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544A -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544A
KR20130034544A KR1020110098611A KR20110098611A KR20130034544A KR 20130034544 A KR20130034544 A KR 20130034544A KR 1020110098611 A KR1020110098611 A KR 1020110098611A KR 20110098611 A KR20110098611 A KR 20110098611A KR 20130034544 A KR20130034544 A KR 20130034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electric shock
cell panel
layer
protec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991B1 (ko
Inventor
배도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9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전기 충격 보호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SOLAR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실시예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 패널, 다이오드 및 프레임 등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상기 프레임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4개의 측면이 상기 프레임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다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상기 태양전지 셀들을 보호하기 위한 기판, 필름 또는 보호유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상기 태양전지 셀들에 접속되는 버스 바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 바는 최외곽의 태양전지 셀들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배선에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에는 선택적으로 전류가 흐른다. 즉,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상기 다이오드를 통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 자체의 단락이 방지된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다이오드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연결되는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은 서로 인접하는 태양전지 패널을 연결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한다. 상기 프레임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측면을 수용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프레임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는 야외에 장착되어,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이때, 태양광 발전장치는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전기적인 충격 및 화학적인 충격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와 관련된 기술은 한국 공개 특허 공보 10-2009-0059529 등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는 외부의 전기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전기 충격 보호층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조방법은 태양전지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태양전지 패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기판 상에 전기 충격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투명 기판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전기 충격 보호층을 사용하여, 태양전지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도전층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하방으로 인가되는 정전기 또는 낙뢰 등을 흡수하여, 상기 태양전지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향상된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다수 개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돌기들은 반사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전기적인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의 입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향상된 광-전 변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전기 충격 보호층 및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서 전기 충격 보호층 및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격 보호층의 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바, 프레임, 기판, 홈 또는 필름 등이 각 패널, 바, 기판, 홈 또는 필름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전기 충격 보호층 및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프레임(100), 태양전지 패널(200), 완충 시트(300), 보호기판(400) 및 전기 충격 보호층(5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기 보호기판(300), 상기 완충 시트(300) 및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을 수용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의 측면을 둘러싼다.
상기 프레임(100)은 도전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0)은 금속 프레임(100)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4개의 서브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100)들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의 모서리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100)들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은 상기 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다수 개의 태양전지들(210)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예를 들어, CIGS계 태양전지, 실리콘 계열 태양전지, 연료감응 계열 태양전지,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또는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유리기판 등과 같은 투명한 기판(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매트릭스(matrix)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서로 직렬 또는/및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기판(3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보호기판(3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에 대향되어 배치된다.
상기 보호기판(300)은 투명하며, 높은 강도를 가진다. 상기 보호기판(3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강화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완충 시트(300)는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완충 시트(3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을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완충 시트(300)는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 시트(3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에 보다 많은 광이 입사되도록 반사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시트(300)는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완충 시트(3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 시트(3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thylenevinylacetate resin;EVA resin) 등을 들 수 있다. 즉, 상기 완충 시트(300)는 절연층이다.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완충 시트(300)는 상기 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완충 시트(300)의 측면은 상기 프레임(1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완충 시트(300)와 상기 프레임(100) 사이의 공간에는 실링재(101)가 주입된다. 상기 실링재(101)에 의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완충 시트(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링재(101)는 상기 프레임(100)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태양전지들(210)에 연결되고, 외부의 충전 장치 또는 다른 태양전지 모듈과 연결되는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배선들 및 상기 태양전지들(21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버스 바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기판(1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기판(100)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사이에 개재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완충 시트(300) 및 상기 보호기판(300) 사이에 개재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완충 시트(3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기판(100)의 하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도전층이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투명하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ITO),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IZO) 또는 인듐 틴 징크 옥사이드(indium tin zinc oxide;IT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 또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 p-phenylene) 또는 폴리파라페닐렌 비닐렌(poly p-phenylene vinylen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진공 증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기판(100)의 하면에 상기 투명한 도전 물질이 고르게 증착되어,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인듐 틴 옥사이드, 인듐 징크 옥사이드 또는 인듐 틴 징크 옥사이드 등이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물리 기상 증착 공정 등에 의해서 상기 보호 기판(400)의 하면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기판(100)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100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프레임(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에 제 1 솔더(501)를 통하여, 연결 배선(600)이 접속되고, 상기 연결 배선(600)은 제 2 솔더(102)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 배선(600)은 상기 실링재(101)를 통과한다.
상기 연결 배선(600)은 다수 개일 수 있다. 즉, 여러 개의 연결 배선들이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과 상기 프레임(1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배선들(600)은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의 외곽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배선들(600)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선(600)은 플렉서블(flexible)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배선(6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추가적인 배선 등을 통하여, 접지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프레임(100)을 통하여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을 사용하여,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정전기 또는 낙뢰 등을 흡수하여,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향상된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서 전기 충격 보호층 및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즉, 앞선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보호 기판(400)의 상면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 기판(400)의 상면에 코팅된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 기판(40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프레임(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에 제 1 솔더(501)를 통하여, 연결 배선(600)이 접속되고, 상기 연결 배선(600)은 제 2 솔더(102)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 배선(600)은 상기 실링재(101)를 통과한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 기판(400)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전기적인 충격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보호 기판(400) 및 태양전지 패널(20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의 굴절율은 상기 보호 기판(400)의 굴절율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 기판(400) 및 공기층 사이에 광학적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반사 방지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격 보호층의 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즉, 앞선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보호 기판(400)의 상면에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보호 기판(400) 및 공기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다수 개의 돌기들(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들(510)은 상방으로 돌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들(510)은 엠보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들(510)의 직경(R)은 약 0.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들(510)의 높이(H)는 약 0.1㎛ 내지 약 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들(510)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돌기들(510)의 외부 표면은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들(510)은 반사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들(510)은 반사 방지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의 입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향상된 광-전 변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다수 개의 기공들(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공들(520)에 의해서, 입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공들(520)에 의해서, 태양전지 패널(200)들에 포함되는 태양전지들에 경사지는 방향으로 입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들 내에서의 광 경로가 증가되고,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향상된 광-전 변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다수 개의 투명 도전성 입자들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조성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먼저 유기 비히클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비히클은 용매 및 유기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비히클은 소포제 및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투명 도전성 입자들이 상기 유기 비히클에 첨가된다. 상기 투명 도전성 입자들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인듐 틴 옥사이드, 인듐 징크 옥사이드 또는 인듐 틴 징크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바인더가 상기 유기 비히클에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바인더는 글래스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은 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숙성되고, 3롤 밀 또는 플래너터리 밀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혼합되고, 필터링 및 탈포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후,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은 상기 보호 기판(400)의 상면에 균일하게 코팅되고, 건조된다. 이후, 상기 코팅된 페이스트 조성물은 소성 공정을 통하여, 소결되고,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상기 투명 도전성 입자들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상기 돌기들(510) 및 상기 기공들(520)은 자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도전성 입자들의 일부가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돌기들(510)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도전성 입자들 사이에 상기 기공들(520)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외부의 전기적인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반사 방지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500)은 입사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향상된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전기 충격 보호층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보호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상기 보호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코팅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투명한 도전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다수 개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곡면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주위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은 인듐 틴 옥사이드, 인듐 징크 옥사이드, 인듐 틴 징크 옥사이드, 폴리아세틸렌,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파라페닐렌 또는 폴리파라페닐렌 비닐렌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8. 태양전지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태양전지 패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기판 상에 전기 충격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투명 기판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투명한 도전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충격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투명 도전 입자들을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투명 도전 입자들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10098611A 2011-09-28 2011-09-28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611A KR101272991B1 (ko) 2011-09-28 2011-09-28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611A KR101272991B1 (ko) 2011-09-28 2011-09-28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44A true KR20130034544A (ko) 2013-04-05
KR101272991B1 KR101272991B1 (ko) 2013-06-10

Family

ID=4843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611A KR101272991B1 (ko) 2011-09-28 2011-09-28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9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113Y2 (ja) * 1984-03-06 1994-11-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
JPH07115218A (ja) * 1993-10-18 1995-05-02 Tonen Corp 避雷素子付太陽電池
WO2007040039A1 (ja) * 2005-09-30 2007-04-12 Toray Industries,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フィル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080901B1 (ko) * 2008-11-28 2011-1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방향성 에너지 흡수형 태양광발전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991B1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1670A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10236823B2 (en) Solar battery module
KR10126245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14186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22728A (ko) 비선형 태양전지 모듈
US9954484B2 (en) Solar battery module
KR101694553B1 (ko) 태양 전지 모듈
US9059357B2 (en) Bifacial solar cell
KR10130648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7299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5606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150228828A1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3229359A (ja) 太陽電池パネ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130049123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06544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191907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2739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27071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16530231A (zh) 光伏元件中的电池的场宽适配
US20160233346A1 (en) Solar Battery Module
KR20170011479A (ko) 섬유상구조의 태양전지 및 섬유상구조의 태양전지 모듈
KR20150041930A (ko) 태양전지 모듈
KR20150089874A (ko) 태양광 발전장치
JP2014183271A (ja) 太陽電池
KR20130101818A (ko) 태양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