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421A - A frame for bed - Google Patents

A frame for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421A
KR20130031421A KR1020110094972A KR20110094972A KR20130031421A KR 20130031421 A KR20130031421 A KR 20130031421A KR 1020110094972 A KR1020110094972 A KR 1020110094972A KR 20110094972 A KR20110094972 A KR 20110094972A KR 20130031421 A KR20130031421 A KR 2013003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bed frame
lower support
exten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0276B1 (en
Inventor
김경임
Original Assignee
김경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임 filed Critical 김경임
Priority to KR102011009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276B1/en
Publication of KR2013003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frame for a bed is provided to improve assembility by easily and removably assemble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by a simple insertion method. CONSTITUTION: A frame for a bed comprises upper frames(21-24) which are located in the upper part to support a matrix and lower frames(31-34) which are located in the lower part to support the upper frame, on the floor. The upper frames and the lower frames are assembled through an insertion method to be separat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hole(40).

Description

침대프레임{a frame for bed}Bed frame {a frame for bed}

본 발명은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통 부피를 줄이기 용이하면서도 조립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d frame provided to effectively improve the assemblability while reducing the flow volume.

일반적으로 침대는 침대프레임과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general, a bed comprises a bed frame and a mattress.

이중 침대프레임은 매트리스를 지지하도록 상부에 마련된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과 지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부프레임 하부에 마련된 하부프레임을 구비한다. The double bed frame has an upper frame provided at the top to support the mattress, and a lower fram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frame to support the upper frame and the ground.

경우에 따라 침대프레임의 일측으로는 베개나 이용자 머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보드가 설치될 수 있다. In some cases, a headboard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ed fram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illow or the user's head.

침대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은 통상 사각틀 형태로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은 각각 복수개의 지지대를 연결브래킷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각틀 모양을 이루게 된다. The upper and lower frames constituting the bed frame are usually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formed in a frame-like shap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s respectively using connection brackets.

연결브래킷은 통상 고정볼트 체결방식을 통해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The connecting brackets are usually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s constituting the frame through the fixing bolt fastening method.

그리고 침대 조립시 이러한 상부 및 하부프레임은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 상부에 지지되도록 올려진 상태에서 고정브래킷 등을 통해 상호 고정되며, 이때도 고정브래킷은 보통 고정볼트 체결방식을 통해 상부 및 하부프레임 사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When the bed is assembled,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fixed to each other via a fixing bracket in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is fix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Respectively.

한편, 최근에는 제조업체나 판매처에서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과정에서 침대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부 및 하부프레임 사이는 물론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대 사이가 분리되도록 한 상태에서 침대프레임을 유통시키는 경우가 많다. Recently,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ed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to the consumer from the manufacturer or dealer, the bed frame is often distribut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rames as well as the supporters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separated. .

그러나 종래 침대프레임의 경우 이와 같이 침대프레임을 구성별로 세분화시켜 유통시키게 되면, 소비자가 침대를 사용하기 위해 침대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브래킷 및 고정브래킷을 체결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어 침대프레임의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ed frame, if the bed frame is subdivided and distributed by configuration, the bed frame is consumed a lot of time and effort to fasten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fixing bracket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ed for the consumer to use the b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ssemblability of the deterioration.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통 부피를 줄이기 용이하면서도 조립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침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d frame provided to improve the assembling efficiency while easy to reduce the distribution volu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대프레임은 매트리스를 지지하도록 상부에 마련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지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마련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은 연결구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방식을 통해 일체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e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has an upper frame provided on the upper side to support the mattress, and a lower frame provided on the lower side to support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grou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ted through the fitting metho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상기 상부프레임은 복수개의 상부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복수개의 하부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상부지지대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끼움방식으로 연결시키는 상부지지대 연결부와, 상기 하부지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방식으로 고정되도록 마련된 하부지지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대 연결부와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는 일체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supports, the lower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supports,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for detachably fitting between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is detachable And a lower support fixing part provided to be fixed in a fitting manner, wherein the upper support connecting part and the lower support fixing part are integrally injected.

상기 상부지지대는 4개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각 상부지지대 사이가 4개의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상기 상부지지대 연결부는 “ㄱ"자 형태로 마련된 중공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단부가 수평방향을 따라 측방에서 끼워지도록 상부지지대 끼움구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support is provided in four, the upper frame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support through the four connectors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he upper suppor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hollow body provided in the form of "" " And, both ends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pport fitting holes are provided respectively so that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is fitted in the sid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매트리스는 깔판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는 상기 깔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벽 안쪽에 “ㄱ"자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ttress is supported on the upper frame in a state where the pallet is interposed, and the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b" shape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body to support the pallet.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수평연장되도록 마련된 수평연장판부와, 상기 수평연장판부의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연장되도록 마련된 수직연장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연장판부와, 상기 수직연장판부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연장판부 하부 쪽 상기 몸체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은 상기 하부지지대가 끼워져 고정되는 하부지지대 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provided to extend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ody, a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provid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body of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ower support fitting groove to which the lower support is fitted.

상기 수평연장판부의 높이는 상기 몸체의 상단보다 낮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body.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각 하부지지대 사이가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모서리에 해당하는 인접한 하부지지대 사이가 상기 하부지지대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frame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lower support through the connector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he lower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adjacent lower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corner is fitted into the lower support fitting groove.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연결구 사이에 고정되는 제1하부지지대와, 상기 제1하부지지대와 대향되도록 맞은편 쪽 한 쌍의 상기 연결구 사이에 고정되는 제2하부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부지지대 사이는 보강대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supporter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er fix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connectors and a second lower supporter fixed between a pair of opposite connectors opposite to the first lower support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via a reinforcement.

상기 제1 및 제2하부지지대 사이에 위치된 상기 상부지지대 내벽에는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와 함께 상기 깔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upper suppor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ers to support the pallet together with the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상기 복수개의 상부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는 헤드보드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dboard is integrally provid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pper supports.

상기 연결구에는 끼움방식으로 끼워진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를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수평연장판부 상부의 상기 몸체 내측벽과 상기 수직연장판부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or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fitted in the fitting manner, and the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inner side wall of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and the vertical extens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상기 상부지지대 끼움구 안쪽 상기 몸체 내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대 끼움구를 통해 상기 몸체 내부로 끼워지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끼움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side the upper support fitting hole,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restricting protrusion for limiting the fitting depth of the upper support that is fit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upper support fitting ho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연결구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끼움방식으로 조립되도록 마련된 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의 유통시에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 사이를 분리시켜 침대프레임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침대의 조립시에는 연결구에 의해 상부 및 하부프레임 사이를 간단한 끼움방식에 의해 일체형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침대의 유통 및 조립 편리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assembled in a separable manner by the connecto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ed is distributed, the volume of the bed frame can be reduced by separat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when assembling the bed, the connector is easily integrated into the upper and lower frames by a simple fitting method. Since it is possible to assemb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tribution and assembly convenience of the bed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이 적용된 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이 적용된 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매트리스와 깔판이 침대프레임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연결구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연결구에 상부 및 하부지지대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지지대의 분리 방지를 위해 연결구에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지지대의 분리 방지를 위해 연결구에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ed to which a bed frame is appli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ed to which a bed frame is appli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tress and a pallet are separated from the bed fram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is fitted to the connector of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a connector to prevent separation of upper and lower supports in the state of FIG. 6.
8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in the state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d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d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10)이 채용된 침대(1)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에서 매트리스(2)와 깔판(3)이 침대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1 shows the overall structure of a bed 1 employing a bed fram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 FIG. 2 the mattress 2 and the pallet 3 are separated from the bed frame 10 in FIG. 1. The structure of the state is show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10)은 매트리스(2)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매트리스(2)는 깔판(3)이 개재된 상태로 이러한 침대프레임(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bed fram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support the mattress 2, the mattress 2 is such a bed frame with a pallet 3 ( 1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침대프레임(10)은 상부에 마련된 상부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20)과 지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마련된 하부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 및 하부프레임(20,30)은 연결구(40)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방식을 통해 일체로 조립되도록 마련된다.Bed fram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frame 20 provided on the upper, and a lower frame 30 provided on the lower to support between the upper frame 20 and the grou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 30) Is provided to be integrally assembled through the fitting metho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40).

이와 같이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30)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구(40)에 의해 끼움방식으로 조립되도록 마련된 침대프레임(10)의 구성은 침대(1)의 유통시에는 침대프레임(10)의 부피가 줄어들도록 하고 침대(1)의 조립시에는 침대프레임(1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함으로서, 침대의(1) 유통 및 조립 편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As such, the configuration of the bed frame 10 provided to be assembled by the fitting mechanism 40 so that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3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a bed frame 10 at the time of distribution of the bed 1.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an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bed frame 10 during the assembly of the bed (1), it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distribution and assembly of the bed (1) at the same tim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침대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20)은 4개의 상부지지대(21,22,23,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하부프레임(30)은 4개의 하부지지대(31,32,33,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부 및 하부프레임(20,30)은 상기 연결구(40) 4개의 의해 각각 사각틀 형태를 이룬 상태로 상호 일체로 조립된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3 to 5, first, the upper frame 20 of the bed fram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four upper supports 21, 22, 23, and 24. The frame 30 is configured to include four lower supports 31, 32, 33, and 34,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 and 30 are mutually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four connectors 40, respectively. It is assembled integrally.

연결구(40)는 상부지지대(21,22,23,24)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끼움방식으로 연결시키는 상부지지대 연결부(50)와, 하부지지대(31,32,33,34)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방식으로 고정되도록 마련된 하부지지대 고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연결구(40)는 상부지지대 연결부(50)와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60)가 일체로 사출된 사출물로 제작된다. The connector 40 is detachably fitted to the upper support connecting portion 50 and the lower support 31, 32, 33, 34 to connect between the upper support (21, 22, 23, 24) in a detachable mann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60 is provided to be fixed in such a way, such a connector 40 is made of an injection molded injection of the upper support connecting portion 50 and the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60 integrally.

상부지지대 연결부(50)는 “ㄱ"자 모양의 절곡된 형태로 마련된 중공의 몸체(51)를 포함하며, 몸체(51)의 양 단부에는 상부지지대(21,22,23,24)의 단부가 수평방향을 따라 측방에서 끼워지도록 상부지지대 끼움구(51a)가 각각 마련된다. The upper support connecting portion 50 includes a hollow body 51 is provided in a bent form of the "b" shape, the ends of the upper support (21, 22, 23, 24) at both ends of the body 51 Upper support fitting holes 51a are provided to be fitted from the sid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상부지지대 끼움구(51a) 안쪽 몸체(51) 내면에는 상부지지대 끼움구(51a)를 통해 몸체(51) 내부로 끼워지는 상부지지대(21,22,23,24)의 끼움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돌기(51b)가 일체로 마련되어 침대프레임(10)의 조립시 이용자로 하여금 상부지지대(21,22,23,24)의 끼움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Restriction for limiting the fitting depth of the upper support (21, 22, 23, 24)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51 through the upper support fitting (51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fitting (51a) inner body 51 Protrusion 51b is provided integrally to allow the user to maintain a constant fitting depth of the upper support (21, 22, 23, 24) when assembling the bed frame (10).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 끼움구(51a)를 통해 몸체(51) 내부로 삽입된 상부지지대(21,22,23,24)는 체결부재(70)를 통해 연결구(40)에 분리가 방지되도록 고정되며, 몸체(51) 내측벽에는 상기 체결부재(70)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홀(51c)이 마련된다. 6 to 8, the upper supports 21, 22, 23, and 24 inserted into the body 51 through the upper support fitting 51a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4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70. The first fastening hole 51c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70 is provided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51 to prevent separation.

그리고 하부지지대 고정부(60)는 상기 깔판(3)의 모서리 쪽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몸체(51)의 내측벽 안쪽에 ”ㄱ"자 모양의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하부지지대 고정부(60)는 몸체(51)의 내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수평연장되도록 마련된 수평연장판부(61)와, 수평연장부(61)의 연장방향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연장되도록 마련된 수직연장판부(6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And the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ent "-" shaped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body 51 as a whole to support the edge of the pallet (3), such a lower support high The government part 60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61 provided to extend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ody 51, and a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62 provided to extend vertically from an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61 downwar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수평 및 수직연장판부(61,62)와, 상기 수직연장판부(62)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연장판부(61) 하부 쪽 몸체(51)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은 상기 하부지지대(31,32,33,34)가 끼워져 고정되는 하부지지대 끼움홈(60a)을 형성하게 되며, 수평연장판부(61) 상면은 깔판(3)의 모서리 쪽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The space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s 61 and 62 and the inner wall of the lower side body 51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61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62 is the lower support 31, 32. , 33, 34 is inserted to form a lower support fitting groove (60a) is fixed,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61 i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pallet (3).

상기 깔판(3)의 테두리 측면과 깔판(3) 위에 지지되도록 올려지는 매트리스(2) 하부 쪽 테두리 측면이 수평연장판부(61) 상부의 몸체(51) 내벽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수평연장판부(61)의 높이는 몸체(51) 상단보다 낮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지지대 고정부(60)는 몸체(51) 내측벽 안쪽에 계단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Horizontal extension such that the edge side of the pallet 3 and the lower edge side of the mattress 2 raised to be supported on the pallet 3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51 of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61. The height of the plate portion 61 is preferably provid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body (51). Therefore, the lower support fixing part 60 is formed stepped in a step shape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body 51.

본 실시예에서 4개의 하부지지대(31,32,33,34)를 구비하여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하부프레임(30)은 모서리에 해당하는 인접한 하부지지대(31,32,33,34) 사이가 하부지지대 끼움홈(60a)에 하부나 측방으로부터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구(40)에 의해 상부프레임(20)과 일체를 이루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부프레임(30)에 있어서 각 하부지지대(31,32,33,34)의 상면은 수평연장판부(61)와 함께 깔판(3)의 하면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frame 30 provided with four lower supports 31, 32, 33, and 34 to form a rectangular frame has a space between adjacent lower supports 31, 32, 33, and 34 corresponding to corners. The lower support fitting groove (60a) can be assembled to be integrated with the upper frame 20 by the connector 40 in a manner that is fitted from the bottom or side, each of the lower support (31, in the lower frame 30) The upper surface of the 32, 33, 34 is to stably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pallet (3)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61).

하부지지대 끼움홈(60a)에 끼워진 하부지지대(31,32,33,34)는 체결부재(70)를 통해 연결구(40)에 분리가 방지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수직연장판부(62)에는 상기 체결부재(70)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홀(62a)이 마련된다.The lower supports 31, 32, 33, and 34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 fitting grooves 60a are fixed to the connector 4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70 to prevent separation, and the fastening to the vertical extension plate 62. A second fastening hole 62a for fastening the member 70 is provided.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침대프레임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20,30) 사이는 물론 상부 및 하부프레임(20,3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상부지지대(21,22,23,24)와 하부지지대(31,32,33,34) 사이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어 유통시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며, 조립시에는 상부지지대(21,22,23,24) 및 하부지지대(31,32,33,34)를 연결구(40)에 끼우는 방식으로 상부 및 하부프레임(20,30) 일체형으로 간단히 조립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bed fram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upper supports 21, 22, 23, 24 and lower supports 31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 and 30 as well as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 and 30. It is possible to separate between the, 32, 33, 34 to effectively reduce the volume during distribution, the upper support (21, 22, 23, 24) and the lower support (31, 32, 33, 34) during assembly By fitting the connector 40 to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 30 can be easily assembled into a single body.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10′)의 구조가 도시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침대프레임(10′)에 있어서 하부프레임(30′)은 상호 대향되도록 맞은편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하부지지대(31′,33′)와, 제1 및 제2하부지지대(31′,33′)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대(35)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I"자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structure of the bed frame 1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d frame 10 ′, the lower frames 30 ′ are opposite to each other. A pair of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s 31 'and 33'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35 fo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s 31 'and 33' is provided as an "I". It may be arranged to form a child.

이러한 하부프레임(30′)은 제1 및 제2하부지지대(31′,33′)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연결구(4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구(40)에 의해 상부프레임(20)과 일체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The lower frame 30 'is formed by the upper frame 20 by the connector 4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s 31' and 33 'are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 pair of adjacent connectors 40 adjacent to each other. ) And detachably assembled together.

이때 제1 및 제2하부지지대(31′,33′)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지지대(22,24) 내벽에는 연결구(40)의 수평연장판부(61)와 함께 깔판(3)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판(80)이 설치되어 깔판(3)의 하면 테두리가 상부프레임(20) 안쪽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80)은 접착제 등에 의해 상부지지대(22,24) 내면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깔판(3)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판(80)의 높이는 수평연장판부(61)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ner wall of the upper support (22, 24)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 (31 ', 33') for supporting the pallet (3)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61 of the connector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late 80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pallet (3) is stably supporte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20). Support plate 80 can be simp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22, 24) by adhesive, etc.,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80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61 for more stable support of the pallet (3) It is preferable.

하부프레임(30′)의 형태를 제외하고 나머지 상부프레임(20) 및 연결구(40)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10′)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나머지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Except for the shape of the lower frame 30 ', the structure of the remaining upper frame 20 and the connector 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ed fram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10″)의 구조가 도시된 도 11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10)에 있어서, 상부프레임(20)을 구성하는 4개의 상부지지대(21′,22,23,24) 중 후방 쪽에 위치되는 상부지지대(21′)의 상부에는 베개나 이용자 머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보드(90)가 일체로 연장되게 마련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1 the structure of the bed frame 1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d fram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ur upper constituting the upper frame 20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21 ')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21', 22, 23, 24) is provided so that the headboard 90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pillow or the user's head is integrally extended.

따라서 이와 같이 마련되는 침대프레임(10″)은 헤드보드(90)의 추가에 따른 별도의 조립공정이 필요치 않게 되어 헤드보드(90)를 구비하면서도 침대프레임(10″)의 조립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the bed frame 10 ″ provid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ssembly process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headboard 90 so that the assembly of the bed frame 10 ″ does not decrease while the headboard 90 is provided. do.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10″)의 경우 상부지지대(21′,22,23,24) 중 하나에 헤드보드(9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bed frame 1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tructure in which the headboard 90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of the upper supports 21 ′, 22, 23, and 24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10: 침대프레임 20: 상부프레임
21,22,23,24: 상부지지대 30: 하부프레임
31,32,33,34: 하부지지대 40: 연결구
50: 상부지지대 연결부 51: 몸체
51a: 상부지지대 끼움구 51b: 제한돌기
51c: 제1체결홀 60: 하부지지대 고정부
60a: 하부지지대 끼움홈 61: 수평연장판부
62: 수직연장판부 62a: 제2체결홀
70: 체결부재 80: 지지판
90: 헤드보드
10: bed frame 20: upper frame
21,22,23,24: upper support 30: lower frame
31,32,33,34: Lower support 40: End connection
50: upper support connecting portion 51: the body
51a: upper support fitting 51b: limiting projection
51c: first fastening hole 60: lower support part
60a: lower support fitting groove 61: horizontal extension plate
62: vertically extending plate portion 62a: second fastening hole
70: fastening member 80: support plate
90: headboard

Claims (12)

매트리스를 지지하도록 상부에 마련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지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마련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는 침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은 연결구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방식을 통해 일체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In the bed frame having an upper fram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mattress, and a lower fram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to support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ground,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integrally assembled through the fitting metho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복수개의 상부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복수개의 하부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상부지지대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끼움방식으로 연결시키는 상부지지대 연결부와, 상기 하부지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방식으로 고정되도록 마련된 하부지지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대 연결부와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는 일체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supports, the lower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supports,
The connector includes an upper support connecting portion for detachably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provided to be fixed to the lower support detachably fitted,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pport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is integrally inject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4개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각 상부지지대 사이가 4개의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상기 상부지지대 연결부는 “ㄱ"자 형태로 마련된 중공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단부가 수평방향을 따라 측방에서 끼워지도록 상부지지대 끼움구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support is provided in four,
The upper frame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our connecting ports between the upper support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he upper support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hollow body provided in the form of "a",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pport fitting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so that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is fitted in the sid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Bed fram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깔판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는 상기 깔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벽 안쪽에 “ㄱ"자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ttress is supported on the upper frame in a state where the pallet is interposed,
The lower support fixing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b" shape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body to support the palle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수평연장되도록 마련된 수평연장판부와, 상기 수평연장판부의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연장되도록 마련된 수직연장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연장판부와, 상기 수직연장판부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연장판부 하부 쪽 상기 몸체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은 상기 하부지지대가 끼워져 고정되는 하부지지대 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support fixing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provided to extend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ody, and a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provid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The space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body to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to form a lower support fitting groove to which the lower support is fitted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판부의 높이는 상기 몸체의 상단보다 낮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6. The method of claim 5,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is provided lower than the top of the bod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각 하부지지대 사이가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모서리에 해당하는 인접한 하부지지대 사이가 상기 하부지지대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frame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lower support through the connector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he lower frame is a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adjacent lower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corner is fitted into the lower support fitting groov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연결구 사이에 고정되는 제1하부지지대와, 상기 제1하부지지대와 대향되도록 맞은편 쪽 한 쌍의 상기 연결구 사이에 고정되는 제2하부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부지지대 사이는 보강대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support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 fix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connectors, and a second lower support fixed between a pair of opposite connectors opposite to the first lower support,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 through a reinforcemen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부지지대 사이에 위치된 상기 상부지지대 내벽에는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부와 함께 상기 깔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8,
The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support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 to support the pallet with the lower support fix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는 헤드보드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2,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board is integrally provid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pper suppor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는 끼움방식으로 끼워진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를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수평연장판부 상부의 상기 몸체 내측벽과 상기 수직연장판부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or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fitted in the fitting manner,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body inner wall and the vertical extension plat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 끼움구 안쪽 상기 몸체 내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대 끼움구를 통해 상기 몸체 내부로 끼워지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끼움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fitting hole is provided with a limiting projection for limiting the fitting depth of the upper support that is fit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upper support fitting.
KR1020110094972A 2011-09-21 2011-09-21 a frame for bed KR101290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72A KR101290276B1 (en) 2011-09-21 2011-09-21 a frame for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72A KR101290276B1 (en) 2011-09-21 2011-09-21 a frame for b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21A true KR20130031421A (en) 2013-03-29
KR101290276B1 KR101290276B1 (en) 2013-07-26

Family

ID=4818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972A KR101290276B1 (en) 2011-09-21 2011-09-21 a frame for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2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87B1 (en) * 2013-07-16 2014-10-13 주식회사 금성침대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Bed Frame
KR101654010B1 (en) * 2016-04-05 2016-09-05 주식회사 나우플레이 Assembly tape bed for bab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3314B1 (en) * 2018-08-24 2021-07-21 um2 creative consulting UG Bed, bed system and a kit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238408B1 (en) 2019-11-18 2021-04-09 주식회사 리빙테크 Wood bed fr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98Y1 (en) * 2007-08-17 2010-02-22 장현수 Bed that bed leg get folds
KR20110005236U (en) * 2009-11-18 2011-05-26 이경환 A mounting apparatus for frame of be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87B1 (en) * 2013-07-16 2014-10-13 주식회사 금성침대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Bed Frame
KR101654010B1 (en) * 2016-04-05 2016-09-05 주식회사 나우플레이 Assembly tape bed for ba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276B1 (en)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1352A1 (en) Connector for Modular Rack Assembly
US7228575B2 (en) Playpen assembly
KR101290276B1 (en) a frame for bed
US20090144896A1 (en) Playpen and fabric fixture device used therefor
US20120256464A1 (en) Modular furniture frame assembly
KR200478132Y1 (en) Easy To Assemble Bed Frame
KR20110073684A (en) Structure of leg for desk and desk therewith
KR200447453Y1 (en) Srructure of bed frame
KR200465801Y1 (en) Assembly desk
JP3214234U (en) Assembled storage container
KR101656736B1 (en) the connect tool for assembly furniture and the assembly furniture therewith
KR102154696B1 (en) Seat assembly and chair having the same
KR101297313B1 (en) Assembling type bed of table
JP7448333B2 (en) furniture
KR101123209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frames of bed
KR200456260Y1 (en) A prefabricated bunk bed
KR200438516Y1 (en) Table that can regulate height
KR200390746Y1 (en) A frame for bed
JP6964743B2 (en) Chair device
JP6006942B2 (en) Multistage shelves
KR200472523Y1 (en) Wooden bed frame with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KR101325276B1 (en) Table
KR200493380Y1 (en) Assemblable bed frame
JP7285083B2 (en) Furniture with top plate
KR100536440B1 (en) A sectional de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