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266A - 1회용 분유공급용기 - Google Patents

1회용 분유공급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266A
KR20130029266A KR1020110092590A KR20110092590A KR20130029266A KR 20130029266 A KR20130029266 A KR 20130029266A KR 1020110092590 A KR1020110092590 A KR 1020110092590A KR 20110092590 A KR20110092590 A KR 20110092590A KR 20130029266 A KR20130029266 A KR 2013002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pack
powdered milk
fastening member
milk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Original Assignee
황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일 filed Critical 황성일
Priority to KR102011009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266A/ko
Publication of KR2013002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5Non-rigid or collapsible feeding-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2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therm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2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재질을 접어서 납작한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를 저장하는 저장팩, 상기 저장팩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수유부 및 상기 수유부의 외부를 차폐하는 보호캡을 포함하고, 상기 수유부는 항균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젖꼭지와 상기 젖꼭지를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저장팩 내부에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를 저장하고, 수유시 저장팩 내부에 물을 공급한 후 수유부를 결합해서 직접 분유를 아기에게 수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DISPOSABLE CONTAINER FOR SUPPLYING POWDERED MILK AND BOTTLE FEEDING METHO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의 1회 수유량에 해당되는 분유나 이유식을 저장해서 물을 타 즉시 아기에게 수유할 수 있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수유가 필요한 영아 및 유아에게 장소와 관계없이 분유나 우유, 이유식(이하 '분유'라 통칭함)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의 상부에는 수유부가 결합된 캡으로 구성되어 있어, 캡을 분리한 후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를 아기에게 제공하게 된다.
종래의 젖병을 이용해 분유를 수유하는 경우, 분유가 다량 저장된 통에서 매회 스푼을 이용해 일정 양씩을 퍼서 젖병에 담아야만 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다량의 분유가 저장된 통과 젖병을 별도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외출을 하거나 이동을 하는 경우, 아기를 돌보는 보호자는 불필요하게 많은 짐을 가지고 다녀야만 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아기들에게 분유를 수유하기 위해서 젖병과 분유가 저장된 통을 별도로 휴대해야 하고, 통에서 필요한 양만큼을 퍼서 젖병에 넣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젖병은 위생상 한 번 사용 후 세척 및 소독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었고, 특히 여행시에는 소독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아이의 건강상에 이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78568(2003년 10월 8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45704호(2007년 5월 2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2'라 함) 등 다수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1회용 아기 분유 및 이유식의 제작 및 포장 방법에는 한 스푼 분량의 분유를 별도 포장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한 스푼 분량으로 포장된 분유 포장과 젖병을 별도로 휴대해야 하고, 다수의 분유 포장을 개봉해서 필요한 양만큼 젖병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에 따른 1회용 공기 유입 젖병은 유아가 젖병의 우유를 흡입할 시 공기유입장치에 의해 젖병 내부에 외부공기가 인입되어 유아가 용이하게 우유를 흡입할 수 있고, 밸브의 작용에 의해 우유가 젖병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아 위생적이며, 1회용 내부용기를 젖병 몸체 안에 내장하여 편리하게 내부용기를 쓰고 버릴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는 젖병과 분유가 저장된 통을 별도로 휴대해야 하고, 젖병의 구성이 복잡하여 작업성이 낮으며,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내부용기를 1회 사용 후 폐기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78568(2003년 10월 8일 공개) 2),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45704호(2007년 5월 2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에게 수유할 1회분의 분유를 저장하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유와 물을 간편하게 혼합하여 아기에게 직접 수유할 수 있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기의 월령별 1회 수유할 분유량 및 물량을 안내할 수 있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유와 물을 혼합하는 경우, 혼합된 분유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재질을 접어서 납작한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를 저장하는 저장팩, 상기 저장팩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수유부 및 상기 수유부의 외부를 차폐하는 보호캡을 포함하고, 상기 수유부는 항균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젖꼭지와 상기 젖꼭지를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한다.
상기 1회용 분유공급용기는 상기 수유부 대신에 상기 저장팩 내부에 저장된 분유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유부 대신에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캡이 일체로 형성되는 공용 젖꼭지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공용 젖꼭지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재질을 접어서 납작한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가 저장되는 저장팩, 상기 저장팩의 전면이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결합되는 제 1덮개판, 젖꼭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덮개판의 일단에 힌지 회전 가능하는 결합되는 제 2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덮개에는 상기 저장팩의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저장팩 내부에 저장된 분유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판이 결합된다.
상기 저장팩의 외면에는 내부에 공급된 물과 혼합된 분유의 온도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와 아기의 월령별 1회 수유할 분유량 및 물량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는 (a) 저장팩의 배출구에 설치된 체결부재에서 보호캡 및 수유부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배출구를 통해 1회 수유할 분유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분유가 저장된 저장팩의 체결부재에 보호캡 및 수유부를 결합하여 보관하는 단계, (d) 수유시 상기 분유가 저장된 저장팩의 체결부재에서 보호캡 및 수유부를 분리하고 배출구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단계, (e) 상기 제 (d)단계에서 공급된 물과 분유를 혼합하고 저장팩의 외면에 형성된 온도 표시부의 색상변화에 기초하여 혼합된 분유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f) 상기 분유의 온도 조절이 완료되면 배출구에 수유부를 결합하여 상기 저장팩 내부의 분유를 수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팩 내부에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를 저장하고, 수유시 저장팩 내부에 물을 공급한 후 수유부를 결합해서 직접 분유를 아기에게 수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장팩이 납작한 봉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수유에 필요한 분유통 및 젖병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필요한 개수만큼의 저장팩에 분유를 미리 저장한 후 간편하게 휴대하여 운반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저장팩의 전면이나 후면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저장팩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휴대성 및 운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팩의 외부에 월령별 분유량 및 물량을 표시함에 따라 수유할 때마다 1개의 저장팩을 수유하여 적정한 량의 분유를 용이하게 수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팩의 외부에 분유와 혼합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온도 표시부를 구비함에 따라 물의 온도가 수유에 알맞은 온도인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수유한 후에 저장팩을 폐기하고, 수유부를 재사용할 수 있어 저장팩만을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분유공급용기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유공급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유저장용기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 및 그를 이용한 수유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유공급용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유저장용기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를 저장하는 저장팩(20), 저장팩(2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2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30), 체결부재(30)에 나사 결합되는 수유부(40) 및 수유부(40)의 외부를 차폐하는 보호캡(50)을 포함한다.
저장팩(2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를 접어서 납작한 봉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저장팩(20)은 내부에 분유만이 저장되면 납작하게 접어진 형상을 유지하고, 배출구(21)를 통해 물이 내부로 공급되면 접어진 부분이 펼쳐지면서 팽창 가능하게 형성된다.
배출구(21)는 일반적인 젖병의 체결부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저장팩(20)의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일반적인 젖병의 배출구 직경의 1/2~1/10에 해당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아기의 월령에 따라 1회 수유량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저장팩(20)에 저장되는 분유의 양은 아기의 월령별 표준 수유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팩(20)의 최대 팽창부피는 아기에게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와 물을 혼합한 부피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부피를 갖도록 설정된다.
이를 위해, 저장팩(20)의 외면 일측에는 1회 수유할 분유량 및 물량을 표시하는 표시부(22) 및 물과 혼합된 분유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23)가 구비된다.
표시부(22)에는 아기의 월령별 표준 수유량에 따라 각 월령별 분유량 및 물량을 설정한 눈금이 표시되고, 내부에 저장된 분유량 및 물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온도 표시부(23)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써믹잉크(Thermic ink, KROMA사 제품)를 저장팩(20)의 외면 일측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또는, 온도 표시부(23)는 분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감지된 온도에 따라 저장팩(20)의 외면 일측에 그려진 온도계 눈금에 붉은 색선을 표시하는 온도계로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팩(20)은 내부에 뜨거운 물을 공급하더라도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 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페닐설폰(polyphenylsulfone, PPSU)과 같이 내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30)는 저장팩(2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21)에 설치되어 수유부(4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체결부재(3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출구(21)를 통해 저장팩(2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체결부재(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수유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젖꼭지(41) 및 젖꼭지(41)를 체결부재(30)에 고정하는 고정캡(4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젖꼭지(41)는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키고, 보호캡(5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에 형성되는 플랜지(43)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형성된다.
젖꼭지(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팩(20)의 배출구(21)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젖꼭지(41)는 일반적인 젖병에 결합되는 공용 젖꼭지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10)의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일반적인 젖병의 체결부 직경의 1/2~1/10에 해당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젖꼭지(41)는 세척 및 소독 과정을 거쳐서 재사용이 가능한 부분으로, 1회용 분유공급용기(10) 제작시 저장팩(20)에 결합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저장팩(20)과 별도로 제작되어 수유시에만 체결부재(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캡(42)은 상면 중앙부 및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젖꼭지(41)의 외곽부를 누른 상태에서 체결부재(3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고정캡(42)의 내주면에는 체결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캡(42)의 상부에는 보호캡(50)의 하단 내주면이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리브(44)가 외곽선을 따라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개구된 고정캡(42)의 상면 중앙부에는 스티커(45)가 부착된다.
스티커(45)는 저장팩(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팩(20) 내부에 저장되는 분유 및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티커(45)는 고정캡(42)을 젖꼭지(41)를 체결부재(30)에 결합하는 경우, 고정캡(45)의 상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면, 젖꼭지(41)의 상단부분은 고정캡(42)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1회용 분유공급용기(10)는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유부(4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체결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공용 젖꼭지(46)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반적인 젖병의 체결부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용으로 형성된 수유부(40)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고정캡과 일체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공용 젖꼭지(46)를 호환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1회용 분유공급용기는 수유부(40)와 보호캡(50)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유부(40)와 보호캡(50)을 제거하고, 체결부재(30)에 나사 결합되는 마개(60)를 구비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수유부(40)와 보호캡(50)은 소독 및 세척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부분이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11)는 1회 수유량에 대응되는 분유가 저장된 저장팩(20), 저장팩(20)의 배출구(2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0) 및 체결부재(30)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부재(30)의 외부를 차폐하는 마개(60)를 포함한다.
마개(60)는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개(60)의 내주면에는 체결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마개(60)는 상기의 실시 예에서 수유부(40)에 구비되는 고정캡(42)과 같이 상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스티커(45)가 부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분유가 저장된 저장팩만을 교체하고 수유부를 재사용하여 분유를 수유함에 따라 제품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수유부 및 보호캡을 재사용하거나 일반적인 젖꼭지를 호환해서 사용함에 따라 제품의 사용상 활용도를 향상시킨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를 이용한 수유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를 이용한 수유방법에 따르면, 저장팩(20)의 배출구(21)에 설치된 체결부재(30)에서 보호캡(50) 및 수유부(40)를 분리한 후, 배출구(21)를 통해 저장팩(20) 내부에 분유를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는 저장팩(20) 외부에 눈금으로 표시된 월령별 표준 분유량만큼 분유를 저장하여 용이하게 1회 수유에 필요한 분유량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유가 저장된 저장팩(10)의 체결부재(30)에는 수유부(40) 및 보호캡(50)이 결합되거나, 수유부(40)의 고정캡(42)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시 분유통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고, 납작한 상태를 유지하는 저장팩을 수유할 횟수에 해당하는 개수만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야간 수유를 위해서 냉장고 등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도 있다.
이어서, 수유시에는 체결부재(30)에 결합된 수유부(40) 또는 고정캡(42)을 분리한 후 배출구(21)를 통해 저장팩(20) 내부로 따뜻한 물을 공급한다.
이때, 표시부(22)에는 1회 수유에 필요한 물량이 눈금으로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22)의 눈금을 이용해서 현재 공급된 물량을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온도 표시부(23)는 공급된 물과 혼합된 분유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면서 수유에 적정한 온도인지 여부를 표시하거나, 온도계 눈금에 붉은 색으로 색상을 표시하여 분유의 온도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된 온도가 너무 뜨겁거나 차가우면 찬 물이나 뜨거운 물을 추가로 공급해서 분유를 수유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조절한다.
이어서, 고정캡(42)을 다시 체결부재(30)에 체결하고 저장팩(20)을 흔들어서 분유와 물이 혼합되면, 젖꼭지(41)를 체결부재(30)에 고정하여 아기에게 수유한다.
수유가 끝나면, 저장팩(20)을 폐기하고, 수유부(40)를 세척 및 소독한 후 보호캡(50)을 결합하여 오염을 방지한 상태로 보관한다.
그리고 다음 수유시간이 되면, 수유부(40)를 새로운 1회용 분유공급용기(10)에 결합해서 재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를 저장하고, 수유시 분유공급용기 내부에 직접 물을 공급해서 수유부를 통해 물과 혼합된 분유를 아기에게 용이하게 수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저장팩(20)의 상부 일측에 배출구(21)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의 사시도로서, 도 5에는 제 2덮개판이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제 2덮개판을 폐쇄하여 이용해 젖꼭지를 고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회용 분유공급용기(12)에서 배출구(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봉지 형상으로 형성된 저장팩(20')의 전면이나 후면 상부에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21')에는 힌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덮개판(24,25)이 설치된다.
즉, 제 1덮개판(24)은 배출구(21')에 설치되어 저장팩(20')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분유를 젖꼭지(4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제 2덮개판(2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꼭지(41)의 플랜지를 눌러 제 1덮개판(24)과 젖꼭지(4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2덮개판(25)은 제 1덮개판(24)의 일측 단부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덮개판(24)에는 링 형상의 결합구가 형성되며, 제 2덮개판(25)에는 젖꼭지(41)가 결합되는 결합공(27)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덮개판(24)의 결합구(26)에는 초기 출고시, 내부에 저장된 분유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판(28)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구비되는 체결부재(30) 및 수유부(40)의 고정캡(42)을 제거하여 1회용 분유공급용기(12)의 폭을 줄임으로써, 휴대성 및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유를 1회 수유할 분량에 맞게 저장팩에 저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수유시 저장팩 내부에 물을 공급해서 직접 아기에게 수유하도록 이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유뿐만 아니라 유아용 이유식이나 성인용 선식과 같이 물과 혼합해서 먹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10,11,12: 1회용 분유공급용기
20,20': 저장팩 21,21': 배출구
22: 표시부 23: 온도 표시부
24: 제 1덮개판 25: 제 2덮개판
26: 결합구 27: 결합공
28: 원형판 30: 체결부재
40: 수유부 41: 젖꼭지
42: 고정캡 43: 플랜지
44: 결합리브 45: 스티커
46: 공용 젖꼭지 50: 보호캡
60: 마개

Claims (6)

  1. 내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재질을 접어서 납작한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를 저장하는 저장팩,
    상기 저장팩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수유부 및
    상기 수유부의 외부를 차폐하는 보호캡을 포함하고,
    상기 수유부는 항균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젖꼭지와
    상기 젖꼭지를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회용 분유공급용기는 상기 수유부 대신에 상기 저장팩 내부에 저장된 분유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유부 대신에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캡이 일체로 형성되는 공용 젖꼭지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공용 젖꼭지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4. 내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재질을 접어서 납작한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1회 수유할 분량의 분유가 저장되는 저장팩,
    상기 저장팩의 전면이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결합되는 제 1덮개판,
    젖꼭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덮개판의 일단에 힌지 회전 가능하는 결합되는 제 2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덮개에는 상기 저장팩의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저장팩 내부에 저장된 분유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팩의 외면에는 내부에 공급된 물과 혼합된 분유의 온도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와
    아기의 월령별 1회 수유할 분유량 및 물량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
  6. (a) 저장팩의 배출구에 설치된 체결부재에서 보호캡 및 수유부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배출구를 통해 1회 수유할 분유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분유가 저장된 저장팩의 체결부재에 보호캡 및 수유부를 결합하여 보관하는 단계,
    (d) 수유시 상기 분유가 저장된 저장팩의 체결부재에서 보호캡 및 수유부를 분리하고 배출구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단계,
    (e) 상기 제 (d)단계에서 공급된 물과 분유를 혼합하고 저장팩의 외면에 형성된 온도 표시부의 색상변화에 기초하여 혼합된 분유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f) 상기 분유의 온도 조절이 완료되면 배출구에 수유부를 결합하여 상기 저장팩 내부의 분유를 수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분유공급용기를 이용한 수유방법.
KR1020110092590A 2011-09-14 2011-09-14 1회용 분유공급용기 KR20130029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590A KR20130029266A (ko) 2011-09-14 2011-09-14 1회용 분유공급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590A KR20130029266A (ko) 2011-09-14 2011-09-14 1회용 분유공급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66A true KR20130029266A (ko) 2013-03-22

Family

ID=4817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590A KR20130029266A (ko) 2011-09-14 2011-09-14 1회용 분유공급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2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42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스탠드팩 일회용 분유 저장 및 젖병 비닐용 팩
KR20190000363U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플 어댑터 및 파우치 제품
CN109453030A (zh) * 2018-12-29 2019-03-12 重庆市永川区佳悦家政服务有限公司 婴儿护理用喂奶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42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스탠드팩 일회용 분유 저장 및 젖병 비닐용 팩
KR20190000363U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플 어댑터 및 파우치 제품
CN109453030A (zh) * 2018-12-29 2019-03-12 重庆市永川区佳悦家政服务有限公司 婴儿护理用喂奶瓶
CN109453030B (zh) * 2018-12-29 2021-02-26 重庆市永川区佳悦家政服务有限公司 婴儿护理用喂奶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263B1 (en) Collapsible baby bottle and associated method
US20050220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infant feeding
US8887904B2 (en) Feeding nipple container
US20090261054A1 (en) Infant Feeding Pouch
KR20180102128A (ko) 유아식 준비 디바이스
AU2012351879B2 (en) Disposable baby bottle kit
KR20130029266A (ko) 1회용 분유공급용기
US10143628B2 (en) Feeding bottle for preparation of a nutritional composition
US20050194341A1 (en) Disposable pre filled baby bottle delivery system
US20070027479A1 (en) Feeding pacifier with removable fluid source
KR101817420B1 (ko) 다용도 저장팩
DE102010003974B4 (de) Babyflaschenzubereitungsautomat
KR101695717B1 (ko) 1회용 분유내장형 젖병 키트
GB2469659A (en) A collapsible container for use as a baby bottle
HU231373B1 (hu) Gyermektápszer-készítő eszköz és eljárás gyermektápszer készítésére
KR200482857Y1 (ko) 젖꼭지 막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을 구비한 젖병
US20100178393A1 (en) Disposable bottle for supply of beverage of special use for babies
US20130064479A1 (en) Feeding ba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CN218807387U (zh) 一种混用式保健品分离存储软包
JP3192605U (ja) 哺乳瓶式注射投薬器
KR20140053936A (ko) 일체식 일회용 종이 젖병 본체 및 이를 젖꼭지와 체결한 젖병
JP2002065813A (ja) 哺乳用乳首
WO2007016523A1 (en) Feeding pacifier with removable fluid source
JP5828028B1 (ja) 乳児用ミルクの調製用キット
KR20130005947U (ko) 다용도 이유식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