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759A -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3759A KR20130033759A KR1020110097644A KR20110097644A KR20130033759A KR 20130033759 A KR20130033759 A KR 20130033759A KR 1020110097644 A KR1020110097644 A KR 1020110097644A KR 20110097644 A KR20110097644 A KR 20110097644A KR 20130033759 A KR20130033759 A KR 201300337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proof
- fire
- compartment
- building
- vacu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2—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 F16L59/121—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for pipes passing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케이블, 전선관, 덕트와 벽체, 바닥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 또는 바닥체와 커튼 월 사이에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압축하여 밀실하게 채워 넣기가 쉽지 않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으로 포장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불연재의 부피가 원래의 1/6 내지 1/2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진공포장을 찢을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진공포장의 일부를 찢으면 진공이 빠지면서 원래의 부피로 되돌아가므로 부피가 팽창하여 관통부의 틈새를 쉽고 간단하게 밀실한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불연재 또는 방화재가 관통부의 틈새보다 얇은 두께로 충전됨으로써, 충전이 수월하며 원하는 깊이까지 완벽하게 충전이 가능하여 방화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가 들어있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고, 불연재 또는 방화재로 세라믹 울, 미네랄 울, 그라스 울, 폴리에스터 울, 폐 섬유 울과 같은 탄성이 있는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케이블, 전선관, 덕트와 벽체, 바닥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 또는 바닥체와 커튼 월 사이에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압축하여 밀실하게 채워 넣기가 쉽지 않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으로 포장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불연재의 부피가 원래의 1/6 내지 1/2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진공포장을 찢을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진공포장의 일부를 찢으면 진공이 빠지면서 원래의 부피로 되돌아가므로 부피가 팽창하여 관통부의 틈새를 쉽고 간단하게 밀실한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불연재 또는 방화재가 관통부의 틈새보다 얇은 두께로 충전됨으로써, 충전이 수월하며 원하는 깊이까지 완벽하게 충전이 가능하여 방화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가 들어있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고, 불연재 또는 방화재로 세라믹 울, 미네랄 울, 그라스 울, 폴리에스터 울, 폐 섬유 울과 같은 탄성이 있는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에 관한 기술이다.
건축 관련 법규(예, 법 제4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이상 화염(1,049℃ 이상)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관통부의 밀폐는 중요하다. 이에 관통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고 하며, 내화충전구조를 국가가 시험·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유지하고 한다. 관통부를 법정 내화충전구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열성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인정기관에서 소정의 내열성시험을 거쳐서 내화성능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에서 내화 충전재로 사용되고 있는 무기계인 암면(MINERALWOOL), 세라믹울(Ceramic wool) 등과 유기재료 계통인 실리콘 폼 재료는 널리 알려져 있는 제품으로 내화 충전구조에 중간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충전재료 자체는 제품에 따라 난연성, 신축성, 경량성 등에서는 우수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열화성, 흡수성, 마모성이 크고 분진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밀도가 높은 방화용 단열재는 비신축적이기 때문에 방화구획처리용 채움재로 단독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의 경우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와 벽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에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압축하여 밀실하게 채워 넣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으로 포장하여 평상시에는 불연재의 부피가 원래의 1/6 내지 1/2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진공포장을 찢을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진공포장의 일부를 찢으면 진공이 빠지면서 원래의 부피로 되돌아가므로 부피가 팽창하여 관통부의 틈새를 쉽고 간단하게 밀실한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불연재 또는 방화재가 관통부의 틈새보다 얇은 두께로 충전되므로 충전이 수월하며 원하는 깊이까지 완벽하게 충전이 가능하여 방화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가 들어있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케이블, 전선관, 덕트와 벽체, 바닥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 또는 바닥체와 커튼 월 사이에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압축하여 밀실하게 채워 넣기가 쉽지 않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으로 포장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불연재의 부피가 원래의 1/6 내지 1/2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진공포장을 찢을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진공포장의 일부를 찢으면 진공이 빠지면서 원래의 부피로 되돌아가므로 부피가 팽창하여 관통부의 틈새를 쉽고 간단하게 밀실한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연재 또는 방화재가 관통부의 틈새보다 얇은 두께로 충전됨으로써, 충전이 수월하며 원하는 깊이까지 완벽하게 충전이 가능하여 방화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가 들어있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연재 또는 방화재로 세라믹 울, 미네랄 울, 그라스 울, 폴리에스터 울, 폐 섬유 울과 같은 탄성이 있는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케이블, 전선관, 덕트와 벽체, 바닥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 또는 바닥체와 커튼 월 사이에 밀실하게 채워지는 불연재 또는 방화재와; 상기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장비를 사용하여 압축하기 위해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넣은 후 외부를 완전히 감싼 형태로 밀봉되거나 또는 필요시 진공이 빠질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막아져 있는 진공포장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관통부용 내화충전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 또는 방화재에 부착되는 팽창재료; 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연재 또는 방화재는 세라믹 울, 미네랄 울, 그라스 울, 폴리에스터 울, 폐 섬유 울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료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장지는 알루미늄 코팅 필름, 베파베리어, 플라스틱류 필름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케이블, 전선관, 덕트와 벽체, 바닥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 또는 바닥체와 커튼 월 사이에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압축하여 밀실하게 채워 넣기가 쉽지 않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으로 포장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불연재의 부피가 원래의 1/6 내지 1/2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진공포장을 찢을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진공포장의 일부를 찢으면 진공이 빠지면서 원래의 부피로 되돌아가므로 부피가 팽창하여 관통부의 틈새를 쉽고 간단하게 밀실한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불연재 또는 방화재가 관통부의 틈새보다 얇은 두께로 충전됨으로써, 충전이 수월하며 원하는 깊이까지 완벽하게 충전이 가능하여 방화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가 들어있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불연재 또는 방화재로 세라믹 울, 미네랄 울, 그라스 울, 폴리에스터 울, 폐 섬유 울과 같은 탄성이 있는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나타낸 사진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나타낸 사진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나타낸 사진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나타낸 사진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나타낸 사진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나타낸 사진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나타낸 사진 도면이다.
본 발명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는 불연재 또는 방화재(10), 진공포장지(20), 팽창재료(30)로 구성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케이블, 전선관, 덕트와 벽체, 바닥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 또는 바닥체와 커튼 월 사이에 밀실하게 채워지는 불연재 또는 방화재(10)와; 상기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장비를 사용하여 압축하기 위해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넣은 후 외부를 완전히 감싼 형태로 밀봉되거나 또는 필요시 진공이 빠질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막아져 있는 진공포장지(20)와;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 또는 방화재에 부착되는 팽창재료(30); 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불연재 또는 방화재(10)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케이블, 전선관, 덕트와 벽체, 바닥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 또는 바닥체와 커튼 월 사이에 밀실하게 채워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불연재 또는 방화재(10)는 세라믹 울, 미네랄 울, 그라스 울, 폴리에스터 울, 폐 섬유 울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연재는 불에 타지 않는 재료로서, 콘크리트, 기와, 벽돌, 슬레이트, 철상, 알루미늄, 유리 등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방화재(fire material)는 가연재료에 비하여 화재 위험이 적고 화재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능을 가진 재료로서, 건축법에서는 성능에 따라 불연재료, 준 불연재료, 난연 재료의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상기 진공포장지(20)는 상기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장비를 사용하여 압축하기 위해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넣은 후 외부를 완전히 감싼 형태로 밀봉되거나 또는 필요시 진공이 빠질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막아져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공포장지는 알루미늄 코팅 필름, 베파베리어, 플라스틱류 필름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다. 상기 베파베리어는 알루미늄 코팅 필름 내부에 내화용 실을 포함하는 필름인 것이다.
또한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30)가 들어있는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팽창재료(30)는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 또는 방화재에 부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팽창재료(30)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팽창재료(30)는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시트, 열팽창 실란트로서, 1 내지 10mm 두께로 350℃에서 최대 10 내지 30배의 팽창특성을 갖는 것이지만, 상기 열팽창테이프(30)는 4mm 두께가 가장 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인 열팽창 두께는 4mm의 유효팽창비 15배, 60mm로 추정할 수 있어서, 직경 100mm의 방화구획 관통부에 사용되는 파이프일 경우에는 최대로 개구부의 크기는 220mm 까지 가능하나, 팽창방향, 팽창온도 등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10배의 유효팽창으로 감안하더라도 최대 개구부 크기를 180mm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팽창 실란트(sealant)는 건축물의 각종 부재 사이의 접합부나 이음매를 메우는 재료로서, 토목, 건축,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의 부재 상호간 창틀 등의 접합부, 빈틈에 사용되어 기밀, 수밀의 기능 외에 부재 상호간의 신축, 진동, 변형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고무상의 물질 또는 연질 혹은 고점도의 액상 고무 조성물. 반응형과 미반응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는 케이블 관통부(cable penetration), 파이프 관통부(pipe penetration), 덕트(관) 관통부(duct penetration), 커튼 월 조인트(curtain wall joint), 외부(외벽) 조인트(perimeter joint) 등과 같은 방화구획 관통부용 충전 재료로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불연재 또는 방화재 20 : 진공포장지
30 : 팽창재료
30 : 팽창재료
Claims (5)
-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에 있어서,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케이블, 전선관, 덕트와 벽체, 바닥체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 또는 바닥체와 커튼 월 사이에 밀실하게 채워지는 불연재 또는 방화재와;
상기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진공장비를 사용하여 압축하기 위해 불연재 또는 방화재를 넣은 후 외부를 완전히 감싼 형태로 밀봉되거나 또는 필요시 진공이 빠질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막아져 있는 진공포장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제 1항에 있어서,
관통부재가 가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진공으로 압축된 불연재 또는 방화재에 부착되는 팽창재료; 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재 또는 방화재는 세라믹 울, 미네랄 울, 그라스 울, 폴리에스터 울, 폐 섬유 울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료는 열팽창 시트, 열팽창 테이프, 열팽창 실란트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장지는 알루미늄 코팅 필름, 베파베리어, 플라스틱류 필름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7644A KR20130033759A (ko) | 2011-09-27 | 2011-09-27 |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7644A KR20130033759A (ko) | 2011-09-27 | 2011-09-27 |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3759A true KR20130033759A (ko) | 2013-04-04 |
Family
ID=4843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7644A KR20130033759A (ko) | 2011-09-27 | 2011-09-27 |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3375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782A (ko) | 2017-09-22 | 2019-04-01 | 한국전력공사 |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관통부용 다분할 내화 장치 |
-
2011
- 2011-09-27 KR KR1020110097644A patent/KR20130033759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782A (ko) | 2017-09-22 | 2019-04-01 | 한국전력공사 |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관통부용 다분할 내화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83345B2 (en) | In situ molded thermal barriers | |
EP1540220B1 (en) | Fireproofed covers for conduit fittings | |
KR20130039469A (ko) |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와 그 시공방법 | |
US11598088B2 (en) | Fire-stopping product | |
EP1414928A1 (en) | Fire stop article | |
KR20160014155A (ko) |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용 고정구 일체형 내화충전재 | |
KR20120139936A (ko) | 커튼 월 층간 방화재와 그 시공방법 | |
KR101326388B1 (ko) | 건축물의 관통부용 플라스틱 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 |
JP5189028B2 (ja) | 防火処理方法 | |
RU2705620C1 (ru) | Огнестойкая кабельная проходка для стен и перекрытий зданий | |
KR20130033759A (ko) |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통부용 내화충전재 | |
JP2009243552A (ja) | 貫通孔防火措置工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貫通孔防火措置キット | |
JP6154688B2 (ja) | 耐火処理材、貫通部の閉鎖構造、及び貫通部の閉鎖方法 | |
JP2007195365A (ja) | 防火区画用充填材 | |
JP5457541B2 (ja) | 防火処理部材および防火処理方法 | |
JP2012237185A (ja) | 防火区画貫通部構造 | |
CN213332813U (zh) | 一种管路穿过船舶防火舱壁用的穿舱件 | |
CN216446202U (zh) | 排烟风管穿墙防火封堵装置 | |
US20220403956A1 (en) | Chained fireproof sealing system | |
RU2186599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ожара по электрическому кабелю | |
EP3698853A1 (en) | Assembly of a wall and fire collar | |
JPH0440500B2 (ko) | ||
JP5482978B2 (ja) | 防火防水措置構造 | |
JP2012045120A (ja) | 船舶の防火区画貫通部構造 | |
Gravit et al. | Fire retardant device for pipeline and cable du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226 Effective date: 20140923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S601 |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