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773A - Lipid water soluble bee venom extracts for improving immunity and for curing inflammation and for curing pain and composition for parenteral medicin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Lipid water soluble bee venom extracts for improving immunity and for curing inflammation and for curing pain and composition for parenteral medicin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773A
KR20130031773A KR1020120065718A KR20120065718A KR20130031773A KR 20130031773 A KR20130031773 A KR 20130031773A KR 1020120065718 A KR1020120065718 A KR 1020120065718A KR 20120065718 A KR20120065718 A KR 20120065718A KR 20130031773 A KR20130031773 A KR 2013003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composition
resin
lay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18881B1 (en
Inventor
안창기
박진규
전종운
현풍미
이경진
Original Assignee
(주)비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센 filed Critical (주)비센
Publication of KR2013003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7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6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ee venom composition is provided to remarkably enhance immunity and to prevent and treat various diseases. CONSTITU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ee venom composition comprises: a step of identifying bee venom using a water soluble solvent and a fat soluble solvent(S10); a step of adding a fat soluble solvent to a primary water soluble layer and identifying bee venom(S20); a step of adding a fat soluble solvent to the secondary water soluble layer and identifying bee venom(S30); a step of removing water insoluble ingredient from a tertiary water soluble layer and preparing a water soluble layer(S40); a step of mixing a primary fat soluble layer with secondary and tertiary fat soluble layers and removing water insoluble ingredients through filtering to prepare a fat soluble layer(S50); a step of mixing the water soluble layer of S40 and the fat soluble layer of S50(S60); and a step of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mixture(S70). [Reference numerals] (AA) Bee venom(powder); (BB) EA layer 1; (CC) EA layer 2; (DD) EA layer 3; (EE) EA layer 1 + EA layer 2 + EA layer 3; (FF,HH) Filtration; (GG,II) Insoluble material; (JJ) Concentration, drying; (S10) DW layer 1; (S20) DW layer 2; (S30) DW layer 3; (S60) Mixing; (S70) Resin bee venom(powder)

Description

면역증강, 염증치료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과 이를 이용한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LIPID WATER SOLUBLE BEE VENOM EXTRACTS FOR IMPROVING IMMUNITY AND FOR CURING INFLAMMATION AND FOR CURING PAIN AND COMPOSITION FOR PARENTERAL MEDICIN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bee for immunity enhancement, inflammation treatment and pain treatment, and a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증강, 염증치료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과 이를 이용한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용성성분을 적절히 조절한 새로운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동물 또는 사람의 면역을 증강시키고 나아가 건강 개선 및 질병에 대한 예방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면역증강 및 염증, 통증 치료제용 수지봉독과 이를 이용한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bee venom for the treatment of immune enhancement, inflammation and pain, and a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And a resin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using the same, and to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본 발명은 동물 및 인체에 적용될 수 있는 면역 증강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꿀벌의 산란관에서 나오는 독액을 봉독(Bee Venom)이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n immunosuppressiv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applicable to animals and humans. The bee venom is the venomous liquid that comes out of the ovipositor.

봉독은 벌 복부 끝 독낭에 저장되어 봉침과 연결되어 자극시에 분비되는 동물성 천연 생리 활성물질로서 이 봉독을 이용한 치료는 이집트, 바빌로니아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히포크라테스도 봉독을 "신비한 약"으로 표현하고 있다. The bee venom is an animal natural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that is stored in the bee venom endotracheal tube and is connected to the needle and is secreted at the time of stimulation. There is a record that this bee venom treatment was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in Egypt and Babylonia. Hippocrates also read bee poison as "mysterious Medicine ".

동의보감과 마왕퇴백서(최초의 침구학문헌)에 생봉침을 이용하여 통증 및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치료에 이용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The Dongbok-Bo and the Mahon-wang white paper (the first acupuncture document) describes the use of the raw needle to treat pain and rheumatoid arthritis pain.

봉독은 관절염 환자의 활막세포에 작용하여 봉독의 주성분 멜리틴(melittin)이 NF-KB((Nuclear factor kappa B)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양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가 억제되어 항염증 효과가 생긴다.Bee venom acts on synovial cells of patients with arthritis, and the main component of bee venom melittin reduces the amount of Nitric Oxide (NO) by inactivating NF-KB (Nuclear factor kappa B) 2 (COX-2) is inhibited and anti-inflammatory effect is produced.

한의학에서는 봉독을 염증 질환의 치료제로 오랫동안 사용하여 왔으며, 또한 봉독의 성분을 분리 정제하여 치매나 암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생리적 연구를 하고 있다.In oriental medicine, bee venom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therapeutic agent for inflammatory diseases, and physiological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separate and purify the components of bee venom to use it in the treatment of dementia and cancer.

봉독을 이용한 동물의 관절염 또는 항염증 치료제 개발 연구는 이미 농진청을 비롯한 많은 정부기관에서 수행된 바 있다.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ti-inflammatory drugs for arthritis or anti-inflammatory in animals using bee venom has been conducted by many government agencies, including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이와 같이 봉독은 많은 치료 경험 과정에서 면역 증강 효능, 항염증 및 통증 치료 효과가 비교적 자주 관찰되나 이 효능에 맞는 봉독 시료의 규격화 및 조성물의 표준화가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그동안 면역기능 강화 및 통증치료 효과 강화에 대한 기능성 약물로서 구체적, 실용적 연구 결과물이 도출되지 못했다는 문제가 있다.As such, bee venom is relative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immune enhancement, anti-inflammation and pain in a lot of experience of treatment. However, standardization of the bee venom samples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efficacy have not been fully realized, As a functional drug for the disease, there is a problem that specific and practical research results have not been obtained.

봉독의 건조과정에서 초래되는 일부 활성물질의 소실, 변성에 대한 연구와 멜리틴을 포함하는 봉독의 지표성분 또는 그 밖에 봉독을 조성하고 있는 유효성분들을 규격화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신개념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약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A study on the disappearance and denaturation of some active substances caused by the drying process of bee venom,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constituting the indicator component of bee venom including melitin or other bee venom, and thus can be applied to a more stable and effective new concept treatmen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rug.

한편, 항생제는 살아 있는 유기물에서 추출한 것으로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물질을 말한다. 지금까지 4천여 가지 이상의 항생제가 발견되었고 현재 50 여종이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Antibiotics, on the other hand, are substances that are extracted from living organisms and inhibit or kill the growth of other microorganisms. More than 4,000 antibiotics have been discovered so far and more than 50 species are currently in clinical use.

1929년 페니실린의 발견과 함께 시작된 항생제 시대는 항생제 과용 등에 의해 증가하고 있는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 균주(슈퍼 버그)의 출현과 함께 끝나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며, 이들 슈퍼 버그에 대해서는 더 이상 치료제가 없는 지경에 이르러 항생제 내성에 대처할 수 있는 항생제 대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The age of antibiotics, which began with the discovery of penicillin in 1929, seems to be ending with the emergence of resistant strains of antibiotics (superbugs), which are increasing due to antibiotic overuse, and there is no cure for these superbug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antibiotic substitutes that can cope with antibiotic resistance.

특히 식용으로 사육되는 가축류 및 가금류의 경우, 내성균에 감염된 동물을 재료로 한 식육 및 그 가공품에 대한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livestock and poultry raised for food, the problem of food and processed products made of animals infected with resistant bacteria is becoming serious all the time.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항생제 남용, 부정확한 진단 및 불필요한 항생제 처방 등의 항생제 과다 사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미생물 발생으로 인해 유럽에서는 2006년에, 우리나라는 2012년에 산업동물의 사료에 항생제 혼합이 전면 금지되었다.Antibiotics were totally prohibited in animal feed in 2006 and in Korea in 2012 due to the gener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microorganisms due to overuse of antibiotics such as wide range of antibiotic abuse, inaccurate diagnosis and unnecessary antibiotic prescription worldwide.

이러한 항생제 대체제로서 효소제, 허브추출 에센셜 오일, 유기산, 젖산(lactic acid) 및 프로폴리스(propolis) 등에 관해 다양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체로 항생제에 비해 증체, 치료 효과 및 면역력 증강 등의 면에서 효능이 떨어지고 경제성이 적어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such antibiotic substitutes as enzymes, herbal extract essential oils, organic acids, lactic acid and propolis, they are generally more effective than antibiotics in terms of growth, therapeutic effect and immunity And it was difficult to use because of low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이러한 항생제의 일종으로서 봉독을 사용한다고 할 때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lso, the following problems may arise when using bee venom as a kind of antibiotics.

즉, 살아있는 꿀벌로부터 액체상태의 봉독을 직접 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꿀벌의 독이 포함된 벌의 침을 별도로 분리하여 환부에 직접 작용시키는 종래의 생봉침에 대한 시술의 형태는 그 봉독 성분의 투여량을 조절하기 어렵다. 또한 벌의 연령과 채취시기에 따른 봉독 성분들의 변화 때문에 유효 성분의 정량적 규격화와 지속적으로 동일한 봉독의 적용이 어려워 봉독의 작용에 따른 정확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That i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ethod for directing the bee poisoning of a live bee directly from a living bee, or directly separating the needles of a bee containing poison of a bee and directly acting on the affected part, It is difficult to control. In addition, due to the change of bee venom component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bees and the time of collec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ame bee venom continuously with the quantitative standardiz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s.

따라서 전기적인 자극을 통해 봉독을 생산하는 벌들의 독을 모으는 봉독 채취기를 사용해서 채집된 건조 분말 형태의 봉독을 정제하고, 정제된 용제를 주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주사하는 방식을 비경구 투여방식이라 한다.Therefore, bee venom collected in the form of dry powder is purified by using a bee venom collector that collects venom from bees producing bee poison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nd injected with purified solvent is used. Such a method of injection is referred to as a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

봉독의 주요성분인 멜리틴, 아파민, MCD(마스트 셀 과립; mast cell degranulating)-펩타이드 등은 진통, 소염, 항균작용과 함께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촉진, 혈액순환 촉진 등의 작용이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melittin, apamin and MCD (mast cell degranulating) - peptide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bee venom, are responsible for analgesic, anti - 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ons, promote pituitary hormone secretion and promote blood circulation.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483496호 '봉독 수용성분을 함유하는 소염 및 진통용 조성물'에는 봉독을 헥산 추출하여 헥산 가용물을 제거한 후 상기 헥산이 제거된 봉독을 다시 에테르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물을 제거한 수용성 분획으로부터 얻어진 분자량 10KDa 이하의 물질로 구성된 소염, 진통 효과를 갖는 봉독 분획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83496 discloses a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composition containing bee venom components, which comprises extracting bee venom with hexane to remove hexane supernatant, extracting the hexane-removed bee venom with ether and removing the ethyl acetate supernatant, And a bee venom fraction obtained from a fraction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 kDa or less and having anti-inflammation and analgesic effect.

그러나 이는 봉독의 성분 중 지용성성분을 버리고 수용성 봉독성분만을 이용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18629호 '봉독 또는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봉독 또는 봉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봉독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However,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only the water-soluble bee venom ingredient is used in the bee venom ingredien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18629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ee venom or bee veno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bee venom extract contains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of water and ethanol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with a solvent.

그러나, 이 또한 봉독의 수용성 성분만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봉독의 구성요소 중에서 봉독의 지용성성분을 이용하여 인체 또는 동물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약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활용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is also using only the water-soluble component of bee venom, and there is stil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dicament for treating immune enhancement and pain that can be applied to human or animal using bee venom liposoluble components among the bee venom components .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483496호 '봉독 수용성분을 함유하는 소염 및 진통용 조성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83496 entitled "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composition containing bee venom water-soluble component "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18629호 '봉독 또는 봉독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8629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ee venom or bee venom extract "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봉독의 구성성분 중 봉독의 지용성 성분도 함께 이용하여 생체에 투여할 경우 체중 증가율이 월등히 증가하고, 각종 질병의 예방, 치료 및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항염증기능을 향상시키는 봉독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e venom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rate of weight gain when administered to a living body, And to provide a bee keeping composi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therapeutic and immune function and improving the anti-inflammatory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 돼지, 닭, 오리 등을 포함하는 동물 및 인체에 적용할 수 있는 면역증강, 염증치료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for immunity enhancement, inflammation treatment and pain treatment which can be applied to animals and humans including cattle, pigs, chickens, ducks and the lik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은 봉독을 물로 현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매로 수회 추출하고 분리된 수용성층을 다시 부탄올로 추출하며, 각층을 감압 농축하고 분획하여 얻은 봉독을 포함한다. 상기 봉독 1g에 대하여 상기 용매(에틸 아세테이트와 부탄올)의 사용량은 50~300㎖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n-enamel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which comprises suspending bee venom in water, extracting ethyl acetate with a solvent several times, extracting the separated water-soluble layer again with butanol, concentrating each layer under reduced pressure And a bee venom obtained by fractionation. The amount of the solvent (ethyl acetate and butanol) is 50 to 300 ml per gram of the bee venom.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은 상기 봉독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4중량부이다.The resin beeing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1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ee keeping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은 사포닌 또는 알파-파이넨을 더욱 포함한다.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saponin or alpha-pinene.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에서 상기 사포닌은 0.01~5중량부이고, 알파-파이넨은 0.01~1중량부이다.In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ponin is 0.01 to 5 parts by weight and the alpha-pinene is 0.01 to 1 part by weight.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에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소르빈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더욱 포함된다.Further,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selected from propylene glycol, ethanol, and sorbic acid.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은 0.01~2중량부이고, 상기 에탄올은 0.01~2중량부이며, 상기 소르빈산은 0.0001~0.1중량부이다.In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ylene glycol is 0.01 to 2 parts by weight, the ethanol is 0.01 to 2 parts by weight, and the sorbic acid is 0.0001 to 0.1 part by weight.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봉독을 수용성용매와 지용성용매를 이용하여 1차 분별하는 단계(S10)와, 분별된 1차 수용성층에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2차 분별하는 단계(S20)와, 분별된 2차 수용성층에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3차 분별하는 단계(S30)와, 분별된 3차 수용성층을 필터링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여 수용성층을 준비하는 단계(S40)와, 1차 분별된 1차 지용성층에 2차 분별된 지용성층과 3차 분별된 지용성층을 합한 다음 필터링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여 지용성층을 준비하는 단계(S50)와, 3차 수용성층을 필터링한 수용성층과 필터링한 지용성층을 혼합하는 단계(S60) 및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혼합물을 농축 및 건조하여 수지봉독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mmune enhancement and pain, comprising the steps of: (S10) separating bee venom using a water-soluble solvent and a fat-soluble solvent; (10) adding a fat-soluble solvent to the separated water- (S30) of adding a water-soluble solvent to the separated secondary water-soluble layer (S30), filtering the separated tertiary water-soluble layer to remove insoluble components to prepare a water-soluble layer (S40 A step (S50) of preparing a liposoluble layer by removing the insoluble components by combining the liposoluble layer which is secondarily separated and the thirdly separated liposoluble layer to the first primary liposoluble layer which is firstly separated, (S60) of mixing the filtered water-soluble layer and the filtered liposoluble layer and a step (S70) of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mixture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oil-soluble layer to obtain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봉독을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S11)와,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봉독을 원심분리하고, 수용성층을 취하고 필터링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S21)와, 원심분리한 잔사를 건조하여 수용성용매를 제거하는 단계(S31)와, 건조된 상기 잔사에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S41)와, 지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봉독을 필터링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S51)와, 준비된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을 서로 혼합하는 단계(S61) 및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혼합물을 농축 및 건조하여 수지봉독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S7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immunosuppressive resin beverage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s of (S11) extracting bee venom using a water-soluble solvent, centrifuging the bee venom extracted using a water-soluble solvent, A step S31 of removing the water-soluble solvent by drying the residue obtained by centrifugal separation, a step S41 of adding and removing a fat-soluble solvent to the dried residue, a step S41 of extracting the beverage (S51) of mixing the prepared water-soluble layer and the liposoluble layer with each other (S61), and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mixture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oil-soluble layer to obtain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S71 ).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수용성용매는 물, 에틸 알콜, 메틸 알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In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soluble solvent is any one selected from water, ethyl alcohol and methyl alcohol.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지용성용매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에테르,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Further, in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soluble solven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ether and butanol.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농축 및 건조하여 수득된 수지봉독 조성물에 대하여 20,000~30,000V 사이의 전압으로 1~50㎲의 시간 동안 고전압 처리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한다.(S80) the high-voltage treatment is performed for a time period of 1 to 50 μs at a voltage of 20,000 to 30,000 V with respect to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obtained by concentrating and drying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부피비가 1:0.1~1인 수지봉독 조성물을 수득한다.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n bee-t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enhancement and pain, the volume ratio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fat-soluble layer is 1: 0.1 to 1.

또한 본 발명의 염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부피비가 0~0.5:1인 수지봉독 조성물을 수득한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having a volume ratio of water-soluble layer and liposoluble layer of 0 to 0.5: 1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염증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수지봉독 조성물은 육계에 투여시 육계의 비장에서 CD4+/CD8+ 의 비율이 0.4~1.5이다.Also,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enhancement, inflamma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has a CD4 + / CD8 + ratio of 0.4 to 1.5 in the spleen of broiler chickens when administered to broiler chickens.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수지봉독 조성물은 육계에 투여시 라이소자임 활성이 7~14㎍/㎖이다.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n bee-t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bee-poisoning composition has a lysozyme activity of 7 to 14 占 퐂 / ml when administered to broiler chickens.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수지봉독 조성물은 비단백질 성분으로 시티딘(cytidine), 아데노신(adenosine), 크리신(chrysin), 11-에이코세놀(11-eicosenol), 디노닐프탈레이트(dinonyl phthalate), 피노셈브린(pinocembri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Also,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comprises non-protein components cytidine, adenosine, chrysin, 11-eicosenol ), Dinonyl phthalate, and pinocembrin.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수지봉독 조성물은 단백질 성분으로 멜리틴, 포스포리파제A-2, 엠씨디펩타이드, 아파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melitin, phospholipase A-2, MC dipeptide and afamin as a protein compon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에 의하면 생체에 대한 증체율 및 면역기능을 현저히 높이고,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enhances the body weight gain and immune function, and has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n various disea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염증, 통증 치료용 봉독 조성물에 의하면 항생제에서 발생하는 내성이 없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inflammation and pain has no resistance against antibiotics, and can secure stability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봉독 조성물에 의하면 기존 항생제 대체제에 비해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diseases is more excellent than that of conventional antibiotic substitutes, and it is economically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에 있어서, 생봉독과 건조봉독의 분석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을 SDS-PAGE하여 분리된 단백질들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을 이차원 전기영동하여 분리된 단백질들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에 있어서, SDS-PAGE gels에서 분리된 봉독의 단백질 성분을 요약한 데이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에 있어서, 2D gels에서 분리된 봉독의 단백질 성분을 요약한 데이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에 있어서, 봉독과 그 용매 분획의 추출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이 육계의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이 육계의 비장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이 육계의 림프구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 내지 10b는 육계의 비장에서 분리한 림프구에서 B cell과 T cell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육계의 비장에서 분리한 림프구(helper T cell)에서 CD4+:CD8+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봉독 조성물이 육계의 혈중 lysozym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봉독 조성물을 투여한 육계의 비장에서 m-RNA를 추출하여 사이토카인 (IL-4, IL-18 그리고 IFN-gamma)의 발현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봉독 조성물이 정제봉독의 시험관 내에서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는 육계의 증체율에 따른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a 내지 16b는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단백질 분해효소와 유용물질의 분리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봉독 조성물의 단백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9a 내지 19g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봉독 조성물의 비단백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0a와 도 20b는 봉독에 대한 고전압 처리(Pulsed Electric Field; PEF) 전후 CBV(crude bee venom), WBV(water-soluble bee venom) 및 LWBV(Lipid and Water soluble bee venom)의 양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 조성물의 효과 실험 중 육계의 증체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 조성물의 효과 실험 중 육계의 누적 증체량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a는 수지봉독의 투여 횟수에 따른 증체량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3b는 B세포의 활성이 수지봉독의 투여 횟수에 따라 변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3c는 T세포의 활성이 수지봉독의 투여 횟수에 따라 변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3d는 CD4+/CD8+의 비율이 수지봉독의 투여 횟수에 따라 변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을 투여한 육계의 비장에서 분리한 림프구(helper T 세포)에서의 CD4+와 CD8+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의 라이소자임 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에 따른 세포독성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CBV는 미정제 봉독, LBV는 도 17의 S50단계, LWBV는 S70단계의 시료를 의미한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CBV는 미정제 봉독, LBV는 도 17의 S50단계, LWBV는 S70단계의 시료를 의미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에 대하여 조성에 따른 항통증 효과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에 대하여 조성에 따른 항통증 효과를 보여주는 꺾은선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an analysis process of live bee venom and dry bee venom in the preserva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mage of proteins separated by SDS-PAGE of the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mage of proteins separat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of the bee k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data summarizing the protein components of bee venom isolated from SDS-PAGE gels in the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data summarizing the protein components of bee venom isolated from 2D gels in the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bee venom and its solvent fraction extraction process in the bee k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bee k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eight gain of broiler chickens.
8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pleen weight change of broiler chickens.
9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lymphocyte proliferative capacity of broiler chickens.
10A to 10B are graphs showing the ratio of B cell to T cell in lymphocytes isolated from the spleen of broiler chickens.
Figures 11a-11c are graphs showing the CD4 + : CD8 + ratio in lymphocytes isolated from the spleen of broiler chickens (helper T cells).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activity of blood lysozyme in broiler chickens.
13a to 13c are graphs showing the effect of extracting m-RNA on the expression ability of cytokines (IL-4, IL-18 and IFN-gamma) in the spleen of broiler chickens administered with the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4 is a photograph showing antimicrobial effect of tablet bee venom in vitro in the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as an antibiotic substitute agent according to the growth rate of broiler chickens.
16A to 16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method for separating a protease from a useful substance using a nanostructure.
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 bee nos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tein components of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9A to 19G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on-protein components of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20A and 20B are graphs showing quantitative changes of CBE (crude bee venom), water-soluble bee venom (CBV) and LWBV (Lipid and Water soluble bee venom) before and after a high voltage treatment (Pulsed Electric Field to be.
21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2A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gain of the broiler during the effect test of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B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cumulative weight gain of the broiler during the effect test of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3A shows the change in the amount of gain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of the resin bee venom.
FIG. 23B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to which the activity of B cells varies with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of resin bee venom. FIG.
23C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to which the activity of T cells varies with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of resin bee venom.
FIG. 23D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to which the ratio of CD4 + / CD8 + varies with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of resin bee venom.
24 is a graph showing the ratio of CD4 + to CD8 + in lymphocytes (helper T cells) isolated from the spleen of broiler chickens administered with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lysozyme activity of resin bee ven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bar graph showing cytotoxicity according to the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BV means untreated bee venom, LBV means S50 step in FIG. 17, and LWBV means sample in step S70.
27 is a bar graph show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ccording to the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BV means untreated bee venom, LBV means S50 step in FIG. 17, and LWBV means sample in step S70.
28 is a bar graph showing anti-pain effect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resin bee ven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line graph showing the anti-pain effec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resin bee ven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봉독은 꿀벌의 산란관에서 나오는 독액으로서, 생봉독, 건조봉독, 봉독추출물 및 정제봉독을 포함하는 것이다.Bee venom is a poisonous liquid from the honey bee's ovipositor, which includes live bee venom, dry bee venom, bee venom extract and tablets bee venom.

봉독에는 멜리틴(Melittin), 아파민(Apamin), 비만세포 과립감소 펩티드(MCD-Peptide, Mast Cell Degranulation Peptide, Op), 단백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세카르핀(Secarpin), 터치아핀(Tertiapin), 프로카민(Procamine) 등 다양한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있다.The bee venom contains melittin, apamin, mast cell degranulation peptide (MCD-Peptide), protease inhibitor, Secarpin, Tertiapin), Procamine (Procamine) and contains a variety of peptides.

생봉독은 건조 또는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으로서 비중이 1.1 내지 1.3이고, 산도(pH)가 5.2 내지 5.5 범위이며, 70~80중량%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다.Raw bee venom has not been dried or purified and has a specific gravity of 1.1 to 1.3, pH (pH) of 5.2 to 5.5, and 70 to 80% by weight of the protein or peptide.

봉독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이러한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을 수 있다.Bee venom extract can be extracted using various extra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preferably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such as lower alcohol and water Mixed solvent with acetone, ethyl acetate and butylene glycol can be obtained as an extraction solvent.

보다 바람직하게는 봉독을 물로 현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매로 수회 추출하여 분리된 수층을 다시 부탄올(butanol)로 추출하며, 각 층을 감압 농축하여 얻는 것이다.More preferably, bee venom is suspended with water, ethyl acetate is extracted several times with a solvent, and the separated aqueous layer is extracted again with butanol, and each layer is obtained by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본 발명에 따른 봉독 조성물은 봉독 1g에 대하여 용매는 5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bee k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vent is preferably 50 to 300 ml per 1 g of bee venom.

정제봉독은 상술한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 이외에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얻거나, 여과 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정제방법에 의하여 정제된 봉독을 포함하는 것이다.Tablet bee poisoning includes bee poisoning purified by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xtract by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separation using a filtration membran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and purification method.

이것을 중량비로 표현하면 봉독은 봉독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4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4중량부인 것이다.When expressed in terms of weight ratio, bee venom is preferably 0.01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scous poison composition. More preferably 0.1 to 4 parts by weight.

이에 대하여 상술하면, 봉독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생체의 증체율과 면역기능 및 통증치료 효과가 미약하고, 4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약하다.In contrast, when the bee venom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 body weight gain, immune function, and pain treatment effect are weak. When the bee venom is more than 4 parts by weight, the increase in the effect is insignificant.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봉독조성물은 생체의 증체율, 면역기능 및 통증치료 기능 향상을 위하여 사포닌 0.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4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bee venom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0.0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07 to 4 parts by weight, of saponin in order to improve the body weight gain, immune function and pain treatment function .

사포닌(saponin)은 식물계에 존재하는 배당체에서 당이 아닌 부분이 여러 고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강심제나 이뇨제로서의 작용이 있으며, 어느 것이나 세포에 대해서는 표면 활성제로 작용하여 세포막에서의 물질의 투과성을 높이기도 한다.Saponin is a glycoside in the vegetable system, which is composed of several cyclic compounds, not a sugar, and acts as a cardiotonic agent or diuretic. In any case, it acts as a surface active agent to increase the permeability of a substance in a cell membrane .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점안제의 형태로 본 발명의 봉독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 투약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은 사포닌을 첨가함으로서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dministration of the bee keep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eye drops can improve the effect of the dosage, and this phenomenon can be further increased by adding saponin.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파-파이넨(α-pinene) 0.01~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0.01 to 1 part by weight of alpha-pinene.

알파-파이넨은 소나무, 약쑥, 쑥갓, 후추 등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테르펜(terpene) 계열의 화합물로 (1R,5R)-(-)-alpha-pinene과 (1SR, 5S)-(-)-alpha-pinene의 두 가지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1R, 5R) - (-) - alpha-pinene and (1SR, 5S) - (-) - alpha-pinene as a terpene compound, which can be extracted from pine, There are two isomers of alpha-pinene.

알파-파이넨은 항균 효과, 항진균 효과, 진정 효과,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고, 면역관련 질병에 특히 효과가 있으며, 특히 호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lpha-phyinene has antimicrobial, antifungal, sedative, and anti-stress effects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against immune-related diseases, particularly i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사포닌 및 알파-파이넨은 공지된 추출방법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고, 수증기증류법, 압착법 또는 용제추출법을 이용해 추출할 수 있다.Saponins and alpha-phyinne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nd can be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compression, or solvent extraction.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조성물은 봉독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글리콜 0.01~2중량부, 에탄올 0.01~2중량부 및 소르빈산 0.001~0.1중량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0.01 to 2 parts by weight of propylene glycol, 0.01 to 2 parts by weight of ethanol, and 0.001 to 0.1 part by weight of sorbic aci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bacco composition.

이러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소르빈산은 봉독의 유효성분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첨가할 수 있다.Such propylene glycol, ethanol, and sorbic acid may be added so that the active ingredient of bee venom can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프로필렌글리콜 화학식은 C3H8O2이고, 비중은 1.036~1.04이며, 끓는점은 185~189℃이다. 프로필렌글리콜은 용해력이 우수하고,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며, 발효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해준다.Propylene glycol The formula is C 3 H 8 O 2 , specific gravity is 1.036 to 1.04, boiling point is 185 to 189 ° C. Propylene glycol has excellent dissolving power, prevents the propagation of fungi, and does not ferment, so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소르빈산 화학식은 C6H8O2이고, 녹는점은 134.5℃ 정도로서, 사상균, 효모, 호기성세균 등의 미생물 발육을 저해한다.The sorbic acid formula is C 6 H 8 O 2 , and its melting point is around 134.5 ° C, which inhibit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such as filamentous bacteria, yeast, and aerobic bacteria.

에탄올 분자식은 C2H5OH이고, 마취성이 있어 동물의 중추신경에 대한 영향력과 봉독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첨가할 수 있다.The ethanol molecular formula is C 2 H 5 OH, which has anesthetic properties and can be added to preserve the animal's central nervous system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bee venom.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안제 또는 접안제 및 피하주사제로 제조하여 이를 생체에 접종할 수 있고, 점안제나 주사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which can be prepared into eyedrops or eyedrops and subcutaneous injections and can be inoculated into a living body and routine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eye drops or injections.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생체 즉 인간, 가축류, 가금류, 어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into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and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and injection solutions, Livestock, poultry, fish,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한다. 또한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 여러 가지 부형제와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및(또는)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preparing the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In addition, it includes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with various excipients other than water and liquid paraffin as simple diluent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and freeze-dried preparations. Non-aqueous vehicles, suspensions, injectable esters such as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ethyl oleate, and / or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may be used.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먼저, 생봉독과 건조봉독의 성분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기법에 의해 특정단백질들(펩타이드들)을 분석하였다.First, specific proteins (peptides) were analyzed by proteomic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ponents of bee venom and bee venom.

동일 양의 생봉독과 건조봉독을 2차원 전기 영동법을 통해 분리하여 생봉독 또는 건조봉독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또는 펩타이드들)을 확인하였다. The same amount of live bee venom and dry bee venom were separat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to identify proteins (or peptides) specifically present in live bean gum or dry bee veno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봉독조성물에 있어서 생봉독과 건조봉독의 분석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생봉독과 건조봉독의 SDS-PAGE에 의하여 분리된 단백질들의 이미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겔 영동장치인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 Poly 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 의해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nalysis of live bee venom and bee venom in the bee venom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image of proteins separated by SDS- , The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s shown in the figure.

그리고 도 3은 건조봉독과 생봉독의 2차원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된 단백질의 특이 스팟을 표시한 이미지로서, 생봉독 특이스팟 13개(분홍색 표시)와 생봉독과 건조봉독 공통스팟 7개(푸른색표시)를 찾아냈다.FIG. 3 is an image showing a specific spot of the protein separated by the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of the dry bee venom and the live bee venom. In FIG. 3, 13 speckle-specific spots (pink), 7 common spots Color display).

그리고 이를 오려내어 트립신으로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폴리펩티드 조각들을 제조하였다. Then, the protein was hydrolyzed with trypsin to prepare polypeptide fragments.

도 4는 2D 겔(gel)에서 분리된 봉독의 단백질 성분을 요약한 데이터로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것은 생봉독과 건조봉독에 공통스팟에 대한 데이터이다. 스팟 번호(Spot No.) 1, 2, 4, 8, 10, 14, 17, 19에 기재된 단백질 성분은 생봉독에서만 발견된 것으로서, 생봉독과 건조봉독에 포함된 단백질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4 is a summary data of the protein components of bee venom isolated from the 2D gel. Data shown in blue are data for common spots in live bean gum and dry bee venom. The protein components listed in Spot No. 1, 2, 4, 8, 10, 14, 17, and 19 were found only in the bee venom, indicat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teins contained in the bee venom and the dry bee venom .

도 5는 SDS-PAGE gels에서 분리된 봉독의 단백질 성분을 요약한 데이터로서 생봉독 및 건조봉독 각각 멜리틴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스팟 번호 A, B, C, D, E는 생봉독에만 포함된 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5 summarizes the protein components of bee venom isolated from SDS-PAGE gels. It contains the melittin components of live bean gum and dry bee venom, respectively, but spot numbers A, B, C, D, Protein.

실시예1. 봉독으로부터 분획물 및 봉독 조성물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fractions and bee venom composition from bee venom

도 6은 봉독과 용매분획의 추출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봉독 5g을 물 500㎖로 현탁하여 분리용 깔때기(separating funnel)에 넣었다.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extracting bee venom and a solvent fraction. As shown in FIG. 6, 5 g of bee venom was suspended in 500 ml of water and placed in a separating funnel.

그리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수층을 다시 n-BuOH(butanol) 500㎖로 2회 분배 추출하였고, 각층을 감압농축하여 EtOAc 분획(BVE, 420㎎), n-BuOH 분획(BVB, 820㎎), H2O 분획(1.2g) 및 잔사(2.5g)를 얻었다.Then, it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500 ml of ethyl acetate (EtOAc). The aqueous layer was extracted twice with 500 ml of n-BuOH (butanol), and the layers wer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he EtOAc fraction (BVE, 420 mg), the n-BuOH fraction (BVB, 820 mg) and the H 2 O fraction ) And a residue (2.5 g).

상기 EtOAc 분획420㎎과 n-BuOH 분획 820mg을 혼합하여 정제봉독을 제조하고 정제봉독을 물과 혼합하여 고농도(8,400㎍/㎖), 중농도(2,100㎍/㎖), 저농도(420㎍/㎖)의 농도별로 본 발명의 봉독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하기 실험예1 내지 3의 시료로 사용하였다.Purified bee venom was prepared by mixing 420 mg of the EtOAc fraction and 820 mg of the n-BuOH fraction. The purified bee venom was mixed with water to obtain a high concentration (8,400 占 퐂 / ml), an intermediate concentration (2,100 占 퐂 / The bee veno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each test sample.

한편, 얻어진 각 분획에 대하여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비단백성분 프로파일(profile)을 조사하였다. On the other hand, for each of the obtained fractions, non-whitening component profiles were examined by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EtOAc 분획은 약 5종의 주요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UV 흡수가 없고 황산 분무 후 가열하였을 때에 황색으로 발색되어 알리파틱(aliphatic) 화합물로 추정된다.The EtOAc fraction was found to contain about 5 major components. It was assumed to be an aliphatic compound with no UV absorption and a yellow color when heated after spraying with sulfuric acid.

n-BuOH 분획은 프록토오스(fructose) 외에 UV 흡수를 보이는 3종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n-BuOH fraction showed the presence of three compounds with UV absorption besides fructose.

물층은 대부분 프록토오스이나 n-BuOH 분획과 마찬가지로 UV흡수를 보이는 3종의 비단백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st of the water layer was found to contain three non-whitening compounds with UV absorption, similar to the fructose and n-BuOH fractions.

실험예1. 실험방법 및 정제봉독의 투여Experimental Example 1 Experimental method and administration of purified bee venom

1일령 육계병아리(Ross) 101마리를 입사하여 사료와 물을 자유급식하며 4주간 사육하였다.One day old broiler chick (Ross) was admitted and fed with feed and water for 4 weeks.

정제봉독의 투여 적정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1에서 제조한 고농도(8,400㎍/㎖), 중농도(2,100㎍/㎖), 저농도(420㎍/㎖) 각각을 육계에 접안(10㎕)과 피하(100㎕)로 나누어 투여하였다.(8, 400 μg / ml), medium concentration (2,100 μg / ml) and low concentration (420 μg / ml) prepared in Example 1 were inoculated into the broiler chickens (100 占 퐇).

정제봉독 투여의 적정 횟수를 확인하기 위해 2회 또는 4회 1주일 간격으로 투여를 실시하였다. To confirm the appropriate frequency of tablet bee venom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twice or four times per week.

즉, 2회 투여군은 입사 후 1일과 8일 후 각각의 농도와 투여경로에 따라 정제봉독의 접종을 실시하였고, 4회 투여군은 입사 후 1, 8, 15 그리고 22일에 각각의 농도와 투여경로에 따라 정제봉독의 접종을 실시하였다.In other words, tablet bee venom was inoculat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concentration and administration route on the 1st and 8th days after the entry into the second administration group. In the fourth administration group, on the 1st, 8th, 15th and 22nd days, And the bee venom was inoculated.

도 7 내지 도 13의 그래프에 표시된 각 부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The meanings of the symbols shown in the graphs of FIGS. 7 to 13 are as follows.

** control : 정제봉독 무투여군** control: Tablet bee venom-free

** OL2 : 접안을 통한 저농도(Low Conc.)의 정제봉독 2회 투여군.** OL2: 2 tablets of low concentration (low conc.

** OM4 : 접안을 통한 중농도(Middle Conc.)의 정제봉독 4회 투여군.** OM4: 4 tablets of middle bean concentrate through the eyelids.

** SH4 : 피하조직을 통한 고농도(High Conc.)의 정제봉독 4회 투여군.** SH4: 4 tablets of high concentration (high conc.) Through subcutaneous tissue.

(대조군을 제외하고 모두 12종류의 정제봉독 투여군을 실험함.)(Except the control group, 12 kinds of tablets are tested.)

** (n =18) : 대조군 육계의 개체수 18마리** (n = 18): 18 birds of control broiler

** ↗ : 유의성 있게 증가
** ↗: Significantly increased

실험예2. 육계의 증체효과 비교Experimental Example 2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broiler weight gain

정제봉독 투여에 따른 육계의 체중 증가율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4주간 사료와 식수를 자유 지급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In order to compare the weight gain of broiler chick according to tablet bee venom administration, feed and drinking water were given for 4 weeks.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graph of FI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개체의 체중을 전자저울로 측정한 결과 대조군(무투여군 :841±71g)에 비해 정제봉독 투여군 모두에서 유의성(P<0.05)있게 체중이 증가하였다.As shown in FIG. 7, the body weight of all the subjects was measured by electronic scales, and the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0.05) in the tablet bee administer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841 ± 71g in the no-treatment group).

특히 OM4군(접안을 통한 중농도 4회 투여군: 1,114± 80g)와 OH4(접안을 통한 고농도의 4회 투여군: 1,117±113g)에서 평균체중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In particular, the highes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the OM4 group (4 doses of medium concentration through the rats: 1,114 ± 80 g) and OH4 (4 doses of high concentration through the rats: 1,117 ± 113 g).

실험예3. 육계의 면역증가 효과 비교Experimental Example 3. Comparison of immunity increase effect of broiler chickens

3-1. 닭의 비장 무게 변화3-1. Spleen weight change of chicken

정제봉독 투여가 육계의 면역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육계의 비장 무게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The spleen weight of broiler chickens was measured to see how the tablet bee venom administration a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immunity of broiler chickens.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graph of FIG.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봉독 투여에 따른 육계의 면역 장기(비장) 무게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무투여군:0.968±0.115g)에 비해 접안을 통한 4회 투여군들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OH4군(접안을 통한 고농도의 4회 투여군: 1.268±0.228g)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As shown in FIG. 8, the weight of immunological organs (spleen) of broiler chicken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ablets bee venom was found to b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4-dose groups administered by the fe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0.968 ± 0.115 g) , An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OH4 group (4-dose group: 1.268 ± 0.228g at high concentration through the rim).

3-2. 림프구 증식능 평가3-2. Evaluation of lymphocyte proliferative ability

정제봉독 투여에 따른 육계의 림프구 증식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각 군의 육계로부터 비장을 채취하였다. The spleen was collected from broiler chickens of each group to compare the lymphocyte proliferative capacity of broiler chicks with tablets bee venom.

채취된 비장은 다시 무균상태에서 림프구 분리에 사용되었으며, 분리된 림프구를 이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collected spleen was used for lymphocyte isolation in aseptic condition and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isolated lymphocytes.

살아있는 림프구의 수는 트리판 블루(trypan blue)로 염색한 후 현미경에서 측정 및 그 수를 계산하였고, 최종적으로 1×106cells/㎖의 농도로 RPMI-1640 배지에 희석하였다. The number of living lymphocytes was counted in a trypan blue microscope, and the number of viable lymphocytes was counted and finally diluted in RPMI-1640 medium at a concentration of 1 × 10 6 cells / ml.

96-well cell culture plate의 각 well에 100㎕씩 희석된 세포를 분주 후, 콘-에이(ConA, 5㎍/㎖) 또는 지질다당류 LPS(Lipopolysaccharide, 50㎍/㎖)가 첨가된 RPMI-1640배지를 100㎕씩 추가로 넣어주거나 또는 유사분열물질인 미토겐(mitogen)이 무(無)첨가된 배지를 100㎕씩 첨가하여 41℃, 5% 이산화탄소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서 콘-에이는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식물성 단백질을 말하는데 암세포를 죽이지 않고 정상세포로 환원시키는 작용을 한다.Cells diluted by 100 μl were dispensed into each well of a 96-well cell culture plate, and the cells were suspended in RPMI-1640 medium (ConA, 5 μg / ml) or lipid polysaccharide LPS (Lipopolysaccharide, 50 μg /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or 100 쨉 l of a medium containing no mitogen such as a mitogen was added thereto and cultured at 41 째 C under 5% carbon dioxide for 48 hours. Here, cone-A is a vegetable protein that inhibits the growth of cancer cells, but does not kill cancer cells but acts to reduce them to normal cells.

48시간 배양된 각 well에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 yellow tetrazole) 5㎎/㎖ 용액 20㎕씩을 첨가한 후 다시 41℃, 5% 이산화탄소 조건으로 4시간을 더 배양하였다.After adding 20 μl of a 5 mg / ml solution of MTT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 yellow tetrazole) to each of the wells cultured for 48 hours, % Carbon dioxide for 4 hours.

배양 종료 후 상층액을 모두 제거하고 각 well당 200㎕씩의 DMSO(dimethyl sulfoxide)를 넣었다.After the incubation,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200 μl of DMSO (dimethyl sulfoxide) was added to each well.

모든 세포가 녹은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림프구의 증식능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After all the cells were dissolved, the absorbance at 540 nm was measured to compar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lymphocytes.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graph of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림프구의 증식능은 유사분열물질(mitogen) 무첨가시 각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PS(B cell mitogen)와 콘에이(T cell mitogen)로 자극시 대조군(LPS: 0.614±0.02, 콘에이: 0.601±0.05)에 비해 OM4 군(LPS: 1.030±0.09, 콘에이: 1.032±0.05)의 증식능이 유의적으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As shown in FIG. 9,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lymphocytes was not different in each group when mitogens were not added. However, when stimulated with LPS (B cell mitogen) and T cell mitogen (LPS: 0.614 OM4 group (LPS: 1.030 ± 0.09, Cone: 1.032 ± 0.05)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in the proliferative capac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0.02, Cone: 0.601 ± 0.05)

3-3. 비장 내 세포의 비율 비교3-3. Comparison of the proportion of cells in the spleen

비장에서 분리한 림프구 비율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The ratio of lymphocytes isolated from the spleen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비장 적출 후 cell strain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유리시킨 후, 적혈구 용해 완충액(RBC(Red blood cell) lysis buffer)에 10분간 현탁하여 적혈구를 파괴하였다.After splenectomy, the cells were freed using a cell strainer and then suspended in a red blood cell lysis buffer (RBC) for 10 minutes to destroy the red blood cells.

적혈구 용해 완충법은 세포를 파쇄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효소 처리하는 방법에 해당한다. 세제(detergent)가 세포막으로부터 단백질이나 지방단백질(lipoprotein)을 분리시켜 세포내 물질이 유출되게 한다. 주로 지방산(bile salt)이나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sulphate) 등이 쓰이며 pH와 온도에 민감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거품, 단백질 변성, 침전 등이 일어나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방법이다.The erythrocyte lysis buffer method corresponds to a method of enzymatic treatment as a method of disrupting cells. A detergent separates proteins or lipoproteins from the cell membrane and causes the intracellular material to leak out. It is mainly used in fatty acids (bile salt) and sodium laurylsulphate, and is sensitive to pH and temperature. However, bubbles, protein denaturation, sedimentation, etc. occur and are not commonly used.

다음으로 2,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원심세척하여 림프구의 수를 5.0×106cell/㎖의 농도로 희석하였다. After centrifugation at 2,500 rpm for 5 minute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centrifuged with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to dilute the number of lymphocytes to 5.0 × 10 6 cells / ㎖.

FITC anti-chicken CD3(총 T 세포)와 PE 안티치킨(anti-chicken) BU -1 (B 세포) 또는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안티치킨(anti-chicken) CD4(help T cell)와 PE 안티치킨(anti-chicken) CD8(cytotoxic T세포)의 항체로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켜 염색하였다.FITC anti-chicken CD3 (total T cells) and PE anti-chicken BU-1 (B cells) or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 anti-chicken CD4 (help T cell) And stained with anti-chicken CD8 (cytotoxic T-cell) antibody for 30 min in the dark room.

반응 후에 2회 원심세척하고 PBS 1㎖를 분주하여 유세포 분석기(FACSCalibur FACS, BD Biosciences, USA)를 이용하여 비장내 림프구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a 내지 도 11c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After the reaction, the cells were centrifuged twice, and 1 ml of PBS was dispensed. The ratio of lymphocytes in the spleen was measured using a flow cytometer (FACSCalibur FACS, BD Biosciences, USA).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graphs of FIGS. 10a to 11c.

도 10a, 10b, 도 11a, 11b,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cell 과 T cell의 비율에는 군별 큰 변화가 없었다.As shown in FIGS. 10A, 10B, 11A, 11B, and 11C,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atio of B cell to T cell.

헬퍼 T 세포(helper T cell)의 비율에 있어 대조군(6.80±2.98%)에 비해 접안을 통한 4회 투여군들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OM4군(19.08±4.00%)의 헬퍼 T 세포 비율이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The helper T cell ratio of the OM4 group (19.08 ± 4.00%)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6.80 ± 2.98%), The ratio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뿐만 아니라, 사이토톡식 T 세포(cytotoxic T cell)의 비율 또한 대조 군(54.83±11.10%)에 비해 OM4군(41.41±4.19%)의 비율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ratio of cytotoxic T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OM4 group (41.41 ± 4.19%)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54.83 ± 11.10%).

따라서 CD 4+:CD 8+ 비를 분석하여 보면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0.13±0.08)에 비해 OM4군(0.47±0.14)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Analysis of the CD 4 + : CD 8 + ratio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in the OM4 group (0.47 ± 0.14)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0.13 ± 0.08) as shown in Figures 11a to 11c.

3-4. 혈중 라이소자임(lysozyme) 활성 비교3-4. Comparison of lysozyme activity in blood

결정 라이소자임의 세균에 대한 분해 정도를 표준 커브로 사용하여 대조군과 봉독 투여군들의 혈청 라이소자임 농도를 비교 측정함으로써 대식세포의 활성을 평가하였다.The activity of macrophages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serum lysozyme in the control and bee venom groups using the degree of degradation of the crystalline lysozyme as a standard curve.

혈청 중 라이소자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결정 라이소자임을 0.5, 1, 2, 3, 4, 5㎍/㎖의 농도로 녹여 표준으로 준비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200㎕ 씩의 라이소데익티쿠스(lysodeikticus) 용액을 넣고, 미리 준비한 표준 라이소자임 또는 혈청 20㎕씩 첨가하였다.To measure lysozyme activity in serum, crystalline lysozyme was dissolved at a concentration of 0.5, 1, 2, 3, 4, 5 μg / ml and prepared as standard. To each well of the 96-well plate was added 200 [mu] l of lysodeikticus solution and 20 [mu] l of the standard lysozyme prepared beforehand or serum was added.

이렇게 준비된 시료를 41℃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15분 간격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540㎚). 시료의 라이소자임 활성 측정은 표준 커브에 시료의 시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대입하여 구하였고 그 결과를 도 12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The samples thus prepared were incubated at 41 ° C for 1 hour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intervals of 15 minutes (540 nm). The lysozyme activity of the sample was determined by substituting the change in absorbance of the sample over time in a standard curve, and the result is shown in the graph of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12군의 정제봉독 투여군 모두에서 평균 lysozyme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2,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lysozyme activity tended to increase in all of the group 12 tablet bee administer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5. 사이토카인 m-RNA 발현 정도 비교3-5. Comparison of cytokine m-RNA expression level

대조군과 정제봉독 투여군들의 비장으로부터 m-RNA를 추출하여 실시간 PCR(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사이토카인(IL-4, IL-18 그리고 IFN-gamma)의 발현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3a, 13b, 13c 내지 표 1에 정리하였다.M-RNA was extracted from the spleen of the control and purified bee venom groups and the expression of cytokines (IL-4, IL-18 and IFN-gamma) was measured using real-time PCR 13a, 13b, 13c to Table 1.

도 13a 내지 도 13c 및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이토카인 발현 정도에 있어서 대조군과 정제봉독 투여군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As shown in Figs. 13A to 13C and Table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ytokine express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ablet bee-administered groups.

TargetTarget Accession No.Accession No. Nucleeotide sequence(5'-3')Nucleotide sequence (5'-3 ') GAPDH ForwardGAPDH Forward
NM_204305

NM_204305
CCTAGGATACACAGAGGACCAGGTTCCTAGGATACACAGAGGACCAGGTT
GAPDH ReverseGAPDH Reverse GGTGGAGGAATGGCTGTCAGGTGGAGGAATGGCTGTCA IL-4 ForwardIL-4 Forward
NM_001007079

NM_001007079
GCTCTCAGTGCCGCTGATGGCTCTCAGTGCCGCTGATG
IL-4 ReverseIL-4 Reverse GAAACCTCTCCCTGGATGTCATGAAACCTCTCCCTGGATGTCAT IL-18 ForwardIL-18 Forward
NM_204608

NM_204608
AGGTGAAATCTGGCAGTGGAATAGGTGAAATCTGGCAGTGGAAT
IL-18 ReverseIL-18 Reverse TGAAGGCGCGGTGGTTTTGAAGGCGCGGTGGTTT IFN gamma forwardIFN gamma forward
NM_205149

NM_205149
GCTCCCGATGAACGACTTGAGCTCCCGATGAACGACTTGA
IFN gamma ReverseIFN gamma Reverse TGTAAGATGCTGAAGAGTTCATTCGTGTAAGATGCTGAAGAGTTCATTCG

3-6. 정제봉독의 시험관내(in-vitro)에서의 항균효과 비교3-6. Comparison of antibacterial effects of in-vitro purified bee venom

정제봉독의 시험관내(in-vitro)에서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almonella Gallinarum(SG 3001)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Salmonella Gallinarum (SG 3001)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ablets bee venom in vitro .

양성대조군으로 Sigma사의 봉독(Bee Venom)(V3375)을 농도별로 (1,000㎍/㎖, 500㎍/㎖, 250㎍/㎖) 사용하였고, 실험군으로는 닭의 면역실험에서 사용한 정제봉독을 농도별[고농도(8,400㎍/㎖), 중농도(2,100㎍/㎖), 저농도(420㎍/㎖)]로 사용하였으며, 음성대조군으로는 정제봉독의 용제인 3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14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농도 정제봉독에서 세균성장 억제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As a positive control, bee venom (V3375) (1,000 μg / ml, 500 μg / ml, 250 μg / ml) of Sigma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group. (8,400 ㎍ / ㎖), medium concentration (2,100 ㎍ / ㎖) and low concentration (420 ㎍ / ㎖)] were used as negative control. As a result,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14, the bacterial growth inhibition band was confirmed in the high-concentration tablets bee venom.

4.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봉독 조성물에 대한 실험 결과4. Experimental results on bee venom composition for immunity enhancement and pain treatment

봉독의 분무방식과 접안 투여방식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적정 투여농도 결정, 안정성 평가, 증체율에 미치는 영향평가, 면역력 증가효과(대식세포 활성, 면역세포 증식능, 비장에서의 T림프구 분포측정, T림프구 중 CD4+:CD8+ 비율, 사이토카인 발현 측정 등) 등을 확인한 결과, 봉독이 육계(닭)의 증체율과 면역력 향상에 구체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effects of bee venom spraying method and eyedrop administration method on the determination of proper dose concentration, stability evaluation, evaluation of effect on growth rate, immunity increasing effect (macrophage activity, immune cell proliferation ability, measurement of T lymphocyte distribution in spleen, (CD4 +: CD8 + ratio, measurement of cytokine expression, and the lik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ee venom is specifically involved in improving the growth rate and immunity of broiler chickens.

표2는 실험예2 내지 실험예3(3-1 ~ 3-6)에서 육계의 증체효과 및 면역기능 향상효과가 가장 우수한 실험군을 나타내었다. Table 2 shows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effect of enhancing the body weight and the immunity function of the broiler were most excellent in Experimental Examples 2 to 3 (3-1 to 3-6).

그 결과 증체율 및 면역기능이 봉독의 유용성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있게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owth rate and immune function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relative to the useful components of bee venom.


실험예2Experimental Example 2 실험예3Experimental Example 3
3-13-1 3-23-2 3-33-3 3-43-4 3-53-5 3-63-6 실험예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군In the experimental group,
OH4군

OH4 group

OH4군

OH4 group

OM4군

OM4 group

OM4군

OM4 group
12개
모든군
12
All Counties

유의성없음

No significance

고농도군

High concentration group

도 15는 육계의 증체율에 따른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생제, 생균제, 유기산 및 효소 등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봉독조성물은 육계의 증체율이 현저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15 is a graph showing an effect as an antibiotic substitute agent according to the growth rate of broiler chickens. As shown in the figure,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ntibiotics, probiotics, organic acids and enzymes, the be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remarkably high.

또한, 임상실험 결과 정제봉독 조성물을 안구를 통해 접종(접안투여)한 닭에서 체중 증가(대조군 대비 20%이상) 및 비특이적인 면역 증강효과(CD4+/CD8+ ratio 증가, 대조군 0.13±0.08, 중농도 투여군 0.47±0.14)가 확인되었다.As a result of the clinical test, the weight gain (more than 20% of the control) and nonspecific immunity enhancement effect (increase of CD4 + / CD8 + ratio, control group 0.13 ± 0.08, 0.47 ± 0.14) was also observed.

따라서 양계농장에서 접안 분무백신을 투여할 때 봉독조성물을 함께 사용하면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닭의 면역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어 항생제 대체제 뿐만 아니라 양질의 축산물을 개발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ophthalmic spray vaccine is administered in a poultry farm, the use of the bee venom composition can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increase the immune response of the chicken, so that not only an antibiotic substitute but also high quality livestock products can be develop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봉독 조성물에 있어서 생봉독 성분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단백질 분해효소와 유용물질을 분리시키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separating a protease and a useful substance from each oth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a live bee venom ingredient in the bee k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독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봉독의 건조 및 정제 과정에서 단백질의 가수분해가 나타나 유용 단백질의 절편화 또는 불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5, since bee venom contains a protease, hydrolysis of the protein occurs during drying and purification of bee venom, so that fragmentation or inactivation of the useful protein may occur.

도 16a, 16b는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단백질 분해효소와 유용물질의 분리방법에 대한 개념도로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액 상태에서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펩티드 내지는 단백질 등의 유용물질을 분해시키게 되나,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단백질 분해효소 및 단백질이 나노구조체에 포집되면 유용물질이 분해되지 않게 된다.16A and 16B are conceptual diagrams of a method for separating a protease and a useful substance using a nanostructure. As shown in FIG. 16A, a protease degrades a useful substance such as a peptide or a protein in an aqueous solution state, As shown in FIG. 16b, by using the nanostructure, when the protease and the protein are captured in the nanostructure, the useful substance is not decomposed.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로 잘 알려진 트립신을 이용하고 이의 기질로서 알부민을 사용하여 나노구조체와 섞은 후 배양하여 단백질의 가수분해가 억제되는 지를 확인하는 모델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odel system can be used to confirm whether proteolysis of the protein is inhibited by using trypsin, which is well known as a protease, and mixing it with a nanostructure using albumin as a substrate thereof .

또한 생봉독의 유용성분인 펩티드 내지 단백질은 PLGA(Poly D,L-Lactic-co-Glycolic Acid) 등의 나노입자로 캡슐화(encapsulation)하여 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방출(sustained release)이 이루어지도록 가축용 제제(점안제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함으로써 그 효능을 증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peptides and proteins, which are useful components of live bee venom, are encapsulated with nanoparticles such as PLGA (Poly D, L-Lactic-co-Glycolic Acid) to enhance stability and to allow sustained release It can be formulated into a livestock preparation (eyedrops or spray) to enhance its efficacy.

이러한 PLGA는 다공성 스캐폴드(scaffold)의 생체물질(biomaterial)로 사용된다. PLGA는 생분해성 및 생안정성 스캐폴드 물질로서 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PLGA 단독으로는 생체 중간엽 줄기세포(MSCs, Mesenchymal stem cells)의 골조직 형성시 골유도환경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보고되고 있다.These PLGAs are used as biomaterials for porous scaffolds. PLGA has been widely used as a biodegradable and biostable scaffold material.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PLGA alone does not provide a bone inducing environment for the formation of bone tissue of MSCs (mesenchymal stem cells).

그리고 날로 심각해지는 축산업계의 항생제 과다사용의 문제점을 천연물질인 봉독의 유효성분을 규격화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이 봉독 조성물은 항생제 대체물질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And the problem of excessive use of antibiotics in the livestock industry, which is getting worse day by day, can be played as a substitute for antibiotics by standardizing and reconstituting the effective ingredient of bee venom which is a natural substance.

또한 본 발명은 봉독의 성분들(예를 들면, 포스포리파제(PLA2), 멜리틴(melittin), 엠씨디 펩타이드)을 천연 생봉독(벌의 침을 통해서 나오는 액체 상태의 봉독)에 가까우면서도 봉독의 지용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도록 정제, 가공 및 규격화하여 효능에 있어서 우수하고 부작용이 최소화되는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components of bee venom (e.g., phospholipase (PLA2), melittin, and MC dipeptide) as a natural bee venom (bee venom from bees) Which is excellent in efficacy and minimized in side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 조성물의 구성성분과 효과를 보여주는 표이다.Table 3 shows the constituents and effects of the bee k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종류Kinds 성분ingredient 중량(%)weight(%) 효능efficacy
효소(enzyme)



Enzyme


포스포리파제(phospolipase A2)Phospholipase A2 10-1210-12 세포조직의 파괴성, 용혈작용, 촉매작용Destruction of cell tissue, hemolysis, catalysis
하이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Hyaluronidase &lt; / RTI &gt; 1-31-3 조직분해 작용, 항원성성분Tissue degradation, antigenic component 포스포에스테라아제산(Acid phosphoesterase)Acid phosphoesterase 항체역할 증진Enhance antibody role 리소포스포리파제
(lysophospholipase)
Lysophospholipase
(lysophospholipase)
PLA2작용억제Inhibition of PLA2 function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Alpha-glucosidase &lt; / RTI &gt; 항체역할 증진Enhance antibody role
다른 단백질과 펩타이드

Other proteins and peptides
멜리틴(melittin)Melittin 5050 세포용해작용(백혈구, 비만세포, 리소좀, 미토콘드리아), 항염증작용, 면역작용Cell lysis (leukocyte, mast cell, lysosome, mitochondria), anti-inflammatory action, immune function
아파민(apamin)Apamin 1-31-3 신경통완화, 진통, 항염증, 면역, 신경독 작용Neuralgia relief, analgesia, anti-inflammation, immunity, neurotoxicity 비만세포 과립감소 펩티드Mast cell granule reducing peptide 1-21-2 항염증작용Anti-inflammatory action 세카르핀Cicarpine 0.5-2.00.5-2.0 저온증, 진정작용Hypothermia, sedation 프로카민Procamine 1-21-2 방사선 보호성과 관련Radiation Protection 아도라핀Adola Finn 항염증 작용 진통작용Anti-inflammatory analgesic 단백효소 억제제Proteinase inhibitor 단백질과 에스테르 용해 억제작용, 항염증작용Protein and ester dissolution inhibition, anti-inflammation 터치아핀Touch affine 0.10.1 비만세포. 탈과립작용Mast cell. Degranulation action 작은 펩티드Small peptide 13-1513-15 정신활성 아민(physiological active amines)Physiological active amines 히스타민Histamine 0.5-2.00.5-2.0 혈압강화작용, 장관수축 작용, 위산분비 촉진작용Blood pressure strengthening effect, intestinal contraction effect, gastric acid secretion promotion action 도파민(dopamine)Dopamine 0.2-1.00.2-1.0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Noradrenaline 0.1-0.50.1-0.5 아미노산amino acid 티-아미노산(t-amino acids)T-amino acids (t-amino acids) 0.50.5 에이-아미노산(a-amino acids)A-amino acids &lt; RTI ID = 0.0 &gt; 1.01.0 설탕Sugar 글루코스(glucose) 및 프록토스(fructose)Glucose and fructose. 22 휘발성 성분Volatile component 4-84-8

표 3에서와 같이 다양한 봉독의 구성성분에는 수용성성분, 지용성성분 및 불용성 성분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봉독의 수용성성분들 중 대표적인 펩타이드 단백질인 멜리틴(Melittin) 만을 지표(기능)성분으로 품질관리하고 있다. 또한, 약효 면에서도 봉독은 그동안 관절염에 대한 염증치료제로서 효과를 검증받아 인체 의약품 중 주사제 용도로 식약청의 허가를 받은 제품으로 이미 개발되어 있다.As shown in Table 3, various bee venom components include water-soluble components, lipid-soluble components, and insoluble components. However, in the past, only melittin (Melittin), a typical peptide protein among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of bee venom, is quality-controlled as an indicator (functional) component. In addition, bee venom has been proven effective as an anti inflammatory agent for arthritis, and has been developed as a product approved by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injection of human medicines.

또한, 동물에 있어서도 관절염과 같은 염증치료제로 등록되어 있으나, 적용범위가 개의 관절염에 한정되어 등록되어 있으며 소, 돼지, 닭, 오리 등 가축에는 아직 적용할 수 있도록 등록 또는 허가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animals are also registered as inflammatory drugs such as arthritis, but the scope of application is limited to arthritis of the dog and is not registered or permitted to be applied to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chickens, and ducks.

최근 들어 소, 돼지, 닭, 오리 등 가축의 사료에 첨가되고 있는 항생제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어서, 항생제의 효과를 내면서도 가축에 독성이 없고 체내에 축적되지 않으며 안전하고 저렴한 대체물질이 필요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the use of antibiotics added to cattle feed such as cattle, pigs, chickens, and ducks has been regulated, and there is a need for safe and inexpensive substitutes that are not toxic to livestock and accumulate in the body while producing antibiotic effects .

가축의 사료에 항생제의 사용이 전면 금지되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EU(Europian Union)에서는 2006년 1월부터 가축의 성장 촉진용 항생제(Growth-promoting antibiotics; GPAs) 사용에서 수의사 처방 없는 사료 첨가 항생제의 사용이 전면 금지되어 있다.If the use of antibiotics is totally prohibited in livestock feed, it is urgent to develop a substitute for antibiotics. In the European Union (EU) since January 2006, the use of feed additive antibiotics without a veterinary prescription has been totally prohibited in the use of growth-promoting antibiotics (GPAs) for the growth of livestock.

보통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질병예방과 가축의 증체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는 하나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두 종류 이상이 혼합 첨가되므로 항생제를 남용하게 되어 가축에 잔류하는 문제와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병원균들의 출현이 문제된다.The reason for adding antibiotics to feeds in general is to prevent disease and improve the body weight gain of livestock. Since the antibiotics added to the feed are not used alone but mixed with more than two kinds of antibiotics, abuse of the antibiotics causes the problem to remain in the livestock and the emergence of pathogens resistant to antibiotics.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사료에 항생제 첨가를 최소화하는 것이 법제화되어 있고, 수의사의 처방없이는 농장에서 자가진단 항생제의 사용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주의가 필요한 항생제의 경우 수의사 처방에 의해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미국 역시 수의사 처방약, 수의사 전용약, 일반약 등으로 동물의약품을 엄격히 구분해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Because of these problems, minimizing the addition of antibiotics to the feed has been legislated, and the use of self-diagnostic antibiotics on farms is strictly regulated without the veterinary prescription. For example, in Japan, antibiotics that require attention are prescribed to be used only by veterinary prescriptions. The United States also restricts the use of veterinary prescription drugs, veterinary medicine, and general medicine by strictly classifying animal drugs.

그러나 이와 같은 항생제 남용때문에 항생제 사용에 대한 규제만을 강화한다면 가축 증체율 감소, 사료 효율 저하 및 폐사율 증가 등으로 인해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져 축산 농가들이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므로 항생제를 대체하면서도 안전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if such antibiotics abuse only strengthens the regulations on the use of antibiotics, the productivity will drop sharply due to the decrease in the animal growth rate, the decrease in the feed efficiency and the increase in the mortality rate, and the farmers will face difficulties. .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유·무기산,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생균제 등을 이용한 제품도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나, 항생제 대체 효과는 기대 이하로 아직까지 항생제를 대체할 우수한 제품이 개발되지 않았고, 시장에서는 좋다고 여겨지는 것(예를 들면, 유기산, 유산균, 면역증강제 등)을 무작위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항생제 대체물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항생제와 유사한 정도의 항균력을 가져야 할 것이다. 가축에 독성이 없으며, 체내에 축적되지 않는 안전한 물질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격 측면에서도 항생제에 비해 크게 비싸지 않아야 효용성 및 사업성이 있으므로 천연 항균제의 원료가 되는 물질은 구하기 쉬우면서도 가격적 부담이 없어야 할 것이다. As a part of these efforts, products using oil, inorganic acid, plant-derived extracts, and probiotic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but the substitution effect of antibiotics has not been developed yet, and excellent products that can replace antibiotics have not yet been developed. (For example, organic acids, lactic acid bacteria, immunostimulating agents, etc.) are mixed at random. In order to become an antibiotic substitute, it must first have a similar level of antimicrobial activity to antibiotics. It should be a safe substance that is not toxic to livestock and does not accumulate in the body. In addition, since it is not expensive compared to antibiotics in terms of price, it has utility and business feasibility. Therefore, it is easy to obtain a substance which is a raw material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 but it should be free of price burden.

봉독은 자연 상태의 벌이 가지고 있는 독으로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몇몇 농가에서는 시범적으로 생봉독(whole bee venom)을 사용하여 질병에 대한 예방제로 사용하여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은 바 있다. Bee venom is a toxin possessed by natural bees and has been known to be effective in treating diseases by activating immune function. In particular, some farmers have used the whole bee venom as a pilot to prevent disease and have obtained very positive results.

봉독의 주요 성분으로는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멜리틴, 아파민, MCD-펩티드(mast cell degranulating peptide) 등이고 전체적으로 진통, 소염, 항균작용과 함께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촉진,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The main components of bee venom are melittin, apamin and MCD-peptide (mast cell degranulating peptide) as shown in Table 3, and the efficacy of pancreatic hormone secretion promotion, blood circulation promotion, etc., have.

봉독은 생물학적 제재(biological drug)로서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하고 원료의 균일성, 성분 비율, 저장 및 안전성 등의 측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동물성 생약이다. Bee venom is a biological drug and it is an animal herbal medicine that can supply and receive stable, and needs to control aspects such as uniformity of raw materials, ingredient ratio, storage and safety.

도 1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봉독 조성물의 단백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 1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tein components of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8은 수지봉독이 수용성 봉독에 비하여 효과 및 안전성면에서 보다 뛰어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8에서 EnBV는 캡슐화(encapsulation)된 봉독을 나타내고, WBV는 수용성 봉독을 나타내며, LWBV는 수지봉독을 나타낸다. 또한 PEF는 고전압 처리된 봉독을 나타낸다.18 is a graph showing that the resin beeing is superior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safety as compared with the water-soluble beacon. In Fig. 18, EnBV represents encapsulated bee venom, WBV represents water soluble bee venom, and LWBV represents resin bee venom. Also, PEF represents high-voltage processed bee venom.

도 19a 내지 19g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지봉독 조성물의 비단백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19A to 19G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on-protein components of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 내지 19e에서, 도 19a는 표본(standard) 봉독의 비단백질 성분을 분석한 구성성분을 보여준다. 도 19a에서 EBV7은 디노닐프탈레이트(dinonyl phthalate)를 나타내고, EBV11-7은 크리신(chrysin)을 나타낸다. 가로축은 UV(UltraViolet) 흡광도를 나타내고 단위로는 mAu를 사용한다. In Figures 19a-19e, Figure 19a shows the components analyzing the non-protein components of a standard bee venom. In Fig. 19A, EBV7 represents dinonyl phthalate and EBV11-7 represents chrysin. The abscissa represents UV (UltraViolet) absorbance and mAu is used as a unit.

도 19f는 봉독 중 시티딘(cytidine)과 아데노신(adenosine)을 TLC를 이용하여 분석한 도면이다.FIG. 19F is a diagram showing cytidine and adenosine analysis in bee venom using TLC. FIG.

도 19g는 봉독 중 피노셈브린(pinocembrin)을 TLC를 이용하여 분석한 도면이다.19g is a diagram showing the analysis of pinocembrin in bee venom using TLC.

여기서 CBV(Crude bee venom)는 천연성분으로 되어있는 미정제봉독을 의미한다. WBV(water soluble bee venom)는 CBV로부터 얻어진 수용성성분으로 이루어진 봉독을 의미하고, LBV(Lipid soluble bee venom)는 지용성성분으로 이루어진 봉독(지봉독)을 의미하며, LWBV(Lipid-water soluble bee venom)는 수용성 및 지용성성분으로 이루어진 봉독(수지봉독)을 의미한다.Here, CBV (Crude bee venom) refers to crude bee venom which is a natural ingredient. Water soluble bee venom (WBV) is a bee venom composed of water-soluble components obtained from CBV. Lipid soluble bee venom (LBV) is a lipid soluble bee venom (LBBV) Means a bee venom (resin bee venom) composed of water-soluble and lipophilic components.

표 4는 봉독의 비단백질 성분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표이다.Table 4 shows the analysis of non-protein components of bee venom.

분율Fraction 분자량(M.W)Molecular weight (MW) 억제제 무첨가No inhibitor added 세포독성검사Cytotoxicity test 비고Remarks BVEBVE -- 5-10㎍5-10 g ++(at10㎍/㎖)++ (at 10 / / ml) 분율Fraction BVBBVB -- 80㎍80 g -(at100㎍/㎖)- (at 100 [mu] g / ml) 분율Fraction BV-3BV-3 296.31296.31 >200uM > 200 uM +(at 80uM)+ (at 80uM) 화합물compound BV-7BV-7 418.31418.31 >60uM > 60 uM -(at 60uM)- (at 60 uM) 화합물compound BV11-7BV11-7 286.05286.05 60uM 60 uM +(at40uM)+ (at40uM) 화합물compound

표 4에서 BVE는 봉독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분획한 성분을 나타낸다. BVB는 봉독의 부탄올 추출분획한 성분을 나타낸다. BV-3은 11-에이코세놀을 의미하고, BV-7은 디노닐 프탈레이트(dinonyl phthalate)를 의미하며, BV11-7은 크리신(chrysin)을 의미한다.In Table 4, BVE represents one component of the ethyl acetate extract fraction of bee venom. BVB represents one component of butanol extract fraction of bee venom. BV-3 means 11-eicosanol, BV-7 means dinonyl phthalate, and BV11-7 means chrysin.

도 18 또는 도 19a 내지 19g와 같은 봉독에 대한 단백질 분석 자료들은 비단백 지표성분 6종 이외 단백질(펩타이드 등) 지표 성분들(효소 및 펩타이드) 기준으로 규격화될 수 있다. 특히 봉독의 지표성분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결과 봉독을 고전압 처리(Pulsed electric field; PEF) 또는 캡슐화(encapsulation)하면 봉독을 구성하는 단백질성분들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The protein analysis data for bee venom as shown in Fig. 18 or Figs. 19a to 19g can be standardized on the basis of protein (peptide and the like) indicator components (enzymes and peptides) other than six non-white index components. As a result of studies on the indicator component and stability of bee venom, bee venom can be selectively changed by high-voltage treatment (pulsed electric field; PEF) or encapsulation.

도 20a와 도 20b는 봉독에 대한 고전압 처리(PEF) 전후 CBV(crude bee venom), WBV(water-soluble bee venom) 및 LWBV(Lipid and Water soluble bee venom)의 양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FIGS. 20A and 20B are graphs showing quantitative changes of crude bee venom (CBV), water-soluble bee venom (WBV), and Lipid and Water soluble bee venom (LWBV) before and after high-voltage treatment (PEF) for bee venom.

표5는 봉독 조성물에 대한 고전압 처리 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Table 5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fter high voltage treatment of the sweetener composition.


CBVCBV WBVWBV LWBVLWBV
처리전Before processing 처리후After processing 처리전Before processing 처리후After processing 처리전Before processing 처리후After processing 포스포리파제Phospholipase 4393±274393 ± 27 4720±24(7%↑)4720 + 24 (7% ↑) 2378±32378 ± 3 2941±2(23%↑)2941 ± 2 (23% ↑) 2710±172710 ± 17 2778±292778 ± 29 멜리틴Melitin 31269±15931269 ± 159 38353±1243(22%↑)38353 ± 1243 (22% ↑) 19689±17819689 ± 178 20826±519(5.6%↑)20826 ± 519 (5.6% ↑) 20153±17320153 ± 173 21045±111(4%↑)21045 ± 111 (4% ↑)

표 5에 표시된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고전압 처리 전후의 HPLC 면적을 나타낸다. 표 5를 참조하면 PEF 처리 결과 미정제봉독(CBV)의 멜리틴이 22%증가하였고, 수용성봉독(WBV)의 포스포리파제 또한 23%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수지봉독(LBVW)의 경우 포스포리파제와 멜리틴의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The data shown in Table 5 represents the HPLC area before and after the high voltage treatment, wit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Referring to Table 5, it can be seen that the PEF treatment resulted in a 22% increase in melittin in CBV and a 23% increase in phospholipase in water-soluble bee venom (WBV). However, in the case of resin bee venom (LBVW), no significant changes of phospholipase and melitin were observed.

다만 수용성봉독(WBV)이나 수지봉독(LWBV)의 경우 모두 미정제 봉독(CBV)으로부터 정제되는 과정에서 포스포리파제와 멜리틴의 양적인 감소가 있었으나 수지봉독이 수용성 봉독에 비해 고전압 처리에 더 안정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water-soluble bee venom (WBV) or resin bee venom (LWBV), the amount of phospholipase and melitin decreased in the process of purification from CBV, but resin bee venom was more stable than high- I could confirm the fact.

본 발명의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봉독을 수용성용매와 지용성용매를 이용하여 1차 분별하는 단계(S10)와, 상기 분별된 1차 수용성층에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2차 분별하는 단계(S20)와, 상기 분별된 2차 수용성층에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3차 분별하는 단계(S30)와, 상기 분별된 3차 수용성층을 필터링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여 수용성층을 준비하는 단계(S40)와, 상기 1차 분별된 지용성층에 2차 분별된 지용성층과 3차 분별된 지용성층을 합한 다음 필터링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여 지용성층을 준비하는 단계(S50)와, 상기 3차 수용성층을 필터링한 수용성층과 상기 필터링한 지용성층을 혼합하는 단계(S60) 및 상기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혼합물을 농축 및 건조하여 수지봉독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mmune enhancement and pain, comprising the steps of: (S10) separating bee venom using a water-soluble solvent and a fat-soluble solvent; (10) adding a fat-soluble solvent to the separated water- (S30) of adding a fat-soluble solvent to the separated second water-soluble layer (S30), filtering the separated third water-soluble layer to remove insoluble components to prepare a water-soluble layer (S50) of preparing a liposoluble layer by removing the insoluble components by combining the liposoluble layer which is secondarily separated and the thirdly separated liposoluble layer by a first step (S40) Mixing the water-soluble layer filtered with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filtered liposoluble layer (S60), and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mixture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liposoluble layer to obtain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S70).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1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method for producing the resin bee nosyzing composition for immune enhan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제시된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봉독을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S11)와, 상기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봉독을 원심분리하여 수용성층을 취하고 필터링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는 단계(S21)와, 원심분리한 잔사를 건조하여 수용성용매를 제거하는 단계(S31)와, 건조된 상기 잔사에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S41)와, 상기 지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봉독을 여과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는 단계(S51)와, 상기 준비된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을 서로 혼합하는 단계(S61) 및 상기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혼합물을 농축 및 건조하여 수지봉독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S71)를 포함한다.21, a method of producing beejing composition for immunost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11) extracting bee venom using a water-soluble solvent, and centrifuging the bee venom extracted using the water-soluble solvent to take a water- A step S21 of removing the insoluble component by filtering to remove the water-soluble solvent, a step S41 of adding a fat-soluble solvent to the dried residue to extract the fat-soluble solvent, Mixing the prepared water-soluble layer and the oil-soluble layer with each other (S61), and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mixture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oil-soluble layer to obtain a resin And a step (S71) of obtaining a sweetener composition.

또한 이렇게 수득된 수지봉독 조성물을 20,000~30,000V 사이의 전압으로 1~50㎲의 시간 동안 고전압 처리시, 미정제봉독과 수용성봉독의 경우에는 멜리틴과 포스포리파제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thus obtained was subjected to a high voltage treatment for a time of 1 to 50 μs at a voltage of 20,000 to 30,000 V, it was confirmed that melittin and phospholipase were relative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crude bee venom and the aqueous bee venom have.

수지봉독 조성물의 수용성층과 지용성층 부피비가 1:0.1~1일 때 면역증강과 통증치료에 가장 효율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수지봉독 조성물의 수용성층과 지용성층 부피비가 0~0.5:1일 때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갖는다.When the volume ratio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liposoluble layer of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is 1: 0.1 ~ 1, it exhibits the most effective characteristics for the immunity enhancement and the pain treatment. It has inflammation efficacy.

여기서 수용성용매는 물, 에틸알콜, 메틸알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ater-soluble solvent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water, ethyl alcohol and methyl alcohol.

여기서 지용성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에테르,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at-soluble solvent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ethyl acetate, chloroform, ether and butano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 조성물의 경우에는 면역력 조절과 증체 효과를 얻기 위해 나노캡슐화(Nano encapsulation)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nano encapsulation in order to regulate immunity and obtain a growth effect.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mmunosuppressiv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2>&Lt; Example 2 >

실시예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Example 2 is an example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the resin-enumerating composition for immunost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the resin-enriched bee-isotonic composition for immunost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미정제봉독(CBV) 2.5g을 비이커에 넣고 증류수(DW) 100㎖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봉독을 분별깔때기에 넣고 증류수 150㎖로 비이커의 내벽을 씻어주면서 첨가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250㎖를 넣고 잘 흔들어 혼합시켰다. 이렇게 준비된 상기 혼합액을 분별깔때기를 통해 정치시키고 뚜껑을 열어 압력을 빼고 정치해 두면 EA층과 증류수층이 성질상 차이로 분리된다.Referring to Figure 17, 2.5 g of crude bee venom (CBV) was placed in a beaker and dissolved in 100 ml of distilled water (DW). The dissolved bee venom was added to a separatory funnel and added while washing the inner wall of the beaker with 150 ml of distilled water. Add 250 ml of ethyl acetate (EA) and shake well. The mixture thus prepared is allowed to stand through a separating funnel, the lid is opened, the pressure is released, and the mixture is allowed to stand, whereby the EA layer and the distilled water layer are separated by a difference in properties.

이렇게 분리된 위층(EA층1)과 아래층(DW층1) 중 아래층에 있는 증류수를 비이커를 통해 받아 놓았다.Distilled water in the lower layer of the separated upper layer (EA layer 1) and the lower layer (DW layer 1) was received through a beaker.

이때 위층은 따로 분리하여 받아 놓았다. 분리된 증류수층(DW층1)을 분별깔때기에 넣고 EA 250㎖를 넣고 잘 혼합시켜 두면, 위층과 아래층이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upper layer was separately received. Separate the distilled water layer (DW layer 1) into a separatory funnel, add 250 ml of EA and mix well.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layers.

이렇게 분리된 위층(EA층2)과 아래층(DW층2) 중 아래층에 있는 증류수를 비이커를 통해 받아 놓았다.Distilled water in the lower layer of the separated upper layer (EA layer 2) and the lower layer (DW layer 2) was received through a beaker.

이때 위층은 따로 분리하여 받아 놓았다. 분리된 증류수층(DW층2)을 분별깔때기에 넣고 EA 250㎖를 넣고 잘 혼합시켜 두면, 위층과 아래층이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upper layer was separately received. Separate the distilled water layer (DW layer 2) into a separatory funnel, add 250 ml of EA and mix well.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layers.

이렇게 분리된 위층(EA층3)과 아래층(DW층3) 중 아래층에 있는 증류수를 비이커를 통해 받아 놓았다.Distilled water in the lower layer of the separated upper layer (EA layer 3) and the lower layer (DW layer 3) was received through a beaker.

이때 위층은 따로 분리하여 받아 놓았다. At this time, the upper layer was separately received.

분리된 증류수층(DW층3)과 EA층(EA층1, EA층2, EA층3 혼합액)부피비가 1:1에서 1:0.1의 범위 내에서 4종류의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제조된 4종류의 시료를 농축하고 건조하였다.Four kinds of samples were made in the range of 1: 1 to 1: 0.1 in volume ratio of separated distilled water layer (DW layer 3) and EA layer (EA layer 1, EA layer 2, EA layer 3 mixture solution). The four kinds of samples thus prepared were concentrated and dried.

시료를 농축하고 건조하기 전에 지용성층인 EA층과 수용성층인 증류수층에서 불용성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였다.Before the sample was concentrated and dried, a process was performed to remove insoluble components from the EA layer, which is a lipid soluble layer, and the distilled water layer, which is a water soluble layer.

이렇게 제조된 면역증강용 수지봉독 조성물을 닭(육계)에 투여하여 면역성 테스트를 시행하였다.Immunity test was performed by administering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for immunity enhancement thus prepared to chicken (broiler).

<실시예3>&Lt; Example 3 >

미정제봉독 1.0 g을 비이커에 넣고 증류수 100 ㎖를 가하여 추출하였다.1.0 g of crude bee venom was placed in a beaker and extracted with 100 ml of distilled water.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수용성층(DW층)을 분리하여 취한 다음 필터링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고 수용성층을 보관하였다.The water-soluble layer (DW layer) was separated by centrifugation at 3,000 rpm for 10 minutes and then filtered to remove insoluble components and to retain the water-soluble layer.

원심분리한 잔사를 건조하여 미량의 남은 증류수를 제거하였다.The centrifuged residue was dried to remove a small amount of the remaining distilled water.

건조한 잔사에 클로로포름 200 ㎖를 가하여 추출한 다음 필터링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준비하였다.The dried residue was extracted with 200 ml of chloroform, filtered to remove insoluble components, and then a chloroform layer was prepared.

증류수층과 클로로포름층을 혼합한 다음 실시예1과 같이 농축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수지봉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distilled water layer and chloroform layer were mixed and then concentrated and dried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성층과 지용성층 혼합물에서 그 부피비는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부피비가 1:0.1~1인 것이 면역활성에 있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데 유리하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volume ratio of the water-soluble layer to the liposoluble layer mixture is in the range of 1: 0.1 to 1 in terms of the volume ratio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oil-soluble layer.

도 24 내지 도 25의 그래프에서 표시된 각 부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The meanings of the symbols shown in the graphs of FIGS. 24 to 25 are as follows.

** control: 수지봉독 무투여군(대조군)** control: resin bee venom-free (control group)

** Ocular: 점안** Ocular: eye drops

** Spray: 스프레이
** Spray: Spray

<실험예4> 실험방법 및 수지봉독의 투여<Experimental Example 4> Experimental method and resin bee venom administration

먼저 육계 병아리(Ross)를 11개군으로 분류하고 봉독을 조성에 따라 준비하였다. 준비된 봉독은 LBV(지용성봉독), WBV(수용성봉독), LWBV(수지봉독) 및 나노캡슐화된 봉독(EnBV)이었다. 이러한 정제봉독에 대한 투여회수는 1회 또는 2회로 한정하였다. 또한 시기는 부화 후 24 시간 내에 안점투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First, broiler chicks (Ross) were classified into 11 groups and bee venom was prepared according to composition. Prepared bee venom was LBV (liposoluble bee venom), WBV (water soluble bee venom), LWBV (resin bee venom) and nano encapsulated bee venom (EnBV). The number of times of administration for tablet bee poisoning was limited to once or twice. In addition, the timing of administration of eye drops within 24 hours after hatching was used.

<실험예5> 육계의 증체효과 비교&Lt; Experimental Example 5 >

육계 병아리에 대하여 5주 동안 증체율에 대한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수지봉독은 지용성분획과 수용성분획의 조성 비율에 따라 6종류로 구별하고 지용성봉독(LBV)은 2종류로 구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The broiler chicks were compared for 5 weeks. The resin bee venom was divided into 6 kind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fat soluble fraction and the water soluble fraction and two kinds of the lipid soluble bee venom (LBV) were tested.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 조성물의 효과 실험 중 육계의 증체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2b는 본 발명의 수지봉독 조성물의 효과실험 중 육계의 누적 증체량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에 대한 상세는 표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FIG. 22A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body weight gain of the broiler during the effect test of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B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cumulative body weight gain of the broiler during the effect test of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s of the experiment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6.

구분division 내용Contents nn 1One 조절control 용제 투여Solvent administration 2020 22 LWBV-1LWBV-1
봉독의 지용성성분과 수용성성분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투여

A sample containing a mixture of fat-soluble and water-soluble components of bee venom at a certain ratio is administered
1919
33 LWBV-2LWBV-2 1919 44 LWBV-3LWBV-3 1919 55 LWBV-4LWBV-4 1919 66 LWBV-5LWBV-5 1919 77 LWBV-6LWBV-6 1919 88 LBV-1LBV-1 봉독의 지용성성분을 투여Applying the fat-soluble ingredient of bee venom 1919 99 LBV-2LBV-2 1919 1010 WBVWBV 봉독의 수용성성분을 투여Water-soluble components of bee venom are administered 1919 1111 EnBVEnBV 캡슐화한 봉독을 투여Encapsulated bee venom is administered 1515

실험예5에 따른 실험결과 5주간 관찰한 육계의 증체량은 수지봉독을 투여한 경우와 캡슐화된 봉독을 투여한 경우에만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누적 증체량의 실험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약 120%의 증가가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5,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gain of broiler chicks observed for 5 week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when resin bee venom was administered and when encapsulated bee venom was administered. Experimental results of accumulated weight gain showed about 120%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도 23a는 수지봉독의 투여횟수에 따른 증체량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3b는 B세포의 활성이 수지봉독의 투여횟수에 따라 변하는 정도(흡광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3c는 T세포의 활성이 수지봉독의 투여횟수에 따라 변하는 정도(흡광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3d는 수지봉독의 투여 횟수에 따라 CD4+/CD8+의 비율이 변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FIG. 23A shows the change in the amount of gain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of the resin bee venom. FIG. 23B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absorbance) of the activity of B cells varying with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of the resin bee venom. FIG. 23C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absorbance) of the activity of the T cell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ministrations of the resin bee venom. FIG. FIG. 23D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to which the ratio of CD4 + / CD8 + va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of resin bee venom.

CD4+세포는 미성숙된 헬퍼(helper) T세포로서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를 인식해 이것과 결합하는 세포이다.CD4 + cells are immature helper T cells that recognize and bind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CD8+세포는 미성숙된 킬러(killer) T세포로서 세포성 면역을 담당한다. 생체는 자기 항상성을 지키기 위해 생체 내에 침입하는 이물질을 식별해서 이를 파괴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것을 면역이라 한다. 생체가 배제하여야 하는 것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계에서 들어온 이물질뿐만 아니라 침입자에 감염된 세포, 노폐 조직이나 암화된 세포 등 변형된 자기성분도 포함한다. 생체는 표피조직이나 표피에서 분비되는 물질들 그리고 관구조로 몸과 격리되어 있는 체내 기관 등으로 1차 방어선을 형성하고 있다. 1차 방어선을 뚫고 체내로 침입자가 침투하게 되면 2차 방어선이 작동한다. 1차 방어선을 뚫고 들어온 침입자에 대항하기 위해 즉각 작동하는 체내 방어선으로 침입자를 구별하지 않으며 화학방어와 세포방어로 나뉜다.CD8 + cells are immature killer T cells that are responsible for cellular immunity. In order to maintain self-homogeneity, the living body identifies foreign substances entering the living body and destroys them. This is called immunity. The exclusion of living organisms includ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as well as foreign substances such as infected cells, reticulated tissues and cancer cells. The body forms a primary line of defense through epidermal tissue, substances secreted from the epidermis, and internal organs isolated from the body by a tube structure. When an intruder penetrates the body through the first line of defense, the second line of defense works. It is an internal defense line that works immediately against the intruder who penetrated the primary line. It does not distinguish the intruder, and is divided into chemical defense and cell defense.

침입을 받은 세포가 침입자를 죽이거나 침입을 저지하는 화학물질을 분비한다. 라이소자임은 땀, 침, 눈물 등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세균의 세포벽을 녹인다. 이때 보체는 약 20종류의 혈장단백질로서 침입자 표면을 둘러싸 식세포의 포식(옵소닌 작용)을 촉진하거나 직접 침입자의 지질막에 구멍을 뚫는다. The invaded cells secrete chemicals that kill the intruder or stop the invasion. Lysozyme is a protein that exists in sweat, saliva, tears, etc. and dissolves bacterial cell walls. At this time, the complement is about 20 types of plasma proteins, which surround the surface of the intruder to promote the phagocytosis (opsonization) of the phagocyte, or to directly puncture the intruder's lipid membrane.

이에 대하여 비특이적 세포방어라고 하는 것은 매크로파지(대식세포)와 백혈구, 단핵구들이 침입자를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In contrast, nonspecific cell defense means that macrophages (macrophages), leukocytes, and monocytes attack the intruder.

상술한 비특이적 방어에 대하여 특이적 방어기구는 면역을 말한다. 면역반응에는 체액성면역과 세포성면역이 있다. B림프구는 적색골수와 태아의 간에서 생성된다. 헬퍼 T세포의 도움을 받아 형질세포(plasma cell)로 분화하여 항체를 분비하는 체액성반응을 하며 일부는 기억세포로 된다.A specific defense mechanism against the above-mentioned nonspecific defense is immunity. Immune responses include humoral immunity and cellular immunity. B lymphocytes are produced in the liver of the red marrow and fetus. Helper T cells help the body to differentiate into plasma cells, secrete antibodies to humoral responses and some become memory cells.

헬퍼 T림프구는 흉선에서 분화한다.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다른 면역세포 들을 분화시키며 일부는 기억세포가 된다.Helper T lymphocytes differentiate in the thymus. It secretes cytokines and differentiates other immune cells, and some of them become memory cells.

킬러 T림프구 또한 흉선에서 분화한다. 바이러스나 병원균을 직접 파괴하거나 이들에 감염된 자신의 세포 또는 암세포를 파괴하는 세포성 반응을 한다.
Killer T lymphocytes also differentiate in the thymus. It directly destroys viruses or pathogens, or carries a cellular reaction that destroys its own cells or cancer cells infected with them.

수지봉독 또는 캡슐화된 봉독은 눈(접안) 또는 코의 점막(비강) 투여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면역 기능이 떨어졌을 때 발생하는 설사 및 만성 소모성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사 및 만성 소모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물 또는 사람에 아주 소량(멜리틴 기준으로 1회 투여량이 10㎍미만) 투여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 범위에서 지속적으로 면역세포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sin bee venom or encapsulated bee venom can be used in the eye (dorsal) or nasal mucosa (nasal) administration mod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arrhea and chronic wasting disease that occurs when immune function is poor. When used to prevent diarrhea and chronic wasting disease, it is advisable to administer very small amounts (less than 10 μg of melitin) to animals or humans. More preferably in a weight range of 0.1 to 10 [mu] g, in a manner to continuously stimulate the immune cells.

이는 봉독의 면역 증강효과를 활용한 예방 치료제 개념으로 물리적으로 안정화된 서방출 제형으로 작용하여 기존의 수용성봉독의 활용과 차별화되며 매우 안정된 형태로 표준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is is a concept of preventive treatment utilizing the immune enhancement effect of bee venom, and it functions as a physiologically stabilized western release formulation, differentiating it from the conventional use of water-soluble bee venom, and can be used as a very stable form.

<실험예6> 수지봉독의 항균활성 비교<Experimental Example 6>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resin bee venom

도 17에 도시된 수지봉독의 정제방법에 의하여 지용성 비율 1:1에서 1:0.1의 범위 내에서 조제된 시료와 미정제봉독, 지용성봉독, 수용성봉독 및 고전압 처리된 봉독 시료의 최소농도억제(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시험을 통해 7종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17, by the method of purifying the resin bee venom shown in FIG. 17, the samples prepared within the range of 1: 1 to 1: 0.1 in liposoluble ratio and the minimum concentration of the bee venom sample, The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seven strains.

표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의 최소농도억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Table 7 shows the results of the minimum concentration inhibition experiment of resin bee ven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CP.C 용매menstruum No.1No.1 No.2No.2 No.3No.3 No.4No.4 No.5No.5 No.6No.6 No.7No.7 No.8No.8 No.9No.9 No.10No.10 No.11No.11 No.12No.12 아우레스(S.aureus)S. aureus 125
125
D.WD.W 500500 500500 100100 25025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250250 500500
DMSODMSO 31.2531.25 31.2531.25 62.56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하이래(E.hirae)
E. Hirae
62.5
62.5
DWDW 1.951.95 7.817.81 1.951.95 0.980.98 1.951.95 1.951.95 1.951.95 1.951.95 1.951.95 1.951.95 0.980.98 0.980.98
DMSODMSO 7.817.81 7.817.81 15.6315.63 15.6315.63 3.913.91 15.6315.63 7.817.81 7.817.81 7.817.81 7.817.81 7.817.81 7.817.81 루토스(M.Luteus)M. Luteus 62.5
62.5
DWDW 0.980.98 1.951.95 3.913.91 1.951.95 0.980.98 1.951.95 1.951.95 0.980.98 1.951.95 1.951.95 0.980.98 0.950.95
DMSODMSO 7.817.81 15.6315.63 15.6315.63 15.6315.63 7.817.81 15.6315.63 15.6315.63 15.6315.63 15.6315.63 7.817.81 7.817.81 7.817.81 뮤탄스(S.mutans)Mutans 62.5
62.5
DWDW 62.562.5 125125 >1000> 1000 62.562.5 62.562.5 62.562.5 250250 62.562.5 62.562.5 62.562.5 31.2531.25 31.2531.25
DMSODMSO 62.562.5 62.562.5 62.562.5 31.2531.25 31.2531.25 62.562.5 62.562.5 62.56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에피미디스(S.epidermidis)
S. epidermidis
125
125
DWDW 31.2531.25 31.2531.25 62.562.5 31.2531.25 31.2531.25 62.562.5 31.2531.25 62.56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31.2531.25
DMSODMSO 62.562.5 62.562.5 62.562.5 62.562.5 31.2531.25 62.562.5 125125 62.562.5 62.562.5 31.2531.25 31.2531.25 62.562.5 서브틸러스(B.subtilis)Subtilis 62.562.5 DWDW 25025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250250 500500 500500 DMSODMSO 5005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5005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500500 500500 500500 500500 아크네스(P.acnes)
P. acnes
125
125
DWDW 500500 10001000 10001000 500500 500500 500500 10001000 500500 500500 500500 250250 250250
DMSODMSO 250250 250250 250250 250250 125125 250250 500500 250250 250250 125125 125125 125125

표 7에서 P.C는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을 의미하고, 단위는 ㎍/㎖이다. No.1에서 No.12까지는 시료의 특성에 따라 붙인 인덱싱 넘버이다.In Table 7, P.C means a positive control (unit: μg / ml). Nos. 1 to 12 are the indexing numb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시험에 사용된 7개의 균주 중 하이래(hirae) 균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미정제봉독(No.1)과 지용성봉독(No.3)은 고전압처리 후 DMSO(dimethyl sulfoxide)를 용매로 하였을 때 항균활성이 각각 2배(No.5), 4배(No.7)로 증가하였다. 지용성비율에 따른 4종류의 수지봉독 중 D.W(distilled water)를 용제로 하였을 때, 2가지 시료(No.11, No.12)에서 항균활성이 미정제봉독(No.1)보다 모두 2배 증가하였다.Among the seven strains used in the test, the highest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hirae strain, while the crude bee venom (No.1) and the lipid soluble bee venom (No.3) were treated with DMSO (dimethyl sulfoxide) ,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creased to 2 times (No.5) and 4 times (No. 7), respectively. When distilled water (DW) was used as a solvent in four types of resin beads according to the fat solubility ratio,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two samples (No. 11 and No. 12) was doubled Respectively.

봉독 시료에서 최소농도억제 실험은 디스크 방법에 사용한 시료 배지로 단계별로 희석하여 최대 농도가 2000㎍/㎖(최종 농도 1000㎍/㎖)가 되게 한 후 단계적으로 희석(serial dilution)하였다. 또한 하루 동안 배양한 균을 600nm에서 흡광도 0.2(최종 흡광도 0.1)가 되도록 배지로 희석하였다.The minimum concentration inhibition test in the bee venom samples was serial dilution after being diluted with the sample medium used for the disk method so that the maximum concentration became 2000 μg / ml (final concentration 1000 μg / ml). In addition, the bacteria cultured for one day were diluted with the medium to an absorbance of 0.2 (final absorbance 0.1) at 600 nm.

시료 처리는 37℃에서 120rpm(round per minute)으로 2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The sample treatment was carried out at 37 ° C and 120 rpm (round per minute) for 24 hours.

<실험예7> 정제봉독의 지용성 함량이 육계의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Experimental Example 7> Effect of liposoluble content of purified bee venom on immunity of broiler chickens

육계의 면역력 실험에 사용된 봉독의 시료는 총 4종류였고, 수용성과 지용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수지봉독이 대상이었다. A total of 4 bee venom samples were used in the immunity test of broiler chicks, and resin bee venom containing both water soluble and liposoluble was the target.

다만, 상기 조성물 제조방법은 미정제봉독(CBV) 2.5g에 수용성용매 250㎖, 지용성용매 750㎖를 사용하였으며 수지봉독 비율은 사용된 용매 부피 기준으로 수용성은 250㎖를 1로 하고, 지용성은 750㎖를 1로 하여 수용성:지용성의 비율로 표기하였다.In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composition, 250 ml of a water-soluble solvent and 750 ml of a fat-soluble solvent were used in 2.5 g of CBV, and the resin beeing ratio was set to 1 based on the volume of the solvent used, Ml as 1 and expressed as a ratio of water-soluble: liposoluble.

각 시료는 지용성성분 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최대 지용성 함량을 1로 볼 때, 1:1에서 1:0.1의 범위 내에서 만들어진 4종류의 시료가 그 대상이었다. 각각의 봉독 시료는 용제를 사용하여 2.1㎎/㎖(중농도)의 농도로 제조하여 점안과 스프레이방식의 두 가지로 실시하였다. 각 접종법에 따른 봉독의 투여량은 스프레이접종의 경우 5㎖/10chicks로 실시하였고, 점안접종의 경우 10㎕/chick로 실시하였다.Each sampl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pid soluble ingredient contents. The maximum lipid soluble content was 1, and the samples were prepared in the range of 1: 1 to 1: 0.1. Each of the bee venom samples was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2.1 mg / ml (medium concentration) using a solvent, and was applied to both the topical and the spraying methods. The dose of bee venom according to each inoculation method was 5ml / 10chicks for spray inoculation and 10μl / chick for instillation.

7-1. 비장 내 T cell의 CD4+/CD8+ 비율7-1. CD4 + / CD8 + ratio of spleen T cells

비장에서 분리한 림프구의 비율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비장 적출 후 셀 스트레이너(cell strain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유리시킨 후 RBC(Red blood cell),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에 10분간 현탁시켜 적혈구를 파괴하였다. 다음으로 2,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원심 세척하여 림프구의 수를 5.0×106cell/㎖ 농도로 희석하였다. FITC anti-chicken CD3(총 T 세포)와 PE 안티치킨(anti-chicken) BU -1 (B 세포) 또는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안티치킨(anti-chicken) CD4(help T cell)와 PE 안티치킨(anti-chicken) CD8(cytotoxic T세포)의 항체로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켜 염색하였다. 반응 후에 2회 원심세척하고 PBS 1㎖를 분주하여 유세포 분석기(FACS Calibur FACS, BD Biosciences, USA)를 이용하여 비장내 림프구 비율을 측정하였다.The ratio of lymphocytes isolated from the spleen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After splenectomy, the cells were liberated using a cell strainer, and the cells were suspended in RBC (red blood cell) and lysis buffer for 10 minutes to destroy the red blood cells. After centrifugation at 2,500 rpm for 5 minute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the number of lymphocytes was diluted to 5.0 × 10 6 cells / ㎖ by centrifugation with PBS (Phosphate Buffer Saline). FITC anti-chicken CD3 (total T cells) and PE anti-chicken BU-1 (B cells) or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 anti-chicken CD4 (help T cell) And stained with anti-chicken CD8 (cytotoxic T-cell) antibody for 30 min in the dark room. After the reaction, the cells were centrifuged twice, and 1 ml of PBS was dispensed. The ratio of lymphocytes in the spleen was measured using a flow cytometer (FACS Calibur FACS, BD Biosciences, USA).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육계의 비장에서 분리한 림프구(helper T 세포)에서의 CD4+와 CD8+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4 is a graph showing the ratio of CD4 + to CD8 + in lymphocytes (helper T cells) isolated from the spleen of broiler chickens against the resin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점안(ocular)에 대한 결과 1 내지 4는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스프레이 3(1:0.1~0.5)의 조성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results 1 to 4 of ocula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spray 3 (1: 0.1 to 0.5) shows a significant change.

일반적인 면역상태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CD4+와 CD8+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0.827±0.210)에 비해 스프레이 3의 조성에서만 1.358±0.225라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Analysis of the ratio of CD4 + to CD8 + ,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general immune statu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only 1.358 ± 0.225 in the composition of spray 3 compared to the control (0.827 ± 0.210).

7-2. 혈중 라이소자임(lysozyme) 활성 정도 실험7-2. Experiments on the activity of lysozyme activity in blood

결정 라이소자임의 세균에 대한 분해 정도를 표준 커브로 사용하여 대조군과 봉독 투여군들의 혈장 라이소자임 농도를 비교 측정함으로써 대식세포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혈청 중 라이소자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결정 라이소자임을 0.5, 1, 2, 3, 4, 5㎍/㎖의 농도로 녹여 표준으로 준비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200㎕ 씩의 라이소데익티쿠스(lysodeikticus) 용액을 넣고, 미리 준비한 표준 라이소자임 또는 혈청 20㎕씩 첨가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시료를 41℃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15분 간격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540㎚). 시료의 라이소자임 활성 측정은 표준 커브에 시료의 시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대입하여 구하였다.The activity of macrophages was evaluated by comparing plasma lysozyme concentrations of control and bee venom groups using the degree of degradation of crystalline lysozyme as a standard curve. To measure lysozyme activity in serum, crystalline lysozyme was dissolved at a concentration of 0.5, 1, 2, 3, 4, 5 μg / ml and prepared as standard. To each well of the 96-well plate was added 200 [mu] l of lysodeikticus solution and 20 [mu] l of the standard lysozyme prepared beforehand or serum was added. The samples thus prepared were incubated at 41 ° C for 1 hour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intervals of 15 minutes (540 nm). The lysozyme activity of the sample was determined by substituting the standard curve for the change in absorbance with time of the sample.

대식세포에서 주로 분비되는 세균벽 파괴효소인 라이소자임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9.113±1.118)에 비해 스프레이 3의 조성이 11.870±0.446으로 측정되어 유의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The concentration of lysozyme, a bacterial wall-destroying enzyme secreted mainly from macrophages, was measured as 11.870 ± 0.446,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9.113 ± 1.118).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의 라이소자임 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2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lysozyme activity of resin bee ven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스프레이3 수지봉독(**로 표시)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결과를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it can be seen that the spray 3 resin bee venom (indicated by **) shows significant result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7-3. 봉독분획의 항염증 활성 연구7-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bee venom fraction

염증은 상처를 줄 수 있는 자극에 대한 생체의 방어 반응으로, 다양한 세포와 cytokine들이 관여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 과정은 lipopolysaccharide(LPS) 와 같은 외부 자극원 또는 arachidonic acid 대사체 같은 내부 자극원들을 주요 매개로 하여 macrophage, granulocyte와 같은 염증성 세포를 염증부위로 침윤 시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특히 염증 부위의 활성화 된 macrophage는 cytokine 뿐 아니라 arachidonic acid 대사체 그리고 nitric oxide(NO)등을 대량 생성함으로써 염증 매개에 큰 역할을 한다. Inflammation is a defensive response of the body to a stimulus that can cause injury, and is a series of processes involving various cells and cytokines. This process is characterized by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such as macrophages and granulocytes into inflammatory sites, mainly through internal stimulus sources such as lipopolysaccharide (LPS) or arachidonic acid metabolites. In particular, activated macrophages of inflammatory sites play a major role in mediating inflammation by mass production of not only cytokines but also arachidonic acid metabolites and nitric oxide (NO).

현재 염증성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많은 후보물질들이 iNOS 또는 COX-2의 활성을 직접 억제하거나, 전사 단계를 조절하는 NF-B signaling 등을 억제함으로써 iNOS와 COX-2의 발현 유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물질들이다. Currently, many candidates developed to prevent inflammatory damage selectively regulate the induc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by directly inhibiting the activity of iNOS or COX-2 or inhibiting NF-B signaling, which regulates transcriptional steps These are materials that have the ability to function.

RAW 264.7세포주에 봉독조성별로 각각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를 5X105씩 96-well plate의 각 well에 넣고 8시간 안정화시킨 후, LBV 시료를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16시간 전처리하였다. 그 후 대식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세포내독소인 LPS(lopopolysaccharide)를 2 ug/ml의 농도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RAW 264.7세포의 생존율은 세포배양 후 MTT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세포 염증의 지표로서 세포 배양액 중에 함유된 NO(nitric oxide)와 TNF-α(tumor-necrosis factor-α)를 정량키트를 통해 측정함으로서 LPS 유도 대식세포 염증에 대한 BV의 항염증 효과를 계측하였다. The cytotoxicity of RAW 264.7 cells according to their concentrations was investigated. RAW 264.7 macrophages were inoculated into each well of a 96-well plate at 5 × 10 5 for 8 hours, and LBV samples were added for each concentration and pretreated for 16 hours. LPS (lopopolysaccharide), an intracellular toxin that causes inflammation in macrophages, was treated with cells to a concentration of 2 ug / ml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 survival rate of RAW 264.7 cells was measured by MTT after cell culture and the amount of nitric oxide (NO) and TNF-α (tumor-necrosis factor-α) contained in the cell culture medium was measured using a quantitative kit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V on LPS-induced macrophage inflammation were measured.

그 결과, 봉독분획의 조성비에 따라 세포독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LBV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항염증 반응을 나타내었다(도 26). 이 결과에서와 같이 봉독은 그 조성에 따라 독성 및 항염증 효과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ytotoxic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bee venom fractions, and LBV showed an anti-inflammatory reaction within the range of no cytotoxicity (FIG. 26). As seen from this result, bee venom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according to its composition.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분획 중 지용성 분획(LBV)에 대한 세포독성 보여주는 그래프이다.26 is a graph showing cytotoxicity against lipid soluble fraction (LBV) in the bee venom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분획 중 지용성 분획(LBV)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ure 27 is a graph show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lip balm fraction (LBV) in the bee venom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수지봉독을 사용한 항통증 실험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The results of the anti-pain test using resin bee venom will be discussed below.

신경병증적 통증은 주로 말초신경 손상 후 발생하는 자발통, 이질통 및 통각과민 등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통증증후군이며 온도변화나 가벼운 접촉에 의해서도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일반적인 진통제나 마약제재에 의해 통증이 잘 완화되지 않는다.Neuropathic pain is a chronic pain syndrome characterized mainly by spontaneous pain, allodynia, and hyperalgesia that occurs after peripheral nerve injury. It causes severe pain by temperature change or light contact, and pain relieved by general pain medication or drugs. Do not.

신경병증적 통증을 나타내는 기전에 대한 지식 및 그것을 조절하는 새로운 약물들을 찾는 능력은 외상 후 통증이 오는 말초신경병증 랫드 모델의 도입으로 크게 진전되었다. Knowledge of the mechanism of neuropathic pain and the ability to identify new medications that regulate it has been greatly enhanced by the introduction of peripheral neuropathic rat models with posttraumatic pain.

현재까지 랫드의 신경병증적 통증모델은 CCI(만성 압축 손상:Chronic Constriction Injury), PSL(부분적 좌골신경 결찰:Partial Sciatic Ligation), SNL(척수신경 결찰: Spinal Nerve Ligation) 등 3가지 모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To date, neuropathic pain models in rats have been widely used in three models: CCI (Chronic Constriction Injury), PSL (Partial Sciatic Ligation), and SNL (Spinal Nerve Ligation) .

이들 모델을 만드는 기본 과정에 따르는 4종류의 행동적 기준(assay)들이 신경병증적 통증증상들을 정량화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즉, 열에 대한 통각과민(Protocol 1: Heat Hyperalgesia), 기계적인 통각과민(Protocol 2: Mechano Hyperalgesia), 기계적인 이질통(Protocol 3: Mechano Allodynia), 그리고 냉에 대한 이질통(Protocol 4: Cold allodynia) 등이 기본 통증모델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공통적으로 측정된다.Four types of behavioral assays following the basic process of making these models are used to quantify neuropathic pain symptoms. Protocol 1 (Thermal Hyperalgesia), Mechano Hyperalgesia, Mechano Allodynia, and Protocol 4 (cold allodynia). Are commonly measured to assess the outcome of this basic pain model.

참고로 통각과민(Hyperalgesia)은 아픔을 과대하게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때때로 촉자극(刺戟)이나 온도자극 등, 보통은 아픔으로 느끼지 않는 것과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아픔을 느낀다. 통각로가 자극상태에 있다고 생각되며, 신경통, 신경염, 뇌나 척수의 염증, 수막염 등의 초기에 볼 수 있다. 통각수용자극에 의해 통증이 정상보다 증강되고 오래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Hyperalgesia refers to a situation where you feel the pain is excessive. Sometimes I feel pain, such as stimuli or temperature stimuli, which usually do not feel pain. The pain is thought to be in a state of irritation, and it can be seen early in neuralgia, neuritis, inflammation of the brain or spinal cord, meningitis. Pain is augmented and sustained over time by stimulation of pain receptors.

이질통은 통각 수용기를 활성화시키지 못하는 자극에도 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Allergic pain means that pain is also present in stimuli that do not activate the nociceptor receptors.

여기서 이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통각과민은 유해성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과도한 통증 감각이고 이질통은 비유해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이다. 개념적으로는 이 둘의 차이점이 구별되지만, 쥐와 환자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그 차이가 모호한 경우가 있다. Here, these definitions are as follows. Hyperalgesia is an excessive pain sensation caused by a harmful stimulus, and allodynia is a pain caused by an analogous stimulus. Conceptuall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is different, but the difference is ambiguous in experiments using mice and patients.

(1) 만성 수축성 상해 모델: 외상 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의 첫번째 모델인 CCI 모델은 좌골 신경의 부분적인 신경절을 형성하는데 좌골신경은 무수초의 축색돌기(unmyelinated axons)보다 유수초의 구심성축색(myelinated afferent axons)에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 말초신경을 전부 절개했던 이전 모델들과는 다르게 CCI 모델은 부분적인 단절을 통하여 신경의 타겟인 뒷다리를 자극해 유도되는 통증행동 분석을 가능하게 해준다.(1) Chronic contraction injury model: The CCI model, which is the first model of traumatic peripheral neuropathic pain, forms the partial ganglion of the sciatic nerve. The sciatic nerve is more afferent axillary axillary myelinated afferent axons). Unlike previous models that have completely excised peripheral nerves, the CCI model allows partial pain relief of pain behavior induced by stimulating the hindpaw of the nerve.

(2) 신경병증성 통증의 국소 좌골신경 결찰(PSL) 모델(2) local sciatic nerve ligation (PSL) model of neuropathic pain

PSL 모델은 좌골신경의 국소 탈신경을 포함하지만 영향은 모든 굵기의 축색돌기(axon)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The PSL model includes local delineation of the sciatic nerve, but the effect is the same in all axon axons.

(3) 신경병증성 통증의 척수신경결찰(SNL) 모델(3) Spinal nerve ligation (SNL) model of neuropathic pain

좌골신경 안에 있는 구심성 축색은 4번째와 5번째 요추후근(lumbar dorsal roots)안에 그들의 중심가지(central branches)를 가지고 있다. CCI와 PSL 모델과 동일하게 SNL 모델은 좌골신경의 국소 탈신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PSL 모델과 동일하게 모든 사이즈의 구심성 축색(afferent axon)에서 효과가 같다. SNL 모델은 신경손상이 요척수 5번과 6번 신경수준에서 나타나는 것이 특색이다. 이곳은 척수신경의 후근(dorsal roots)과 복근(ventral root)이 후근신경절(DRG, Dorsal Root ganglion)의 원위부에서 만나는 지점이며, 척수신경이 다양한 말초신경으로 분류되는 요신경총(lumbar plexus)의 근위부위에 해당한다. Afferent axons in the sciatic nerve have their central branches in the fourth and fifth lumbar dorsal roots. Like the CCI and PSL models, the SNL model provides local delineation of the sciatic nerve. And, like the PSL model, the effect is the same in all sizes of afferent axons. The SNL model is characterized by nerve damage occurring at the level of the nerves 5 and 6. This is where the dorsal roots and the ventral root meet at the distal part of the DRG (Dorsal Root ganglion) and the spinal nerves are located at the proximal part of the lumbar plexus Respectively.

요신경총은 요추(腰椎) 양측에서 후복벽 속에 있는 요신경의 망상구조로 사람은 제1, 2, 3 요신경의 전지(前枝)와 제12흉신경 및 제4요신경의 전지의 일부로 되어 있다. 그 아래 천골신경총과 합쳐 요천골신경총이라고도 한다. 분포 영역은 대략 하복부 ·골반 ·대퇴의 근육과 피부이며 이곳의 주요 신경에는 장골하복신경·장골서혜신경·음부대퇴신경·외측대퇴피신경·대퇴신경·폐쇄신경 등이 있다. The plexus is the reticular structure of the urogenital nerve in the abdominal wall on both sides of the lumbar vertebra. The human is part of the cells of the anterior nerv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nerves, have. It is also called sacral plexus combined with sacral plexus. The distribution area is the muscles and skin of the lower abdomen, pelvis, and femur. The main nerves of the abdomen include the iliac lower nerves, the iliac crest, the femoral nerve, the lateral femoral nerve, the femoral nerve, and the closed nerve.

SNL 모델의 가장 유리한 점은 4번째 요추후근(lumber dorsal root)을 경유해 좌골 신경의 구심성축색(afferent axon)을 상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The most advantageous feature of the SNL model is that it does not damage the afferent axon of the sciatic nerve via the fourth lumbar dorsal root.

이하에서는 열 통각과민, 기계적 통각과민, 기계적 이질통, 냉이질통에 대한 행동연구에 대해서 서술한다. Hereinafter, behavioral studies on thermal hyperalgesia, mechanical hyperalgesia, mechanical allodynia, and cold sores are described.

(1) 열통각과민은 하그리브스(Hargreaves) 장치를 사용해 측정한다. 하그리브스 장치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칸막이 안에 쥐들이 갇혀 있고, 밝고 열이 나는 광원을 뒷발바닥에 쏘이는 발톱튀기기(paw-flick) 테스트로 진행한다. (1) Thermal hyperalgesia is measured using a Hargreaves device. The Hargreaves unit goes through a paw-flick test where the mice are trapped in a clear plastic compartment and a bright, heated light source hits the hindpaw.

이러한 발톱튀기기(paw-flick) 테스트의 주요한 측정결과는 각 뒷발의 평균 도피 잠복기가 된다. The main measurement result of this paw-flick test is the mean epithelial latency of each hind paw.

(2) 기계적 통각과민은 바늘로 찌르는 테스트이다. 기계적 통각 과민 테스트는 두가지 방법으로 측정된다. 쥐들은 철망바닥이 깔린 투명한 플라스틱 케이지 안에 갇혀 있고, 그물은 약 1cm의 직경이다. 만약 구멍이 더 크면 신경 손상된 발은 구멍으로 빠질 것이고, 만약 더 작으면 보기가 힘들 것이다. 바늘로 찌르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은 매우 작은 진폭과 짧고 지속적인 도피반사이다. 신경 손상 이후에는 진폭과 지속이 많이 증가하고, 동물은 자극 부위를 자주 핥을 것이다. 자극을 받는 발은 종종 무감각한 지점을 갖고, 그 기점은 둘이나 세지점을 자극해야 한다. 이 테스트가 끝나면 동일 자극이 반대편 발바닥에 가해져야 한다. 자극을 받은 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거의 휴식을 취할 때마다 자극해야 한다. 왜냐하면, 강하게 굽힌 다리는 추가적인 굴근 반응의 탐지가 어렵기 때문이다. (2) Mechanical hyperalgesia is a needle stab test. The mechanical hyperalgesia test is measured in two ways. Rats are trapped in a transparent plastic cage with wire mesh bottoms, and the net is about 1 cm in diameter. If the hole is bigger, the nerve-damaged foot will fall into the hole, and if it is smaller, it will be hard to see. The general reaction to stabbing is very small amplitudes and short, continuous escape reflections. After nerve damage, the amplitude and duration are increased a lot, and animals will often lick the stimulus area. Stimulated feet often have senseless points, which must stimulate two or three points. At the end of this test, the same stimulus should be applied to the opposite foot. Stimulated rats should be stimulated every time they take a break or take a break.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ct an additional flexor reaction in a strongly bent limb.

(3) 기계적 이질통은 본프레이 헤어스(von Frey Hairs)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헤어스(hairs)는 서로 다른 직경의 나일론 모노필라멘트(단사)인데 헤어가 구부러지게 하는 정도의 힘으로 피부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정해진 정도의 힘을 발휘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노필라멘트의 세팅은 세므-와인스타인 시리즈(Semmes-Weinstein series)에 나온다. 모노필라멘트는 20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고 그 특징은 표 8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3) Mechanical allodynia is measured using von Frey Hairs. Hairs are nylon monofilaments of different diameters, which exert a certain amount of forc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skin with a degree of bending of the hair. Commonly used monofilament settings are found in the Semmes-Weinstein series. The monofilament is composed of 20 filaments, the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shown in Table 8.

순서order 라벨(Log force(0.1mg))Label (Log force (0.1 mg)) 힘(force)(g)Force (g) 직경(mm)Diameter (mm) 1One 1.651.65 0.00450.0045 0.06350.0635 22 2.362.36 0.02300.0230 0.07620.0762 33 2.442.44 0.02750.0275 0.10160.1016 44 2.832.83 0.06770.0677 0.12700.1270 55 3.223.22 0.11600.1160 0.15240.1524 66 3.613.61 0.40820.4082 0.17780.1778 77 3.843.84 0.69680.6968 0.20320.2032 88 4.084.08 1.1941.194 0.22860.2286 99 4.174.17 1.4941.494 0.25400.2540 1010 4.314.31 2.0622.062 0.30480.3048 1111 4.564.56 3.6323.632 0.35560.3556 1212 4.744.74 5.5005.500 0.38100.3810 1313 4.944.94 8.6508.650 0.40640.4064 1414 5.075.07 11.7011.70 0.43180.4318 1515 5.185.18 15.0015.00 0.48260.4826 1616 5.465.46 29.0029.00 0.55880.5588 1717 5.885.88 75.0075.00 0.71120.7112 1818 6.106.10 127.0127.0 0.81280.8128 1919 6.456.45 281.5281.5 1.01601.0160 2020 6.656.65 447.0447.0 1.14301.1430

본프레이 헤어스(von Frey Hairs)에 대해 유의해야 할 몇 가지 포인트는 첫째, 자극은 때때로 압력(뉴턴= 힘×면적)의 단위로 보고된다는 것이다. 자극 영역에서 머리카락의 전체 단면적은 피부와 동등한 접촉에 있는지, 어떤 모서리 효과가 없는지 그리고 피부의 탄력이 무시될 수 있는지 등을 가정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둘째, 나일론 모노필라멘트는 친수성으로 흔히 발생 습도에서 단단함과 나타내는 힘이 놀라울 정도로 큰 영향을 받아 변화가 나타난다. 이것은 좌우의 비교를 수행할 때 또는 모든 실험그룹이 같은 날 실험을 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할 데이터가 몇 일 또는 몇 주의 과정을 통해 얻은 것을 이용한다면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테스트실의 습도는 주의깊게 확인되어야 한다. 습도의 특정수준은 각 헤어(hair)를 판 밸런스(pan balance)와 비교하여 눌러 보정할 수 있다.Some points to note about von Frey Hairs: First, stimuli are sometimes reported in units of pressure (Newton = force × area).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air in the stimulus region is estimated by assuming that the skin is in equal contact with the skin, there is no edge effect, and the elasticity of the skin can be ignored. Second, the nylon monofilaments are hydrophilic, and are often influenced by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resulting humidity. This is not a problem when performing left-right comparisons or whe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re performing the same day experiment. However, serious errors may occur if the data to be compared is obtained using a few days or weeks of processing. In the latter case, the humidity in the test chamber should be carefully checked. A specific level of humidity can be corrected by comparing each hair with its pan balance.

셋째, 모노필라멘트의 끝이 무딘 경우 날카로운 지점이 상대적으로 무딘 끝대신 적용된다. Third, when the end of the monofilament is blunt, the sharp point is applied instead of the relatively blunt end.

<실험예8>Experimental Example 8

SNL 모델을 활용하여 봉독 조성물의 이질통에 대한 항통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250~300g의 수컷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rat) 종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료는 깔집 위에 충분히 공급하여 통증 유발에 따른 통증으로 인한 사료 섭취의 어려움을 최소화시켰으며, 실험에 따른 모든 측정방법은 NIH(NIH publication no. 86-23, revised 1985)에 따라 수행하였고, 통증 관련 실험은 국제 통증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 규정을 준수하였다.(Zimmermann M., Pain, 16: 109-110(1983)).
SNL model was used to confirm anti - pain effects on alopecia areata. Male Sprague-Dawley rats of 250-300 g were used in the experiment. All feeds were fed on the bedside to minimize the difficulty of feeding due to the pain caused by the pain.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NIH (NIH publication no. 86-23, revised 1985) The experiment was in compliance with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 (Zimmermann M., Pain, 16: 109-110 (1983)).

쥐(rat)를 2% halothane과 N2O/O2(2:1 ratio) 혼합가스로 흡입 마취시킨 후 등쪽의 털을 깍고 수술대 위에 복와위(prone position)로 올려 놓고 사지를 고정시켰다. 모든 수술은 무균적으로 조작하였고, 쥐의 왼쪽 허리 엉치부위(lumbar& sacral regions)의 등쪽 부분을 위, 아래로 3cm 정도 절개한 후, 등근육을 싸는 근막을 미세가위(blunt-tipped scissor)를 사용하여 등근육과 결합조직을 제거하여 6번째 허리 척추(L6)의 가로 돌기를 제거하고, 그 아래로 지나가는 L5 척수신경의 앞 가지(ventral ramus)를 실크(black silk, 6.0)를 이용하여 단단히 붙들어매고, 매듭의 아래 척수신경을 미세가위로 자르고, 근육과 피부를 봉합하여 일련의 결찰수술을 완료하였다. 대조군(sham)은 위의 방법 중 결찰과 신경절단 전단계까지는 동일하게 시행한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Rats were anesthetized with a mixture of 2% halothane and N 2 O / O 2 (2: 1 ratio), and their dorsal hairs were placed on the operating table in a prone position. All operations were aseptically operated, and the dorsal part of the left lumbar and sacral regions of the rat was incised up and down about 3 cm and the fascia surrounding the dorsal muscle was blunt-tipped scissor The lumbar spine (L6) was removed and the ventral ramus of the L5 spinal nerve passing under the spinal nerve was tightly held with a silk (6.0) A series of ligature surgery was completed by cutting the spinal cord nerve to the lower part of the braid, the knot, and suturing the muscle and skin. In the control group (sham), the same procedure was applied to the pre-ligation and nerve shearing stages, and the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실험 결과)(Experiment result)

척수신경 결찰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난 랫드의 경우 수술된 쪽의 발바닥이 아래로 떨어지고(planar flexion), 안쪽을 향하며(inversion), 뒷다리를 약간 절름거리며, 지면에 완전히 착지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인다.In the case of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spinal nerve ligation surgery, the foot of the operated side is planar flexion, inward, hind limb slightly, and not completely landed on the ground.

이러한 쥐(rat)는 수술 후 특징적인 신경병증성 통증반응(neuropathic behaviors), 즉 부드러운 낙타털의 자극에도 발바닥을 들어올리는 행동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통증반응은 수술 후 5일 정도에 최고점에 이른다. 즉 수술 후, 7일이 지난 시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LWBV) 0.1~0.5mg/kg(body weight, B.W.)과 수용성봉독(WBV) 0.1mg/kg(b.w)의 농도를 투여한다. 즉, 실험동물의 체중 250g을 기준으로 0.0001~1mg/kg 투여의 경우 0.025~0.25mg의 수지봉독 조성물을 멸균식염수 또는 용제(프로필렌글리콜 0.05~1wt%, 에탄올 0.1~5.0wt% 및 멸균수 등의 혼합 용제) 0.5ml에 녹여 각각 복강주사한 후, 시간대별로 앞서 설명한 행동기준(behavioral assays(mechano-allodynia)법으로 "von Frey Hair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These rats exhibit postural neuropathic behaviors, ie, lifting the soles to the stimulation of soft camel hair. These pain responses peak at five days post-surgery. (LWBV) 0.1 to 0.5 mg / kg body weight (BW) and water soluble bee venom (WBV) 0.1 mg / kg bw ) &Lt; / RTI &gt; That is, 0.025 to 0.25 mg of the resin preserving composition is applied to a test animal in an amount of 0.0001 to 1 mg / kg based on 250 g of the body weight of an experimental animal, in sterilized saline or a solvent (0.05 to 1 wt% of propylene glycol, 0.1 to 5.0 wt% of ethanol, (Mixed solvent). After each intraperitoneal injection, they were evaluated using "von Frey Hairs" by behavioral assays (mechano-allodynia) as described above.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통증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막대그래프이다. 28 is a bar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pain tests of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봉독 조성에 따른 항통증 효과를 보여주는 꺾은선 그래프이다. 29 is a line graph showing the anti-pain effect according to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투여군이 0.5시간 이후의 항통증적 지속성이 더 크고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S. 28 to 29,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pain persistence after 0.5 hours of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ity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greater and remarkably exhibited.

이것은 서로 다른 봉독 분획에 따라 통증에 대한 지속성(효과)이 차별화됨을 보여준다. 또한 본 실험예를 통해 만성통증에 대한 항통증 효과 분획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활용의 선택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This shows that the persistence (effect) of pain is differentiated by different bee venom fractions. In addition, this experiment shows the selectivity of the use of the resin bee keeping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nti-pain effect fraction for chronic pain.

한편 수지봉독의 이와 같은 차별화된 작용기전을 구체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사전 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지봉독을 주사한 그룹과 사후 수지봉독을 처리한 그룹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경 결찰 2주 후에 중대하게 기계적인 통증의 한계치가 증가되었다. 게다가 신경 연결 7일 후에 위수술군(sham group)과 비교했을 때, 기계적인 통증에서 매우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었다.To elucidate the differential mechanism of action of resin bee venom, we compared the groups that injected resin bee venom with the pre - surgical method and the group that treated after - treatment bee venom. As a result, the threshold of mechanical pai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2 weeks of neural ligation. In addition, a remarkable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chanical pain when compared with the sham group after 7 days of nerve connection.

사후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 처리를 한 그룹에서 기계적인 한계치(SNL)는 7일 후에 크게 증대하였다. 그리고 이 효과는 SNL 후 14일 동안 지속되었다.
The mechanical tolerance (SNL)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mmune enhancement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7 days. This effect lasted 14 days after SNL.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is carried out. This is possible.

Claims (16)

봉독을 수용성용매와 지용성용매를 이용하여 1차 분별하는 단계(S10);
분별된 1차 수용성층에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2차 분별하는 단계(S20);
분별된 2차 수용성층에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3차 분별하는 단계(S30);
분별된 3차 수용성층을 필터링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여 수용성층을 준비하는 단계(S40);
1차 분별된 1차 지용성층에 2차 분별된 지용성층과 3차 분별된 지용성층을 합한 다음 필터링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여 지용성층을 준비하는 단계(S50);
3차 수용성층을 필터링한 수용성층과 필터링된 지용성층을 혼합하는 단계(S60); 및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혼합물을 농축 및 건조하여 수지봉독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S10) a first step of separating bee venom using a water-soluble solvent and a fat-soluble solvent;
(S20) of adding a fat-soluble solvent to the separated primary water-soluble layer to secondary fractionate it;
A step (S30) of tertiary fractionation by adding a fat-soluble solvent to the separated secondary water-soluble layer;
Filtering the separated tertiary water-soluble layer to remove insoluble components to prepare a water-soluble layer (S40);
A step (S50) of preparing a liposoluble layer by removing an insoluble component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liposoluble layers separated in the first separated liposoluble layer and the third separated liposoluble layer;
Mixing the water-soluble layer filtered with the third water-soluble layer and the filtered liposoluble layer (S60); And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mixture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fat-soluble layer to obtain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S70)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for immuno-enhancing and pain treatment.
봉독을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S11);
상기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봉독을 원심분리하여 수용성층을 취하고 필터링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는 단계(S21);
원심분리한 잔사를 건조하여 수용성용매를 제거하는 단계(S31);
봉독에 대하여 지용성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S41);
상기 지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봉독을 여과하여 불용성성분을 제거하는 단계(S51);
준비된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을 서로 혼합하는 단계(S61); 및
상기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혼합물을 농축 및 건조하여 수지봉독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S71);를 포함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Extracting bee venom using a water-soluble solvent (S11);
Centrifuging the bee venom extracted using the water-soluble solvent to remove the insoluble component (S21);
Drying the centrifuged residue to remove the water-soluble solvent (S31);
Adding a fat-soluble solvent to the bee venom and extracting it (S41);
Filtering bee venom extracted using the oil-soluble solvent to remove insoluble components (S51);
Mixing the prepared water-soluble layer and a fat-soluble layer with each other (S61); And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mixture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fat-soluble layer to obtain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S71); a method of producing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for immunological enhancement and pain treatment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용매는 물, 에틸알콜, 메틸알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ater-soluble solvent is water, ethyl alcohol, methyl alcohol,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for immunological enhancement and pain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용매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에테르,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at-soluble solvent is any one selected from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ether, butano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농축 및 건조하여 수득된 상기 수지봉독 조성물에 대하여 20,000~30,000V 사이의 전압으로 1~50㎲ 시간 동안 고전압 처리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Resin poisoning composition for immuno-enhancing and pain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S80) for a high voltage for 1 ~ 50 ㎲ time at a voltage between 20,000 ~ 30,000V with respect to the resin poisoning composition obtained by concentration and drying Manufacturing metho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부피비가 1:0.1~1일 때 면역증강과 통증치료에 효율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volume ratio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fat-soluble layer is 1: 0.1 ~ 1, the method of producing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for immuno-enhancing and pain treatment exhibiting effective features for immuno-enhancing and pain treatm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층과 지용성층의 부피비가 0~0.5:1로 이루어진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olume ratio of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fat-soluble lay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for inflammation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consisting of 0 ~ 0.5: 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봉독 조성물은 육계에 투여시 육계의 비장에서 CD4+/CD8+의 비율이 0.4~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is a method of producing a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immune augmentation and pain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CD4 + / CD8 + in the spleen of broiler when administered to broile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봉독 조성물은 육계에 투여시 라이소자임 활성이 7~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immuno-enhancing and pain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ysozyme activity is 7 ~ 14 ㎍ / ㎖ when administered to broile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봉독 조성물은 접안 또는 비강투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is a method of producing a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immuno-enhancing and pain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administered in the eyepiece or nasal administr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봉독 조성물은 비단백질 성분으로 디노닐프탈레이트(dinonyl phthalate), 크리신(chrysin), 11-에이코세놀(11-eicosenol), 시티딘(cytidine), 아데노신(adenosine), 피노셈브린(pinocembri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is a nonprotein component of dinonyl phthalate, chrysin, 11-eicosenol, cytidine, adenosine, and pinocembrin.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for immuno-enhancing and pain treatment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봉독 조성물은 단백질 성분으로 멜리틴, 아파민, 포스포리파제A-2, 엠씨디펩타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sin poisoning composition is a method of producing a resin poisoning composition for immuno-enhancing and pain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melittin, apamin, phospholipase A-2, MC peptide as a protein compon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봉독 조성물은 세포 독성 및 항염증에 대한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염증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bee venom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mmune augmentation, inflammation and pain, characterized by effects on cyto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제1항의 방법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봉독 조성물의 동물 체중당 투여량이 0.0001~1mg/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ose per animal body of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obtained by the method of claim 1 or the method of claim 2 is 0.0001 to 1 mg / k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피하 또는 복강주사 방식으로 투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can be injected subcutaneously or intraperitoneall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봉독 조성물은 멸균식염수 또는 용제(프로필렌글리콜 0.05~1%, 에탄올 0.1~5.0% 및 멸균수 등의 혼합용제) 0.1~10㎖에 녹여 동물의 신체에 도포 또는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sin bee venom composition is dissolved in 0.1 to 10 ml of sterilized saline or a solvent (0.05 to 1% of propylene glycol, 0.1 to 5.0% of ethanol and sterilized water, etc.) and applied or introduced into the body of an animal Lt; / RTI &gt;
KR1020120065718A 2011-09-21 2012-06-19 Lipid water soluble bee venom extracts for improving immunity and for curing inflammation and for curing pain and composition for parenteral medicin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4188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5093 2011-09-21
KR1020110095093 2011-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773A true KR20130031773A (en) 2013-03-29
KR101418881B1 KR101418881B1 (en) 2014-07-17

Family

ID=4818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718A KR101418881B1 (en) 2011-09-21 2012-06-19 Lipid water soluble bee venom extracts for improving immunity and for curing inflammation and for curing pain and composition for parenteral medicin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8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78A (en) 2018-10-29 2020-05-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crude venom isolated from Bracon hebe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66B1 (en) 2014-10-10 2016-10-0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of making injection liquid comprising scolopendra subspinipe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the injection liquid made by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496B1 (en) * 2001-09-26 2005-04-19 마응천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composition containing an aqueous fraction of bee venom
KR101070600B1 (en) 2009-05-22 2011-10-06 주식회사 휴온스 Composition comprising the purified fraction isolated from Bee Ven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KR101391911B1 (en) * 2010-12-20 2014-05-07 (주)비센 Bee venom composition having improved growth rate and immune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78A (en) 2018-10-29 2020-05-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crude venom isolated from Bracon hebe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881B1 (en)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618B1 (en) Drug against central nervous system inflammation
KR101391911B1 (en) Bee venom composition having improved growth rate and immune function
Acharya et al. Alternatives to fight against coccidiosis: A review
JP6603923B2 (en) A chicken breast-derived plasmalogen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a food composition or supplement for improving and / 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the composition
CN104411296A (en) Cosmetics, pharmaceuticals, an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pieces or extract from fish eyes
KR101418881B1 (en) Lipid water soluble bee venom extracts for improving immunity and for curing inflammation and for curing pain and composition for parenteral medicin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4224906B (en) A kind of Chinese medicine origanum oil emulsion for injec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U709620B2 (en) New applications of lysozyme dimer
EP372532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gathobaculum sp. strain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
RU2441660C1 (en) Method of treatment of subclinical mastitis in lactating cows
CN104208678B (en) A kind of antivirus veterinary composition, lyophilized powder,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101500485B1 (en) Compositions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Pain Comprising Ilex paraguayensis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EP1525887A1 (en) Drugs including anticancer agents and immunopotentiators and health foods and drinks
KR10223486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uscle atrophy comprising lespedeza bicolor extract
US6183742B1 (en) Applications of lysozyme dimer
JP2010537670A (en) Morinda citrifolia preparation for regulating T cell immune regulation in newborn livestock
KR20190136543A (en) Compos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comprising Humulus japonicu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90054695A (en) Compositions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Pain Comprising Camellia japonica L. Extracts
RU2774843C1 (en) Method for obtaining a feed additive for growing broiler chickens
KR102514847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gnitive dysfunction or neuroinflammation comprising extracts of centella asiatica, cnidium monnieri, and lycium barbarum linne
US20220079999A1 (en) Antivenom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6983771B (en) Medicine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ippocampus head ulceration
Davou et al. Some attempted strategies towards the control of avian coccidiosis: a review
KR101980802B1 (en) Composition comprising bee venom isolated from Vespa mandarinia worker for prevention or treating bovine mastitis
Elsayed The bioactive effect of royal jelly against histamine level induced by lysophosphatidic acid (L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