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556A -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 Google Patents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556A
KR20130029556A KR1020110092883A KR20110092883A KR20130029556A KR 20130029556 A KR20130029556 A KR 20130029556A KR 1020110092883 A KR1020110092883 A KR 1020110092883A KR 20110092883 A KR20110092883 A KR 20110092883A KR 20130029556 A KR20130029556 A KR 20130029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vibration
generating means
force generating
electro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201B1 (ko
Inventor
표동범
양태헌
권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9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2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발생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영구자석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자기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기력에 따라 영구자석 또는 솔레노이드가 이동함으로써 관성 또는 충격에 의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기력발생수단(110); 전자기력발생수단(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발생수단(120); 및 전자기력발생수단(110)과 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자성체(130);를 포함하며,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전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자기력발생수단(120)이 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Vibration generating module, actuator using the same, and handheld device}
본 발명은 진동발생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구자석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자기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기력에 따라 영구자석 또는 솔레노이드가 이동함으로써 관성 또는 충격에 의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과 더불어 터치스크린의 활용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발맞추어 종래에는 클릭돔 형식으로 사용되던 키패드가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되는 키패드는 진동이나 햅틱 피드백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 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장치가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햅틱 피드백의 일종인 진동에 의한 촉감을 발생시킴으로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값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코인형 또는 바아형 진동모터는 응답시간이 길어 햅틱 피드백 기능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응답시간이 짧고, 소모전력이 낮으며, 신뢰도가 높은 선형모터가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선형모터는 하나의 공진 주파수만 가지며, 공진 주파수에서 2~3Hz 정도만 벗어나더라도 진동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선형모터 또한 응답속도가 25ms 정도로 여전히 느려 실재감 있는 버튼 클릭감을 모사하는 것과 다양한 햅틱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어왔다.
한편, 종래의 발명은 휴대폰에 진동에 의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정구조를 활용하여 왔다. 이러한 안정구조에 의한 햅틱 피드백은 임팩트 바이브레이션(Impact Vibration)이 약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0-103662호(발명의 명칭 :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 모듈)는 응답시간을 짧게 개선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통한 빠르고 연속된 키 입력 동작에서도 양호한 클릭감 또는 햅틱 피드백 기능을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0-103662호의 구조를 개선시킨 발명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영구자석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 및 불안정 구조를 이용하여 응답반응 속도가 현저히 빠르며, 충격에 의한 진동발생시에 여진이 발생하지 않고, 임팩트 바이브레이션이 강하게 발생되는 진동발생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자석과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함으로써 공진주파수에서의 진폭을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더욱 민감한 진동에 의한 촉감을 전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발생수단(110);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 및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자성체(130);를 포함하며,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자기력발생수단(110)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번되는 전자기력에 따라 발생하는 자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극은 복수의 자기력발생수단(110)의 자극과 대향됨으로써 자기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성체(130)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성체(130)는, 자기력발생수단(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은 충격에 의한 진동 또는 관성에 의한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가 펄스폭 변조신호인 경우 충격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가 여현파 신호인 경우 관성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발생수단(110),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 및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자성체(130)를 포함하는 진동발생 모듈; 및 자극 변환신호를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출력하는 제어수단(210);을 포함하고,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210)은,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하여 충격에 의한 진동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수단(210)은, 여현파 신호를 출력하여 관성에 의한 진동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발생수단(110),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자성체(130)를 포함하는 진동발생 모듈, 자극 변환신호를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출력하는 제어수단(210)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300)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태에 따라 진동에 의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어수단(2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를 포함하고,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전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자기력발생수단(120)이 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300)의 상태는, 터치스크린(320)의 눌림, 터치스크린(320)에 표시되는 키패드(330)의 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이벤트의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영구자석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 및 불안정 구조를 이용하여 응답반응 속도가 현저히 빠르며, 임팩트 바이브레이션이 강하게 발생하는 진동발생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되어 저렴하고, 소모전력이 현저히 낮은 진동발생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에 의한 공진주파수를 높임으로서 사용자에게 더욱 민감한 진동에 의한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대역(넓은) 주파수 영역에 걸쳐 강한 충격진동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응답반응 속도가 현저히 빠른 진동발생 모듈이 휴대용 기기에 장착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눌림시 현저히 반응이 빠른 진동에 의한 촉감을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 모듈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진동발생 모듈의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 모듈은 자기력발생수단(110), 전자기력발생수단(120) 및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자성체(130)로 구성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 모듈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불안정 구조란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전류가 인가되기 전의 초기상태에서는 자기력발생수단(110)과 전자기력발생수단(120)간에 상호 자기력이 미치지 않아 자기력발생수단(110) 및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움직이지 않는다.
이러한 초기상태에서 외란을 가하면, 즉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자극이 형성되어 자기력발생수단(110)과 상호 자기력에 의한 영향으로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은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한다. 교번되는 전자기력은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N극과 S극을 형성한다.
한편,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은 솔레노이드 코일(121) 및 솔레노이드 자성체(131)를 이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한다. 이때 솔레노이드 자성체(1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상을 하고 있으며, 솔레노이드 자성체(131)의 일부인 중심 자성체(131a) 둘레방향으로 솔레노이드 코일(121)이 와인딩된다. 이렇게 솔레노이드 코일(121)을 중심 자성체(131a)의 둘레방향으로 와인딩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코일(121)만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력보다 더 큰 전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다.
'H'형상의 솔레노이드 자성체(131)는 일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중심 자성체(131a)와 나머지 부분을 서로 분리 제조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 자성체(131)는 상술한 전자기력을 크게 생성하는 외에도 자기력발생수단(110) 및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기력발생수단(111)과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 및 제3자기력발생수단(115)과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중심 자성체(132a)를 통하여 공유되면서 흐른다.
한편, 솔레노이드 코일의 자기장의 세기는 코일의 턴 수와 전류의 세기에 따라 비례하므로 자기장의 세기를 더 크게 하기 위해서는 코일의 턴 수를 증가시키거나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된다. 이때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펄스폭 변조 신호 또는 여현파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 모듈은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충돌에 의한 진동 또는 관성에 의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충돌에 의한 진동을 생성하기 위하여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인가한다. 펄스폭 변조신호는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듀티비에 따라 전압의 크기가 변화된다. 따라서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전류의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크기를 변화시키게 된다.
반면에, 관성에 의한 진동을 생성하기 위하여는 여현파 신호를 인가한다. 여현파 신호는 사인파 또는 코사인파의 형태로서 여현파의 크기 또는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관성에 의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충격에 의한 진동과 관성에 의한 진동에 따라 진동발생 모듈은 휴대용 기기의 상태에 반응하여 다양한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발생수단(110)은 복수로 구성된 영구자석으로서, 상술한 전자기력발생수단(120)과 상호 자기력에 의한 인력 및 척력에 따라 이동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자기력발생수단(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4개로 구성되며 따라서 제1,2,3,4자기력발생수단(111,113,115,117)이 있다.
여기서, 제1,2,3,4자기력발생수단(111,113,115,117)은 후술하는 비자성체(14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체로서 이동한다. 각각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의 양측 자성체(131b,131c)와 각각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기력발생수단(111)과 양측 자성체(131b)는 서로 F1(인력)과 F1'(척력)이 생성된다. 이때 힘을 성분 분석하여 보면 F1의 -y축 성분과 F1'의 y축 성분이 서로 상쇄되고 x축 성분만 남게 되고 이러한 원리는 F2, F3, 및 F4의 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F1, F2, F3, 및 F4의 x축 힘 성분만 남게 되어 이동체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만, 양측 자성체(131b,131c)에 형성되는 자극이 도 1과 반대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원리로 이동체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제1,2,3,4자기력발생수단(111,113,115,117)의 각각 양측에는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영구자석 자성체(133a 내지 133h)가 구비되어 있다. 영구자석 자성체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의 솔레노이드 자성체(131)와 더불어 자기장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철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철심의 구현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자기장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부재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경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경우에 전자기장발생수단(120)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된 상측 자기장(10)과 하측에 형성된 하측 자기장(20)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측 자기장과 하측 자기장의 자기장은 중심 자성체(131a)에서 서로 공유되어 이동체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면에 이동체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도 2와 달리 왼쪽이 아닌 오른쪽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자기장의 방향도 도 2와 반대가 됨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 모듈은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고정되고 제1이동체인 자기력발생수단(110)과 후술하는 비자성체(135)가 좌/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반대로 자기력발생수단(110)과 후술하는 비자성체(135)가 고정되고 제2이동체인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좌/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이동체로 구성하는 경우와 제2이동체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탄성수단(150)의 결합 구성이 달라진다. 즉, 도 1 및 도 2는 제1이동체로 구성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로서 제1이동체중 하나인 비자성체(135)와 하우징(160) 사이에 탄성수단(150)이 결합됨으로써 제1이동체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달리, 제2이동체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수단(150)이 비자성체(135)와 양측 자성체(131b,13c)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제2이동체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비자성체(135) 및 하우징은 단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자기장 경로를 형성하지 않는다. 다만, 필요에 따라 자성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자기장이 흐를 수도 있다. 비자성체(135)의 양측에는 충돌수단(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충돌수단(140)과 양측 자성체(131b,131c) 사이에는 리미터수단(145)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체(제1,2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충격에 의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충돌수단(140) 및 리미터수단(145)은 일 예로서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리미터수단(145)은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이동체의 일부로서 전자기력발생수단(120)과 함께 좌/우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충돌수단(140) 및 리미터수단(145)은 제1이동체 또는 제2이동체의 좌/우측 이동에 따라 충격에 의한 진동을 생성한다. 다만, 충격에 의한 진동이 아니라 관성에 의한 진동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충돌수단(140) 및 리미터수단(145)이 서로 충돌할 필요는 없다.
관성에 의한 진동은 여현파 신호에 따라 충돌수단(140)과 리미터수단(145)이 서로 충격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좌/우측을 일정한 주기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150)은 자기력에 의해 제1이동체 또는 제2이동체가 좌/우측으로 움직여도 복원력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스프링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탄성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소재이면 된다. 이때 스프링의 탄성계수 또는 제1,2이동체의 질량에 의해 적절한 공진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제1,2이동체가 공진 주파수에 따라 이동한다면 충격에 의한 진동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 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발생수단(11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솔레노이드 코일(121)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과 합쳐지려고 하면서 이동체(제1이동체 또는 제2이동체)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액추에이터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는 상술한 진동발생 모듈과 진동발생 모듈의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자극 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210)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는 휴대용 기기(300)에 삽입되며, 휴대용 기기의 상태에 따라 관성에 의한 진동 또는 충돌에 의한 진동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을 피드백한다.
이때 제어수단(210)은 MCU, MPU, DSP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FPGA 또는 ASIC 등의 집적회로 설계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제어수단(210)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도면 미도시)가 필요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휴대용 기기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대략 진동발생 모듈, 액추에이터, 및 마이크로프로세서(310)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발생 모듈 및 액추에이터는 상술한 기재에 갈음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프로세서(310)는 휴대용 기기(300)의 상태를 감지하며, 휴대용 기기(300)의 상태에 따라 진동에 의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어수단(2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이때 제어수단(210)에 출력되는 신호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이나 전류의 크기를 바꾸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310)가 제어수단(2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수단(210)은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자극 변환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자기장이 생성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310)가 진동발생 모듈의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직접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기기(300)의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20)의 눌림 또는 터치스크린(320)에 나타나는 아이콘(321), 터치스크린(320)에 표시되는 키패드(330)의 자판(331)의 눌림, 또는 휴대용 기기(300)의 이벤트의 발생일 수 있다. 이때 휴대용 기기(300)의 이벤트는 전화를 걸 때 또는 받을 때, 문자메시지 수신, 휴대용 기기(300)에서 게임, 또는 휴대용 기기(300)를 이용한 사진촬영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진동을 진동발생 모듈이 생성한다.
따라서, 상술한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0)는 MCU, MPU, DSP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FPGA 또는 ASIC 등의 집적회로 설계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마이크로 프로세서(3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도면 미도시)가 필요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상측 자기장
20 : 하측 자기장
110 : 자기력발생수단
111 : 제1자기력발생수단
113 : 제2자기력발생수단
115 : 제3자기력발생수단
117 : 제4자기력발생수단
120 : 전자기력발생수단
121 : 솔레노이드 코일
130 : 자성체
131 : 솔레노이드 자성체
131a: 중심 자성체
131b,131c: 양측 자성체
133a,133b,133c,133d,133e,133f,133g,133h : 영구자석 자성체
135 : 비자성체
140 : 충돌수단
145 : 리미터수단
150 : 탄성수단
160 : 하우징
210 : 제어수단
300 : 휴대용 기기
310 : 마이크로프로세서
320 : 터치스크린
330 : 키패드

Claims (13)

  1.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발생수단(110);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 및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자성체(130);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번되는 전자기력에 따라 발생하는 자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극은 복수의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의 자극과 대향됨으로써 자기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130)는,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130)는,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은 충격에 의한 진동 또는 관성에 의한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가 펄스폭 변조신호인 경우 상기 충격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가 여현파 신호인 경우 상기 관성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 모듈.
  9.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발생수단(110),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 및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자성체(130)를 포함하는 진동발생 모듈; 및
    상기 자극 변환신호를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출력하는 제어수단(210);을 포함하고,
    상기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이 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10)은,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하여 충격에 의한 진동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10)은,
    여현파 신호를 출력하여 관성에 의한 진동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12.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발생수단(110),
    인가되는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교번되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기력발생수단(120),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경로를 제공하는 자성체(130)를 포함하는 진동발생 모듈,
    상기 자극 변환신호를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20)에 출력하는 제어수단(210)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300)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상태에 따라 진동에 의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2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 변환신호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전자기력발생수단(110) 또는 상기 자기력발생수단(120)이 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300)의 상태는,
    터치스크린(320)의 눌림, 상기 터치스크린(320)에 표시되는 키패드(330)의 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이벤트의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휴대용 기기.
KR1020110092883A 2011-09-15 2011-09-15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KR10132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883A KR101324201B1 (ko) 2011-09-15 2011-09-15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883A KR101324201B1 (ko) 2011-09-15 2011-09-15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556A true KR20130029556A (ko) 2013-03-25
KR101324201B1 KR101324201B1 (ko) 2013-11-20

Family

ID=4817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883A KR101324201B1 (ko) 2011-09-15 2011-09-15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2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739B1 (ko) * 2013-06-21 2014-07-04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자기장을 이용하여 촉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KR101968481B1 (ko) * 2017-11-21 2019-04-15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충격식 진동 액츄에이터
KR20190059259A (ko) * 2019-03-12 2019-05-30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충격식 진동 액츄에이터
JP2021030184A (ja) * 2019-08-28 2021-03-01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CN113189453A (zh) * 2021-03-11 2021-07-30 西安交通大学 一种gis内金属微粒起跳激励用冲击振动施加装置
CN113189452A (zh) * 2021-03-11 2021-07-30 西安交通大学 基于外施振动激励的gis潜伏性金属微粒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844A (ja) * 2002-08-02 2004-03-04 Hirofumi Matsumura リニヤ式直流電動モータ
EP1610447B1 (en) * 2004-06-14 2009-09-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riving unit
JP2008029178A (ja) * 2006-07-25 2008-02-07 Mutsuo Hirano 往復運動装置
KR101087640B1 (ko) * 2009-08-05 2011-11-30 한국과학기술원 촉감 제시장치를 이용한 점자 교육 상호작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739B1 (ko) * 2013-06-21 2014-07-04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자기장을 이용하여 촉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WO2014204063A1 (ko) * 2013-06-21 2014-12-24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자기장을 이용하여 촉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CN105556422A (zh) * 2013-06-21 2016-05-04 财团法人实感交流人体感应硏究团 利用磁场生成触觉的装置
CN105556422B (zh) * 2013-06-21 2017-12-01 财团法人实感交流人体感应硏究团 利用磁场生成触觉的装置
KR101968481B1 (ko) * 2017-11-21 2019-04-15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충격식 진동 액츄에이터
KR20190059259A (ko) * 2019-03-12 2019-05-30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충격식 진동 액츄에이터
JP2021030184A (ja) * 2019-08-28 2021-03-01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CN113189453A (zh) * 2021-03-11 2021-07-30 西安交通大学 一种gis内金属微粒起跳激励用冲击振动施加装置
CN113189452A (zh) * 2021-03-11 2021-07-30 西安交通大学 基于外施振动激励的gis潜伏性金属微粒检测装置
CN113189452B (zh) * 2021-03-11 2022-10-28 西安交通大学 基于外施振动激励的gis潜伏性金属微粒检测装置
CN113189453B (zh) * 2021-03-11 2023-04-07 西安交通大学 一种gis内金属微粒起跳激励用冲击振动施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201B1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201B1 (ko)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EP3318957B1 (en) Electromagnetic haptic actuator with high definition capability
KR10180547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 모듈
US20120146557A1 (en) Vibration generating module, actuator using the same, handheld device, method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4137812A (ja) フォースフィードバック型タッチパネル装置
WO2012147866A1 (ja)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検出装置
KR20070011539A (ko) 액티브 마찰 브레이킹을 이용하여 촉각 어플리케이션을저지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마그네트
KR101286471B1 (ko)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KR101224432B1 (ko)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KR20190020735A (ko) 촉각 피드백 액추에이터, 이를 활용한 전자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US9716423B1 (en) Tactile feedback actuator,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5120422B2 (ja) 操作入力装置
KR20120006729A (ko) 휴대 단말기 촉각 피드백 장치
KR101246606B1 (ko) 불안정 구조를 이용한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휴대용 기기, 또는 진동생성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224436B1 (ko)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기기
KR101295147B1 (ko) 충격량 제공장치, 햅틱 피드백 제공장치, 이를 이용한 진동 제공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2014146208A (ja) 振動発生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KR101181815B1 (ko) 충격량 제공 장치, 충격량 제공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충격량 제공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11210912B2 (en) Tactile feedback actuator,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258914B1 (ko) 진동발생 모듈, 이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 진동 생성방법 및 그 기록매체
WO2017164397A1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102162340B1 (ko) 충격식 진동 액추에이터
WO201719750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actile sensors on opposite edges of housing
Kim et al. A linearvibrotactile actuator for mobile devices
KR101071316B1 (ko) 충격발생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