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482A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482A
KR20130033482A KR1020110085630A KR20110085630A KR20130033482A KR 20130033482 A KR20130033482 A KR 20130033482A KR 1020110085630 A KR1020110085630 A KR 1020110085630A KR 20110085630 A KR20110085630 A KR 20110085630A KR 20130033482 A KR20130033482 A KR 20130033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social network
network service
user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성
김기상
김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발트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발트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발트레이
Priority to KR102011008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3482A/ko
Publication of KR2013003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삽입된 태그를 확인하는 태그 확인부,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연동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효과 및 정보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Social Network Service Linked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연동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효과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SNS가 급격하게 활성화되고 있다. SNS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NS)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사교적인 연결망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SNS 초기에는 블로그, 미니홈피 등과 같이 다른 사람이 올린 글, 사진 동영상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용자가 운영하는 1인 미디어 페이지에 방문해야만 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새로운 SNS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타인의 1인 미디어 페이지에 방문하지 않고도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트위터의 경우는 관심 있는 상대방을 뒤따르는 '팔로(follow)'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자기와 비슷한 생각을 지닌 사람을 '팔로어(follower)'로 등록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나 생각, 취미, 관심사 등을 공유한다. 상대방이 허락하지 않아도 '팔로어'로 등록할 수 있어 관심 있는 유명인사를 등록해 놓고 그들의 동정을 파악하거나 격려 메시지를 보내기도 한다. 웹에 직접 접속하지 않더라도 휴대전화의 문자메시지(SMS)나 스마트폰 같은 휴대기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글을 올리거나 받아볼 수 있으며, 댓글을 달거나 특정 글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퍼뜨릴 수도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가 어디에 있건 뭘 하고 있건, 모바일로 자기가 남기고 싶거나 얘기하고 싶은 것들은 트위터에 남겨 다른 사람들과 대화도 할 수 있다.
그런데 트위터는 140자 이내 단문으로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한 터치나 클릭 등의 이벤트에 수동적으로 반응하여 그에 따른 결과 값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트위터 메시지를 통해 상대방이 전달하고자 하는 동영상, 이미지 등이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해당 내용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 또는 클릭이 되어야만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신의 데이터를 항상 수동으로 터치하거나 클릭하여만 확인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트위터의 자료뿐만 아니라 다른 데이터나 멀티미디어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연동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효과 및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삽입된 태그를 확인하는 태그 확인부,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는 동영상, 음악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받을 콘텐츠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은, 상기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슬라이딩 방향 및 화면 전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트위터일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동영상, 음악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삽입된 태그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로 이루어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야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삽입된 태그를 확인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연동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효과 및 정보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다른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심 항목 선택 메뉴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심 분야 정보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0),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 및 멀티미디어 서버(400)를 포함하며, 통신망(10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망(10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2G, 3G, 4G 이동통신망, Wi-Fi, Wibro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도 유선,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사용자 단말(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망(100)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예컨대 트위터 메시지 등)를 제공받아 도 2에 예시한 것과 같이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삽입된 태그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버(400)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음악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옵션 또는 삽입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서버(40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야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자세한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장치이다. 트위터 서비스를 예를 들면, 팔로워들에게 자신이 팔로우하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트위터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는 통신망(100)을 통해 트위터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에 트위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푸시 서비스를 통해서 트위터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트위터 메시지를 작성하여 팔로워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버(400)는 동영상, 음악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멀티미디어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야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치, 스포츠 분야를 선택한 경우 그와 관련된 뉴스, 광고 등의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태그 확인부(220), 제어부(230), 저장부(240), 표시부(250), 스피커(260) 및 입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 및 멀티미디어 서버(400)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Wi-Fi 모듈, 2G, 3G, 4G 등의 이동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무선 이더넷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21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와 메시지 통신을 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API와 멀티미디어 서버(400)로부터 각종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A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확인부(22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파싱하여 삽입된 태그를 확인하여 제어부(2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는 트위터 메시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될 수 있다.
트위터
메시지
텍스트
트위터
이미지
URL

음악 태그

방향 태그

이미지 태그

화면 전환 시간 태그

동영상 태그
트위터 메시지의 경우 140자로 작성되는데, 트위터 메시지 작성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텍스트로 작성된 트위터 메시지 텍스트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트위터 이미지 URL, 음악 태그, 방향 태그, 이미지 태그, 화면 전환 태그, 동영상 태그 등이 삽입될 수 있다.
트위터 이미지 URL은 트위터 작성자가 트위터 메시지와 함께 전달하고 싶은 사진 이미지 등에 대응하는 URL이 될 수 있다.
음악 태그는 트위터 메시지 작성자가 지정한 음악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와 콘텐츠 타입이 음악임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타입이 음악임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로 ~: :~ 이 이용될 수 있으며, Good Day라는 음악을 지정할 경우 ~:Good Day:~ 와 같이 태그가 작성되어 트위터 메시지에 삽입될 수 있다.
방향 태그로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옵션이 설정될 수 있으며, 화면 슬라이딩 방향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 #:left:# 와 같이 태그가 작성되어 트위터 메시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미지 태그는 트위터 메시지 작성자가 지정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와 콘텐츠 타입이 이미지임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타입이 이미지임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로 ^: :^ 이 이용될 수 있으며, tigerbaby라는 이미지를 지정할 경우 ^:tigerbaby:^ 와 같이 태그가 작성되어 트위터 메시지에 삽입될 수 있다.
화면 전환 시간 태그로 이미지가 화면에 출력되는 시간에 대한 옵션이 설정될 수 있으며, 30초 동안 해당 이미지가 지속된 후 다른 이미지로 전환되게 설정하고자 할 경우, ':30000:' 와 같이 태그가 작성되어 트위터 메시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동영상 태그는 트위터 메시지 작성자가 지정한 동영상 해당하는 식별 정보와 콘텐츠 타입이 동영상임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타입이 동영상임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로 *: :* 이 이용될 수 있으며, robot 이라는 동영상을 지정할 경우 *:robot:* 와 같이 태그가 작성되어 트위터 메시지에 삽입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태그 형식은 일 예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태그 확인부(220)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파싱하여 확인된 삽입 태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밀티미디어 서버(400)로부터 통신부(210)를 통해 제공받는다.
제어부(23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에 사용자 단말(200)이 접속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푸시 서비스 등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통신부(210)가 수신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에 대해 최신에 수신한 순서대로 메시지 리스트를 작성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메시지 리스트에 포함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순서대로 반복하여 화면에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30)는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부(250) 및 스피커(260)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트위터 메시지에 포함된 URL을 이용하여, 해당 URL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해당 URL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크기,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풀 화면, 썸네일 화면 등 어떤 크기로 화면에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썸네일 화면의 경우는 화면의 왼쪽/오른쪽/위쪽/아래쪽 등 어느 쪽에 어떤 방식으로 정렬할지 여부 등을 결정할 수도 있다. 결정 조건은 미리 사용자로부터 설정되거나 사용자 단말(200)의 제조사에 의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다른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트위터 메시지 작성자가 트위터 메시지 텍스트로 '크아앙!!'을 작성하고, http://twitpic.com/5z9czn의 트위터 이미지 URL을 포함시키고, 태그 설정을 ~:eyeoftiger:~ ^:tigerbaby:^ ':30000:'로 한 경우이다. 이러한 트위터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이 수신하면 화면에 크아앙!! http://twitpic.com/5z9czn 이 표시되고, 30초 동안 eyeoftiger에 대응하는 음악이 출력되면서, 배경화면으로 tigerbaby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그림이 제공된다. 도 4에서는 화면에 태그가 표시되어 있으나 태그는 표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부(23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저장부(24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와, 멀티미디어 서버(4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콘텐츠를 임시 저장 또는 영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에서 작성된 메시지 리스트를 임시 저장 또는 영구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LED, LCD,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각종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음악 등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270)는 터치패널,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270)는 키패드로 구현되거나 마이크 등을 통해 음성으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70)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 작성, 태그 설정, 콘텐츠 출력 옵션 설정 등 각종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도 5에 예시한 것과 같은 관심 정보 선택 화면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입력부(270)를 통해 관심 분야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서버(400)로부터 해당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도 6에 예시한 것과 같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20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한다(S310). 단계(S310)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 수신은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푸시 서비스 등을 통해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가 있을 때마다 전달될 수도 있다.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에 사용자 단말(200)이 사전에 등록되어야 하며, 푸시 서비스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이미 잘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리스트를 작성한다(S320). 단계(S320)에서 메시지 리스트는 최신에 수신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 순서대로 작성될 수 있다. 그리고, 먼저 수신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는 미리 정해진 수만큼만 남기고 순차적으로 리스트에서 제거될 수 있다.
단계(S310) 내지 단계(S320)는 새로 수신되는 메시지가 있을 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메시지 리스트에 포함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출력한다(S330).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20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파싱하여 삽입된 태그를 확인한다(S331). 그리고 삽입된 태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버(400)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를 제공받는다(S33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서버(400)에서 제공받은 콘텐츠를 삽입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출력한다(S335). 태그에 설정된 옵션이 없는 경우는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옵션 또는 제조사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제조 시에 디폴트로 설정해놓은 옵션에 따라 콘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야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치, 스포츠 분야를 선택한 경우 그와 관련된 뉴스, 광고 등의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야와 관련된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가 출력되는 사이 사이에 출력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와 동시에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삽입된 태그를 확인하는 태그 확인부,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서,
    상기 콘텐츠는 동영상, 음악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받을 콘텐츠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3. 제 2 항에서,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은,
    상기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슬라이딩 방향 및 화면 전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4. 제 1 항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트위터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5. 동영상, 음악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삽입된 태그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시스템.
  6. 제 5 항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로 이루어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전달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시스템.
  7. 제 6 항에서,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은,
    상기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슬라이딩 방향 및 화면 전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시스템.
  8. 제 6 항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야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시스템.
  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에 삽입된 태그를 확인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서,
    상기 콘텐츠는 동영상, 음악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제공받을 콘텐츠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에 설정된 옵션은 상기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슬라이딩 방향 및 화면 전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
KR1020110085630A 2011-08-26 2011-08-2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3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630A KR20130033482A (ko) 2011-08-26 2011-08-2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630A KR20130033482A (ko) 2011-08-26 2011-08-2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482A true KR20130033482A (ko) 2013-04-04

Family

ID=4843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630A KR20130033482A (ko) 2011-08-26 2011-08-2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34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9723A (zh) * 2018-10-15 2020-04-21 广州虎牙信息科技有限公司 消息推送方法、消息管理系统、服务器及计算机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9723A (zh) * 2018-10-15 2020-04-21 广州虎牙信息科技有限公司 消息推送方法、消息管理系统、服务器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3840B (zh) 在撰写电子邮件的同时文件预览和许可
US202302221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calable, collaborative, real-time, graphical life-management interface
US10104164B2 (en) Aggregating plug-in requests for improved client performance
US10893082B2 (en) Presenting content items shared within social networks
US9081421B1 (en)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heterogeneous content
US20160034437A1 (en) Mobile social content-creation application and integrated website
US20160234278A1 (en) Audio commenting and publishing system
JP6702950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用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439692A1 (en) Platform enabling web-bas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ithin shared digital media
US20140092127A1 (en) Media annotations in networked environment
US20170294212A1 (en) Video creation,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TW201250587A (en) Embedded Web viewer for presentation applications
US20100122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reading
US9887941B1 (en) In-message applications in a messaging platform
US9128591B1 (en) Providing an identifier for presenting content at a selected position
US11146513B1 (en) Generating messages having in-message applications
US20230103275A9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US20150365497A1 (en) Providing access to information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US20160142361A1 (en) Image with audi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social media communications
KR20140121396A (ko) 미디어 자산 추천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8022386A (ja) 配信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101789331B1 (ko) 가상 공간에서의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US20110055730A1 (en) User-Customizable Electronic Virtual Exhibit Reproduction System
US9704178B2 (en) Customizable sequence of content
KR20130033482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