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376A - 다중-포인트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흐름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포인트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흐름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376A
KR20130032376A KR1020137002327A KR20137002327A KR20130032376A KR 20130032376 A KR20130032376 A KR 20130032376A KR 1020137002327 A KR1020137002327 A KR 1020137002327A KR 20137002327 A KR20137002327 A KR 20137002327A KR 20130032376 A KR20130032376 A KR 20130032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 entity
rlc data
node
flow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루 장
샤라드 디팍 삼브와니
로히트 카푸르
질레이 호우
웨이얀 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3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88Through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etermining packet size, e.g. maximum transfer unit [MTU]
    • H04L47/365Dynamic adaptation of the packet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기지국(예를 들어,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의 노드 B(704))은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RNC(702))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계산한다. 활용되는 알고리즘의 부분으로서, 흐름을 버퍼링하기 위한 노드 B(704)의 큐의 길이는 버퍼 언더런과 스큐 간의 트래이드-오프를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RNC(702))는 노드 B(704) 흐름 제어 요청들에 응답한다. 여기서, RNC(702)는 노드 B(704)로부터의 흐름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노드 B(704)에 송신할 데이터의 양을 결정할 수 있고, 데이터를 노드 B(704)에 송신할 수 있다.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을 수반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RNC(702)의 흐름 제어 알고리즘은 UE(708)에 대한 주 서빙 셀 및 보조 서빙 셀로의 패킷 흐름을 조절한다.

Description

다중-포인트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흐름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LOW CONTROL IN A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NETWORK}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0001]본 출원은 2010년 6월 28일자로 미국 특허기관(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에 출원된 가출원 번호 제61/359,326호; 2010년 8월 16일 미국 특허기관에 출원된 가특허 출원번호 제61/374,212호; 2011년 4월 21일 미국 특허기관에 출원된 가특허 출원번호 제61/477,776호; 및 2011년 5월 5일 미국 특허기관에 출원된 가특허 출원번호 제61/483,020호의 이익 및 우선권을 청구하며, 위의 가특허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분야
[0002]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을 위해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패킷들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 제어 알고리즘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위해 널리 전개된다. 보통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UTRAN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제 3 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부분으로서 정의되는 RAN(radio access network)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술들을 계승하는 UMTS는 현재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CDMA(Time Divis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TD-S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지원한다. UMTS는 또한 더 높은 데이터 전달 속도 및 용량을 연관된 UMTS 네트워크들에 제공하는 HSPA(High Speed Packet Access)와 같은 강화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0004]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성장하는 수요을 충족하는 것을 물론 모바일 통신들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진보 및 강화하기 위해 UMTS 기술들을 진보시키고자 하는 연구 및 개발이 계속된다.
[0005] 일 예로서, 모바일 스테이션이 동일한 주파수 캐리어 내에서 이들 셀들로부터의 전송들을 어그리게이팅할 수 있도록 복수의 셀들이 모바일 스테이션에 고속 다운링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다중-포인트 HSDPA가 현재 소개되었다. 비교적 새로운 시스템이기 때문에, DC-HSDPA와 같이 다른 다운링크 어그리게이션 시스템들에서 해결되지 않았을 수 있는 다양한 이슈들이 이 시스템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시스템-레벨 아키텍처, 패킷 흐름 제어, 이동성 및 기타들에 관한 이슈를 식별 및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0006] 이어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이러한 양상들의 단순화된 요약이 제시된다. 이 요약은 본 개시의 모든 예견되는 특징들에 대한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고, 본 개시의 모든 양상들의 주요한 또는 핵심적인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또는 본 개시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그 유일한 목적은 추후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전제부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0007]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은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RNC)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 기지국(예를 들어,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의 노드 B)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활용되는 알고리즘의 부분으로서, 흐름을 버퍼링하기 위한 노드 B의 큐의 길이는 버퍼 언더런과 스큐 간의 트래이드-오프를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0008]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은 노드 B 흐름 제어 요청들에 응답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RNC)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여기서, RNC는 노드 B로부터의 흐름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노드 B에 송신할 데이터의 양을 결정할 수 있고, 데이터를 노드 B에 송신할 수 있다.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을 수반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RNC의 흐름 제어 알고리즘은 UE에 대한 주 서빙 셀 및 보조 서빙 셀로의 패킷 흐름을 조절한다.
[9] 일 양상에서, 본 개시는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노드 B로부터 UE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는 단계; 타겟 큐잉 지연(target queuing delay)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상기 노드 B에서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 및 노드 B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양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0]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UE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제 1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1 MAC 엔티티로부터의 제 1 요청 및 제 2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2 MAC 엔티티로부터의 제 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MAC 엔티티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1]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노드 B로부터 UE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타겟 큐잉 지연(target queuing delay)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상기 노드 B에서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노드 B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양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12]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UE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제 1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1 MAC 엔티티로부터의 제 1 요청 및 제 2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2 MAC 엔티티로부터의 제 2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MAC 엔티티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13]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프로세싱 시스템; 및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프로세싱 시스템은 노드 B로부터 UE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도록; 타겟 큐잉 지연(target queuing delay)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상기 노드 B에서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를 선택하도록; 및 노드 B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양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14]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프로세싱 시스템; 및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프로세싱 시스템은, UE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제 1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1 MAC 엔티티로부터의 제 1 요청 및 제 2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2 MAC 엔티티로부터의 제 2 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MAC 엔티티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도록; 및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15]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노드 B로부터 UE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타겟 큐잉 지연(target queuing delay)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상기 노드 B에서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노드 B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양을 요청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16]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UE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제 1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1 MAC 엔티티로부터의 제 1 요청 및 제 2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2 MAC 엔티티로부터의 제 2 요청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MAC 엔티티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17] 위의 및 관련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여기서 기술된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추후에 완전히 기술되고 청구항들에서 구체적으로 지목되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기술한다. 그러나 이들 특징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가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소수만을 나타내며, 이 설명은 본 개시 및 그의 등가물들의 이러한 모든 양상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0017]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
도 4는 사용자 및 제어 평면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
도 5는 RNC와 UE 간의 HSDPA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경로에서 활용되는 층들 중 일부를 예시하는 개념도.
도 6은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의 부분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다중-링크 RLC 층을 갖는 RNC와 UE 간의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경로에서 활용되는 층들 중 일부를 예시하는 개념도.
도 8은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한 쌍의 노드 B들과 RNC 간의 단순화된 흐름 제어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호 흐름도.
도 9는 노드 B로부터 흐름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큐잉 시간과 쓰루풋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차트.
도 11은 버퍼 언더런에 따라 타겟 큐 길이를 제어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RNC의 흐름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0030]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여기서 기술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한 상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한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몇몇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31]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들(FPGA들),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 로직(gated logic),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체에 걸쳐서 기술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0032] 프로세싱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 가능한 것들(executables), 실행의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RAM(read only memory),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레지스터, 제거 가능한 디스크,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또한 예로서, 캐리어 파, 전송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내에 상주하거나,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있거나,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서 분산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서 실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물질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본 개시 전체에 걸쳐서 제시되는 기술된 기능을 가장 잘 구현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0033]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114)을 이용하는 장치(1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이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버스(102)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와 더불어 구현될 수 있다. 버스(102)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시스템(114)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2)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105), 및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106)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102)는 또한 당 분야에 잘 알려지고 그에 따라 더 이상 추가로 기술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조절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108)는 버스(102)와 트랜시버(110)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10)는 전송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성질에 의존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0034] 프로세서(104)는 버스(102) 및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106)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의 관리를 전담한다.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이 임의의 특정한 장치 대해 아래에서 기술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1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1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0035] 본 개시 전체에 걸쳐서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매우 다양한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택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 2에 예시되는 본 개시의 양상들은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UMTS 시스템(200)을 참조하여 제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개의 상호작용하는 도메인들: 코어 네트워크(CN)(204),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02), 사용자 장비(UE)(21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UTRAN(202)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UTRAN(202)은 각각이 RNC(Radio Network Controller)(206)와 같은 각각의 RNC에 의해 제어되는, RNS(Radio Network Subsystem)(207)와 같은 복수의 RN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TRAN(202)은 예시되는 RNC들(206) 및 RNS들(207) 외에, 임의의 수의 RNC들(206) 및 RNS들(207)을 포함할 수 있다. RNC(206)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RNS(207) 내에서 라디오 자원들의 할당, 재구성 및 해제를 전담하는 장치이다. RNC(206)는 임의의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직접 물리적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202) 내의 다른 RNC들(도시되지 않음)에 상호접속될 수 있다.
[0036] RNS(207)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적인 영역은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 있고, 라디오 트랜시버 장치가 각각의 셀을 서빙한다. 라디오 트랜시버 장치는 흔히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노드 B로서 지칭되지만, 당업자들에 의해, 기지국(BS),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몇몇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3개의 노드 B들(208)이 각각의 RNS(207)에서 도시되지만; RNS들(207)은 임의의 수의 무선 노드 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 B들(208)은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에 대해서, 코어 네트워크(CN)(204)에 대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러 전화,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랩톱,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예를 들어, MP3 재생기),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흔히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자 장비(UE)로서 지칭되지만, 당업자들에 의해 모바일 스테이션(MS),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AT),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몇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UMTS 시스템에서, UE(210)는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21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 목적들을 위해, 하나의 UE(210)가 다수의 노드 B들(208)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순방향 링크라 또한 칭해지는 다운링크(DL)는 노드 B(208)로부터 UE(210)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라 또한 칭해지는 업링크(UL)는 UE(210)로부터 노드 B(208)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0037] 코어 네트워크(204)는 UTRAN(202)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204)는 GSM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인지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 전체에 걸쳐서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GSM 네트워크들 이외의 타입들의 코어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UE들에 제공하도록 RAN, 또는 다른 적합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38] 코어 네트워크(204)는 회선-교환(CS) 도메인 및 패킷-교환(PS)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교환 엘리먼트들 중 일부는 MSC(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re),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GMSC(Gateway MSC)이다. 패킷-교환 엘리먼트들은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와 같은 몇몇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교환 및 패킷-교환 도메인들 둘 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0039] 예시되는 예들에서, 코어 네트워크(204)는 MSC(212) 및 GMSC(214)와의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몇몇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214)는 MGW(media gateway)로서 지칭될 수 있다. RNC(206)와 같은 하나 이상의 RNC들은 MSC(212)와 접속될 수 있다. MSC(212)는 호 설정, 호 라우팅, 및 UE 이동성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212)는 또한 UE가 MSC(212)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지속기간에 대한 가입자-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을 포함한다. GMSC(214)는 MSC(212)를 통해 UE가 회선-교환 네트워크(216)에 액세스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214)는 특정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상세들을 반영하는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215)을 포함한다. HLR은 또한 가입자-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AuC(authentication center)와 연관된다. 특정한 UE에 대한 호가 수신될 때, GMSC(214)는 UE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HLR(215)에 질의하고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한 MSC에 그 호를 포워딩한다.
[0040] 예시되는 코어 네트워크(204)는 또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218)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220)와의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범용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나타내는 GPRS는 표준 회선-교환 데이터 서비스들과의 이용 가능한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220)은 패킷-기반 네트워크(222)로의 UTRAN(202)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패킷-기반 네트워크(222)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몇몇의 다른 적합한 패킷-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다. GGSN(220)의 주 기능은 패킷-기반 네트워크 접속을 UE들(210)에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주로 MSC(212)가 회선-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패킷-기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SGSN(218)을 통해 GGSN(220)과 UE들(210)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0041] UMTS 에어 인터페이스는 확산 스펙트럼 DS-CDMA(Direct-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일 수 있다. 확산 스펙트럼 DS-CDMA는 칩들이라 불리는 의사랜덤 비트들의 시퀀스에 의한 승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한다. UMTS를 위한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DS-CDMA 기술에 기초하고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를 부가적으로 요구한다. FDD는 노드 B(208)와 UE(210) 사이에서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에 대한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한다. DS-CDMA를 활용하고 TDD(time division duplexing)를 이용하는 UMTS에 대한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는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당업자들은, 여기서 기술된 다양한 예들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참조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원리들은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균등하게 응용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0042]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에어 인터페이스는 노드 B(208)와 UE(210) 간의 3G/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련의 강화들을 포함하여, 더 뛰어는 쓰루풋 및 감소된 레이턴시를 용이하게 한다. 종래의 릴리즈들에 대한 다른 수정들 중에서도, HSPA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공유 채널 전송 및 적응적 변조 및 코딩을 활용한다. HSPA를 정의하는 표준들은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EUL(enhanced uplink)로서 또한 지칭됨)를 포함한다.
[0043] 도 3은 HSPA를 활용할 수 있는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아키텍처에서의 단순화된 액세스 네트워크(300)를 제한이 아닌 예로서 예시한다. 시스템은 셀들(302, 304 및 3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셀들은 예를 들어, 커버리지 영역에 의해 지리적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파수, 스크램블링 코드 등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즉, 예시되는 지리적으로-한정된 셀들(302, 304 및 306)은 예를 들어, 상이한 스크램블링 코드들을 활용함으로써 복수의 셀들 내로 추가로 각각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304a)은 제 1 스크램블링 코드를 활용할 수 있고, 셀(304b)은 동일한 지리적인 영역 내에 있고 동일한 노드 B(344)에 의해 서빙되는 동안, 제 2 스크램블링 코드를 활용함으로써 구분될 수 있다.
[0044] 섹터들로 분할되는 셀에서, 셀 내의 다수의 섹터들은 셀의 부분에서 UE들과의 통신을 전담하는 각각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302)에서, 안테나 그룹들(312, 314 및 316)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304)에서, 안테나 그룹들(318, 320 및 322)은 각각 상이한 섹터들에 대응한다. 셀(306)에서, 안테나 그룹들(324, 326 및 328)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0045] 셀들(302, 304 및 306)은 각각의 셀(302, 304 또는 306)의 하나 이상의 섹터들과 통신할 수 있을 수 있는 몇 개의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330 및 332)은 노드 B(342)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334 및 336)은 노드 B(344)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338 및 340)은 노드 B(346)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 B(342, 344, 346)는 각각의 셀들(302, 304 및 306)에서 모든 UE들(330, 332, 334, 336, 338, 340)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204)(도 2 참조)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0046] 3GPP 계통의 표준들의 릴리즈 5에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가 소개되었다. HSDPA와 이전에 표준화된 회선-교환 에어-인터페이스 사이에서 다운링크에 관한 하나의 차이는 HSDPA에서 소프트-핸드오버의 부재이다. 이는 데이터가 HSDPA 서빙 셀이라 불리는 단일의 셀로부터 UE로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이동하면, 또는 하나의 셀이 다른 셀보다 바람직하게 되면, HSDPA 서빙 셀은 변경될 수 있다.
[0047] Rel.5 HSDPA에서, 임의의 인스턴스에서, UE는 하나의 서빙 셀을 갖는다. 3GPP TS 25.331의 Rel.5에 정의된 이동 프로시저들에 따라, HSDPA 서빙 셀을 변경하기 위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더 강한 셀(즉, 타겟 셀)인 것으로 UE가 리포트한 셀이 아니라, 현재의 HSDPA 서빙 셀(즉, 소스 셀)로부터 전송된다.
[0048] 또한, HSDPA에 있어서, UE는 일반적으로 그 채널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다운링크 채널의 특정한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을 모니터링 및 수행한다. 이러한 측정들에 기초하여, UE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와 같은 피드백을 업링크 전송들 상에서 노드 B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 B는 UE로부터의 리포트된 CQI에 기초한 크기, 코딩 포맷 등을 갖는 후속 패킷들을 다운링크 전송들 상에서 UE에 제공할 수 있다.
[0049] 소스 셀(304a)과의 호(call) 동안,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간에, UE(336)는 소스 셀(304a)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은 물론 셀들(304b, 306 및 302)과 같은 이웃하는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의존하여, UE(336)는 이웃하는 셀들 중 하나 이상과 일정한 통신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UE(336)는 활성 세트, 즉 UE(336)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즉,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PDCH) 또는 단편적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F-DPCH)을 UE(336)에 동시에 할당하는 UTRA 셀들은 활성 세트를 구성할 수 있음).
[0050] UE와 UTRAN 간의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HSPA 시스템에 대한 일 예는 UE와 노드 B 간의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이제 제시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평면 또는 데이터 평면을 사용자 트래픽을 전달(carry)하는 반면에, 제어 평면은 제어 정보, 즉 시그널링을 전달한다.
[0051] 도 4로 넘어가면, UE 및 노드 B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3개의 층들; 층 1, 층 2 및 층 3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층 1은 최저층이며 다양한 물리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층 1은 여기서 물리층(406)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층 2(L2 층)(408)이라 불리는 데이터 링크층은 물리층(406) 위에 있고, 물리층(406) 위에서 UE와 노드 B 간의 링크를 전담한다.
[0052] 층 3에서, RRC 층(416)은 UE와 노드 B 간의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핸들링한다. RRC 층(416)은 더 높은 층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고,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기능들을 핸들링하고, 라디오 베어러들을 설정 및 구성하는 등을 위해 다수의 기능적인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0053] UTRA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L2 층(408)은 서브층들로 분할된다. 제어 평면에서, L2 층(408)은 2개의 서브층들: MAC(medium access control) 서브층(410) 및 RLC(radio link control) 서브층(412)을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에서, L2 층(408)은 부가적으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서브층(414)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UE는 네트워크 측 상의 PDN 게이트웨이에서 종결되는 네트워크층(예를 들어, IP 층) 및 다른 접속 단부(예를 들어, 원격 단부 UE, 서버 등)에서 종결되는 애플리케이션 층을 포함해서 L2 층(408) 위에 몇 개의 상위층들을 가질 수 있다.
[0054] PDCP 서브층(414)은 상이한 라디오 베어러들과 로직 채널들 간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PDCP 서브층(414)은 또한 라디오 전송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의 암호화에 의한 보안, 및 노드 B들 사이에서 UE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0055] RLC 서브층(412)은 일반적으로 확인응답된, 확인응답되지 않은 그리고 투명한 모드 데이터 전달들을 지원하고 상위층 데이터 패킷들의 단편화 및 재어셈블리, 손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전송 및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로 인한 순서없는(out-of-order) 수신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재순서화를 제공한다. 즉, RLC 서브층(412)은 장애 패킷들의 재전송들을 요청할 수 있는 재전송 매커니즘을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한 최대 재전송들의 수 또는 재전송 시간의 만료 이후에 RLC 서브층(412)이 데이터를 올바르게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상위층에는 이 상태가 통지되고 RLC SDU는 폐기될 수 있다.
[56] 또한, RNC(206)의 RLC 서브층(도 2 참조)은 RL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DU들)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NC는 노드 B에 송신할 데이터의 양을 결정할 수 있고, 데이터를 배치(batch)들로 분할하고 예를 들어, DC-HSDPA 시스템 또는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어그리게이션의 경우에 다수의 노드 B들 사이에서 이 배치들을 또는 패킷들을 분배하는 것을 포함해서 그 할당의 상세들을 관리할 수 있다.
[57] MAC 서브층(410)은 논리 및 전송 채널들 간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MAC 서브층(410)은 또한 HARQ 동작들은 물론, UE들 사이에서 하나의 셀의 다양한 라디오 자원들(예를 들어, 자원 블록들)을 할당하는 것을 전담한다. MAC 서브층(410)은 MAC-d 엔티티 및 MAC-hs/ehs 엔티티를 포함(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하는 다양한 MAC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58] 도 5는 노드 B(504)를 통과하여, RNC(502)와 UE(506) 간의 HSDPA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경로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각각의 노드들의 서브층들 중 일부를 도시한다. 여기서 RNC(502)는 도 2에서 예시된 RNC(206)와 동일할 수 있고; 노드 B(504)는 도 2에서 예시된 노드 B(208)와 동일할 수 있고; UE(506)는 도 2에서 예시된 UE(210)와 동일할 수 있다. RNC(502)는 MAC-d 및 예를 들어, RLC 서브층을 포함하는 그 위로부터의 프로토콜 층들을 하우징한다. 고속 채널들을 위해, MAC-hs/ehs 층은 노드 B(504)에서 하우징된다. 또한, 노드 B(504)에서의 PHY 층은 예를 들어, HS-DSCH를 통해 UE(506)의 PHY 층과 통신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59] RNC(502)에서, RLC 서브층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RLD SDU들을 수신하고, 단편화, 재어셈블리 및 흐름 제어와 같은 RLC-관련 기능들을 수행하고, RLC PDU들을 MAC-d 서브층에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UE에 대한 서빙 RNC에 하나의 MAC-d 엔티티가 존재한다. MAC-d 서브층은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고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드 B(504)의 MAC-ehs 엔티티에 MAC PDU들을 제공한다.
[0060] UE(506) 측으로부터 MAC-d 엔티티는 모든 전용 전송 채널들, MAC-c/sh/m 엔티티, 그리고 MAC-hs/ehs 엔티티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UE(506) 측으로부터, MAC-hs/ehs 엔티티는 HSDPA 특정 기능들을 핸들링하고 HS-DSCH 전송 채널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위층들은 2개의 엔티티들, MAC-hs 또는 MAC-ehs 중 어느것이 HS-DSCH 기능을 핸들링하기 위해 적용될지를 구성한다.
[0061] 3GPP 표준들의 릴리즈 8은 UE가 이중의 인접하는(dual adjacent) 5-MHz 다운링크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DC-HSDPA(dual cell HSDPA)를 도입하였다. 이중 캐리어 접근법은 다중캐리어 사이트들에서의 더 높은 다운링크 데이터 레이트들 및 더 나은 효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DC-HSDPA는 주 캐리어 및 보조 캐리어를 활용하며, 여기서 주 캐리어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채널들 및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채널들을 제공하고 보조 캐리어는 다운링크 통신에 대한 HS-PDSCH들 및 HS-SCCH들의 제 2 세트를 제공한다.
[0062]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라, 소프트 어그리게이션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어그리게이션은 각각의 다운링크 셀들이 동일한 주파수 캐리어를 활용하는 다운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제공한다. 소프트 어그리게이션은 단일-캐리어 네트워크에서 DC-HSDPA에 대한 유사한 이득들을 실현하고자 노력한다.
[0063]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라 소프트 어그리게이션에 대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6에서, 2개 이상의 셀들(614 및 616) 간의 지리적인 중첩이 존재할 수 있어서, UE(610)는 적어도 특정한 시간 기간 동안, 다수의 셀들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은 단일 주파수 채널 상에서 복수의 셀들로부터 HSDPA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UE는 어그리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셀들을 활용하는 셋업은 SFDC-HSDPA(Single Frequency Dual Cell HSDPA), CoMP HSDPA(Coordinated Multi-Point HSDPA), 또는 단순히 다중-포인트 HSDPA로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용어가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시스템은 물론, 셀 경계들에 있는 사용자들은 높은 쓰루풋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셀들은 동일한 노드 B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셀들은 이종(disparate)의 노드 B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0064] 도 6에서 예시되는 방식에서, 2개의 이종의 노드 B들(602 및 604) 각각은 다운링크 셀(606 및 608)을 각각 제공하며, 여기서 다운링크 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에 있다. 물론,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양상에서, 양자의 다운링크 셀들(606 및 608)은 동일한 노드 B의 상이한 섹터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UE(610)는 다운링크 셀들을 수신 및 어그리게이팅하고 양자의 노드 B들(602 및 604)에 의해 수신되는 업링크 채널(612)을 제공할 수 있다. UE(610)로부터의 업링크 채널(612)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다운링크 셀들(606 및 608)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0065] DC-HSDPA-가능 UE는 2개의 수신 체인들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상이한 캐리어로부터 HS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중-포인트 HSDPA-가능 UE(610)에서, 복수의 수신 체인들이 상이한 셀들(614 및 616)로부터 HS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어그리게이션으로부터의 적어도 일부의 이익들은 단일-캐리어 네트워크에서 실현될 수 있다.
[0066]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서, 어그리게이팅되는 2개의 셀들은 UE의 활성 세트 내의 셀들로 제한될 수 있다. 이들 셀들은 다운링크 채널 품질에 따라 결정된, 활성 세트내의 최강의 셀들일 수 있다. 어그리게이팅된 셀들이 도 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노드 B 사이트들에 상주하는 경우, 이 방식은 '소프트 어그리게이션(soft aggregation)'이라 불릴 수 있다. 어그리게이팅된 셀들이 동일한 노드 B 사이트에 상주하는 경우, 이 방식은 '소프터 어그리게이션(softer aggregation.)'이라 불릴 수 있다.
[0067] 소프터 어그리게이션은 비교적 평가 및 구현하기에 수월(straightforward)하다. 그러나 소프터 핸드오버에 있어서의 UE들의 퍼샌테이지가 제한되기 때문에, 소프터 어그리게이션으로부터의 이득은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제한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소프트 어그리게이션은 훨씬 더 큰 이익을 제공할 잠재력을 갖는다. 그러나 노드 B는 물론 RNC 측의 흐름 제어에 관련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0068] 2개의 셀들이 단일의 노드 B에 의해 제공(즉, 소프터 어그리게이션)되는 종래의 DC-HSDPA 시스템 또는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2개의 셀들은 도 5에서 예시되는 종래의 HSDPA 시스템과 대개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MAC-ehs 엔티티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일의 노드 B 사이트로부터 UE로 오기 때문에, UE의 RLC 엔티티는 패킷들이 그들 각각의 RLC 시퀀스 번호들에 따른 순서로 송신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된 패킷들의 시퀀스 번호들에 있어서의 임의의 간극이 패킷 장애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RNC의 RLC 엔티티는 누락 시퀀스 번호들에 대응하는 모든 패킷들을 단순히 재전송할 수 있다.
[69] 그러나 셀들이 이종의 노드 B 사이트들에 의해 제공되는(즉, 소프트 어그리게이션)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RNC로부터 UE로의 패킷들의 흐름은 패킷 장애들 이외의 다른 이유들로, 패킷들이 UE들에 의해 수신될 때 시퀀스 번호들에 있어서의 간극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흐름 제어 알고리즘이 RLD PDU들을 각각의 노드 B들에 분배하는 방법에 의존하여, 패킷들은, 반드시 어떠한 이슈들도 수반하지 않고 UE에 순서없이 도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시간이 경과하면 패킷들은 스케줄링된 대로 도달하고 간극을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 순서없는 전달에 의해 야기되는 이러한 간극들은 전송 장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손실된 패킷들로부터 구분하기 위해, 스큐(skew)로서 지칭될 수 있다.
[0070] 도 7은 셀들이 이종의 노드 B 사이트들에 의해 제공되는(즉, 소프트 어그리게이션)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의 특정한 양상들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RNC(702)는 각각이 다운링크 HS-전송을 UE(708)에 제공하는 복수의 노드 B들(704 및 706)에 패킷들을 제공하는 다중-링크 RLC 서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예시된 방식과 비교하면, RLC 서브층은 각각의 UE(708)의 각각의 우선순위 큐에 대한 흐름 제어 프로토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흐름 제어 프로토콜은 노드 B들(704 및 706)로부터의 흐름 제어 메시지들에 따라, 양자의 노드 B들의 큐들을 활용하여 UE(708)들로의 패킷들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노드 B(704)는 UE(708)에 대한 주 서빙 셀로서 작용할 수 있고, 노드 B(706)는 UE(708)에 대한 보조 서빙 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물론, 노드 B들(706 및 706)의 역할들은 각각 보조 및 주 서빙 셀들로서 뒤바뀔 수 있다. 예시적인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노드 B들(704 및 706)은 각각의 Iub 인터페이스들을 통해서 RNC에 의해 자신들에 할당된 패킷들을 수신하고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활용하여 에어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이 패킷들을 UE(708)에 전송한다.
[0071] 각각의 노드 B(704 및 706)는 패킷들이 UE(708)에 전송될 때까지, 패킷들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또는 큐를 포함한다. 큐는 그의 특정한 저장 모드에 무관하게, 저장 공간 또는 데이터의 임의의 다른 비-랜덤 어그리게이션을 포함해서 메모리에 대한 임의의 적합한 구조일 수 있다.
[0072] 여기서, UE(708)는 복수의 PHY 층들, 또는 즉, 노드 B들(704 및 706)로부터의 각각의 다운링크 전송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신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E(708)는 복수의 대응하는 MAC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MAC 엔티티들 각각은 대응하는 노드 B 사이트들로부터 상이한 서빙 셀(예를 들어, 주 서빙 셀 및 보조 서빙 셀)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UE(708)에서의 하나의 MAC 엔티티는 주 서빙 셀을 제공하는 제 1 노드 B(704)에 대응할 수 있고, UE(708)의 제 2 MAC 엔티티는 보조 서빙 셀을 제공하는 제 2 노드 B(706)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이유들로, 특정한 MAC 엔티티와 특정한 노드 B의 페어링은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이 예는 단지 하나의 가능한 예이다.
[0073] 도 8은 본 개시의 양상들 중 몇몇 양상에 따라,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흐름 제어를 위해 활용되는 신호들 중 일부를 예시하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여기서, 노드 B-1(802) 및 노드 B-2(804)는 특정한 UE(단순함을 위해 예시되지 않음)에 대한 주 서빙 셀 및 보조 서빙 셀로서 각각 역할한다. RNC(806)는 각각의 Iub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노드 B들(802 및 804) 각각에 결합된다. 물론, 다른 인터페이스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RNC(806)는 회선-교환 또는 패킷-교환 코어 네트워크, 또는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이들 둘의 조합일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808)에 결합된다.
[0074] 예시되는 바와 같이, RNC(806)는 노드 B들(802 및 804)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지향되는 RLC SDU들을 코어 네트워크(808)로부터 수신한다. 노드 B-1(802) 및 노드 B-2는 각각 RNC(806)로부터 UE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흐름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송신한다. 노드 B들(802 및 804)로부터의 흐름 제어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RNC(808)는 다수의 인자들에 기초하여 노드 B들 각각에 할당할 RNC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고 각각의 Iub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노드 B들(802 및 804)에 RLC PDU들로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0075]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서, 노드 B는 흐름 제어 알고리즘의 마스터일 수 있다. 즉, 노드 B는 흐름 제어 메시지를 활용하여 RNC에 버퍼 공간을 허가할 수 있다. 흐름 제어 메시지는 할당 크기, HS-DSCH 인터벌, 및 HS-DSCH 반복 기간을 제어할 수 있다.
[0076] 여기서, 할당 크기는 특정한 흐름에 대해 노드 B에 할당될 MAC-d PDU들의 수 및 이들 MAC-d PDU들의 최대 크기를 포함한다. HS-DSCH 인터벌은 MAC-d PDU들이 노드 B에 송신될 수 있는 시간 인터벌이다. HS-DSCH 반복 기간은 이러한 할당이 리프레시(refresh)되고 반복되는 기간이다. 물론, 당업자들은 특정한 포맷의 흐름 제어 메시지가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여전히 머무를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할 것이다.
[0077] 본 개시에 따른 몇몇 예들에서, 별개의 흐름 제어 알고리즘들은 주 서빙 셀(802) 및 보조 서빙 셀(804)을 통한 데이터 전송들을 관리하기 위해 각각의 노드 B에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서빙 셀(804)에 대한 흐름 제어 알고리즘은 주 서빙 셀(802)에 대한 흐름 제어 알고리즘과 상이할 수 있다.
[0078] 또한, 각각의 노드 B들에서의 별개의 흐름 제어 알고리즘들은 노드 B들(802 및 804) 간의 정보 교환을 활용하여 서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의 교환은 노드 B들(802 및 804)로부터 RNC(806)로의 흐름 제어 메시지의 송신과 일치할 수 있거나, 또는 RNC(806)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각각의 서빙 셀들(802 및 804) 사이에서 임의의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서, 각각의 노드 B로부터 UE로의 흐름의 쓰루풋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RNC(806)에 송신된 흐름 제어 메시지에 부가됨으로써 정보 교환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노드 B의 별개의 알고리즘들 및 흐름 제어 메시지 시그널링의 이러한 유연성은 흐름 제어 전략들을 위한 넓은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0079] 흐름 제어 알고리즘들에 의해 당면하는 공통적이 이슈는 버퍼 언더런(buffer underrun)이다. 버퍼 언더런은 버퍼로부터의 출력이 비워지는 것보다 낮은 레이트로 버퍼에 대한 입력이 채워질 때 발생한다. 여기서, 버퍼는 엔티(empty)가 될 수 있고, 이는 버퍼가 다시채워질 때 알고리즘이 버퍼로부터의 판독을 중지 또는 정지할 필요가 있게 한다. 이러한 조건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으며 본 개시에서 기술되지 않는 데이터 스트림에 있어서 다양한 이슈들을 야기할 수 있다.
[0080] 위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노드 B는 패킷들이 UE에 전송되기 이전에 이들을 버퍼링할 수 있는 큐를 포함할 수 있다. 흐름 제어 알고리즘의 하나의 목적은 이 큐에서 버퍼 언더런을 최소화하는 것일 수 있다. 버퍼 언더런을 감소시키는 수월한 방식은 버퍼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핸드오버 동안 데이터 복구의 곤란성을 감소시키고 요구되는 노드 B 메모리 크기를 감소시기 위해 노드 B에서 유지되는 PDU들의 수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인 흐름 제어 알고리즘의 다른 목적과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포괄적인 흐름 제어 알고리즘은 이들 목적들 간의 최적의 트래이드-오프(trade-off)를 찾는 것이다. 본 개시의 양상에서, 이러한 트래이드-오프는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버퍼의 가변 길이를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관리될 수 있다.
[0081] 도 9는 노드 B에서의 흐름 제어 알고리즘의 몇몇 양상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흐름 제어 알고리즘은 주 서빙 셀 또는 보조 서빙 셀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블록(902)에서, 프로세스는 RNC에 송신할 새로운 흐름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생성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잠재적으로 적합한 지연 기간 이후에 블록(902)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프로세스가 새로운 흐름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노드 B가 아래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노드 B로부터 UE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할 수 있는 블록(904)으로 진행할 수 있다. 블록(906)에서, 프로세스는 흐름에 대응하는 노드 B에서의 큐의 타겟 큐 길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값으로 타겟 큐 길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큐 길이는 블록(904)에서 결정된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타겟 큐 길이는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타겟 큐잉 지연을 유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의 선택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는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주어진다.
[0082] 블록(908)에서, 프로세스는 RNC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새로운 흐름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블록(910)에서, 노드 B는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흐름 제어 메시지를 RNC에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908)에서 생성된 흐름 제어 메시지는 특정한 양의 RLC 데이터가 노드 B(예를 들어, MAC-ehs 엔티티)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되게 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한다. 여기서, 노드 B는 흐름 제어 메시지에서 요청할 데이터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노드 B가 요청한 데이터의 양은 흐름을 위한 타겟 큐 길이, 흐름을 위한 현재 큐 길이, 노드 B의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 주 서빙 셀 또는 보조 서빙 셀로서 노드 B의 상태, 주 서빙 셀로서 노드 B에 의해 서빙되는 UE 이외의 UE들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포함(그러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진 않음)해서 다수의 인자들에 의존할 수 있다.
[0083] 요청된 데이터의 양과 타겟 큐 길이 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될 곳이 큐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타겟 큐 길이는 몇 개의 인자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적응될 수 있고, 이는 결국 노드 B에 의해 요청되는 데이터의 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0084]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라, 타겟 큐 길이는 타겟 큐잉 지연을 범위(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타겟 큐 길이의 범위는 상위 및 하위 경계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특정한 구현들에서, 상위 경계 및 하위 경계의 값들은 고정(예를 들어, 미리 결정됨)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상위 경계 및 하위 경계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다양한 인자들 또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0085] 본 개시의 양상에 따라,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 또는 타겟 큐 길이의 선택은 노드 B로부터 그 큐를 활용하는 UE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큐 길이(비트들, 또는 바이트들의)는 노드 B에서 타겟 큐잉 시간(초)과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초당 비트들)의 곱으로서 세팅될 수 있다.
[0086] 도 10은 초(second)의 흐름을 위한 큐잉 시간(T)과 초 당 비트들의 흐름의 쓰루풋(Thrpt) 간의 예시적인 관계를 예시하는 단순화된 차트이다. 여기서, 큐잉 시간 또는 큐에 대한 지연은 UE에 전송되기 이전에 정보가 노드 B의 큐에서 머무르는 시간의 양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되는 바와 같이, 흐름을 위한 큐잉 시간이 감소하면, 쓰루풋은 증가하고, 쓰루풋이 감소하면, 흐름을 위한 큐잉 시간은 증가한다.
[0087] 이러한 관계는 일반적으로 라인(1002)에 의해 표현되는 선형 관계이다. 구체적으로 라인들 2개의 지점들, (Thrptmin, Tmax)의 제 1 지점(1004) 및 (Thrptmin, Tmax)의 제 2 지점(1006)이 예시된다.
[0088] 본 개시의 양상에서, 타겟 큐잉 시간(Tqueuing)은 흐름에 대한 쓰루풋(Thrptest)을 추정하고, 추정된 쓰루풋에 대응하는 라인(1002) 상의 지점을 발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즉, 타겟 큐잉 시간(Tqueuing)은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0091] Tmax는 타겟 큐잉 시간의 상위 경계이다. 몇몇 예들에서, Tmax는 값(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값)으로, 예를 들어, 10ms로 세팅될 수 있다.
[0092] Tmin는 타겟 큐잉 시간의 하위 경계이다. 몇몇 예들에서, Tmin는 값(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값)으로, 예를 들어, 10ms로 세팅될 수 있다.
[0093] Thrptmax는 흐름에 대한 추정된 쓰루풋의 타겟팅된 범위에 관한 상위 경계이다. 몇몇 예들에서, Thrptmax는 값(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세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당 비트들로 UE의 피크 레이트와 동일할 수 있다.
[0094] Thrptmin는 흐름에 대한 추정된 쓰루풋의 타겟팅된 범위에 관한 하위 경계이다. 몇몇 예들에서, Thrptmin는 값(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값)으로, 예를 들어, 10kBps로 세팅될 수 있다.
[0095] Thrptest는 초당 비트들로, 흐름에 대한 추정된 쓰루풋이다.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몇몇 예들에서, 노드 B는 흐름에 대한 쓰루풋의 추정을 계산할 수 있다.
[0096] 본 개시의 몇몇 양상에서, 타겟 큐 길이는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Thrptest)과 노드 B의 타겟 큐잉 시간(Tqueuing)의 곱, 또는 이 값들에 대응하는 라인(1002) 상의 지점(1008)의 Thrptest ·Tqueuing에 대응할 수 있다.
[0097]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라 추정된 쓰루풋과 노드 B 큐의 타겟 길이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큐의 타겟 길이는 노드 B로부터 UE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겟 큐 길이의 선택은 타겟 큐잉 지연(T)을 특정한 범위(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범위), 예를 들어, Tmin 과 Tmax 사이에서 유지할 수 있다.
[0098]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흐름 쓰루풋의 추정은 비교적 긴 시간의 기간에 걸쳐서 전송되는 총 바이트들의 수를 카운팅하고,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예를 들어, 흐름 제어 인터벌에 걸친 쓰루풋을 추정하기 위해 평균 레이트를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60ms로 전송된 총 바이트들의 수는 10ms 흐름 제어 인터벌에 대한 쓰루풋을 추정하기 위해 16으로 나눠질 수 있다.
[0099] 본 개시의 양상에서, 흐름 쓰루풋의 추정은 노드 B의 흐름을 위한 큐가 엠티가 아닐 때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큐가 엠티인 경우, 흐름은 일반적으로 정지되고, 이에 따라 쓰루풋의 추정은 흐름이 정지된 시간을 추정이 포함하는 경우 낮은 것으로 왜곡(skew)될 수 있다.
[00100] 흐름 쓰루풋을 추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은 IIR 필터를 활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IR 필터를 활용하는 시간 동안의 쓰루풋의 필터링은 단순한 평균화의 하나의 단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노드 B 큐가 엠티가 아닐 때 시간의 단편이 작은 경우, 흐름 쓰루풋 추정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다. 물론,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법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쓰루풋을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00101]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노드 B는 버퍼 언더런에 기초하여 타겟 큐 길이 또는 타겟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를 적응시킬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노드 B는 매 전송 시간 인터벌(TTI) 마다 버퍼 언더런에 기초하여 타겟 큐 길이, 또는 타겟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를 적응시킬 수 있다.
[00102] 도 11은 본 개시의 양상에 따라 버퍼 언더런에 기초하여 타겟 큐 길이를 적응시키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00103] 블록(1102)에서, 프로세스는 정해진 시간의 실제 큐 길이를 특정한 임계치에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치는 버퍼 언더런이 실질적으로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값을 갖도록 구성되는 고정된 임계치일 수 있다. 일 예에서, 5Kbyte의 길이에 대한 임계치가 미리 구성될 수 있다.
[00104] 여기서, 실제 큐 길이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프로세스는 프로세스가 타겟 큐 길이, 또는 타겟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를 부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블록(1104)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수는 타겟 큐 길이 또는 타겟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로부터 차감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수는 3 바이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물론, 타겟 큐 길이 또는 타겟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의 부가적인 감소를 위해 임의의 적합한 값이 활용될 수 있다.
[00105] 블록(1102)에서 실제 큐 길이가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고 프로세스가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프로세스가 타겟 큐 길이 또는 타겟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를 곱셈적으로(multiplicatively) 증가시킬 수 있는 블록(1106)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수는 타겟 큐 길이 또는 타겟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와 곱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곱셈적 증가 인자는 약 1.00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물론, 1보다 큰 임의의 적합한 값이 타겟 큐 길이 또는 타겟 큐 길이에 관한 상위 경계를 증가시키기 위한 곱셈적 증가 인자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00106] 이러한 방식으로, 도 11에서 예시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타겟 큐 길이는 곱셈적인 증가를 통해 버퍼 언더런에 대해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그러나 버퍼 언더런이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만큼 큐가 충분히 크면, 타겟팅된 큐 크기는 버퍼의 크기를 작게 유지하기 위해 부가적인 감소를 활용하여 점진적으로 작아(decline)질 수 있다.
[00107]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타겟 큐 길이 외에, RNC에 대한 흐름 제어 메시지에서 노드 B가 요청한 데이터의 양은 현재 큐 길이, 노드 B의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 흐름에 대응하는 UE에 대한 주 서빙 셀 또는 보조 서빙 셀 중 어느 하나로서 노드 B의 상태, 및 주 서빙 셀로서 노드 B에 의해 서빙되는, 흐름에 대응하는 UE 이외의 UE들에 대한 데이터의 양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인자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00108] 노드 B에서의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는 시스템의 우선순위들의 분리(separation of priorities)로부터의 임의의 적합한 우선순위에서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흐름에 대응하는 UE에 대한 보조 서빙 셀로서 작용하는 노드 B에 대한 우선순위는 낮은 번호, 또는 흐름 제어 메시지가 생성될 시간에 그 노드 B가 다른 UE들에 대한 주 서빙 셀로서 작용하는 경우 심지어 0까지 떨어질 수 있다. 우선순위는 요청되는 데이터의 타입,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인자와 같은 다른 인자들에 또한 대응할 수 있다.
[00109] 이제 도 9로 돌아와서, 프로세스가 RNC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면, 블록(908)에서, 프로세스는 RNC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포함하는 흐름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블록(910)에서 프로세스는 RNC에 대한 데이터 요청을 포함하는 흐름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908)에서 흐름 제어 메시지의 생성은 도 1에서 예시된 프로세서(104)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104)는 도 8에서 예시된 노드 B들(704 또는 706) 중 하나와 같은 노드 B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또한, 블록(910)에서의 노드 B로부터 RNC로의 흐름 제어 메시지의 전송은 흐름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블록(906)에서 활용된 프로세서와 동일한 프로세서 또는 상이한 프로세서일 수 있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흐름 제어 메시지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노드 B와 RNC 간의 통신을 위한 임의의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00110] 본 개시의 추가의 양상에서, 도 8로 잠깐 되돌아오면, RNC(806)는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드 B(802 또는 804)로부터 흐름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요청을 프로세싱하고 응답할 수 있다. 도 12는 RNC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양상들 중 일부를 예시하는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여기서, RNC는 하나 또는 복수의 Iub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노드 B들과 통신할 수 있다.
[00111] 일반적으로, Iub 인터페이스를 통한 노드 B로의 패킷들의 할당 및 전달은 흐름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몇개의 흐름 제어 프로토콜들이 각각의 UE의 각각의 우선순위 큐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시스템이 복수의 노드 B들이 주 및 보조 서빙 셀들로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UE에 제공하는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일 수 있지만, 복수의 노드 B들 각각으로부터의 흐름 제어 요청들은 공동 방식(joint manner)으로 RNC에서 프로세싱될 수 있다.
[00112] 블록(1202)에서, 프로세스는 UE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특정한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흐름 제어 메시지가 예를 들어,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드 B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흐름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잠재적으로 적합한 지연 이후에 블록(1202)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00113] 흐름 제어 메시지가 노드 B로부터 수신되었다고 블록(1202)에서 프로세스가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프로세스가 노드 B에 할당할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노드 B에 RLC 데이터의 일부 부분을 할당할 수 있는 블록(1204)으로 진행할 수 있다. 블록(1206)에서, 프로세스는 흐름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노드 B에 결정된 양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00114]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서, 도 12에서 예시되는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특정한 UE에 대한 주 서빙 셀 및 보조 서빙 셀로서 작용하는 복수의 노드 B들로부터 수신되는 흐름 제어 메시지들에 대응할 수 있다.
[00115]흐름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노드 B에 할당 및 송신할 데이터의 양의 블록(1204)에서의 결정은 노드 B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의 양, 이종의 노드 B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의 양, 노드 B의 우선순위, 노드 B에 송신될 데이터의 배치들의 크기, 및 노드 B에 의해 세팅된 타겟 큐 길이가 충족되는지 여부와 같은(그러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진 않음) 하나 이상의 인자들의 임의의 조합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00116] 즉,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서, UE에 대한 RLC 흐름을 위한 RLC 데이터의 할당은 노드 B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의 양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드 B에 할당되는 데이터의 양은 노드 B가 요청한 데이터의 양의 임의의 함수일 수 있다. 일 예에서, RNC는 노드 B의 요청에 비례하여 각각의 노드 B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00117] 노드 B의 요청들에 비례하는 노드 B에의 할당은 노드 B들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대한 RNC에서의 데이터의 양이 양자의 노드 B들로부터 요청된 총 데이터의 양보다 적고, 보조 서빙 셀(또는 셀들)이 데이터와 관련하여 어떠한 주 사용자들도 갖지 않을 때 적절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그리디(greedy)" 방식으로 인입하는 요청들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흐름 제어 알고리즘에 비교하면, 그들의 요청에 비례하여 노드 B들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RNC 버퍼 내에 적은 양의 데이터만이 존재할 때, 예를 들어, TCL 슬로우 스타트(TCP slow start) 동안 데이터가 UE에 도달할 때 감소된 스큐를 제공할 수 있다.
[00118]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UE에 대한 RLC 흐름을 위한 RLC 데이터의 할당은 이종의 노드 B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의 양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재차 참조하면, 흐름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노드 B(802)는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UE에 관한 주 서빙 셀일 수 있다. 여기서, 이종의 노드 B(804)는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동일한 UE에 관해 보조 서빙 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주 서빙 셀(802)에 대한 할당은 보조 서빙 셀(804)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의 양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공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서빙 셀(802) 및 보조 서빙 셀(804) 각각이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RNC(806)는 상이한 양의 데이터, 예를 들어, 더 큰 양의 데이터를 주 서빙 셀(802)에 할당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서빙 셀(804)이 주 서빙 셀보다 더 적은 양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RNC(806)는 그것이 요청한 대로 주 서빙 셀(802)에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할당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종의 노드 B(804)에 의해 요청되는 데이터의 양과 요청 노드 B(802)에 할당되는 데이터의 양 간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관계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00119]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UE에 대한 RLC 흐름을 위한 RLC 데이터의 할당은 요청을 송신하는 노드 B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라, 주 서빙 셀에는 보조 서빙 셀보다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 있다.
[00120]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서, 우선순위는 노드 B가 주 서빙 셀로서 그 노드 B에 의해 서빙되는 다른 이종의 UE들에 제공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특정한 흐름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노드 B에 할당될 수 있다.
[00121] 예를 들어, 도 6을 다시 한번 참조하면,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해 흐름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노드 B(604)는 UE(610)를 서빙하는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보조 서빙 셀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여기서, 이러한 노드 B(604)는 부가적으로 주 서빙 셀로서 다른 UE들, 예를 들어, UE들(618, 620 및 622)을 서빙할 수 있다. 예시되는 예에서, UE들(618 및 620)은 노드 B(604)가 그들의 유일한 서빙 셀인 HSDPA 서비스를 활용하는 레거시 UE들이 될 수 있는 반면에, UE(622)는 노드 B(604)가 그의 주 서빙 셀이고, 이종의 노드 B(624)가 그의 보조 서빙 셀로서 작용하는 다중-포인트 HSDPA UE일 수 있다,
[00122] 이 예에서, 노드 B(604)가 보조 서빙 셀로서 흐름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흐름에 대한 서비스를 UE(610)에 제공하는 경우, 이 노드 B(604)를 자신의 주 서빙 셀로서 활용하는 다른 UE들(618, 620 및 622)의 성능은 저하된 그들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시스템-와이드 공정성(system-wide fairness)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00123] 여기서, 노드 B(604)에는 UE(610)에 대한 보조 서빙 셀로서 그의 상태 및 하나 이상의 이종의 UE들, 예를 들어, UE들(618, 620 및 622)에 대한 주 서빙 셀로서 그의 상태에 기초하여 감소된 우선순위 레벨이 할당될 수 있다.
[00124]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일 예에서, 감소된 우선순위는 어떠한 RLC 데이터도 RNC에 의해 이 예에서의 노드 B(604)에 할당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주 서빙 셀로서 노드 B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임의의 UE들에 대한 RNC 큐가 엠티가 아닐 때마다, RNC는 보조 서빙 셀로서 UE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노드 B로부터의 흐름 제어 메시지들을 무시하고, 그 UE의 주 서빙 셀(여기서 노드 B(602)에 대응함)로부터의 이러한 메시지들에 오직 응답할 수 있다.
[00125]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UE에 대한 RLC 흐름을 위한 RLC 데이터의 할당은 배치 크기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즉, 노드 B로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데이터는 RLC 데이터의 단편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배치들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크기는 각각의 노드 B에 대해 상이할 수 있거나, 각각의 노드 B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배치 크기는 고정되거나, 또는 특정한 구현의 특성들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구성 가능할 수 있다.
[00126] 여기서, 특정한 노드 B에 할당된 RLC 데이터의 양은 배치 크기의 함수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배치 크기의 정수배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더 큰 배치 크기들은 데이터의 더 큰 할당에 더욱 이바지할 수 있거나, 또는 더 작은 배치 크기들은 특정한 구현에 특유한 이유들로, 데이터의 더 큰 할당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00127] 이제 도 12로 돌아와서, 블록(1204)에서 노드 B에 송신할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면, 블록(1206)에서, 프로세스는 결정된 양의 데이터를 노드 B에 송신할 수 있다. 동일한 UE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요청하는 주 서빙 셀 및 보조 서빙 셀을 갖는 다중-포인트 HSDPA 시스템을 활용하는 예에서, RNC가 할당된 데이터를 복수의 노드 B들에 송신할 때, 각각의 노드 B에 할당할 데이터가 얼마나 많은지를 결정하는 것 외에, 블록(1206)에서, RNC는 또한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어느 부분들을 각각의 노드 B에 송신할지를 결정한다.
[00128] 도 7에 관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RNC(702)의 RLC 서브층은 일반적으로 RNC(702)의 MAC-d 서브층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RNC(702)에 의해 생성되는 MAC-d PDU들은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HS-DSCH 데이터 프레임들에서 배치들로 MAC 엔티티, 예를 들어, 노드 B(704 또는 706)의 MAC-ehs 서브층에 송신될 수 있다. 노드 B(704 또는 706)는 이어서 PDU들이 스케줄링되고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성공적으로 전송될 때까지 PDU들을 버퍼링할 수 있다.
[00129] 본 개시의 양상에서, 배치들은 그 노드 B에 대한 총 할당보다 적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개의 RLC PDU들이 UE(708)에 대한 RNC(702)에 있다고 가정하고, RNC(702)는 제 1 노드 B(702)에 10개의 패킷들을, 그리고 제 2 노드 B(706)에 10개의 패킷들을 할당하도록 결정하였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RNC(702)는 RNC의 RLC PDU들을 10개의 패킷들의 배치들로 분할할 수 있고, 제 1 배치는 제 1 노드 B(704)로 송신될 것이고, 제 2 배치는 제 2 노드 B(706)에 송신될 것이다. 즉, 여기서, 각각의 배치는 노드 B들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일부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00130]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서, 위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노드 B에 할당되는 RLC 데이터의 양은 배치 크기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기술된 예에서, 각각의 노드 B에 할당되는 RLC 데이터의 양은 10개의 패킷들의 배치 크기와 동일하다. 물론, 다른 예들에서, 각각의 노드 B에 할당되는 RLC 데이터의 양은 배치 크기의 임의의 정수배일 수 있다.
[00131] 여기서 패킷들(1 내지 10)은 제 1 노드 B에 송신될 수 있고, 패킷들(11 내지 20)은 제 2 노드 B에 송신될 수 있다. 이 예에서, 2개의 서빙 셀들에서 동일한 채널 조건들을 가정하면, 패킷들(1 내지 10)은 패킷들(11-20)이 제 2 노드 B로부터 순서대로 전송되는 동시에 제 1 노드 B로부터 순서대로 전송되기 때문에, UE에서의 패킷들의 도달 순서는 1, 11, 2, 12, 3, 13, ... ,10, 20이다. 여기서, UE에서의 최대 스큐는 10 패킷들이다. 즉, 수신된 패킷들, 예를 들어, 패킷들(1 및 11) 간의 간극은 10 패킷 폭이다.
[00132]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배치들 또는 패킷들은 예를 들어, 배치별(batch-by-batch) 또는 패킷별(packet-by-packet)로 시간적으로 교호하는 엇갈리는 방식으로, 각각의 노드 B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번호 패킷들이 제 1 노드 B에 송신될 수 있는 반면에, 짝수-번호 패킷들은 제 2 노드 B에 송신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서빙 셀에서 동일한 채널 조건들을 가정하면, UE에서의 패킷들의 도달 순서는 1, 2, 3, ..., 19, 20이다. 즉, UE에서 스큐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예에서, 채널 조건들이 노드 B들 중 하나에서 변경되는 경우, 패킷 엇갈림을 활용할 때 간극들의 수는 패킷들을 배치들로 송신할 때 간극들의 수보다 높게 될 수 있다.
[00133] 예를 들어, 패킷들을 배치들로 송신할 때, 제 1 노드 B는 정지되는 경우, UE에서의 패킷들의 도달의 순서는 11, 12, 13, ..., 20이다. 여기서, 단지 하나의 간극이 존재한다. 다른 한편, 패킷 엇갈림을 활용하여 패킷들을 송신할 때, 제 1 노드 B가 정지되는 경우, UE에서의 패킷들의 도달 순서는 2, 4, 6, ..., 20이다. 여기서 10개의 간극들이 존재한다. 더 많은 간극들은 업링크 피드백에 있어서의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 간극들을 리포트하는, UE로부터의 RLC 상태 PDU가 더 크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 예는 하나의 패킷의 배치 크기가 활용되는 반면에,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예들은 엇갈림을 위해 임의의 적합한 배치 크기를 활용할 수 있다.
[00134] 배치 엇갈림을 활용할 때, 배치의 크기는 특정한 트래이드오프들을 고려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즉, 더 큰 배치 크기는 패킷들이 UE에서 수신될 때 간극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에, 더 작은 배치 크기는 패킷들이 UE에서 수신될 때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간극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임의의 적합한 배치 크기는 본 개시의 범위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00135] 원격통신들 시스템의 몇몇 양상들은 W-CDMA 시스템을 참조하여 제시되었다. 당업자들이 쉽게 인지할 바와 같이, 본 개시 전체에 걸쳐서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 있다.
[00136] 예로서, 다양한 양상들이 TD-SCDMA 및 TD-CDMA와 같은 다른 UMTS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은 (FDD, TDD, 또는 양 모드들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FDD, TDD, 또는 양 모드들에서) LTE-A(LTE-Advanced), CDMA2000, EV-DO(Evolution-Data Optimized),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블루투쓰 및/또는 다른 적합한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로 또한 확장될 수 있다. 이용되는 실제 원격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또는 통신 표준은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할 것이다.
[00137]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여기서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서 도시된 양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언어에 부합하는 전체(full) 범위로 허여될 것이며, 여기서 엘리먼트의 단수의 지칭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언급되어 있지 않으면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용어 "몇몇"은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구문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해서 이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b 및 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지거나 추후에 알려지게 되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서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명시적으로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여기서 기재된 어느 것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되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대중에게 헌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엘리먼트가 구문 "~를 위한 수단"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기재되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 "~를 위한 단계"를 이용하여 기재되지 않으면,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2, 6번째 단락의 조항들 하에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48)

  1.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노드 B(704)로부터 UE(708)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는 단계;
    타겟 큐잉 지연(target queuing delay)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상기 노드 B(704)에서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 및
    노드 B(704)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양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B(704)에서의 흐름을 위한 큐가 엠티(empty)가 아닐 때만 수행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큐잉 지연은,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의 함수인,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 또는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현재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노드 B(604)에 대응하는 셀(616)이 주 서빙 셀 또는 보조 서빙 셀로서 상기 UE(610)를 서빙하는지 여부의 함수인,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UE(6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UE(622)에 대한 데이터의 양의 함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622)는 주 서빙 셀로서 상기 노드 B(604)에 대응하는 셀(616)에 의해 서빙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7.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UE(708)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제 1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1 MAC 엔티티(704)로부터의 제 1 요청 및 제 2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2 MAC 엔티티(706)로부터의 제 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또한 기초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는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에서 주 서빙 셀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는 상기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에서 보조 서빙 셀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UE(6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UE(622)에 대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622)는 주 서빙 셀로서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대응하는 셀(616)에 의해 서빙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제 1 복수의 단편(fraction)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제 2 복수의 단편들로 분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할당된 제 1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1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할당된 제 2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2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할당과 상기 제 2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할당 사이에서 교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3.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노드 B(704)로부터 UE(708)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14);
    타겟 큐잉 지연(target queuing delay)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상기 노드 B(704)에서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114); 및
    노드 B(704)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양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114)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노드 B(704)에서의 흐름을 위한 큐가 엠티(empty)가 아닐 때만 상기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큐잉 지연은,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 또는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현재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노드 B(604)에 대응하는 셀이 주 서빙 셀 또는 보조 서빙 셀로서 상기 UE(610)를 서빙하는지 여부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UE(6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UE(622)에 대한 데이터의 양의 함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622)는 주 서빙 셀로서 상기 노드 B(604)에 대응하는 셀(616)에 의해 서빙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UE(708)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제 1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1 MAC 엔티티(704)로부터의 제 1 요청 및 제 2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2 MAC 엔티티(706)로부터의 제 2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114);
    상기 제 1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114); 및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114)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한 상기 데이터의 제 1 부분의 양을 토대로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는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에서 주 서빙 셀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는 상기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에서 보조 서빙 셀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UE(6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UE(622)에 대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우선순위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114)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622)는 주 서빙 셀로서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대응하는 셀(616)에 의해 서빙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114);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114)
    을 더 포함하고,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제 1 복수의 단편(fraction)들로 분할하기 위한 수단(114);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제 2 복수의 단편들로 분할하기 위한 수단(114)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할당된 제 1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1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할당된 제 2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2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할당과 상기 제 2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할당 사이에서 교호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시스템(114); 및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114)에 결합된 메모리(115)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노드 B(704)로부터 UE(702)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도록;
    타겟 큐잉 지연(target queuing delay)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상기 노드 B(704)에서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를 선택하도록; 및
    노드 B(704)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양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노드 B(704)에서의 흐름을 위한 큐가 엠티(empty)가 아닐 때만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큐잉 지연은,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 또는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현재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5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노드 B(604)에 대응하는 셀이 주 서빙 셀 또는 보조 서빙 셀로서 상기 UE(610)를 서빙하는지 여부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UE(6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UE(622)에 대한 데이터의 양의 함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622)는 주 서빙 셀로서 상기 노드 B(604)에 대응하는 셀(616)에 의해 서빙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시스템; 및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에 결합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UE(708)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제 1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1 MAC 엔티티(704)로부터의 제 1 요청 및 제 2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2 MAC 엔티티(706)로부터의 제 2 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도록; 및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의 할당은,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또한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는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에서 주 서빙 셀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는 상기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에서 보조 서빙 셀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UE(6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UE(622)에 대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우선순위를 할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622)는 주 서빙 셀로서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대응하는 셀(616)에 의해 서빙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송신하도록;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의 할당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의 할당은,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제 1 복수의 단편(fraction)들로 분할하는 것;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제 2 복수의 단편들로 분할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할당된 제 1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1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할당된 제 2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2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의 할당 및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의 할당은,
    상기 제 1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할당과 상기 제 2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할당 사이에서 교호하는 것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7.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106)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106)는,
    컴퓨터로 하여금, 노드 B(704)로부터 UE(702)로의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타겟 큐잉 지연(target queuing delay)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에 따라 상기 노드 B(704)에서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노드 B(704)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에 할당될 RLC 데이터의 양을 요청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노드 B(704)에서의 흐름을 위한 큐가 엠티(empty)가 아닐 때만 상기 추정된 쓰루풋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큐잉 지연은,
    상기 흐름의 추정된 쓰루풋의 함수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0. 제 37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MAC 엔티티의 우선순위,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타겟 길이, 또는 상기 흐름을 위한 큐의 현재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1. 제 37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노드 B(604)에 대응하는 셀이 주 서빙 셀 또는 보조 서빙 셀로서 상기 UE(610)를 서빙하는지 여부의 함수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2. 제 37 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RLC 데이터의 양은,
    상기 UE(6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UE(622)에 대한 데이터의 양의 함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622)는 주 서빙 셀로서 상기 노드 B(604)에 대응하는 셀에 의해 서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3.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UE(708)에 대한 RLC 흐름에 대응하는 제 1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1 MAC 엔티티(704)로부터의 제 1 요청 및 제 2 양의 RLC 데이터에 대한 제 2 MAC 엔티티(706)로부터의 제 2 요청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의 할당은,
    상기 제 2 요청에 부분적으로 또한 기초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는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에서 주 서빙 셀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는 상기 다중-포인트 HSDPA 네트워크에서 보조 서빙 셀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6. 제 45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6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UE(622)에 대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우선순위를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622)는 주 서빙 셀로서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대응하는 셀(616)에 의해 서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7. 제 43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을 더 포함하고,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제 1 복수의 단편(fraction)들로 분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제 2 복수의 단편들로 분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704)에 할당된 제 1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1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AC 엔티티(706)에 할당된 제 2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2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RLC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RLC 데이터의 제 2 부분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제 1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할당과 상기 제 2 복수의 단편들 중 하나의 할당 사이에서 교호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37002327A 2010-06-28 2011-06-28 다중-포인트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흐름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932610P 2010-06-28 2010-06-28
US61/359,326 2010-06-28
US37421210P 2010-08-16 2010-08-16
US61/374,212 2010-08-16
US201161477776P 2011-04-21 2011-04-21
US61/477,776 2011-04-21
US201161483020P 2011-05-05 2011-05-05
US61/483,020 2011-05-05
US13/170,064 2011-06-27
US13/170,064 US20120163205A1 (en) 2010-06-28 2011-06-27 System and method for flow control in a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network
PCT/US2011/042248 WO2012006121A1 (en) 2010-06-28 2011-06-28 System and method for flow control in a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376A true KR20130032376A (ko) 2013-04-01

Family

ID=4544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327A KR20130032376A (ko) 2010-06-28 2011-06-28 다중-포인트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흐름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63205A1 (ko)
EP (1) EP2586260A1 (ko)
JP (1) JP2013539612A (ko)
KR (1) KR20130032376A (ko)
CN (1) CN102972081A (ko)
WO (1) WO2012006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738A1 (ko) * 2013-07-11 2015-01-15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연결 제어 계층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9140B2 (en) 2010-06-2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in a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network
US8891356B2 (en) 2010-06-28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RLC sublayer
US8989004B2 (en) 2010-11-0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PDCP sublayer
WO2013004256A1 (en) * 2011-07-05 2013-01-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congestion control with adaptive qos bit-rate differentiation
US9125098B2 (en) 2011-08-03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gestion control in multiflow networks
US8737211B2 (en) 2011-08-03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etwork configuration of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modes in multiflow systems
EP2777317B1 (en) * 2011-11-09 2018-06-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gestion control for multi flow data communication
WO2013167343A1 (en) * 2012-05-11 2013-1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Delay equalization for fluctuating inter-site multiflow links
US8995260B2 (en) * 2012-08-09 2015-03-3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ad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976648B2 (en) 2012-08-09 2015-03-1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ad on service de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467388B2 (en) * 2012-08-29 2016-10-11 Universiteit Gent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data traffic
EP3014824B1 (en) * 2013-06-28 2017-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data packet flow control for recovering an excessive radio base station buffer dwell time
WO2016045810A1 (en) * 2014-09-26 2016-03-3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Lower and upper bounds for flow-control data requests between network nodes
WO2017209661A1 (en) * 2016-05-30 2017-1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system flow control and packet schedul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7719B (en) * 2000-10-03 2004-01-07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access networks
SE0102775D0 (sv) * 2001-08-17 2001-08-17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system of retransmission
JP2005039726A (ja) * 2003-07-18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及び送信方法
ATE492097T1 (de) * 2003-10-06 2011-01-15 Ericsson Telefon Ab L M Koordinierte datenflusssteuerung und datenpufferteilung in umts
CN1713633B (zh) * 2004-06-24 201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流量控制的方法
US8085657B2 (en) * 2005-04-01 2011-12-27 Sony Corporation Flow control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4751791B2 (ja) * 2006-08-22 2011-08-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流入量制御装置及びデータ流入量制御方法
KR20090121299A (ko) * 2007-02-02 2009-11-25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플렉시블 rlc pdu 크기에 대하여 rlc를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JP5097635B2 (ja) * 2008-07-24 2012-12-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伝送路レート制御方法
CN102742320B (zh) * 2009-03-20 2016-04-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上行链路的主动队列管理
US8300584B2 (en) * 2009-05-11 2012-10-30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cell-edge performance management in wireless systems using distributed scheduling
US8619573B2 (en) * 2010-03-24 2013-12-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layed flow control action in transport network layer WCDMA commun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738A1 (ko) * 2013-07-11 2015-01-15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연결 제어 계층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50007593A (ko) * 2013-07-11 2015-01-21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연결 제어 계층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6260A1 (en) 2013-05-01
WO2012006121A1 (en) 2012-01-12
CN102972081A (zh) 2013-03-13
US20120163205A1 (en) 2012-06-28
JP2013539612A (ja)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2376A (ko) 다중-포인트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흐름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9890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PDCP sublayer
JP5781228B2 (ja) マルチフロー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フロー輻輳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744321B2 (ja) ワイヤレス通信における動的なデバイス能力シグナリ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11163B1 (ko) 다중-링크 rlc 서브층을 활용하는 다중-포인트 hsdpa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697283B2 (ja) 単一周波数デュアルキャリア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中のリセット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40756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apting application uplink rate to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150020588A (ko)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작은 데이터 양들의 효율적인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2015511083A (ja) マルチフローhsdpa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ングセル変更中のデータ損失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199496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harq)プロセスの破棄
US20140146796A1 (en) Buffer size reporting in time divisio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td-hsupa) systems
JP6006440B2 (ja) モデム支援ビデオ電話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93318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HARQ feedback with configured measurement g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