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970A -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970A
KR20130030970A KR1020110094601A KR20110094601A KR20130030970A KR 20130030970 A KR20130030970 A KR 20130030970A KR 1020110094601 A KR1020110094601 A KR 1020110094601A KR 20110094601 A KR20110094601 A KR 20110094601A KR 20130030970 A KR20130030970 A KR 20130030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대현
우상민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 멀티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멀티웨이브 filed Critical (주) 멀티웨이브
Priority to KR102011009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0970A/ko
Publication of KR2013003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2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earth or a large mass of water thereon, e.g. earth tele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중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입력받거나, 동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여 송신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외부에서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수신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알림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 발신부, 상기 초음파 신호 발신부에서 변환된 초음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상기 초음파 센서에서 수신한 초음파 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긴급 상황에서 사용가능한 미리 정해진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다이버는 다양한 의사표현을 기록하고, 초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수중의 다른 다이버에게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Terminal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in water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in water}
본 발명은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다이빙시 특이사항이나 기록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송하여 구성원들 상호 간의 의사소통이나 긴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수중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주 5일제로 인한 여가시간 확대 등으로 레져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수중에서 이뤄지는 스쿠버 다이빙인구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스쿠버 다이빙은 주로 1인 강사와 여러 강습자가 그룹을 이루거나 같은 수준의 다이버들이 모여 그룹을 형성하여 다이빙을 즐기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수중에서 이뤄지는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글씨 판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린 후 상대방에 보여주는 전통적인 방식을 사용하거나, 수화를 이용하여 상호간에 의사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표현의 한계와 전달과정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중장비의 발전으로 수중에서 스피커를 이용하여 1인이 다수에게 의사전달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비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상호의사전달에 있어 불편함이 있고, 가격도 고가여서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있다. 이보다 더 발전된 장비로는 풀 페이스 마스크(Full Face Mask)형식의 장비도 상품화되어 있긴 하지만, 이 또한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높은 가격대여서 특수장비로 구분되어 특별한 업무나 임무를 수행하는 다이버들에게 국한되어 사용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빙그룹 내에서 상호 의사 소통을 위해 터치패널에 글이나 그림, 기호 등을 입력하여 그룹내의 다른 다이버들에게 일괄적으로, 또는 각 단말기에 식별번호를 할당하여 특정 다이버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의사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한 상황에서 메시지 입력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내부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빙 전에 미리 예상되는 위험에 대한 메시지를 저장하여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인식에 있어 시각적으로는 디스플레이부(LCD)의 백라이트 점멸 또는 LED점멸, 촉각적으로는 진동자를 이용하고, 청각적으로는 부져(Buzzer)를 이용하여 감각이 무뎌지는 수중환경에서 메시지 수신을 신속히 인식하는데 더욱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초음파 통신의 낮은 대역폭을 극복하기 위해 터치패널로 입력된 메시지를 컨트롤러에서 이미지화해서 압축하여 메시지의 정보량을 줄여 전송하는 방법을 그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초음파 통신상의 오류로 인한 수신실패를 줄이기 위해 메시지 수신자는 송신자에게 수신에 대한 응답을 보내게 하고 송신자는 이를 확인하여 응답이 없는 수신자에게 재전송하는 피드백 과정을 추가하며, 이때 무한 반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복회수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중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입력받거나, 동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여 송신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외부에서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수신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알림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 발신부, 상기 초음파 신호 발신부에서 변환된 초음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상기 초음파 센서에서 수신한 초음파 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긴급 상황에서 사용가능한 미리 정해진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어 키 또는 버튼식으로 구비되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거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신호 발신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펄스 발생기 및 상기 펄스 발생기에서 변환된 초음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신호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에서 수신한 초음파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e 상기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신 증폭부, 상기 수신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비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부져(Buzzer)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메시지 신호를 이미지화해서 압축하는 방식으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저장된 메시지들 중에서 전송할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에게 선택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상기 응답이 있으면, 메시지 전송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새로운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에게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상기 응답이 있으면, 상기 새로운 메시지 전송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경우,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이후에,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설정된 대상에게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에서, 재전송 횟수는 정해진 반복횟수 이상 수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복횟수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다이버는 다양한 의사표현을 기록하고, 초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수중의 다른 다이버에게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급한 상황에서 주변 다이버에게 일시에 구조요청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하여 위험 요소로부터의 회피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는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점멸 및 LED의 점멸, 촉각적으로는 진동자의 진동, 청각적으로는 부져음 발생 등의 다양한 방법을 두어 사용자가 용이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이빙중에 메시지 수신을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는 수신 단말기의 응답메시지를 확인하여 미 응답시 재송신을 반복함으로써 열악한 수중 통신환경으로 인한 전송실패의 확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이버가 다이빙중에 특이사항을 메모하여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내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이빙 후 로그파일 작성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는 제어부(100), 입력부(200), 출력부(300), 저장부(400), 초음파 센서(500), 초음파 신호 발신부(600), 초음파 신호 수신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00)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여 송신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외부에서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입력된 메시지 신호를 이미지화해서 압축하는 방식으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송하는 메시지의 정보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입력받거나,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200)는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어 키 또는 버튼식으로 구비되는 키 입력부(13)와, 터치 패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력부(30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9)와, 수신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저장부(400)는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긴급 상황에서 사용가능한 미리 정해진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초음파 센서(500)는 초음파 신호 발신부(600)에서 변환된 초음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초음파 신호 발신부(60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초음파 신호 수신부(700)는 초음파 센서(500)에서 수신한 초음파 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신호 발신부(60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펄스 발생기(2) 및 펄스 발생기(2)에서 변환된 초음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신호 수신부(700)는 초음파 센서(500)에서 수신한 초음파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6), 대역 통과 필터(6)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신 증폭부(7), 수신 증폭부(7)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비교기(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메시지 알림부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10),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부져(Buzzer)(11) 및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자(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10)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센서(500)의 입력단에서, 초음파 센서(500)를 통해 초음파 신호를 송신(Tx)하거나, 초음파 센서(500)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수신(Rx)하도록 신호를 절체하는 Tx/Rx 스위치(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본 발명의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0)로부터 송출할 데이터가 펄스 발생기(2)로 입력되면(DATA Out), 데이터의 “Low”, “High”구간에 따라 펄스발생기(2)의 인에이블(Enable) 포트가 “On”, “Off”되면서 초음파신호가 출력되며, 출력된 초음파 신호는 증폭부(3)를 거쳐 증폭된다.
이때, 제어부(100)에서 증폭부(3)의 이득을 조정함으로써(TX Gain Control), 송출 신호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증폭된 초음파 신호는 제어부(100)에 의해 TX/RX스위치(4)가 TX모드로 조정되고, 초음파 센서(50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이제 본 발명의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다이버가 신호 송신을 위해 송신버튼을 누르지 않을 때에는 기본적으로 수신모드 상태로서, 제어부(100)는 TX/RX스위치(4)를 평상시 RX 모드 위치에 두어 수신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외부로부터 초음파 센서(500)를 통해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TX/RX스위치(4)를 통해 들어온 초음파는 대역 통과 필터(6)를 통과하여 수신 증폭부(7)로 전달되어 증폭된다. 이때에도 제어부(100)는 수신 증폭부(7) 이득을 조정하여 수중환경에 적합한 수신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RX Gain Control).
수신 증폭부(7)를 통과한 초음파 신호는 비교기(8)를 거쳐 수신 데이터로 변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위해 배터리 캡(22)을 분리하고, 건전지를 체결한 후, 전원버튼(21)을 눌러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설정한다.
기본 화면 구성은 우측 상단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센서출력크기 표시 아이콘(24), 배터리 잔량 표시 아이콘(25), 현재 시간 및 다이빙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시간 표시 부(26)를 배치하고, 메시지 작성 아이콘, 저장된 메시지 보기 아이콘, 수신 메시지 확인 아이콘 등의 메인 기능 아이콘(23)을 중앙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센서(500)의 출력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이유는, 초음파 센서출력을 키우면 송신 거리가 늘어나는 장점이 있으나, 배터리 사용시간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상황에 맞게 다이버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우측 전면에는 메시지 수신이나 경고 상황을 알려주는 LED(18), 하위 메뉴상태에서 한 단계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ESC버튼(19), 단말기의 환경 설정변경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MENU버튼(20), 전원 “ON/OFF”기능을 위한 전원버튼(21)을 배치시킨다. 이때 전원버튼은 길게 눌렀을 때 전원 “ON/OFF”기능을 수행하고 짧게 눌렀을 때는 LCD 백 라이트를 “ON/OFF”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확인한다(S301).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저장된 메시지들 중에서 전송할 메시지를 선택한다(S303). 그리고, 선택된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을 설정한다(S309). 설정된 대상에게 선택된 메시지를 전송하고,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S311).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응답이 있다는 응답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응답이 있으면 메시지 전송 절차를 종료한다(S313).
S301 단계에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가 새로운 메시지를 작성하면, 작성된 메시지를 입력받는다(S305).
그리고,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대상에게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한다(S307, S309).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S311).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응답이 있다는 응답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응답이 있으면 메시지 전송 절차를 종료한다(S313).
S305 단계에서 새로운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할지 여부를 확인하고(S307, S309),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경우(S315),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부(400)에 저장한다(S317).
S311, S313 단계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는 설정된 대상에게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경우, 재전송 횟수는 정해진 반복횟수 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복횟수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제어부 200 입력부
300 출력부 400 저장부
500 초음파 센서 600 초음파 신호 발신부
700 초음파 신호 수신부 2 펄스 발생기
3 증폭부 4 Tx/Rx 스위치
6 대역 통과 필터 7 수신 증폭부
8 비교기 9 디스플레이부
10 발광부 11 부져
12 진동자 13 키 입력부
14 터치패널 18 LED
19 ESC 버튼 20 MENU 버튼
21 전원버튼 22 배터리 캡

Claims (16)

  1. 수중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입력받거나, 동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여 송신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외부에서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수신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알림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 발신부;
    상기 초음파 신호 발신부에서 변환된 초음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상기 초음파 센서에서 수신한 초음파 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긴급 상황에서 사용가능한 미리 정해진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어 키 또는 버튼식으로 구비되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신호 발신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펄스 발생기; 및
    상기 펄스 발생기에서 변환된 초음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신호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에서 수신한 초음파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
    상기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신 증폭부;
    상기 수신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비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부져(Buzzer);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메시지 신호를 이미지화해서 압축하는 방식으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10.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저장된 메시지들 중에서 전송할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에게 선택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상기 응답이 있으면, 메시지 전송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새로운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에게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상기 응답이 있으면, 상기 새로운 메시지 전송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경우,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이후에,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설정된 대상으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설정된 대상에게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에서, 재전송 횟수는 정해진 반복횟수 이상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횟수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94601A 2011-09-20 2011-09-20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KR20130030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601A KR20130030970A (ko) 2011-09-20 2011-09-20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601A KR20130030970A (ko) 2011-09-20 2011-09-20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970A true KR20130030970A (ko) 2013-03-28

Family

ID=4818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601A KR20130030970A (ko) 2011-09-20 2011-09-20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09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21A (ko) 2017-11-29 2019-06-0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심리스 dtn 프로토콜을 사용한 수중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WO2019190001A1 (ko) * 2018-03-30 2019-10-03 주식회사 포에스텍 터치입력 다이버패드
KR102197618B1 (ko) * 2020-05-04 2020-12-3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21A (ko) 2017-11-29 2019-06-0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심리스 dtn 프로토콜을 사용한 수중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WO2019190001A1 (ko) * 2018-03-30 2019-10-03 주식회사 포에스텍 터치입력 다이버패드
KR102197618B1 (ko) * 2020-05-04 2020-12-3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4616B2 (en) Wearable capture and communication
CN108874357B (zh) 一种提示方法及移动终端
EP3930224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4015836A5 (ko)
EP3850880B1 (en) Fall detection - audio looping
US201603147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Text to Speech
TWI241108B (en) Mobile phone capable of informing radiation power to user
TWI557697B (zh) 藍牙警示裝置、通訊設備及警示方法
EP3319304B1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accessory device
CN205306159U (zh) 一种新型gps手环
KR20130030970A (ko)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US10021303B2 (en) Electronic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system
CN110287903B (zh) 一种皮肤检测方法及终端
CN105474547B (zh) 多模式音频设备和监视系统
US981354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CN109451158B (zh) 一种提醒方法和装置
CN206684928U (zh) 智能遥控器及受遥控终端
JP2009166752A (ja) 圧力検出装置、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5331323A (ja) 魚群探知機
KR20190087917A (ko) 스마트폰 사용제한 시스템
JPH11184633A (ja) ペン入力装置
JP200510789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JP2009003922A (ja) 呼び出し装置
JP2007235555A (ja) 信号発信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信号発信方法、プログラム
JP4468764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スケジュール情報管理装置及び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