN2014 IN2014CN03108A (ko) 2011-09-28 2012-09-27
CN201510346045.9A CN104902286B (zh) 2011-09-28 2012-09-27 用于解码视频的方法
EP14181502.7A EP2887674A3 (en) 2011-09-28 2012-09-27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EP21204985.2A EP3965427A1 (en) 2011-09-28 2012-09-27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BR122020015286-9A BR122020015286B1 (pt) 2011-09-28 2012-09-27 Aparelho para decodificação de um vídeo
US14/347,709 US9270990B2 (en) 2011-09-28 2012-09-27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PCT/KR2012/007833 WO2013048151A1 (ko) 2011-09-28 2012-09-2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BR122020015282-6A BR122020015282B1 (pt) 2011-09-28 2012-09-27 Aparelho para decodificação de um vídeo
EP12835079.0A EP2763411A4 (en) 2011-09-28 2012-09-27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ANT SHIFT CORRECTION AND LOOP FILTER
EP16188610.6A EP3154267A3 (en) 2011-09-28 2012-09-27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130093115A KR20130095242A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093114A KR20130095241A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093113A KR101366650B1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14/251,113 US9148663B2 (en) 2011-09-28 2014-04-11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JP2014083073A JP2014171227A (ja) 2011-09-28 2014-04-14 制限されたオフセット補償及びループフィルタに基づく映像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20140054257A KR20140066677A (ko) 2011-09-28 2014-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40054258A KR101744024B1 (ko) 2011-09-28 2014-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03817A JP2015181270A (ja) 2011-09-28 2015-05-21 制限されたオフセット補償及びループフィルタに基づく映像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14/820,880 US9204148B1 (en) 2011-09-28 2015-08-07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US14/820,842 US9204171B1 (en) 2011-09-28 2015-08-07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JP2017007873A JP2017108424A (ja) 2011-09-28 2017-01-19 映像復号化方法および映像符号化方法
KR1020170063276A KR101868121B1 (ko) 2011-09-28 2017-05-23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7A KR101977740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8A KR101977741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6A KR101977739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5A KR101977738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90052886A KR102030425B1 (ko) 2011-09-28 2019-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2019175804A JP2020017986A (ja) 2011-09-28 2019-09-26 映像復号化方法、映像符号化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20190121949A KR102140328B1 (ko) 2011-09-28 2019-10-02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0093360A KR102194038B1 (ko) 2011-09-28 2020-07-2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0176182A KR102337652B1 (ko) 2011-09-28 2020-12-1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2021184936A JP2022043032A (ja) 2011-09-28 2021-11-12 映像復号化方法、映像符号化方法およびビットストリーム送信方法
KR1020210172841A KR20210153572A (ko) 2011-09-28 2021-12-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30024468A KR102631239B1 (ko) 2011-09-28 2023-02-23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2023127350A JP2023145724A (ja) 2011-09-28 2023-08-03 映像復号化方法、映像符号化方法およびビットストリーム送信方法
KR1020240011520A KR20240018540A (ko) 2011-09-28 2024-01-25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8601 2011-09-28
KR1020110098601 2011-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70A true KR20130034570A (ko) 2013-04-05

Family

ID=48436669

Famil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999A KR20130034566A (ko) 2011-09-28 2012-02-2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20039412A KR20130034570A (ko) 2011-09-28 2012-04-1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20107639A KR101356450B1 (ko) 2011-09-28 2012-09-2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093114A KR20130095241A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093113A KR101366650B1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093115A KR20130095242A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40054258A KR101744024B1 (ko) 2011-09-28 2014-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40054257A KR20140066677A (ko) 2011-09-28 2014-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70063276A KR101868121B1 (ko) 2011-09-28 2017-05-23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6A KR101977739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5A KR101977738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7A KR101977740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8A KR101977741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90052886A KR102030425B1 (ko) 2011-09-28 2019-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90121949A KR102140328B1 (ko) 2011-09-28 2019-10-02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0093360A KR102194038B1 (ko) 2011-09-28 2020-07-2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0176182A KR102337652B1 (ko) 2011-09-28 2020-12-1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0172841A KR20210153572A (ko) 2011-09-28 2021-12-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30024468A KR102631239B1 (ko) 2011-09-28 2023-02-23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40011520A KR20240018540A (ko) 2011-09-28 2024-01-25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999A KR20130034566A (ko) 2011-09-28 2012-02-2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639A KR101356450B1 (ko) 2011-09-28 2012-09-2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093114A KR20130095241A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093113A KR101366650B1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093115A KR20130095242A (ko) 2011-09-28 2013-08-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40054258A KR101744024B1 (ko) 2011-09-28 2014-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40054257A KR20140066677A (ko) 2011-09-28 2014-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70063276A KR101868121B1 (ko) 2011-09-28 2017-05-23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6A KR101977739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5A KR101977738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7A KR101977740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80066358A KR101977741B1 (ko) 2011-09-28 2018-06-08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90052886A KR102030425B1 (ko) 2011-09-28 2019-05-0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90121949A KR102140328B1 (ko) 2011-09-28 2019-10-02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0093360A KR102194038B1 (ko) 2011-09-28 2020-07-27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0176182A KR102337652B1 (ko) 2011-09-28 2020-12-1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0172841A KR20210153572A (ko) 2011-09-28 2021-12-06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30024468A KR102631239B1 (ko) 2011-09-28 2023-02-23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40011520A KR20240018540A (ko) 2011-09-28 2024-01-25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70990B2 (ko)
EP (5) EP2887674A3 (ko)
JP (7) JP2014531851A (ko)
KR (20) KR20130034566A (ko)
CN (5) CN103959794B (ko)
BR (5) BR122020015286B1 (ko)
IN (1) IN2014CN03108A (ko)
WO (1) WO20130481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66A1 (ko) * 2019-12-12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블록킹 필터링을 사용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장치
WO2021118265A1 (ko) * 2019-12-12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하는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4148B1 (en) 2011-09-28 2015-12-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US9204171B1 (en) 2011-09-28 2015-12-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based on constrained offset compensation and loop filter, and apparatus therefor
GB201119206D0 (en) * 2011-11-07 2011-12-21 Canon Kk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pensation offsets for a set of reconstructed samples of an image
US9253482B2 (en) * 2011-11-08 2016-02-02 Texas Instur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e adaptive offset without sign coding
US9277194B2 (en) 2011-11-08 2016-03-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and video coding using hierarchical sample adaptive band offset
US9749645B2 (en) * 2012-06-22 2017-08-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ded-block-flag coding and derivation
KR101459935B1 (ko) 2013-08-12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
JP6253406B2 (ja) * 2013-12-27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撮像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7242B1 (ko) * 2014-02-18 2016-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컨볼루션 기법 기반의 고속 적응적 샘플 오프셋 필터링 장치 및 방법
US20150237378A1 (en) * 2014-02-20 2015-08-20 Mediatek Inc. Method for controlling sample adaptive offset filtering applied to different partial regions in one frame based on different weighting parameters and related sample adaptive offset filter
CN105409221B (zh) 2014-04-29 2020-03-06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样本自适应偏移滤波的编码器侧决策
KR102276854B1 (ko) * 2014-07-31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루프 필터 파라미터 예측을 사용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N105635732B (zh) * 2014-10-30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自适应样点补偿编码、对视频码流进行解码的方法及装置
CN107113437A (zh) * 2014-10-31 2017-08-29 三星电子株式会社 应用多偏移方案的视频编码方法和设备以及视频解码方法和设备
US9872026B2 (en) * 2015-06-12 2018-01-16 Intel Corporation Sample adaptive offset coding
CN105306940B (zh) * 2015-10-27 2019-10-18 中星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编解码样值偏移补偿中边界补偿模式处理方法
CN108353182B (zh) 2015-11-18 2021-06-04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使用环路内滤波器解码视频的方法及其装置
EP3220643A1 (en) * 2016-03-14 2017-09-2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at least one image unit,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a stream representative of at least one image unit
US10623738B2 (en) 2017-04-06 2020-04-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Noise suppression filter
SG11201909450WA (en) * 2017-04-11 2019-11-28 Vid Scale Inc 360-degree video coding using face continuities
WO2018221419A1 (ja) 2017-05-31 2018-12-06 株式会社クラベ ベンチレーションマット
JP7343487B2 (ja) * 2017-09-20 2023-09-12 ヴィド スケー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360度ビデオ符号化におけるフェイス不連続の処理
KR20190056888A (ko) * 2017-11-17 201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10878547B2 (en) 2018-03-20 2020-12-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device for correcting dark images in real time
KR20220085841A (ko) * 2018-03-29 2022-06-22 닛폰 호소 교카이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354261B1 (ko) 2018-06-12 2022-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턴화 전극접착층이 구비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TWI803648B (zh) 2018-06-12 2023-06-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含無機塗層的電化學裝置用之隔板及彼之製造方法
WO2020180143A1 (ko) * 2019-03-07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루마 맵핑 및 크로마 스케일링 기반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US20220174295A1 (en) * 2019-03-11 2022-06-02 Lg Electronics Inc. Luma mapping- and chroma scaling-based video or image coding
US11159791B2 (en) * 2019-03-16 2021-10-26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adaptive loop filter parameters in video coding
WO2020204414A1 (ko) * 2019-04-03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루프 필터를 사용하는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US20220217405A1 (en) * 2019-04-03 2022-07-07 Lg Electronics Inc. Video or image coding for modifying reconstructed picture
US11917143B2 (en) 2019-04-03 2024-02-27 Lg Electronics Inc. Adaptive loop filter-based video or image coding
CN110113603A (zh) * 2019-04-22 2019-08-09 屠晓 高清视频处理终端
KR20210135337A (ko) 2019-05-14 2021-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루프 필터 기반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CN113924773A (zh) * 2019-06-19 2022-01-11 韩国电子通信研究院 图像编码/解码方法和装置以及用于存储比特流的记录介质
WO2020262915A1 (ko) * 2019-06-24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lf 또는 lmcs를 사용하는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WO2021006633A1 (ko) * 2019-07-08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루프 필터링 기반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WO2021006651A1 (ko) * 2019-07-09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블록킹 필터링에 기반한 영상 코딩 방법 및 그 장치
EP3998772A4 (en) * 2019-07-11 2023-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AU2020332558A1 (en) * 2019-08-19 2022-03-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Usage of access unit delimiters and adaptation parameter sets
CN114424576A (zh) 2019-09-18 2022-04-29 有限公司B1影像技术研究所 基于环路滤波器的图像编码/解码方法和装置
WO2021054677A1 (ko) * 2019-09-18 2021-03-25 주식회사 비원 영상기술연구소 인-루프 필터 기반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1758133B2 (en) * 2019-10-31 2023-09-12 Apple Inc Flexible block partitioning structures for image/video compression and processing
US20230051024A1 (en) * 2019-12-12 2023-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device for signaling image information
MX2022006965A (es) * 2019-12-12 2022-09-19 Lg Electronics Inc Método y dispositivo para señalización de información de imagen.
CA3164457A1 (en) * 2019-12-12 2021-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ignaling video information applicable at picture level or slice level
KR20220136436A (ko) * 2020-02-14 2022-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가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시그널링 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0834A1 (fr) * 2000-06-27 2001-12-28 Thomson Multimedia Sa Methode d'affichage de sequences d'emissions audiovisuelles a themes
WO2003038812A1 (en) * 2001-11-02 2003-05-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dio encoding and decoding device
US7599438B2 (en) * 2003-09-07 2009-10-06 Microsoft Corporation Motion vector block pattern coding and decoding
EP1574995A1 (en) * 2004-03-12 2005-09-14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encoding interlaced digital video data
KR20050099256A (ko) 2004-04-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블록킹을 이용한 영상처리 장치와 영상처리 방법
CN100551072C (zh) * 2006-06-05 2009-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编码中量化矩阵选择方法、装置及编解码方法及系统
CN101491103B (zh) * 2006-07-20 2011-07-27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编码器辅助式预处理的方法和设备
US9001899B2 (en) 2006-09-15 2015-04-0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selective chroma deblock filtering
KR101349836B1 (ko) * 2006-11-17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의 디코딩/인코딩 방법 및 장치
CN101401430B (zh) * 2006-11-17 2012-02-29 Lg电子株式会社 用于解码/编码视频信号的方法及装置
JP5026092B2 (ja) * 2007-01-12 2012-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動画像復号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方法
KR20080114482A (ko) * 2007-06-26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 코딩에서 휘도 보상 방법 및 장치
US20090154567A1 (en) * 2007-12-13 2009-06-18 Shaw-Min Lei In-loop fidelity enhancement for video compression
US8195001B2 (en) * 2008-04-09 2012-06-05 Intel Corporation In-loop adaptive wiener filter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8804831B2 (en) * 2008-04-10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Offsets at sub-pixel resolution
KR101620441B1 (ko) 2009-06-17 2016-05-24 주식회사 아리스케일 복수의 보간 필터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부호화 장치
KR20110068792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적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20120294353A1 (en) * 2011-05-16 2012-11-22 Mediatek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ample Adaptive Offset for Luma and Chroma Components
US20130003829A1 (en) * 2011-07-01 2013-01-03 Kiran Misra System for initializing an arithmetic coder
US10070152B2 (en) * 2011-08-24 2018-09-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ample adaptive offset (SAO) parameter signaling
US9584819B2 (en) * 2011-10-2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Grouping of tiles for video coding
US10097839B2 (en) * 2014-12-19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Palette mode for subsampling form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66A1 (ko) * 2019-12-12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블록킹 필터링을 사용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장치
WO2021118265A1 (ko) * 2019-12-12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하는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950A (ko) 2017-05-31
KR20130095241A (ko) 2013-08-27
KR101356450B1 (ko) 2014-02-05
CN105007497A (zh) 2015-10-28
BR122014023991B1 (pt) 2023-03-14
BR122020015284B1 (pt) 2023-05-16
KR102030425B1 (ko) 2019-10-10
KR20180067488A (ko) 2018-06-20
CN104202610A (zh) 2014-12-10
US20140286396A1 (en) 2014-09-25
EP2763411A4 (en) 2015-10-07
BR122014023991A2 (pt) 2019-08-20
JP2015181270A (ja) 2015-10-15
KR20180067486A (ko) 2018-06-20
JP2014171227A (ja) 2014-09-18
KR101977741B1 (ko) 2019-05-15
KR20240018540A (ko) 2024-02-13
KR101366650B1 (ko) 2014-02-26
EP3145196A3 (en) 2017-08-23
KR20200143333A (ko) 2020-12-23
EP2887674A2 (en) 2015-06-24
CN104902284B (zh) 2018-10-09
JP2022043032A (ja) 2022-03-15
KR20210153572A (ko) 2021-12-17
EP2763411A1 (en) 2014-08-06
KR20190113737A (ko) 2019-10-08
KR20230033014A (ko) 2023-03-07
KR101744024B1 (ko) 2017-06-07
KR20200092300A (ko) 2020-08-03
KR101868121B1 (ko) 2018-06-18
IN2014CN03108A (ko) 2015-07-03
KR20190050958A (ko) 2019-05-14
EP3145196A2 (en) 2017-03-22
KR101977740B1 (ko) 2019-05-15
KR102140328B1 (ko) 2020-07-31
US9270990B2 (en) 2016-02-23
BR122020015286B1 (pt) 2023-11-14
JP2020017986A (ja) 2020-01-30
KR20130095240A (ko) 2013-08-27
KR20130034614A (ko) 2013-04-05
CN104902286A (zh) 2015-09-09
KR20180067487A (ko) 2018-06-20
KR101977739B1 (ko) 2019-05-15
CN103959794A (zh) 2014-07-30
EP2887674A3 (en) 2015-10-07
KR101977738B1 (ko) 2019-05-15
JP2014531851A (ja) 2014-11-27
BR112014007434A2 (pt) 2017-04-04
EP3154267A3 (en) 2017-08-23
CN103959794B (zh) 2016-09-14
BR122020015282B1 (pt) 2023-05-16
WO2013048151A1 (ko) 2013-04-04
KR20140060478A (ko) 2014-05-20
EP3965427A1 (en) 2022-03-09
JP2017108424A (ja) 2017-06-15
KR20140066677A (ko) 2014-06-02
BR112014007434B1 (pt) 2023-03-21
KR102194038B1 (ko) 2020-12-22
KR102337652B1 (ko) 2021-12-09
KR20130034566A (ko) 2013-04-05
CN105007497B (zh) 2019-04-09
EP3154267A2 (en) 2017-04-12
KR20180067485A (ko) 2018-06-20
CN104902286B (zh) 2019-01-18
KR102631239B1 (ko) 2024-01-31
JP2023145724A (ja) 2023-10-11
KR20130095242A (ko) 2013-08-27
CN104902284A (zh)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4570A (ko) 제한된 오프셋 보상 및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1115356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dvanced deblocking filter in video coding
DK2777255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coding / decoding of compensation offsets for a set of reconstructed samples of an image
EP3203746A1 (en) Moving image coding device, moving image decoding device, moving image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system, moving image coding method, moving image decoding method, and program
KR20120125160A (ko) 에러에 강인한 필터링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70215A (ko) 적응적 깊이 정보 선택 및 수행에 대한 디블록킹 필터링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