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949A -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949A
KR20130031949A KR1020110095520A KR20110095520A KR20130031949A KR 20130031949 A KR20130031949 A KR 20130031949A KR 1020110095520 A KR1020110095520 A KR 1020110095520A KR 20110095520 A KR20110095520 A KR 20110095520A KR 20130031949 A KR20130031949 A KR 2013003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seat cross
vehicle
shap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575B1 (ko
Inventor
김일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5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60R2021/026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comprising energy 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으로서, 하중 분산과 버클링 저항력, 강성이 증대되고, 부품수 및 공정수 축소,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모두 가능해지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 크로스 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플로어 패널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전체 및 상면부와 측면부 간 경계 부위가 곡선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이때 바람직하게는 평면 형상에 있어서 측면부 및 상면부의 가운데 부분이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들어간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시트 크로스 멤버의 측면 형상에 있어서는 측면부 하단의 가운데 부분이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위로 들어간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Seat cross memb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중 분산과 버클링 저항력, 강성이 증대되고, 부품수 및 공정수 축소,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모두 가능해지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차량의 충돌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 강화되고 있고, 이를 반영하여 차체 설계시에 차체 강도를 높이도록 설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전후방 및 측면 충돌시 차체가 찌그러들면서 탑승자 공간으로 밀려들어 탑승자가 위험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어 조립체의 차체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1)(센터 플로어 패널)에는 이를 가로질러 보강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트 크로스 멤버(11,12)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 크로스 멤버(11,12)는 차체 플로어에 설치되는 골격 구조물로 강도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차체 양측의 사이드 실(2)과 플로어 패널(1)의 터널부(1a) 사이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차체 강도를 높임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특히, 시트 크로스 멤버(11,12)는 차량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되어 전후, 좌우방향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측면 충돌 성능 및 굽힘 강성을 증대시켜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시트 크로스 멤버(11,12)의 상면에는 시트 트랙이 장착되는데, 승객의 탑승 포인트가 결정되면 시트의 높이와 슬라이딩량을 고려하여 차체의 마운팅 위치가 결정된다.
한편, 종래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크로스 멤버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 크로스 멤버(12)는 단면 형상이 대략 '
Figure pat00001
'의 형상으로 각진 형상을 가지면서 종방향 부재(도 1에서 도면부호 3임)가 끼워지는 홈부(13)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측면부에서 전체 길이에 대해 대략 일정한 높이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시트 크로스 멤버(12)는 통상 일반 프레스 냉간 성형으로 제작되는데, 프레스 냉간 성형은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이나 소재의 두께, 재질 등에 있어서 제약이 있다.
이에 프레스 냉간 성형을 통해 제작되는 시트 크로스 멤버(12) 역시 크기나 형태 등에 있어서 제약이 있고, 주변 부품과의 결합성 및 요구 성능 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중 분산 측면이나 버클링 저항력에 있어서 성능 불만족의 문제가 있는데, 이를 위해 두꺼운 소재를 사용하거나 취약부에 별도의 보강부재(도 1에서 도면부호 14임, 도 2에서 도면부호 12e는 보강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홀임)를 다수 추가해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는 부품수 및 중량 과다의 요인이 된다. 또한 보강부재를 제작한 뒤 보강부재를 체결하는 과정 등도 필요하므로 공정수 역시 증가시키게 된다.
'
Figure pat00002
'의 단면 형상을 갖는 시트 크로스 멤버(12)에서는 특히 단면상의 각진 모서리 부분에서 응력이 집중되는데(하중 분산 불리), 측면 충돌시 사이드 실이 차체 중앙으로 밀려 들어올 경우 응력 집중 부위인 모서리 부분에서 먼저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버클링 저항력이 좋지 못하다.
또한 형상의 특성으로 인해 측면부에는 간섭이 발생하는 덕트 배관 및 연료 도어 케이블 등을 종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12b,12c)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시트 크로스 멤버(12)의 횡방향 강성을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며, 측면 충돌 성능에 있어서도 불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관통홀(12b,12c)을 별도로 형성해야 하므로 공정수가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중 분산과 버클링 저항력, 강성이 증대되고, 부품수 및 공정수 축소,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모두 가능해지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 크로스 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플로어 패널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전체 및 상면부와 측면부 간 경계 부위가 곡선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는 평면 형상에 있어서 측면부 및 상면부의 가운데 부분이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들어간 아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는 측면 형상에 있어서 측면부 하단의 가운데 부분이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위로 들어간 아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는 상기 아치 형상을 이루는 측면부의 오목한 부위 하측을 통하여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차량 부품이 통과한 상태가 되도록 차체의 사이드 실과 플로어 패널의 터널부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는 상기 측면부 일단의 하부에 비스듬히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경로형성부와 사이드 실, 플로어 패널 간에 마련되는 공간을 통하여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차량 부품이 통과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는 사이드 실에 결합되는 일단부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상의 보강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의 상면부와 측면부, 플랜지를 포함한 전체 형상이 핫스탬핑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플랜지가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서는 평면 형상 및 측면 형상, 그리고 단면 형상에 있어서 최적의 아치형 곡선 형상이 적용됨으로써, 하중 분산과 버클링 저항력이 증대될 수 있고, 강성 및 차량의 측면 충돌 성능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보강부재나 덕트 및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 등이 삭제되므로 부품수와 제작에 필요한 공정수의 축소가 가능해지고,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크로스 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크로스 멤버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트 크로스 멤버의 평면도(a), 측면도(b), 단면도(c)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크로스 멤버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크로스 멤버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트 크로스 멤버의 평면도(a), 측면도(b), 단면도(c)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시트 크로스 멤버와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서 관통홀이 삭제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 대해 실시한 측면 충돌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평면 형상 및 측면 형상, 그리고 단면 형상에 있어서 아치형의 곡선 형상이 적용됨으로써, 하중 분산과 버클링 저항력이 증대되고, 부품수 및 공정수 축소,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모두 가능해지는 아치형 시트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크로스 멤버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크로스 멤버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트 크로스 멤버의 평면도(a), 측면도(b), 단면도(c)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차체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1)에 플랜지(21c,22c)가 접합된 상태로 전후, 좌우로 각각 배치되는 4개의 시트 크로스 멤버(21,22)가 고정되어 있고, 이때 각 시트 크로스 멤버(21,22)는 차체 좌우 양측의 사이드 실(2)과 플로어 패널(1)의 터널부(1a) 사이에 양단부가 접합 고정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시트 크로스 멤버의 측면부라 함은 단면상의 양 측면부위를 말하는 것으로(도 4의 (c) 참조), 시트 크로스 멤버가 차체의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었을 때 시트 크로스 멤버의 양 측면부는 차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22)는, 위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측면부 및 상면부(22b)의 가운데 부분)이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들어간 아치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2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즉, 차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 형상에 있어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부(22a) 하단의 가운데 부분이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위로 들어간 아치 형상을 가진다.
특히, 전후로 배치되는 시트 크로스 멤버 중 후방 시트 크로스 멤버(22)의 경우 측면부(22a) 하단의 가운데 부분을 아치 형상으로 형성하며, 오목한 가운데 부분(22d)이 플로어 패널에 종방향으로 길게 고정되는 종방향 부재(도 1에서 도면부호 3임)의 상면에 접합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12)는 단면 형상에 있어서도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부(12b) 전체 및 상면부(12b)와 측면부(12a) 간 경계 부위가 곡선 형태로 된 라운드(round)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종래의 각진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대체된다.
상기와 같은 시트 크로스 멤버(12)의 형상에서는 먼저 종래 응력 집중이 발생하던 각진 모서리 부위(종래 '
Figure pat00003
'의 단면 형상에서)가 없어지므로 하중 분산이 양호해지며, 이로 인해 버클링 저항력이 증대될 수 있다.
종래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충돌시 사이드 실이 밀려 들어올 경우 각진 모서리 부위에서 응력 집중으로 인해 먼저 변형이 발생하여 하중 분산 및 버클링 저항력 측면에서 좋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진 부분 없이 상면부(12b)와 경계 부위가 라운드 형상을 가지므로(도 4의 (c) 참조), 특정 부위에서의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게 되면서 하중 분산 및 버클링 저항력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방 및 후방에 나란히 배치되는 두 시트 크로스 멤버 중, 종래에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차량 부품, 즉 덕트 배관 및 연료 도어 케이블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도 5에서 도면부호 12b,12c임)이 형성되어 있던 후방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서, 측면부(22b) 하단의 형상이 아치 형상을 가짐으로써(도 4의 (b) 참조), 덕트 배관을 오목한 가운데 부분(22d)의 하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도 5의 S1 참조), 따라서 종래와 같은 관통홀(도 5에서 도면부호 12b임)이 삭제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후방 시트 크로스 멤버(12)와 본 발명의 후방 시트 크로스 멤버(22)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후방 시트 크로스 멤버(22)에서 관통홀이 삭제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점선 부분(S1,S2)이 덕트 배관 및 케이블이 통과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22)에서는 상기와 같이 아치 형상의 오목한 가운데 부분(22d)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의 종방향 부재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종방향 부재가 끼워지는 홈부(도 5에서 도면부호 13임)를 측면부(22a)에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22)에서는 연료 도어 케이블 등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측면부(22a) 일단의 하부에 비스듬히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경로형성부(22e)가 종래의 경로형성부(도 5의 도면부호 12d임)에 비해 확대 형성된다.
상기 경로형성부(22e)는 경사방향의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측면부(22a) 일단이 사이드 실(사이드 실 인너 멤버)에 접합 고정될 경우 경로형성부(22e)와 사이드 실(도 1에서 도면부호 2임), 플로어 패널(도 1에서 도면부호 1임) 간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된다(도 5의 S2 참조). 이에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종래의 관통홀(도 5에서 도면부호 12c임) 역시 삭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서는 관통홀이 삭제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21c,22c)가 연속된 구조를 가지므로 강성이 증대될 수 있고, 우수한 측면 충돌 성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 보강부재를 제작해야 하는 공정 등이 삭제되므로 시트 크로스 멤버를 제조하기 위한 전체 공정수가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트 크로스 멤버의 일단부, 특히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시트 크로스 멤버(21a)에서 사이드 실(2)에 결합되는 일단부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상의 보강부(21d)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21d)는 사이드 실(2)과 접합되는 일단부에서 사이드 실의 회전을 억제하여 사이드 실 회전량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는 측면부와 상면부에 곡선 형태의 아치 형상이 적용됨으로써 하중 분산 및 버클링 저항력 증대, 강성 및 충돌 성능 증대, 공정수 축소 등의 이점이 있게 되는데, 상술한 곡선 및 아치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는 초고장력 강판의 성형 자유도가 높은 핫스탬핑(hot stamping) 공법으로 제작된다.
핫스탬핑 공법은 말 그대로 뜨거운 상태의 철강 소재를 도장을 찍듯 프레스로 성형한 뒤 냉각시키는 공법으로, 이 공법을 적용할 경우 원 소재는 가공 전에 비해 높은 강도를 지니게 된다.
핫스탬핑 공법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강판이 가열로를 지나면서 고온 상태로 가열되면(예, 930℃ ~ 950℃), 이를 금형으로 이동시켜 프레스 한 뒤 금형 안에서 급랭시키는 순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강판으로 복잡한 형상의 초고강도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강성과 경량화를 모두 만족하는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바, 상기와 같이 곡선 및 아치 형상을 가지면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를 고강도로 제작하는데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핫스탬핑 공법으로 시트 크로스 멤버를 제작함에 따라 경량화와 더불어 강도가 우수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고, 따라서 기존과 같이 별도의 보강부재를 제작하여 조립할 필요가 없게 되는바, 핫스탬핑 공법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아치형 시트 크로스 멤버는 부품수 축소, 경량화(연비 향상에 기여함), 원가 절감의 이점도 함께 가지게 된다.
또한 핫스탬핑 공법으로 제작하는 경우 시트 크로스 멤버에서 그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의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되는데, 프레스 냉간 성형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시트 크로스 멤버(12)의 경우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12a)가 멤버 전체 길이 중 특정 위치에서 끊어진 부분이 존재한다.
즉, 프레스 냉간 성형의 경우 성형성의 한계로 인해 플랜지의 중간 부분이 끊어진 상태에서만 원하는 각도로 절곡(꺾음) 가공이 가능한 것이다.
반면, 핫스탬핑 공법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형성을 가지므로 가열된 고온 상태에서 프레스 하므로 전체가 연속된 플랜지(22c)의 성형이 가능하며(도 4의 (a) 참조), 이러한 연속된 구조의 플랜지는 강성 및 측면 충돌 성능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를 핫스탬핑 공법으로 제작한 뒤 측면 충돌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도 6은 측면 충돌 테스트[UN NCAP( New Car Assessment Program)]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서는 종래의 시트 크로스 멤버에 비해 B 필러 최대 변형량이 감소하였고, 생존공간이 증대하였으며, 사이드 실의 회전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중 분산과 버클링 저항력, 강성이 증대되고, 부품수 및 공정수 축소,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모두 가능해지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 크로스 멤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플로어 패널 1a : 터널부
2 : 사이드 실 21, 22 : 시트 크로스 멤버
22a : 측면부 22b : 상면부
21c, 22c : 플랜지 21d : 보강부
22e : 경로형성부

Claims (8)

  1. 차체의 플로어 패널(1)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21,22)에 있어서,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22b) 전체 및 상면부(22b)와 측면부(22a) 간 경계 부위가 곡선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평면 형상에 있어서 측면부(22a) 및 상면부(22b)의 가운데 부분이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들어간 아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 형상에 있어서 측면부(22a) 하단의 가운데 부분(22d)이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위로 들어간 아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2a)의 오목한 가운데 부분(22d) 하측을 통하여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차량 부품이 통과한 상태가 되도록 차체의 사이드 실(2)과 플로어 패널(1)의 터널부(1a) 사이에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2a) 일단의 하부에 비스듬히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경로형성부(22e)와 사이드 실(2), 플로어 패널(1) 간에 마련되는 공간을 통하여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차량 부품이 통과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이드 실(1)에 결합되는 일단부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상의 보강부(21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부(22b)와 측면부(22a), 플랜지(21c,22c)를 포함한 전체 형상이 핫스탬핑 공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1c,22c)가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KR1020110095520A 2011-09-22 2011-09-22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KR10173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20A KR101734575B1 (ko) 2011-09-22 2011-09-22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20A KR101734575B1 (ko) 2011-09-22 2011-09-22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949A true KR20130031949A (ko) 2013-04-01
KR101734575B1 KR101734575B1 (ko) 2017-05-11

Family

ID=4843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520A KR101734575B1 (ko) 2011-09-22 2011-09-22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57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5137A (ja) * 2016-12-15 2018-06-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CN110077289A (zh) * 2018-01-26 2019-08-0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固定构造
CN110114259A (zh) * 2016-12-30 2019-08-09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混合结构及其制备方法
CN110606133A (zh) * 2018-06-15 2019-12-24 马自达汽车株式会社 下部车体构造
KR20200039872A (ko) * 2018-10-05 2020-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설치 유닛
KR20210147613A (ko) 2020-05-29 202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국소 강화된 차체 멤버와 그 제조방법
EP4029765A1 (fr) * 2021-01-18 2022-07-20 Renault s.a.s Poutre de renfort d' ancrage de sièges et véhicule automobile associé
US11603142B2 (en) 2014-06-16 2023-03-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Structural body of a vehicle having an energy absorbing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energy absorb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6735B1 (fr) * 2006-02-02 2009-11-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Traverse d'assise de vehicule automobil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3142B2 (en) 2014-06-16 2023-03-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Structural body of a vehicle having an energy absorbing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energy absorbing device
JP2018095137A (ja) * 2016-12-15 2018-06-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CN110114259A (zh) * 2016-12-30 2019-08-09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混合结构及其制备方法
US11008050B2 (en) 2016-12-30 2021-05-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ybrid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10114259B (zh) * 2016-12-30 2022-03-25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混合结构及其制备方法
CN110077289A (zh) * 2018-01-26 2019-08-0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固定构造
CN110606133A (zh) * 2018-06-15 2019-12-24 马自达汽车株式会社 下部车体构造
CN110606133B (zh) * 2018-06-15 2021-12-28 马自达汽车株式会社 下部车体构造
KR20200039872A (ko) * 2018-10-05 2020-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설치 유닛
KR20210147613A (ko) 2020-05-29 202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국소 강화된 차체 멤버와 그 제조방법
EP4029765A1 (fr) * 2021-01-18 2022-07-20 Renault s.a.s Poutre de renfort d' ancrage de sièges et véhicule automobile associé
FR3118916A1 (fr) * 2021-01-18 2022-07-22 Renault S.A.S Poutre de renfort d’ancrage de sièges et véhicule automobile associ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575B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575B1 (ko)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EP2214949B1 (en) Formed article for vehicle body structural member
US8366183B2 (en)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20110233970A1 (en) Vehicle side body structure
US8985651B2 (en)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EP2420432B1 (en) Side vehicle body structure
US11117624B2 (en) Automotive framework member
CN109955907B (zh) 车辆的车身侧部构造及车辆用柱部件的制造方法
CN210734286U (zh) 车辆侧部构造
US8287032B2 (en) Vehicle lower body structure
JP2011195107A (ja) 車体側部構造
US11912341B2 (en) Automobile hood
JP2013230726A (ja) 車体構造
CN108556924A (zh) 一种提高40%偏置碰安全性能的a柱结构
US10099727B2 (en) Vehicle pillar structure
JP6099223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11884331B2 (en) Center pillar manufacturing method
JP2008087741A (ja) 車両用ドアの補強構造
WO2020009033A1 (ja) 車両用構造部材のための補強部材
US1118000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KR20110046993A (ko)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그 제조방법
CN113710566B (zh) 具有一体式侧向加强件的通道
US20160001729A1 (en) Vehicle interior structure
US20240051607A1 (en) Vehicular center pillar
CN219428231U (zh) 车身结构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