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697A -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 Google Patents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697A
KR20130029697A KR1020110093132A KR20110093132A KR20130029697A KR 20130029697 A KR20130029697 A KR 20130029697A KR 1020110093132 A KR1020110093132 A KR 1020110093132A KR 20110093132 A KR20110093132 A KR 20110093132A KR 20130029697 A KR20130029697 A KR 20130029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ceiving member
vaporization
heat generat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바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바코
Priority to KR102011009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697A/ko
Priority to PCT/KR2012/002138 priority patent/WO2012134117A2/ko
Publication of KR2013002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4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heat accumulators, e.g. ice, s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기화 부재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 및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는 상기 발열 부재가 올려지는 플랫폼(platform)이 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로 제공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되어 상기 열 수용 부재에 수용된 열에 의해 기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열 수용 부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의하면, 기화 부재에서 흡입 대상물이 타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 그을음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흡입 대상물 고유의 맛이 변질되지 아니하고 보존된 상태로 기화될 수 있으며, 기화 부재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발열 부재와 열 수용 부재의 취급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액 유도 부재가 모듈화된 발열 부재와 열 수용 부재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흡입 대상물의 고른 전달 및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Vaporizing and inhaling apparatus and vaporizing member applied the vaporizing and inha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관한 것이다.
기화 흡입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흡입 대상물을 함유한 필터를 내장하여, 그 필터 내의 흡입 대상물을 기화기를 통해 기화시켜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화 흡입 장치 내에는 니코틴 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의 흡입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기화 흡입 장치로는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가 있다.
이러한 흡입 대상물로는 니코틴 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대표적인 기화 흡입 장치로는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가 있다.
최근 금연 보조용으로 담배 잎 가루를 종이로 말아놓은 실제 담배와 유사한 전자 담배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가 실제 담배를 피울 때처럼 전자 담배를 입에 물고 흡입을 하게 되면, 전자 담배의 노출된 말단에서는 실제 담배에서 발생되는 불꽃과 유사한 불빛이 발생되고, 전자 담배의 사용자 입 내부의 말단에서는 실제 담배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유사한 연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담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실제 담배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 담배는 신체에 해로운 타르를 함유하지 아니하고, 담배의 유효 성분인 니코틴만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담배 사용의 만족감을 주면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해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담배는 다수 개의 분할 부재로 분할되고, 그 부재 중 제일 앞쪽의 분할 부재 내에 발광 다이오드, 전기 공급 부재 및 회로 기판이 수용되고, 그 다음 분할 부재 내에 연기 제조 장치가 수용되며, 그 다음 분할 부재 내에 니코틴 액을 함유한 필터가 수용된다.
상기 연기 제조 장치는 필터와 접촉되어 필터로부터 니코틴 액이 스며드는 액체 액 유도 부재와, 그 액체 액 유도 부재에 스며든 니코틴 액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 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화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회로 기판이 설치된 분할 부재에 선택 부재 관통 홀이 형성되고, 그 선택 부재 관통 홀을 통해 승강될 수 있고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조작 버튼 등의 선택 부재가 설치된다.
종래의 전자 담배를 포함한 기화 흡입 장치에서는, 기화 부재에서 니크롬선 등의 열선에 니코틴 액 등 액상의 흡입 대상물이 직접 닿도록 공급되고, 그러한 흡입 대상물이 열선 표면에서 기화되는 방식에 의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기화 부재에서 흡입 대상물의 기화 시에 흡입 대상물 일부가 열선의 고열에 의해 타면서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 그을음 등이 발생될 수 있고, 흡입 대상물이 연소 기화되면서 흡입 대상물 고유의 맛이 변질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화 흡입 장치에서는, 기화 부재가 배터리 등 전기 공급 부재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아야 하므로, 그 전극 연결을 위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화 부재에서 흡입 대상물의 기화 시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흡입 대상물 고유의 맛이 보존되면서 흡입 대상물이 기화될 수 있는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화 부재에 대한 전기 공급 구조가 개선된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화 부재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 및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는 상기 발열 부재가 올려지는 플랫폼(platform)이 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로 제공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되어 상기 열 수용 부재에 수용된 열에 의해 기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열 수용 부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기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는 상기 발열 부재가 올려지는 플랫폼(platform)이 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로 제공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되어 상기 열 수용 부재에 수용된 열에 의해 기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열 수용 부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기화 부재; 및 상기 흡입 대상물이 수용되는 액체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 부재는 상기 액체 수용 부재를 감싸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열 수용 부재로 공급된 다음 상기 액체 수용 부재를 통해 상기 액체 수용 부재 내부에 수용된 상기 흡입 대상물로 전달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이 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 및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고, 내부에 상기 흡입 대상물이 수용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열 수용 부재로 공급된 다음 상기 열 수용 부재 내부에 수용된 상기 흡입 대상물로 전달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이 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공급 부재와,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어, 상기 발열 부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의하면, 열 수용 부재로 제공된 흡입 대상물이 발열 부재에서 생성되어 열 수용 부재에 수용된 열에 의해 기화됨에 따라, 발열 부재에 의해 열 수용 부재가 달구어지고, 그 달구어진 열기로 흡입 대상물이 기화되고, 발열 부재의 고열에 의해 흡입 대상물이 직접 기화되지 않게 되어, 흡입 대상물이 발열 부재의 고열에 의해 타지 아니할 수 있으면서, 발열 부재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달구어진 열 수용 부재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기화될 수 있으므로, 기화 부재에서 흡입 대상물이 타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 그을음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흡입 대상물 고유의 맛이 변질되지 아니하고 보존된 상태로 기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의하면, 발열 부재가 열 수용 부재와 모듈화되므로, 기화 부재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발열 부재와 열 수용 부재의 취급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액 유도 부재가 모듈화된 발열 부재와 열 수용 부재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흡입 대상물의 고른 전달 및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의하면, 무선 충전 부재가 적용됨에 따라, 기화 부재가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기화 부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되고 액 유도 부재가 씌워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체 수용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체 수용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체 분사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 유도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 유도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기화 흡입 장치로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electronic cigarette) 방식의 장치가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화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는 수용 액체로는 니코틴 액 대신 주사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액체가 기화 흡입 장치 내에서 기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의 발광 다이오드 등의 구성 요소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화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는 흡입 대상물은 액체 형태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그러한 흡입 대상물은 액체 형태 이외에 고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되고 액 유도 부재가 씌워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100)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기화 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는 제 1 분할 부재(110)와, 제 2 분할 부재(120)로 분할된다. 이러한 부재(110, 120)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분할 부재의 구성 갯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에는 발광 다이오드(113), 전기 공급 부재(115), 제어 부재(114) 및 흡입 감지 스위치(118)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에는 상기 기화 부재(150), 액체 수용 부재(122) 및 뚜껑(125)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는 기화 흡입 장치 케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는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의 작동 시, 예를 들어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를 사용자가 물고 흡입 시에, 상기 제어 부재(114)의 제어에 따라 붉은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113)는 케이스(111) 전면의 전면 부재(112)에 형성된다.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는 상기 흡입 대상물이 사용자에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인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상기 제어 부재(114), 상기 기화 부재(150)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폴리머 리튬 전지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부재(114)는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의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회로가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제어 부재(114)는 선택 부재(116a)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118)에서 전달된 감지값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상기 기화 부재(150) 등 상기 기화 흡입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118)는 상기 흡입 감지 케이스 내의 기류 흐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말단부를 입으로 물고 흡입을 할 때, 그러한 사용자에 의한 흡입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118)가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부재(114)는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 내의 액체가 기화되도록, 상기 기화 부재(150)를 작동시킨다.
상기 선택 부재(116a)는 상기 기화 부재(150) 등이 작동되어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가 흡입 대상물 흡입이 가능하게 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선택 부재(116a)와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118)는 함께 적용될 수도 있고,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118) 없이 상기 선택 부재(116a)만 적용되거나, 상기 선택 부재(116a) 없이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118)만 적용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116b는 외기 도입 홀로서,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 말단부를 구성하는 부압 형성부(116) 내의 공기가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기화 부재(150)를 거치면서 기화된 흡입 대상물과 혼합되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124)를 통해 상기 뚜껑(125)에 형성된 흡입 홀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출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하면,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의 공기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를 통해 사용자의 입 속으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부압 형성부(116)에 부압(負壓)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외기가 상기 부압 형성부(116)로 유입된다. 상기 부압 형성부(116)에 형성되는 부압을 상기 흡입 감지 센서(118)가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 시에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상기 부압 형성부(116)로 도입되는 외기는 상기 기화 부재(150)에 의해 기화된 흡입 대상 기체인 니코틴과 함께 사용자에게 흡입된다.
상기 기화 부재(150)는 상기 제어 부재(114)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로부터 공급되는 니코틴 액 등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화 부재(150)가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165)와,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160)를 포함하고, 상기 열 수용 부재(160)로 제공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생성되어 상기 열 수용 부재(160)에 수용된 열에 의해 기화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165)는 상기 열 수용 부재(160)를 가열한다.
도면 번호 151은 상기 기화 부재(150)의 케이스이고, 도면 번호 152는 상기 기화 부재(150) 내부에서 기화된 흡입 대상물이 공기 유동 홀(124)로 유출될 수 있는 유출 홀이다.
도면 번호 153은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이 상기 열 수용 부재(160)로 전달되어 기화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에서 상기 기화 부재(150)로 상기 흡입 대상물을 유도시키는 액 유도 부재이다.
상기 발열 부재(165)는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적으로 발열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열 부재(165)가 니크롬선 등의 열선(熱線)을 포함하여, 상기 열선에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발열 부재(165)가 상기 열선을 포함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발열 부재(165)는 알루미늄, 알루미나, 텅스텐, 금, 은, 동, 철, 니켈, 크롬, 니켈크롬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발열 부재(165)는 알루미늄, 알루미나, 텅스텐, 금, 은, 동, 철, 니켈, 크롬 중 복수 개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생성된 열을 전달받아 내부에 수용하면서 달구어지고, 상기 액 유도 부재(153)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열 수용 부재(160)의 표면에 묻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열 수용 부재(160)로 제공된 흡입 대상물인 니코틴 액이 상기와 같이 달구어진 열기에 의해 기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세라믹, 도자기, 유리, 압전 세라믹, 어드벤스드 세라믹 등을 통칭하는 세라믹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상기 세라믹류로 통칭되는 세라믹, 도자기, 유리, 압전 세라믹, 어드벤스드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상기 세라믹류를 이루기 위한 원재인 점토 등을 상기 열 수용 부재(160)의 형태로 만든 다음 고온으로 굽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이미 구워진 세라믹류를 분쇄한 후 그러한 분쇄된 조각들을 뭉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암석과 광물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옥, 비취, 목어석, 맥섬석, 맥반석, 석영, 장석, 게르마늄, 흑운모, 다이아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이온 발생 암석,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적외선 발생 암석, 원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발생 암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그래핀, 탄소체, 열전도 플라스틱, 흑연, 마그네슘, 지르코늄, 팔라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금속과 비철금속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금, 은, 이리듐, 애세이톤, 팔라디움, 알루미나, 텅스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상기에서 열거된 재료들 중 단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에서 열겨된 재료들 중 복수 개의 재료를 혼합 또는 합성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상기 발열 부재(165)가 올려지는 플랫폼(platform)이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발열 부재(165)가 올려지는 플랫폼이 되는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소정 면적의 넓은 평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 봉 형태, 원기둥 형태, 곡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 수용 부재(160)는 소정 면적의 넓은 평면을 가지는 한 쌍의 서브 플레이트(161, 162)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서브 플레이트(161, 162) 중 어느 하나(161)의 표면에 상기 발열 부재(165)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 부재(165)가 상기 한 쌍의 서브 플레이트(161, 162) 사이에 내삽되도록, 상기 한 쌍의 서브 플레이트(161, 162) 중 다른 하나(162)가 상기 발열 부재(165)가 형성된 서브 플레이트(161)를 덮어, 상기 기화 부재(160)가 형성된다.
상기 발열 부재(165)는 상기 흡입 대상물인 니코틴 액이 상기 열 수용 부재(160)로 공급되는 면, 즉 상기 액 유도 부재(153)와 대면된 면의 다른 면, 즉 상기 액 유도 부재(153)와 대면된 면의 반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발열 부재(165)는 플랫폼인 상기 열 수용 부재(160)를 구성하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161)에 인쇄, 도금, 도장, 코팅, 부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올려질 수 있다. 여기서, 인쇄, 도금, 도장의 경우, 상기 발열 부재(165)의 배열 형태에 대응되는 마스크가 이용될 수 있고, 코팅, 부착의 경우, 상기 발열 부재(165)가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서브 플레이트(161)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 부재(165)가 상기 서브 플레이트(161) 상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54는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연장되는 전극으로, 상기 전극(154)의 말단은 상기 기화 부재(150)의 케이스(151)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 부재(165)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 유도 부재(153)는 상기 발열 부재(165)가 내삽된 상기 열 수용 부재(160)를 감싸, 상기 흡입 대상물을 상기 열 수용 부재(160)에 전체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 유도 부재(153)는 그물망 형태로 상기 열 수용 부재(160)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액 유도 부재(153)를 통해 전달된 흡입 대상물이 상기 열 수용 부재(160)의 열기에 의해 기화된 후, 상기 액 유도 부재(153)의 빈 공간들인 그물코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열 수용 부재(160)로 공급되는 흡입 대상물인 니코틴 액이 상기 발열 부재(165)와 직접 닿지 않게 되어, 상기 발열 부재(165)의 고열에 의해 연소, 즉 타지 아니할 수 있으면서,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달구어진 상기 열 수용 부재(160)의 열기에 의해 기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 대상물의 기화 시에 일산화탄소, 그을음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흡입 대상물 고유의 맛이 변질되지 아니하고 보존된 상태로 기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발열 부재(165)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161)가 직접 접촉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161)로의 열 전달이 전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기화 부재(150)가 작동하면,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에서 전달된 니코틴 액이 기화될 수 있다. 상기 기화 부재(150)에 의해 기화된 니코틴은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홀(124)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뚜껑(125)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출된다.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는 내부에 흡입 대상물인 니코틴 액이 액상으로 수용된 것으로, 그 내부에 수용된 니코틴 액을 상기 기화 부재(150)로 전달한다.
도면 번호 130은 부가 기능 구현 부재로서, 음향 입출력 기능, 영상 입출력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저장 기능 및 인터넷 연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부가 기능 구현 부재(13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악 등의 음향을 입출력하는 음향 입출력 기능, 동영상, 사진 등을 입출력하는 영상 입출력 기능, 상기 흡입 감지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그 노출된 부분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 와이파이 통신망, 휴대폰 전파망 등 다양한 방식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기능,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기능, 인터넷 웹 등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 연결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40은 충전 부재로서, 자체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것으로, 태양광, 램프 등의 인공 조명 등의 외부 광에 의해 발전할 수 있는 광 충전 방식, 진동에 의해 발전할 수 있는 진동 발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부재(140)의 발전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거나,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 외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부재(140)는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충전 부재(140)는 상기 기화 부재(15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 충전 방식의 경우, 상기 충전 부재(140)는 상기 기화 부재(150)에 연결되면서, 태양전지판 등 외부 광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100)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150)가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165)와,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160)를 포함하고, 상기 열 수용 부재(160)로 제공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생성되어 상기 열 수용 부재(160)에 수용된 열에 의해 기화됨에 따라, 상기 발열 부재(165)에 의해 상기 열 수용 부재(160)가 달구어지고, 그 달구어진 열기로 상기 흡입 대상물이 기화되고, 상기 발열 부재(165)의 고열에 의해 상기 흡입 대상물이 직접 기화되지 않게 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발열 부재(165)의 고열에 의해 타지 아니할 수 있으면서,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달구어진 상기 열 수용 부재(160)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기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기화 부재(150)에서 흡입 대상물이 타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 그을음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흡입 대상물 고유의 맛이 변질되지 아니하고 보존된 상태로 기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부재(165)가 상기 열 수용 부재(160)와 모듈화되므로, 상기 기화 부재(150)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상기 발열 부재(165)와 상기 열 수용 부재(160)의 취급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액 유도 부재(153)가 모듈화된 상기 발열 부재(165)와 상기 열 수용 부재(160)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흡입 대상물의 고른 전달 및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화 흡입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를 입에 물고 흡입을 하면,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118)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 부재(114)에 해당 감지값을 전달한다. 또는 상기 선택 부재(116a)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기 제어 부재(114)에 그러한 선택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다.
상세히,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 케이스(121) 내부의 공기가 사용자의 입 속으로 유출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의 공기도 유출되어,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에 부압이 형성된다.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소량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사용자의 흡입 과정 동안,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에 지속적으로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에 부압이 형성되면,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118)가 사용자의 흡입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값을 전달받은 상기 제어 부재(114)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및 상기 기화 부재(150)에 작동 명령을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및 상기 기화 부재(150)는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의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발광 및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기화 부재(150)가 작동하면, 상기 발열 부재(165)에서 생성된 열에 의해 상기 열 수용 부재(160)가 달구어지고, 그 달구어진 열기에 의해 상기 열 수용 부재(160)로 전달된 니코틴 액이 기화되어 연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기는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뚜껑(125)을 통해 사용자의 입 내부로 유출된다.
상기와 같은 기화 흡입 장치(10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실제 담배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얻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열 수용 부재(260)에 발열 부재(265)가 삽입될 수 있는 발열 부재 삽입 홈(261)이 형성되고, 상기 발열 부재 삽입 홈(261)에 상기 발열 부재(265)가 삽입되어, 플랫폼인 상기 열 수용 부재(260)에 상기 발열 부재(265)가 올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기화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열 수용 부재(360)의 표면에 발열 부재(365)가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플랫폼인 상기 열 수용 부재(360)에 상기 발열 부재(365)가 올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기화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기화 흡입 장치(400)가 무선 충전 부재(426)를 포함하여, 기화 부재(450)가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화 흡입 장치(400)를 구성하는 제 1 분할 부재(410)에는 전기 공급 부재(415)와, 상기 전기 공급 부재(415)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전송 부재(4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분할 부재(420)에는 상기 무선 전송 부재(419)에서 전송된 전기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고, 상기 기화 부재(450)를 구성하는 발열 부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상기 무선 충전 부재(426)가 형성된다.
상기 무선 전송 부재(419)와 상기 무선 충전 부재(426) 사이의 무선 충전은 상기 무선 전송 부재(419)와 상기 무선 충전 부재(426)에 각각 코일을 삽입하여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기를 전달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상기 무선 전송 부재(419)와 상기 무선 충전 부재(426)를 같은 주파수로 공명시켜 전기를 전달하는 자기 공명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무선 충전 부재(426)가 적용됨에 따라, 상기 기화 부재(450)가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기화 부재(45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개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분할 부재(510) 내에 전기 공급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무선 전송 부재(501)가 기화 흡입 장치(500)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전원에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전기 공급 부재의 생략으로 상기 기화 흡입 장치(500)가 컴팩트해질 수 있으면서도, 기화 부재(550)와 연결된 무선 충전 부재(526)가 상기 무선 전송 부재(501)를 통해 외부 전원의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체 수용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열 수용 부재(660)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그 머리부가 액체 수용 부재(622)를 관통하여, 상기 액체 수용 부재(622) 내부로 돌출된다. 그러면, 상기 액체 수용 부재(622)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이 상기 액체 수용 부재(622) 내부로 돌출된 상기 열 수용 부재(660)에 의해 직접 기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액 유도 부재 등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기화 흡입 장치의 구조가 간략하게 개선될 수 있고, 흡입 대상물의 흡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627은 상기 액체 수용 부재(622) 내의 액상의 흡입 대상물은 통과시키지 아니하면서, 기화된 흡입 대상물은 통과시킬 수 있는 선택적 연통 부재로서, 상기 선택적 연통 부재(627)에 의해 상기 흡입 대상물이 누수되지 아니하면서도, 기화된 흡입 대상물이 통과되어 기화 부재(650)의 유출 홀(652) 쪽으로 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체 수용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발열 부재(765)와 열 수용 부재(761)의 모듈이 액체 수용 부재(722) 외곽을 따라 상기 액체 수용 부재(722)를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그러면, 상기 발열 부재(765)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열 수용 부재(761)로 공급된 다음 상기 액체 수용 부재(722)의 벽체를 통해 상기 액체 수용 부재(722)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로 전달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이 기화될 수 있다.
효율적인 열 전달을 위하여, 상기 액체 수용 부재(722)의 벽체는 금속 등 열전도도가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발열 부재(765)와 상기 열 수용 부재(761)의 모듈과 상기 액체 수용 부재(722)가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기화 흡입 장치가 보다 컴팩트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727은 선택적 연통 부재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열 수용 부재(861)에 발열 부재(865)가 내삽된 형태로, 상기 열 수용 부재(861)가 상기 발열 부재(865)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고, 내부가 빈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흡입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열 수용 부재(861)가 액체 수용 부재를 대체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발열 부재(865)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열 수용 부재(861)로 공급된 다음, 곧바로 상기 열 수용 부재(861)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로 전달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이 기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발열 부재(865)와 상기 열 수용 부재(861)의 모듈이 액체 수용 부재의 기능을 하면서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기화 흡입 장치가 보다 컴팩트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827은 선택적 연통 부재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체 분사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기화 흡입 장치가 열 수용 부재(960) 쪽으로 흡입 대상물을 분사할 수 있는 액체 분사 부재(970)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분사 부재(970)는 액체 수용 부재로부터 액상의 흡입 대상물을 공급받아 분사할 수 있는 분사체(971)와, 상기 분사체(971)에서 상기 열 수용 부재(960) 쪽으로 형성된 분사 노즐(972)로 구성된다.
상기 기화 흡입 장치를 사용자가 물고 흡입하면, 기화 부재에도 부압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압에 의해 상기 분사 노즐(972)에서 흡입 대상물이 분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사기처럼 별도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피스톤(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눌림에 따라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분사 노즐(972)에서 흡입 대상물이 분사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분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액체 수용 부재 내의 흡입 대상물이 상기 액체 분사 부재(970)를 통해 상기 열 수용 부재(960) 쪽으로 기상으로 분사될 수 있어서, 상기 열 수용 부재(960) 전체적으로 흡입 대상물이 도달될 수 있고, 분사 시에 이미 1차적으로 흡입 대상물이 기상이 되므로, 흡입 대상물의 기화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 유도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액 유도 부재(1053)가 열 수용 부재(1060)를 감싸면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통공(1055)이 형성된 형태를 이룬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와 액 유도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액 유도 부재(1153)가 열 수용 부재(1160)를 감싸면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긴 통공 형태인 복수 개의 장공(1155)이 형성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된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액 유도 부재의 형태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다양한 형태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 부재(1265)가 열 수용 부재(1260)에 서로 사선으로 꺽인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를 구성하는 열 수용 부재와 발열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 부재(1365)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점형으로 배열된다.
상기된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발열 부재의 배열 형태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 외에도 발열 부재는 선형, ㄱ자형, ㄷ자형, ㄹ자형, ㅇ자형, ㅁ자형, ㅂ자형, △형, 일정 면적을 가지는 면체형 등 다른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의하면, 기화 부재에서 흡입 대상물의 기화 시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흡입 대상물 고유의 맛이 보존되면서 흡입 대상물이 기화될 수 있으며, 기화 부재에 대한 전기 공급 구조가 개선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10 : 제 1 분할 부재 115 : 전기 공급 부재
120 : 제 2 분할 부재 122 : 액체 수용 부재
150 : 기화 부재 153 : 액 유도 부재
160 : 열 수용 부재 165 : 발열 부재
426, 526 : 무선 충전 부재 970 : 액체 분사 부재

Claims (19)

  1.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에 있어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 및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는 상기 발열 부재가 올려지는 플랫폼(platform)이 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로 제공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되어 상기 열 수용 부재에 수용된 열에 의해 기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열 수용 부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 부재는 소정 면적의 한 쌍의 서브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서브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상기 발열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 부재가 상기 한 쌍의 서브 플레이트 사이에 내삽되도록, 상기 한 쌍의 서브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가 상기 발열 부재가 형성된 서브 플레이트를 덮어, 상기 기화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 부재에는 상기 발열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발열 부재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열 부재 삽입 홈에 상기 발열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기화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 부재의 표면에 상기 발열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기화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부재는 복수 개의 점형, 선형, ㄱ자형, ㄷ자형, ㄹ자형, ㅇ자형, ㅁ자형, ㅂ자형, △형, 지그재그형, 일정 면적을 가지는 면체형 중 어느 하나의 배열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부재는 알루미늄, 알루미나, 텅스텐, 금, 은, 동, 철, 니켈, 크롬, 니켈크롬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 부재는 세라믹류, 암석, 광물류, 그래핀, 탄소체, 열전도 플라스틱, 흑연, 마그네슘, 지르코늄, 팔라듐, 금속, 비철금속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 부재는 소정 면적의 넓은 평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 봉 형태, 원기둥 형태, 곡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열 수용 부재에 인쇄, 도금, 도장, 코팅, 부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충전 부재;를 포함하는 기화 부재.
  11.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기화 흡입 장치에 있어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기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는 상기 발열 부재가 올려지는 플랫폼(platform)이 되고,
    상기 열 수용 부재로 제공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되어 상기 열 수용 부재에 수용된 열에 의해 기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열 수용 부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흡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 흡입 장치는
    상기 흡입 대상물이 수용되는 액체 수용 부재; 및
    상기 흡입 대상물이 기화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수용 부재에서 상기 기화 부재로 상기 흡입 대상물을 유도시키는 액 유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 유도 부재는 상기 발열 부재가 내삽된 상기 열 수용 부재를 감싸, 상기 흡입 대상물을 상기 열 수용 부재에 전체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흡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 유도 부재는 그물망 형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형태, 적어도 하나의 장공이 형성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흡입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 흡입 장치는 상기 흡입 대상물이 수용되는 액체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 수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체 수용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액체 수용 부재 내부에 수용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열 수용 부재에 의해 직접 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흡입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 흡입 장치는 상기 열 수용 부재 쪽으로 상기 흡입 대상물을 분사할 수 있는 액체 분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흡입 장치.
  16.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기화 흡입 장치에 있어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기화 부재; 및
    상기 흡입 대상물이 수용되는 액체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 부재는 상기 액체 수용 부재를 감싸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열 수용 부재로 공급된 다음 상기 액체 수용 부재를 통해 상기 액체 수용 부재 내부에 수용된 상기 흡입 대상물로 전달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이 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흡입 장치.
  17.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기화 흡입 장치에 있어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 및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고, 내부에 상기 흡입 대상물이 수용되는 열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열 수용 부재로 공급된 다음 상기 열 수용 부재 내부에 수용된 상기 흡입 대상물로 전달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이 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흡입 장치.
  18.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기화 흡입 장치에 있어서,
    열을 생성시키는 발열 부재;
    상기 발열 부재에서 생성된 열을 수용하는 열 수용 부재;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공급 부재와,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어, 상기 발열 부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흡입 장치.
  19. 제 11 항, 제 16 항, 제 17 항,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 입출력 기능, 영상 입출력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저장 기능 및 인터넷 연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할 수 있는 부가 기능 구현 부재;를 포함하는 기화 흡입 장치.
KR1020110093132A 2011-03-25 2011-09-15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KR20130029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132A KR20130029697A (ko) 2011-09-15 2011-09-15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PCT/KR2012/002138 WO2012134117A2 (ko) 2011-03-25 2012-03-24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오염 감지 센서 부재,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기화 부재, 흡입 장치용 외피,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속눈썹 고데 유닛 및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휴대 전화 연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132A KR20130029697A (ko) 2011-09-15 2011-09-15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697A true KR20130029697A (ko) 2013-03-25

Family

ID=4817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132A KR20130029697A (ko) 2011-03-25 2011-09-15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697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4695A1 (en) * 2015-02-06 2016-08-11 Esmoking Institute Sp. Z O.O. A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and a method of generating aerosol
WO2017167647A1 (en) * 2016-03-31 2017-10-05 Philip Morris Products S.A. Vaporizing assembly comprising sheet heating element and liquid delivery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180063222A (ko) * 2015-10-30 2018-06-11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
US10244795B2 (en) 2016-03-31 2019-04-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Vaporizing assembly comprising sheet heating element and liquid delivery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190058436A (ko) * 2019-05-22 2019-05-29 전자부품연구원 Pwm 제어 방식을 이용한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CN110740773A (zh) * 2017-04-25 2020-01-31 聂鲁达有限公司 气溶胶递送系统
KR20200024369A (ko) * 2015-08-31 2020-03-06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CN112167727A (zh) * 2019-07-04 2021-01-05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发热体及其制备方法、电子烟具
KR20210015530A (ko) *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열 전도 요소 및 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가열 조립체
US11252992B2 (en) 2015-10-30 2022-02-22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457664B2 (en) 2016-06-29 2022-10-04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589614B2 (en) 2015-08-31 2023-02-2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Cartridg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RU2796954C2 (ru) * 2015-02-06 2023-05-29 Эсмоукинг Инститьют Сп. З О.О.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US11659863B2 (en) 2015-08-31 2023-05-3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WO2023171901A1 (en) * 2022-03-10 2023-09-14 Kt & G Corporation Heating structur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25870B2 (en) 2015-10-30 2023-11-2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896055B2 (en) 2015-06-29 2024-02-13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US11924930B2 (en) 2015-08-31 2024-03-0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956879B2 (en) 2017-09-15 2024-04-0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0830B2 (en) 2015-02-06 2024-02-27 Esmoking Institute Sp. Z O.O.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and a method of generating aerosol
EP3659450A1 (en) * 2015-02-06 2020-06-03 eSmoking Institute sp. z o.o.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20170118712A (ko) * 2015-02-06 2017-10-25 이스모킹 인스티튜드 에스피. 지 오.오. 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방법
CN107529822A (zh) * 2015-02-06 2018-01-02 电子烟研究所公司 用于产生烟雾的电子设备以及产生烟雾的方法
JP2018504930A (ja) * 2015-02-06 2018-02-22 イースモーキング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エスピー ゾオ エアロゾルを発生させる電子装置およびエアロゾルを発生させる方法
JP2019047800A (ja) * 2015-02-06 2019-03-28 イースモーキング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エスピー ゾオ エアロゾルを発生させる電子装置およびエアロゾルを発生させる方法
CN107529822B (zh) * 2015-02-06 2020-12-04 电子烟研究所公司 用于产生烟雾的电子设备以及产生烟雾的方法
RU2796954C2 (ru) * 2015-02-06 2023-05-29 Эсмоукинг Инститьют Сп. З О.О.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WO2016124695A1 (en) * 2015-02-06 2016-08-11 Esmoking Institute Sp. Z O.O. A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and a method of generating aerosol
US11896055B2 (en) 2015-06-29 2024-02-13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US11589614B2 (en) 2015-08-31 2023-02-2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Cartridg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924930B2 (en) 2015-08-31 2024-03-0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KR20200024369A (ko) * 2015-08-31 2020-03-06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US11659863B2 (en) 2015-08-31 2023-05-3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KR20180063222A (ko) * 2015-10-30 2018-06-11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
US11825870B2 (en) 2015-10-30 2023-11-2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805818B2 (en) 2015-10-30 2023-11-07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252992B2 (en) 2015-10-30 2022-02-22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166491B2 (en) 2016-03-31 2021-11-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Assembly comprising sheet heating element and delivery device
US10244795B2 (en) 2016-03-31 2019-04-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Vaporizing assembly comprising sheet heating element and liquid delivery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US11857722B2 (en) 2016-03-31 2024-01-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Assembly comprising sheet heating element and delivery device
WO2017167647A1 (en) * 2016-03-31 2017-10-05 Philip Morris Products S.A. Vaporizing assembly comprising sheet heating element and liquid delivery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US11457664B2 (en) 2016-06-29 2022-10-04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CN110740773A (zh) * 2017-04-25 2020-01-31 聂鲁达有限公司 气溶胶递送系统
US11956879B2 (en) 2017-09-15 2024-04-0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KR20190058436A (ko) * 2019-05-22 2019-05-29 전자부품연구원 Pwm 제어 방식을 이용한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CN112167727A (zh) * 2019-07-04 2021-01-05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发热体及其制备方法、电子烟具
KR20210015530A (ko) *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열 전도 요소 및 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가열 조립체
WO2023171901A1 (en) * 2022-03-10 2023-09-14 Kt & G Corporation Heating structur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9697A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JP6840289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0470732Y1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CN111107757B (zh) 具有气溶胶冷凝的水烟装置
CN108471808B (zh) 包括无线加热的雾化器的气溶胶递送设备以及相关方法
JP6810755B2 (ja) ハウジングおよびカプラを含むエアロゾル送達装置
RU27354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аппара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7067813B2 (ja) 巻きタバコ型電子タバコ装置用ヒーター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巻きタバコ型電子タバコ装置
UA126927C2 (uk) Системи надання аерозолю
UA126559C2 (uk) Виконане з можливістю від'єднання джерело живлення для пристрою доставки аерозолю
JP2019508021A (ja) 気化アセンブリと蒸気発生装置
KR101233985B1 (ko) 액체 기화 흡입형 전자담배
KR20180107161A (ko) 향미 전달 디바이스
KR101326661B1 (ko) 액체 기화 흡입형 전자담배
KR20120103351A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CN113286527B (zh) 雾化器和包括雾化器的气溶胶生成系统
CN113840551B (zh) 气溶胶生成系统和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热输出元件
KR101250013B1 (ko)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발열 냉각 부재 및 상기 흡입 장치가 결합될 수 있는 발열 냉각 장치
KR101250019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게임 제공 부재
KR20120006582U (ko)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 및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
KR20120092771A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WO2019016682A1 (en) VIDEO ANALYSIS CAMERA SYSTEM FOR AEROSOL DISPENSING DEVICE
KR101277178B1 (ko) 흡입 장치
KR101275191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선택 부재
KR20180085646A (ko)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미세 입자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