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187A - 배선박스커버 - Google Patents

배선박스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187A
KR20130029187A KR1020110092420A KR20110092420A KR20130029187A KR 20130029187 A KR20130029187 A KR 20130029187A KR 1020110092420 A KR1020110092420 A KR 1020110092420A KR 20110092420 A KR20110092420 A KR 20110092420A KR 20130029187 A KR20130029187 A KR 2013002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insertion hole
hole
fastening
box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11009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187A/ko
Publication of KR2013002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선박스커버는 배선박스에 체결고정되며, 돌출된 삽입공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에 배선관이 체결 고정하는 배선관 체결부가 구비된 배선박스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선박스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의 체결공에 나사로 고정되는 박스커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된 삽입공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에 체결하는 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장공에 삽입한 돌기를 변위시키는 고정체에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배선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선박스커버{tube wiring rosin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배선관 및 배선관을 체결고정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연결하는 배선박스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박스에 외부에서 연결구를 삽입공에 체결고정할 수 있으며, 연결구의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배선 등을 천장 혹은 벽 등에 매입 설치하기 위하여, 배선관이 이용 전기 배선들이 상호 결선된다.된다. 이때,통상 배선관의 교차지점에는 배선관을 연결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가 체결고정하는 배선박스가 이용된다.
이하 도시된 도서에 도 4 종래 배선박스커버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도 4의 배선박스커버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 도 4 도의 고정체의 나사산을 중심으로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배선박스(50)는 측벽 및 후면에 배관(60)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52)이 구비되며, 선단에는 커버가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된 돌기(54)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54)에는 커버가 나사(70)로 고정하는 체결공(56)이 구비된다.
도 1 도시예에서 배선박스커버(100)에는 배선박스(50)의 구멍(53)에 대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20)이 구비되며, 전선관(60)을 삽입체결 고정하는 삽입공(20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200)의 절개부(220)에 연결된 상기 전선관(60)을 고정하는 고정부(300)가 구비된다.
삽입공(200)은 박스커버(100)의 구멍이 연장돌출 돌기 된다. 삽입공(200)의 내부에는 상기 전선관(60)의 일정길이 이상 못 들어가게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 후측으로 일정길이에서 일정부분이 절개된 절개부(220)가 구비된다.
고정부(300)는 상기 삽입공(200)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삽입공(200)에 연결된 대칭측에 절개 상호 와류되며, 외부 원주일정부분에 압경에 축소 정지되게 나사산(320)이 상호구비된다, 고정부(300)의 내부에는 삽입한 배선관(60)의 외주연의 홈(62)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발적으로 구비된 돌기(3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관(60)을 삽입 배선관 삽입공(200)에 체결하고, 고정부(300)를 압경할 때 양측이 나사산(320)에 맞물려 압경 고정되며, 이에 따라, 내부의 돌기(340)가 배선관(60)의 외주연의 홈(62)에 쉽게 안착 가압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배선관(60)이 배선관 삽입공(2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종래 배선박스커버는 배선박스(50)의 후벽 및 측벽부에는 배선관(60)을 연결하기 위한 삽입공(52)이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 삽입공(52)에는 단관 형태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가 장착된다.
따라서, 도 5 도시처럼 박스커버(300)는 박스커버(300)의 연결공(320)에 나사(70)를 삽입 및 배선박스(50)의 고정공(52)에 체결고정되며, 박스커버(300)의 삽입공(140)을 돌출한 배선관 체결부(200)에 배선관(60)을 삽입하고, 고정부(300)를 압경하면 양측의 나사산(320)이 맞물려 압경 고정되며, 이에 따라, 내부의 돌기(340)가 배선관(60)의 외주연의 홈(620)에 쉽게 안착 가압 지지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고정부(300)는 일회용으로 압경하면 양측의 나사산(320)이 맞물려 압경 고정되나 전선관(60)을 분리하려 할 때 나사산(320)을 드라이버로 강제로 젖혀야 하며, 이때 금속의 제질은 휘저 복귀가 불가하며 않으며, 수지제질일 경우 역시 휘저 복귀가 불가하며, 손으로 수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또한 수지일 경우 전선관의 당김에 돌기(340)가 뭉그러져 전선관이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배선박스커버의 고정공에 대응한 고정공을 구비하고, 돌출한 삽입공에 홈을 구비하고 홈에 탄성의 고정체를 구비하여 배선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배선박스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배선박스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의 체결공에 체결고정되며, 돌출된 돌기의 삽입공이 구비된 배선박스커버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체결공에 나사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에 고정체가 체결 구비되며, 상기 장공에 배선관을 체결 고정하는 고정체의 돌기가 삽입 삽입공의 내부로 위치되며, 상기 고정체의 돌기를 변위하는 고정체에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박스커버는 배선박스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의 체결공에 나사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상의 체결공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은 나사의 머리가 들어가는 장공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은 커버의 통상의 삽입공 위치에서 돌출된 돌기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공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관이 정지되는 통상의 돌기가 구비되며, 삽입공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구비된다. 이 장공은 대칭된다. 바람직하게 장공은 배선관의 외주연의 홈에 위치되게 일측이 높이가 다르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는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며, 고정체의 돌기는 상기 장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기를 변위시키는 손잡이가 고정체에 구비된다. 바람직한 상기 삽입공 외부 원주에 고정체를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따라서, 상기 고정체를 회전으로 상기 장공에 삽입한 상기 돌기를 변위할 수도 있다.
상기 장공에 삽입한 고정체의 돌기가 배선관의 외주연의 홈에 위치되면 상기 손잡이 상호를 체결고정할 있다.
본 발명의 배선박스커버에 따르면,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나사로 체결되고, 배선관 을 삽입하는 돌출된 삽입공에 체결한 고정체의 돌기를 삽입공의 측면에 장공에 삽입 구비함으로써 배선관의 외부 원주를 고정, 또는 배선관의 외부 원주의 홈에 체결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공의 측면에 장공에 탄성의 고정체의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배선관의 후퇴에 탄성의 고정체의 돌기가 장공에 막혀 돌기의 변위를 막아 배선관의 후퇴를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 일실시 예시예에 의한 배선박스커버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도 1의 배선박스커버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도 1의 고정체의 돌출의 돌기를 중심으로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종래 배선박스커버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도 4의 배선박스커버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 도 4 도의 고정체의 나사산을 중심으로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배선박스커버는 전기 배선 등을 천장 또는 벽 등에 매입 설치한 박스를 덮기 위한 장치로서, 전선 등이 배선되는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한 박스의 덮기하기 위한 커버이다. 배선박스는 다수의 배선관이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배선관으로부터 인출된 전선등을 결선 및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배선관 내부에서 전선 등의 결선 작업이 이루어지며, 커넥트 등에 의해 결선이 완료된 전선들은 배선박스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이후 본 발명의 배선박스커버의 돌출된 삽입공에 배선관을 체결한 후 배선박스 내의 전선을에 삽입공의 배선관에 삽입하며, 배선박스의 체결공에 나사를 삽입 배선박스의 체결공에 체결 고정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본 발명 일실시 예시예에 의한 배선박스커버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도 1의 배선박스커버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도 1의 고정체의 돌출의 돌기를 중심으로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선박스커버는 배선박스(50)에 체결고정되며, 돌출된 삽입공(2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20)에 배선관(60)이 체결 고정하는 배선관 체결체가 구비된 배선박스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선박스(50)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54)의 체결공(56)에 나사(70)로 고정되는 박스커버(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2)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의 돌기된 삽입공(20)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22)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20)에 체결하는 고정체(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체(30)에는 상기 장공(22)에 삽입되는 돌기(32)가 구비되며, 상기 장공(22)에 삽입한 돌기(32)를 변위시키는 고정체(30)에 손잡이(34)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박스커버(10)는 배선박스(50)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고정부(54)의 체결공(56)에 나사(70)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상의 체결공(12)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12)은 일측에 나사(70)의 머리가 들어가는 장공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20)은 커버의 통상의 삽입공 위치에서 돌출된 돌기 된다.
도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공(2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관(60)이 정지되는 통상의 돌기가 구비되며, 삽입공(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22)이 구비된다. 이 장공(22)은 대칭된다. 바람직하게 장공(22)은 배선관(60)의 외주연의 홈(62)에 위치되게 일측이 높이가 다르게 될 수 있다.
도 3 실시예에서, 고정체(30)는 상기 삽입공(20)에 체결되며, 고정체(30)의 돌기(32)는 상기 삽입공(20)의 장공(22)에 삽입되며, 상기 돌기(32)를 변위시키는 손잡이(34)가 고정체(30)에 구비된다.
바람직한 상기 삽입공(20) 외부 원주에 고정체(30)를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따라서, 상기 고정체(30)를 회전으로 상기 장공(22)에 삽입한 상기 돌기(32)를 변위할 수도 있다.
상기 장공(22)에 삽입한 고정체(30)의 돌기(32)가 배선관(60)의 외주연의 홈(62)에 위치되면 상기 손잡이(64) 상호를 체결고정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체(30)는 탄성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박스커버(10)는 박스커버(10)의 고정공(12)에 나사(70)로 배선박스(50)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의 고정부(54)의 체결공(56)에 체결고정하며, 상기 삽입공(2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관(60)이 정지되는 통상의 돌기가 구비되며, 삽입공(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22)이 구비된다. 이 장공(22)은 대칭된다. 바람직하게 장공(22)은 배선관(60)의 외주연의 홈(62)에 위치되게 일측이 높이가 다르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구조에서, 도 2내지 도3 실시예에서, 통상의 위치에서 돌출의 돌기된 상기 삽입공(2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20)의 일정거리에 장공(22)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20) 고정체(30)가 체결되며, 상기 장공(22)에 고정체(30)의 돌기(32)가 삽입되며, 상기 돌기(32)가 삽입공(20)의 내부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삽입공(20)으로 배선관(60)을 삽입 및 고정체(30)의 손잡이(64)를 압경 이때 배선관(60)이 고정체(30) 내부의 통상의 돌기에서 정지되며, 이와 동시에 손잡이(34)를 놓으면 상기 돌기(32)가 배선관(60)의 외주연에 고정, 또는 배선관(60)의 외주연의 홈(62)에 위치되며, 또는 배선관(60)을 변위시커 고정된다.
이에 따라, 배선관(60)의 후퇴에도 도 3실시예처럼 고정체(30)의 돌기(32)가 삽입공(20)의 장공(22)에 걸려지므로 배선관(60)이 고정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박스커버(10)는 배선관(60)의 분리가 고정체(30)의 손잡이(64)를 압경 이때 배선관(60)을 분리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기술적 장점은 배선박스(50)의 체결공(52)에 체결되는 체결공(12)이 구비되며, 통상의 돌기된 삽입공(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22)이 구비되며, 삽입공(20)에 탄성의 고정체(30)를 체결하고, 상기 장공(22)에 고정체(30)의 돌기(32)가 삽입 상기 삽입공(20)의 내부에 상기 돌기(32)가 구비한다는 점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박스커버 12,56: 체결공
20: 삽입공 22: 장공
30: 탄성 고정체 32: 돌기
34: 손잡이 50: 배선박스
54: 고정부 60: 배선관
22 : 홈 70 : 나사

Claims (1)

  1. 배선박스(50)에 나사(70)로 체결고정되며, 돌출된 삽입공(20)되며, 상기 삽입공(20)에 배선관(60)을 체결고정하는 배선관 고정체가 구비된 배선박스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선박스(50)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54)의 체결공(56)에 나사(70)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구비의 체결공(12),
    상기 삽입공(20)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22),
    상기 삽입공(20)에 체결하는 고정체(30),
    상기 장공(22)에 삽입되는 고정체(30)의 돌기(32),
    상기 장공(22)의 돌기(32)를 변위시키는 고정체(30)에 손잡이(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커버(10).
KR1020110092420A 2011-09-14 2011-09-14 배선박스커버 KR20130029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420A KR20130029187A (ko) 2011-09-14 2011-09-14 배선박스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420A KR20130029187A (ko) 2011-09-14 2011-09-14 배선박스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187A true KR20130029187A (ko) 2013-03-22

Family

ID=4817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420A KR20130029187A (ko) 2011-09-14 2011-09-14 배선박스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1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60B1 (ko) * 2014-11-06 2015-05-20 티에스케이블(주) 접지부 배선박스
KR20160100744A (ko) 2015-02-16 2016-08-24 (주)진성테크 조인트박스
KR101867587B1 (ko) * 2017-08-24 2018-06-15 이정우 주름관 컨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60B1 (ko) * 2014-11-06 2015-05-20 티에스케이블(주) 접지부 배선박스
KR20160100744A (ko) 2015-02-16 2016-08-24 (주)진성테크 조인트박스
KR101867587B1 (ko) * 2017-08-24 2018-06-15 이정우 주름관 컨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04995A1 (en) Connectable Cable Organizer
US7402752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45954B1 (ko)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KR20130029187A (ko) 배선박스커버
JP2009240115A (ja) 配線・配管材引出具
KR20150142713A (ko) 전선관 및 배선박스 연결용 커넥터와 카푸링을 겸용한 연결체
KR100796728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JP5452159B2 (ja) 配線ボックス
KR20100133887A (ko) 배선관연결구
KR101768822B1 (ko) 전선 고정용 커플러
US3600008A (en) Self-locking outlet box connector
KR20130029173A (ko) 배선박스
KR20160000451U (ko) 전기배선관 커넥터
KR20130015246A (ko)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CN210350115U (zh) 一种断路器线夹
KR100557750B1 (ko) 가요전선관의 커넥터
KR100974101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용 콘센트 박스
KR20080097270A (ko) 멀티탭 및 멀티탭 케이스
US9060422B2 (en) Electric wiring seat and assembly thereof
KR20120012500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CN216450533U (zh) 一种穿墙式开关盒
JP4176952B2 (ja) 屋内配線ボックス
KR20110113255A (ko) 배선관 연결구
KR20130000986U (ko) 배선박스
JP6700103B2 (ja) ケーブル固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