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288A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288A
KR20130029288A KR1020110092642A KR20110092642A KR20130029288A KR 20130029288 A KR20130029288 A KR 20130029288A KR 1020110092642 A KR1020110092642 A KR 1020110092642A KR 20110092642 A KR20110092642 A KR 20110092642A KR 20130029288 A KR20130029288 A KR 20130029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rame
outdoor air
control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288A/ko
Priority to EP12176769.3A priority patent/EP2551607B1/en
Priority to US13/558,595 priority patent/US20130025822A1/en
Publication of KR2013002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좌측 실외공기배출구와 우측 실외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탑 커버와; 프레임의 좌측부에 설치된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프레임의 우측부에 설치된 우측 전열열교환기와;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로 실외공기를 유동시킨 후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팬과;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로 실내공기를 유동시킨 후 실외로 배기시키고 좌,우 양측면에 실내공기 흡입홀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실내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배기팬과; 배기팬과 탑 커버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컨트롤부가 실외공기의 유동이나 실외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환기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며, 컨트롤부의 서비스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열교환기를 갖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면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는 추세이다.
환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배기송풍기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송풍기와, 배기송풍기에 의해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급기송풍기에 의해 급기되는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장치의 일예는 천장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실내 및 실외와 덕트로 연결되는 천장 매립형 환기장치가 있고, 천장 매립형 환기장치는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배기시키고, 덕트를 통해 실외공기를 급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트롤부의 서비스가 용이하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좌측 실외공기배출구와 우측 실외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탑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좌측부에 설치된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상기 프레임의 우측부에 설치된 우측 전열열교환기와; 상기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로 실외공기를 유동시킨 후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팬과; 상기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로 실내공기를 유동시킨 후 실외로 배기시키고 좌,우 양측면에 실내공기 흡입홀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실내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과 탑 커버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 실내공기유로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실외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상기 배기팬을 향해 유동되는 것을 막는 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컨트롤부가 수용되는 컨트롤부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 수용부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컨트롤부가 올려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좌측에서 형성되고 상기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이격되는 좌측판과, 상기 하판의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우측 전열열교환기와 이격되는 우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좌측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좌측 상판과, 상기 우측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우측 상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전후 폭이 상기 프레임의 전후 폭과 같거나 상기 프레임의 전후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피시비 기판과, 상기 피시비 기판이 안착되는 피시비 케이스와, 상기 피시비 기판과 상기 피비시 케이스를 덮는 피시비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 상기 차폐부재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트롤부가 실외공기의 유로나 실외공기의 유로 이외에 설치되어 전장부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환기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며, 컨트롤부의 서비스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열열교환기를 통과한 실외공기가 배기팬으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차폐부재에 컨트롤부가 수용되므로, 컨트롤부가 차폐부재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컨트롤부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가 최소화되며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컨트롤부가 도시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환기장치는 케이싱(2)과 전열열교환기(30)(32)와 배기팬(40)과 급기팬(50)(60)과 컨트롤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장치는 환기시키고자 하는 실내에 세워져 설치될 수 있고, 케이싱(2)이 실외와 급배기덕트(3)로 연결될 수 있다. 환기장치는 실내에서 실내공기를 직접 흡입하고 급배기덕트(3)를 통해 실외로 토출할 수 있고, 실외공기를 급배기덕트(3)를 통해 흡입하고 실내로 직접 토출할 수 있다.
급배기덕트(3)는 케이싱(2)의 내부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급배기덕트(3)는 내부에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급기 통로와 실내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통로를 구획하는 구획판(3')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2)은 환기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실내공기흡입구(4)(6)와 실내공기배출구(8)와 실외공기흡입구(10) 및 실외공기배출구(12)(14)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2)은 좌측에 좌측 실내공기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우측 실내공기흡입구(6)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측에 실내공기배출구(8)와 실외공기흡입구(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 실외공기배출구(12)(14)가 형성될 수 있다.
실외공기배출구(12)(14)는 케이싱(2)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좌측 실외공기배출구(12)와 우측 실외공기배출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은 베이스(16)와, 좌측 실외공기배출구(12)와 우측 실외공기배출구(14)가 형성된 탑 커버(1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프레임(80)이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80)은 베이스(12)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탑 커버(18)는 프레임(8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2)은 실내공기배출구(8)와 실외공기흡입구(10)가 형성된 리어패널(20)과, 실내공기흡입구(4)(6)가 형성된 프론트 패널(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패널(20)은 프레임(80)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22)은 프레임(80)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전열열교환기(30)(32)는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게 설치된다.
전열열교환기(30)(32)는 케이싱(2) 내부의 좌측과 우측과 가운데 중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열열교환기(30)(32)는 케이싱(2)의 내부 좌측에 배치된 좌측 전열열교환기(30)와, 케이싱(2)의 내부 우측에 배치된 우측 전열열교환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전열열교환기(30)와 우측 전열열교환기(32)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고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실내공기유로(36)(37)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실외공기유로(38)(39)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팬(40)은 좌측 전열열교환기(30)와 우측 전열열교환기(32)로 실내공기를 유동시킨 후 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다.
배기팬(40)은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실내공기유로(36)와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실내공기유로(37)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케이싱(2) 내부의 좌측과 우측과 가운데 중 가운데 배치될 수 있다.
배기팬(40)는 좌,우 양측면에 실내공기 흡입홀(41)(42)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실내공기 배출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팬(40)은 좌측면에 형성된 좌측 실내공기 흡입홀(41)을 통해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실내공기유로(36)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우측면에 형성된 우측 실내공기흡입홀(42)를 통해 우측 전열열교환기(320의 실내공기유로(37)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후방부에 형성된 실내공기 배출구(44)를 통해 후방으로 실내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급기팬(50)(60)은 좌측 전열열교환기(30)와 우측 전열열교환기(32)로 실외공기를 유동시킨 후 실내로 급기시킬 수 있다.
급기팬(50)(60)은 실외공기를 케이싱(2) 내부로 흡입하여 좌측 전열열교환기(30)와 우측 전열열교환기(32)를 통과시킨 후 실외로 배기시키는 것으로서, 케이싱(2) 내부의 좌측과 우측과 가운데 중 가운데 배치될 수 있다.
급기팬(50)(60)은 케이싱(2) 내부의 좌측과 우측과 가운데 중 가운데 배치될 수 있다.
급기팬(50)(60)은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실외공기유로(38) 하측으로 송풍시키는 좌측 급기팬(50)과,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실외공기유로(39) 하측으로 송풍시키는 우측 급기팬(60)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급기팬(50)은 전,후 양면에 실외공기 흡입홀(51)(52)이 형성될 수 있고, 좌측에 실외공기 배출구(53)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 급기팬(60)은 전,후 양면에 실외공기 흡입홀(61)(62)이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실외공기 배출구(63)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급기팬(50)과 우측 급기팬(60)은 케이싱(2)의 내부 가운데 상,하중에서 내부 가운데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부(70)는 배기팬(40)과 좌측 급기팬(50)과 우측 급기팬(60)를 제어할 수 있고, 배기팬(40)과 좌측 급기팬(50)과 우측 급기팬(60)과 리드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부(70)는 좌측 실외공기배출구(12)와 우측 실외공기 배출구(14)의 사이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는 케이싱(2)의 내부 좌측과 케이싱(2)의 내부 우측과 케이싱(2)의 내부 가운데 중 케이싱(2)의 내부 좌측과 케이싱(2)의 내부 우측이 실외공기의 유로 사용되므로, 케이싱(2)의 내부 가운데에 컨트롤부(70)가 설치되면, 환기장치를 컴팩트화하면서 컨트롤부(70)가 실외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부(70)는 케이싱(2)의 내부 가운데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는 케이싱(2)의 내부 가운데의 하부에 좌측 급기팬(50)과 우측 급기팬(60)이 위치하므로, 컨트롤부(70)가 케이싱(2)의 내부 가운데의 상,하부 중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부(70)은 배기팬(40)과 탑 커버(18)의 사이와, 배기팬(40)의 하측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부(70)는 실내공기의 배기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면서 그 서비스가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기팬(40)과 탑 커버(18)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80)은 좌측부(82)에 좌측 전열열교환기(30)가 설치될 수 있고, 우측부(84)에 우측 전열열교환기(32)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80)의 좌측부(82)와 프레임(80)의 우측부(8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80)의 좌측부(82)는 좌측 전열열교환기(30)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저면을 베이스(16)와 이격시키는 좌측 하부 프레임(86)과, 좌측 하부 프레임(86)의 상측에 배치되어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을 고정하는 좌측 상부 프레임(88)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하부 프레임(86)은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저면과 베이스(16)의 사이에 실외공기가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저면으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실외공기 흡입유로(87)를 형성할 수 있다.
좌측 상부 프레임(88)에는 좌측 실외공기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좌측 필터(89)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80)의 우측부(84)는 우측 전열열교환기(32)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저면을 베이스(16)와 이격시키는 우측 하부 프레임(90)과, 우측 하부 프레임(90)의 상측에 배치되어 우측 전열열교환기(32)를 고정하는 우측 상부 프레임(92)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하부 프레임(90)은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저면과 베이스(16)의 사이에 실외공기가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저면으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실외공기 흡입유로(91)를 형성한다.
우측 상부 프레임(92)에는 우측 실외공기흡입구(6)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우측 필터(93)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80)은 좌측부(82)와 우측부(84)를 연결하는 연결판(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94)은 좌측이 프레임(80)의 좌측부(82)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이 프레임(80)의 우측부(84)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판(94)은 프레임(80)의 좌측부(82)와 우측부(84)의 사이를 상하 구획할 수 있고, 연결판(94)과 베이스(16)의 사이에는 실외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실외공기흡입실(9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판(94)과 탑 커버(22)의 사이에는 실내공기가 배기될 수 있는 실내공기배기실(98)이 형성될 수 있다.
환기장치는 프레임(8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배기팬(40)을 향해 유동되는 것을 막는 차폐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100)는 좌우 폭이 프레임(80)의 좌측부(82)와 프레임(80)의 우측부(84) 사이의 이격 거리와 같거나 이격거리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 폭이 프레임(80)의 전후 폭과 같거나 프레임(80)의 전후 폭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재(100)는 프레임(80)의 좌측부(82)와 프레임(80)의 우측부(84) 사이를 실링할 수 있고,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상면을 통해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상측으로 토출된 실외공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상면을 통해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상측으로 토출된 실외공기는 차폐부재(100)에 막혀 배기팬(40)으로 유동되지 못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일실시예의 컨트롤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컨트롤부(70)는 피시비 기판(71)과, 피시비 기판(71)이 안착되는 피시비 케이스(72)와, 피시비 기판(71)과 피비시 케이스(72)를 덮는 피시비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피시비 기판(71)에는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72)는 차폐부재(100)에 안착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72)는 피시비 기판(71)이 차폐부재(100)와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고 피시비 기판(71)을 절연시키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피시비 커버(73)는 피시비 기판(71)과 피비시 케이스(72)를 보호할 수 있고,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차폐부재(100)는 강도 및 화재를 고려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시비 기판(71)은 금속재질의 차폐부재(10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피시비 케이스(72)를 사이에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차폐부재(100)에는 컨트롤부(70)가 수용되는 컨트롤부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부(70)는 컨트롤부 수용부(102)에 삽입되어 차폐부재(1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컨트롤부 수용부(102)는 차폐부재(100)를 프레임(80)에서 분리하지 않고 컨트롤부(70)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차폐부재(100)는 컨트롤부(70)가 올려지는 하판(104)과, 하판(104)의 좌측에서 형성되고 좌측 전열열교환기(30)와 이격되는 좌측판(105)과, 하판(104)의 우측에 형성되고 우측 전열열교환기(32)와 이격되는 우측판(106)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70)는 차폐부재(100)의 좌측판(105)과 우측판(10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재(100)는 컨트롤부(70)의 화재를 고려하여 좌측판(105)이 좌측 전열열교환기(30)와 이격되고, 우측판(106)이 우측 전열열교환기(32)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100)는 좌측판(105)과 좌측 전열열교환기(30) 사이의 좌측 틈(T1)을 갖고, 우측판(106)과 우측 전열열교환기(32) 사이에 우측 틈(T2)을 갖게 설치된다.
차폐부재(100)는 좌측판(105)의 상부에 형성되고 프레임(80)의 상부에 연결되는 좌측 상판(107)과, 우측판(106)의 상부에 형성되고 프레임(80)의 상부에 연결되는 우측 상판(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상판(107)은 프레임(80)의 좌측부(82)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 상판(108)은 프레임(80)의 우측부(84)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기팬(50)(60)의 구동시, 실외공기는 실외공기흡입구(10)를 통과해 실외공기 흡입실(96)로 흡입된다. 실외공기 흡입실(96)로 흡입된 실외공기는 급기팬(50)(60)에 의해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하측과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하측으로 송풍되고, 이후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하면과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하면을 통해 좌,우측 전열열교환기(30)(32)의 실외공기유로(38)(39)로 유입된다. 실외공기는 좌,우측 전열열교환기(30)(32)의 실외공기유로(38)(39)를 통과하면서 좌,우측 전열열교환기(30)(32)의 실내공기유로(36)(37)을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고 이후 좌,우측 전열열교환기(30)(32)의 상면으로 토출된다. 좌,우측 전열열교환기(30)(32)의 상면으로 토출된 실외공기는 탑커버(18)의 좌,우 실외공기배출구(12)(14)를 통해 실내로 직접 토출된다.
배기팬(40)의 구동시, 실내공기는 좌측 실내공기흡입구(4)와 우측 실내공기흡입구(6)로 흡입된다. 좌측 실내공기흡입구(4)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실내공기유로(36)를 통과하면서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실외공기유로(38)의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후 실내공기배기실(98)로 흡입된다. 우측 실내공기흡입구(6)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실내공기유로(37)를 통과하면서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실외공기유로(39)의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후 실내공기배기실(98)로 흡입된다.
좌측 전열열교환기(30)의 실내공기유로(36)에서 실내공기배기실(98)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배기팬(40)의 좌측 실내공기 흡입홀(41)을 통해 배기팬(40)의 내부로 흡입되고, 우측 전열열교환기(32)의 실내공기유로(37)에서 실내공기배기실(98)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배기팬(40)의 우측 실내공기 흡입홀(42)을 통해 배기팬(4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배기팬(40)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실내공기 배출구(44)를 통해 후방 방향으로 송풍되고, 이후 실내공기배출구(8)를 통해 토출된다.
2: 케이싱 16: 베이스
22: 탑 커버 30,32: 전열열교환기
40: 배기팬 50,60: 급기팬
70: 컨트롤부 80: 프레임
100: 차폐부재

Claims (9)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좌측 실외공기배출구와 우측 실외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탑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좌측부에 설치된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상기 프레임의 우측부에 설치된 우측 전열열교환기와;
    상기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로 실외공기를 유동시킨 후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팬과;
    상기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로 실내공기를 유동시킨 후 실외로 배기시키고 좌,우 양측면에 실내공기 흡입홀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실내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과 탑 커버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우측 전열열교환기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 실내공기유로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실외공기유로가 형성된 환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상기 배기팬을 향해 유동되는 것을 막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컨트롤부가 수용되는 컨트롤부 수용부가 형성된 환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 수용부는 전면이 개방된 환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컨트롤부가 올려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좌측에서 형성되고 상기 좌측 전열열교환기와 이격되는 좌측판과,
    상기 하판의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우측 전열열교환기와 이격되는 우측판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좌측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좌측 상판과,
    상기 우측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우측 상판을 더 포함하는 환기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전후 폭이 상기 프레임의 전후 폭과 같거나 상기 프레임의 전후 폭보다 더 긴 환기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피시비 기판과, 상기 피시비 기판이 안착되는 피시비 케이스와, 상기 피시비 기판과 상기 피비시 케이스를 덮는 피시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 상기 차폐부재에 안착되는 환기장치.
KR1020110092642A 2011-07-28 2011-09-14 환기장치 KR20130029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642A KR20130029288A (ko) 2011-09-14 2011-09-14 환기장치
EP12176769.3A EP2551607B1 (en) 2011-07-28 2012-07-17 Ventilation apparatus
US13/558,595 US20130025822A1 (en) 2011-07-28 2012-07-26 Ventil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642A KR20130029288A (ko) 2011-09-14 2011-09-14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88A true KR20130029288A (ko) 2013-03-22

Family

ID=4817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642A KR20130029288A (ko) 2011-07-28 2011-09-14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2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0716B2 (en) Ventilation apparatus
JP2010044692A (ja) 空調システム
JP2575429B2 (ja) 空気冷却式電気機器の室内排気装置
JP6442138B2 (ja) 発熱機器を収容した室の空調システム
JP2023071327A (ja) 室内機
EP2551607B1 (en) Ventilation apparatus
KR100662343B1 (ko) 환기 시스템
JP2001165484A (ja) 換気装置
JP200400386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換気空調ユニット
KR20130029288A (ko) 환기장치
JP4510503B2 (ja) 機器収容用ラックおよび電算機室用空調システム
JP5247610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5073096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1193999B1 (ko) 환기장치
KR100582458B1 (ko) 환기장치
CN113154535A (zh) 空调器室内机
CN112714846A (zh) 通风装置用热交换单元
JP2012102889A (ja) 床置き室内機
JP5557110B2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616607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4045029A (ja) 換気システム
KR102541476B1 (ko) 전열교환기
JP2012083038A (ja) 空気調和機の床置き室内機
JP2018066490A (ja) 空調システム
EP1680628B1 (en) Venti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